가연성기체 |
연소하한계(%) |
연소상한계(%) |
메 탄(CH4) |
5.0 |
15.0 |
프로판(C3H8) |
2.1 |
9.5 |
부 탄(C4H10) |
1.9 |
8.5 |
수 소(H2) |
4.1 |
75.0 |
? 연소 하한계 : 공기 중의 산소농도에 비해 가연성기체의 수가 너무 적어서 연소가 발생할 수 없는 한계
? 연소 상한계 : 산소에 비해 가연성기체의 수가 너무 많아서 연소가 발생할 수 없는 한계
수 소 |
일산화탄소 |
프로판 |
아세틸렌 |
에틸에테르 |
메 만 |
에 탄 |
4.1~75 |
12.5~75 |
2.1~9.5 |
2.5~82 |
1.7~48 |
5.0~15 |
3.0~12.5 |
에틸렌 |
시안화수소 |
암모니아 |
메틸알코올 |
에틸알코올 |
아세톤 |
휘발유 |
3.0~33.5 |
12.8~27 |
15.7~27.4 |
7~37 |
3.5~20 |
2~13 |
1.4~7.6 |
94. 다음 연소의 형태 중 고체의 연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표면연소 ㉡ 분해연소㉢ 확산연소 ㉣ 자기연소
※ 상온에서 고체상태로 존재하는 고체 가연물질의 일반적 연소형태는 표면연소, 증발연소, 분해연소, 자기연소로 나눌 수 있다.
표면연소 : 고체 가연물이 열분해나 증발하지 않고 표면에서 산소와 급격히 산화반응하여 연소하는 현상(목탄, 코크스, 금속 등의 무염연소현상)
분해연소 : 고체 가연물질을 가열하면 열분해를 일으켜 나온 분해가스 등이
연소하는 형태(열분해에 의해 생기는 물질에는 CO, CO2, H2, 메탄[CH4] 등) 분해연소 물질에는 목재, 석탄, 종이, 섬유, 프라스틱, 합성수지, 고무류 등
자기연소 : 가연물이 물질의 분자 내에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 열분해에 의해서 가연성 가스와 산소를 동시에 발생시키므로 공기 중의 산소없이 연소할 수 있는 것 (제5류의 폭발성물질- 니트로셀룰로오스[NC], 트리니트로톨루엔[TNT], 니트로글리세린[NG], 트리니트로페놀[TNP])
증발연소 : 고체 가연물이 열분해를 일으키지 않고 증발하여 증기가 연소되거나 먼저 융해된 액체가 기화하여 증기가 된 다음 연소하는 현상을 말하며 액체 가연물질의 증발연소 형태와 같으며, 황(S), 나프탈렌(C10H8), 파라핀(양초) 등이 있다.
95. '분해연소'를 하는 물질은?
㉠ 가솔린 ㉡ 알콜 ㉢ 종이 ㉣ 도시가스
※ 연소의 기본형태는 고체(분해연소, 표면연소), 액체(증발연소), 기체(확산연소)
※ 분해연소 : 고체 가연물질을 가열하면 열분해를 일으켜 나온 분해가스 등이
연소하는 형태(열분해에 의해 생기는 물질에는 CO, CO2, H2, 메탄[CH4] 등) 분해연소 물질에는 목재, 석탄, 종이, 섬유, 플라스틱, 합성수지, 고무류 등
※ 표면연소 : 숯이 연소할 때 불꽃없이 표면에서 작열되면서 연소하는 현상. 확산, 증발, 분해연소와 같이 최종적으로 기체가 연소하는 것이 아니라 고체가 표면에서 직접 산소와 반응하면서 연소하는 현상
※ 증발연소는 액체 가연물질이 액체 표면에 발생한 가연성 증기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에서 연소가 되는 형태로 액체의 일반적인 연소형태(에테르, 이황화탄소, 아세톤, 석유류)
※ 확산연소는 연소버너 주변에 가연성 가스를 확산시켜 산소와 접촉, 연소범위의 혼합가스를 생성하여 연소하는 현상으로 기체의 일반적 연소형태(LPG-공기, 수소-산소)
96 . 다음 중 분해연소를 하는 인화성물질은?
㉠ 가솔린, 아세톤 ㉡ 석유, 경유 ㉢ 중유, 글리세린 ㉣ 알코올
※ 액체중 분자량이 커 비점과 점도가 높은 물질로부터 가연성증기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증발’이라는 물리적 변화가 아니고 ‘분해’라는 화학적 변화(반응)이다. 에너지를 받은 분자는 ‘열분해’하면서 원래의 분자보다 작은 분자들로 나누어지면서 증기가 된다. 분해연소는 이 증기가 연소하는 흔치 않은 액체의 연소형태로서 글리세린, 중유(bunker oil)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97. 가연물질에 따른 연소의 형태를 연결한 것이다. 맞지 않는 것은?
㉠ 유황 ? 중유 - 증발연소 ㉡ 부탄 ? 프로판 - 확산연소
㉢ 숯 ? 코크스 - 표면연소 ㉣ TNT ? 니트로 글리세린 - 자기연소
※ 유황은 증발연소를 하며, 중유, 글리세린은 액체이지만 분해 연소
98. 연소와 관련된 온도의 대소 관계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1
① 인화점 < 연소점 < 발화점 ② 연소점 < 발화점 < 인화점
③ 발화점 < 연소점 < 인화점 ④ 연소점 < 인화점 < 발화점
※ 연소점이란 한번 발화된 후 연소를 지속시킬 수 있는 충분한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최저온도(인화점 > 연소점 > 발화점)
? 인화점(인화온도) : 연소범위에서 외부의 직접적인 점화원에 의하여 인화될 수 있는 최저온도(디에틸에테르 -45℃, 휘발유 -20~-43℃)
? 연소점 : 연소상태가 계속될 수 있는 온도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인화점보다
5 ~10℃정도 높은 온도로서 연소상태가 5초 이상 유지될 수 있는 온도
? 발화점(착화점, 발화온도) 외부의 직접적인 점화원이 없이 가열된 열의 축적에 의하여 발화가 되고 연소가 되는 최저온도(휘발유 300℃, 이황화탄소 100)
99. 다음 연소의 형태 중 기체의 연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확산연소 ㉡ 예혼합연소㉢ 증발연소 ㉣ 폭발연소
※ 기체의 연소형태는 확산연소, 예혼합연소, 폭발연소
※ 가연성 기체는 공기와 적당한 부피비율로 섞여 연소범위에 들어가면 연소가 일어나는데 기체의 연소가 액체 가연물질 또는 고체 가연물질의 연소에 비해서 가장 큰 특징은 연소시의 이상 현상인 폭굉이나 폭발을 수반한다는 것이다.
① 확산연소 : 연소버너 주변에 가연성 가스를 확산시켜 산소와 접촉, 연소범위의 혼합가스를 생성하여 연소하는 현상으로 기체의 일반적 연소형태 (LPG-공기, 수소-산소)
② 예혼합연소 : 연소시키기 전에 이미 연소 가능한 혼합가스를 만들어 연소시키는 것으로 혼합기로 의 역화를 일으킬 위험성이 크다(가솔린엔진)
③ 폭발연소 : 가연성기체와 공기의 혼합가스기 밀폐용기 안에서 있을 때 점화되면 연소가 폭발적으로 일어난다. 많은 량의 가연성 기체와 산소가 혼합되어 일시에 폭발적인 연소현상을 일으키는 비정상연소이다.
※ 증발연소는 액체가 산소와 반응하여 연소하는 것이 아니라 증발에 의해 발생한 증기가 확산되면서 연소하는데 액체연소의 대표적인 연소방법이다.
100. 다음중 발화점이 가장 낮은 위험물은?
㉠ 황린 ㉡ 휘발유 ㉢ 부탄 ㉣ 이황화탄소
※ 발화점은 황린 34℃, 휘발유 300℃, 부탄 365℃, 이황화탄소 100℃
황린(P4)과 이황화탄소(CS2)는 발화(인화)점이 낮기 때문에 물속에 저장
101. 어떤 인화성액체가 공기 중에서 열을 받아 점화원의 존재 하에 지속적으로 연소를 일으킬 수 있는 온도?
㉠ 인화점 ㉡ 연소점 ㉢ 발화점 ㉣ 산화점
※ 연소점이란 한번 발화된 후 연소를 지속시킬 수 있는 충분한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최저온도(인화점 > 연소점 > 발화점)
? 연소점 : 연소상태가 계속될 수 있는 온도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인화점보다
5 ~ 10℃정도 높은 온도로서 연소상태가 5초 이상 유지될 수 있는 온도
※ 발화점이 낮아지는 이유
① 분자의 구조가 복잡할수록
② 발열량이 높을수록
③ 압력, 화학적 활성도는 클수록
④ 산소와 친화력이 클수록
⑤ 금속의 열전도율과 습도가 낮을수록
102. 다음은 화염의 색과 온도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설명은?
㉠ 휘백색 1,500℃이상 ㉡ 백적색 1,300℃
㉢ 황적색 1,000℃ ㉣ 적색850℃
화염의 색과 온도 | |||||
불완전연소(CO, 그을음) ← → 완전연소(수증기, CO2) | |||||
암적색 |
적색 |
휘적색 |
황적색 |
백적색 |
휘백색 |
700℃ |
850℃ |
950℃ |
1,100℃ |
1,300℃ |
1,500℃이상 |
※ 공기중에 산소의 공급이 부족하면 연소불꽃이 담암적색에 가까운 색상을
나타내며 생성물인 일산화탄소를 많이 발생하여 혈액내 헤모글로빈과 결합 질식사 ※ 암적휘 7895 황백휘 135천
103. 연소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틀리는 것은?
㉠ 일반적으로 고체는 분해연소, 표면연소(무염연소)액체는 증발연소,
기체는 확산연소를 한다.
㉡ 표면연소는 라디칼이 발생하는 연쇄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
㉢ 연소점은 인화점보다 5~10℃정도 낮다.
㉣ 탄화수소(메탄, 프로판, 부탄)는 완전연소를 하면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만
발생한다.
※ 발화점이 연소점보다 높고, 연소점은 인화점보다 5~10℃정도 높다.
불완전연소는 산소공급이 불충분하여 일산화탄소(CO)가 발생하고
탄소덩어리가 유리되어 나오는 현상인 그을음이 발생하기도 한다.
104. 무색, 무미, 무취하며 인체 내에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운반
기능을 약화시키는 연소생성물은?
㉠ 일산화탄소 ㉡ 이산화탄소 ㉢ 암모니아 ㉣ 이산화황
※ 무색, 무미, 무치의 환원성이 강한 가스로서 상온에서 염소와 작용하여 유독성 가스인 포스겐(COCl2)을 생성하기도 하며 인체 내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의 운반기능을 약화시켜 질식케 한다.
105. 일산화탄소(CO)를 2시간 정도 흡입하였을 때 생명에 위험을 주는
최저농도는 약 몇 %정도인가?
㉠ 0.08 ㉡ 0.16 ㉢ 0.32 ㉣ 0.64
공기 중의 농도 |
경과시간(분) |
중 독 증 상 | |
% |
ppm | ||
0.02 |
200 |
120 ~ 180 |
가벼운 두통 증상 |
0.04 |
400 |
60 ~ 120 |
통증, 구토증세가 나타남 |
0.08 |
800 |
40 |
구토, 현기증, 경련이 일어나고 24시간이면 실신 |
0.16 |
1,600 |
20 |
두통, 현기증, 구토 등이 일어나고 2시간이면 사망 |
0.32 |
3,200 |
5~10 |
두통, 현기증이 일어나고 30분이면 사망 |
0.64 |
6,400 |
1~2 |
두통, 현기증이 심하게 일어나고 15~30분이면 사망 |
1.28 |
12,800 |
1~3 |
1~3분내 사망 |
106. 가연물질이 재로 덮힌 숯불 모양으로 불꽃없이 착화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 무염착화 ㉡ 발염착화 ㉢ 진화 ㉣ 맹화
※ 화염이 발생하는 일반적인 연소에서는 연소의 4요소(가연성물질, 점화에너지, 산소, 연쇄반응)가 적용되지만 무염연소(표면연소)는 연쇄반응이 빠진 3요소만이 적용되므로 연쇄반응으로 발생하는 라디칼을 흡착하여 없애는 억제소화는 효과가 없다.
※무염착화(無炎着火) : 불꽃이 없이 착화되는 현상
※발염착화(發炎着火) : 불꽃이 발생되면서 착화하는 현상
107. 화재의 3요소가 아닌 것은?
㉠ 인간의 의도에 반하여 또는 방화에 의하여 발생하여야 한다.
㉡ 사회공익을 해치거나 인명 및 경제적 손실을 수반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화할 필요성이 있는 연소현상
㉢ 소화시설 또는 이와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을 이용할 필요가 있어야 한다.
㉣ 자산가치의 손실이 없거나 소화에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 경우의
불이라도 화재의 영역으로 본다.
※ 자산가치의 손실이 없거나, 자연히 소화될 것이 분면하여 소화의 필요성이 있다고 하여도 소화시설이나 소화장비 또는 간이소화용구 등을 활용하여 진화할 필요가 없는 것은 화재로 볼 수 없다.
108. 다음 중 화재의 분류로 틀린 것은?
㉠ 일반화재 - A급화재 ㉡ 유류화재 - B급화재
㉢ 가스화재 - C급화재 ㉣ 금속화재 - D급화재
※ 전기화재 - C급화재(A-B-C-D : 일반-유류-전기-금속)
※ 화재의 분류
급 수 |
종 류 |
색 상 |
주소화 |
내 용 |
A급 |
일반화재 |
백 색 |
냉각 |
목재, 섬유, 고무류, 합성수지 등 |
B급 |
유류화재 |
황 색 |
질식 |
인화성액체 등 기름성분인 것 |
C급 |
전기화재 |
청 색 |
질식 |
통전중인 전기 설비 및 기기의 화재 |
D급 |
금속화재 |
무 색 |
질식 |
마그네슘, 칼슘, 금속분, 박 등의 금속화재 |
E급 |
가스화재 |
황 색 |
제거 |
LPG, LNG, 도시가스 등의 화재 |
※ A급화재는 백색원형에 흑색“보통화재용”, B급화재는 황색원형에 흑색“기름화재용” C급화재는 청색원형에 백색“전기화재용”으로 표기
109. D급 화재란 다음 중 어느 것을 의미하는가?
㉠ A,B급 화재 또는 A,C급 화재 등의 복합 화재
㉡ 모든 화재 중 인명손실이 있는 화재
㉢ 선박회사 또는 임야화재 등의 특수화재
㉣ 금속화재
※ A 일반화재, B 유류화재, C 전기화재, D 금속화재
①일반화재(A급화재) 생활주변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물질이 가연물이 되는 화재 보통화재, 연소 후 재를 남기며 화재소화 시 냉각효과가 가장 효율적이므로 물, 수용액으로 소화
②유류화재(B급화재) 상온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유류(油類)가 가연물이 되는 화재 연소 후 재를 남기지 않으며 연소열이 크고 연소성이 좋아 위험, 질식소화. 알코올등 수용성액체는 일반 포는 적응성이 없으므로 내알코올형 포를 사용
③전기화재(C급화재) 전기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의 화재(전기발화화재 X)
포, 강화액, 물 등의 전기전도성을 가진 약제로 소화시 감전의 위험
④금속화재(D급화재) 가연성 금속류가 가연물이 되는 화재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등이 있으며 괴상보다 분말상이 더 위험
물과 반응하며 폭발성이 강한 수소를 발생시키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화재시 수계(水系) 소화약제를 사용할 수 없다.(물, 포, 강화액 등)
※ 각종 소화약제의 특성 비교
종류 특성 |
수계(水系) 소화약제 |
가스계 소화약제 | |||
물 |
포 |
이산화탄소 |
할로겐화합물 |
분말 | |
주된소화효과 |
냉각 |
질식, 냉각 |
질식 |
부촉매 |
부촉매, 질식 |
소화속도 |
느리다 |
느리다 |
빠르다 |
빠르다 |
빠르다 |
냉각효과 |
크다 |
크다 |
작다 |
작다 |
극히 작다 |
재발화위험성 |
적다 |
적다 |
있다 |
있다 |
있다 |
대응하는 화재규모 |
중형-대형 |
중형-대형 |
소형-중형 |
소형-중형 |
소형-중형 |
사용후의오염 |
크다 |
매우 크다 |
전혀 없다 |
극히 적다 |
적다 |
적응화재 |
A 급 |
A, B 급 |
B, C 급 |
B, C 급 |
(A), B, C 급 |
110. 건축물 화재의 진행과정을 나열한 것 중 바른 것은?
㉠ 초기(출화) > 최성기 > 플래쉬오버 > 감쇠기 > 성장기
㉡ 초기(출화) >성장기 > 플래쉬오버 > 최성기 > 감쇠기
㉢ 성장기 >초기(출화) > 플래쉬오버 >최성기 > 감쇠기
㉣ 초기(출화) > 성장기 > 감쇠기 > 플래쉬오버 > 최성기
※ 화재 성상의 단계
① 출화기 : 실내의 온도가 아직 크게 상승하지 않으며 해당 시간은 화원, 착화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발화부위는 훈소현상으로 부터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② 성장기 : 내장재 등에 착화된 시점으로, 그 후 실내온도는 급격히 상승하며 이후 천장 부근에 축적된 가연성가스가 착화되면 실내천체가 화염에 휩싸이는 플래쉬오버(Flash over) 상태로 된다.
③ 최성기 : 실내는 불길에 휩싸여 모든 가연물이 계속 연소하게 되며 최고의 온도와 지속시간을 유지한다.
- 내화구조는 20~30분이 되면 최성기에 이르며 실내온도는 800-1,000℃
- 목조건물은 최성기까지 약 10분이 소요되며 이때 실내온도는 1,100~1,200℃
④ 감쇠기 : 최성기 이후 가연물은 대부분 타버리고 화세가 감쇠하면서 온도는 점차 내려가기 시작한다.
111. 다음중 플래쉬오버(flash over;전실연소, 순발연소)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
㉠ 폭굉현상 ㉡ 가연성가스의 폭발적 방출현상
㉢ 폭발적인 화재 확대 현상 ㉣ 폭발 및 건물의 붕괴현상
※ 플래쉬 오버 : 밀폐된 실내에 축적되었던 가연성 가스가 일순간에 폭발적으로 화염에 휩싸임
※ 백 드래프트 : 개방으로 신선한공기가 실내에 유입되어 축적되었던 가연성 가스가 폭발
※롤 오버 : 화염이 연소되지 않은 가연성 가스를 따라 전파
※폭굉현상(데토네이션) : 기체연소에서 일어나는 이상현상인 폭굉이나 폭발을 수반하는 연소
※ 플래시오버(flash over)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발화로부터 출화를 거쳐 화염이 천장 전면으로 확산되면 화염에서 발생한 복사열에 의해 내장재나 가구 등이 일시에 인화점에 이르러 가연성 가스가 축적되면서 일순간에 폭발적으로 전체가 화염에 휩싸이는 현상을 말하며 전실화재, 순발연소라고도 한다.
플래시 오버의 징후는 일정 공간 내에서 전면적인 자유연소와 계속적인 열 집적과 두텁고, 뜨겁고, 진한 연기가 아래로 싸이는 것이며, 실내 모든 가연물이 동시에 발화하는 현상이므로 바닥에서 천장까지 고온상태인 것이 특징이다.
화재실험에서 플래시오버는 통상 내화건축물인 경우 출화 후 5~10분 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플래시오버(flash over)는 일반적으로 가연재료, 난연재료, 준불연재료, 불연재료의 순으로 완만하게 발생된다. 또는 불연재료로 내장이 되고 가연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플래시오버(Flash over)에 이르지 않고 소화되는 경우도 있다.
백 드래프트(Back draft) 소화활동이나 피난을 하기 위하여 화재실의 문을 개방할 때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어 실내에 축적되었던 가연성 가스가 단시간에 폭발적으로 연소함으로서 화염이 폭풍을 동반하여 실외로 분출되는 현상을 말하며, 연기폭발(Smoke explosion)이라고도 한다.
주로 백 드래프트(Back draft) 현상은 폐쇄된 공간 내에서 화재가 진행될 때, 연소과정에 필요한 산소가 부족한 상태일 때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최성기 이후에 발생)
플래시오버(Flash over)와 백 드래프트(Back draft) 현상의 차이점은 현존하는 산소의 양이다. 플래시오버(Flash over)가 발생하기 전의 화재는 자유연소 형태이고. 반면에 백 드래프트(Back draft) 현상에 있어서는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부족하며, 화재는 훈소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즉 산소가 부족한 상태를 말합니다.
백드래프트는 농연의 분출, 파이어볼(fire ball)의 형성, 건물 벽체의 도괴 등의 현상을 수반한다. 화재실의 출입문을 개방하기 전에 천장 부분을 개방하여 고온의 가스를 건물 외부로 방출하는 환기를 시킴으로서 백 드래프트의 폭발력을 억제할 수 있다.
룰 오버(Roll over) 화염이 연소되지 않은 가연성가스를 통해 전파되는 현상으로 풀레임 오버(Flame over)라고도 한다. 미연소가스를 통해서 일어난다는 점에서 가연물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플래시 오버와는 구별된다.
룰오버는 화재가 완전히 성장하지 않은 단계에서 발생한 가연성 증기가 화재구획에서 빠져나갈 때 발생한다. 화재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한 구획의 천장에 실내 가연물의 열분해 등에 의한 가연성 증기층이 형성되면 천장면을 따라 마치 파도같이 빠른 속도로 화염의 확산이 이루어지는 현상이 룰 오버이다.
훈소는 작은 구멍이 많은(다공성) 가연성 물질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불꽃이 없이 타는 연소이다. 훈소를 일으키는 물질로 일반적인 예는 불꽃없이 타는 깜부기불이나 목탄숯 그리고 담배이다.
112. 내화구조 건축물의 화재특징은?
㉠ 저온 장시간형 ㉡ 고온 단시간형
㉢ 고온 장시간형 ㉣ 저온 단시간형
※ 목조구조는 고온(1,100℃) 단시간(최성기10분, 최성기후 감쇠기 20분)형
내화구조는 저온(800~900℃) 장시간(20~30분, 때에 따라 수 시간이상 지속)형
※ 목조건물 화재와 비교시 저온장시간형이지만 일반적으로는 고온장시간형
113. 다음 그림에서 내화건축물의 화재온도 표준곡선은 어느 것인가?
114. 일반 목조건물에서 화재의 최성기까지의 소요시간은?
㉠ 5분 ~ 7분 ㉡ 5분 ~ 15분
㉢ 18분~ 25분 ㉣ 50분 ~ 60분
※ 최성기 10분 → 최성기부터 감쇠기 20분 소요
115. 다음 중 열의 전달이나 화염의 확산 방식이 아닌 것은?
㉠ 전도 ㉡ 비화 ㉢ 복사 ㉣ 단열압축
※ 에너지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전달되는데 이러한 열이 흐르는 과정을
열전달이라고 한다. 열전달에는 전도, 대류, 복사로 이루어지고 화염의 확산은 열전달 방식(전도, 대류, 복사)외에도 접염과 비화가 포함된다.
※ 단열압축은 점화원(점화에너지)으로 단열된 상태에서 기체를 압축하면 열이 발생?축적되는데 이 열이 발화의 에너지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접염연소는 화염이 물체에 접촉하여 연소가 확산되는 현상으로 화염의 온도가 높을수록 잘 이루어진다.
※ 비화는 불티가 바람에 날리거나 튀어서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가연물에 착화되는 현상이 비화에 의한 연소의 확대이다.
116. 다음 중 열 전도도가 가장 높은 것은?
㉠ 나트륨 ㉡ 물 ㉢ 공기 ㉣ 콘크리트
물 질 |
구리 |
선철 |
나트륨 |
콘크리트 |
물 |
공기 |
열전도도 |
0.92 |
0.15 |
0.03 |
0.002 |
0.0014 |
0.00006 |
※ 열전도율은 물질에 따라 차이가 나는데 기체< 액체 < 고체 순으로 높다.
※ 전도란 물질의 이동없이 열이 물질의 고온부에서 저온부로 이동하는 현상
(가늘고 긴 금속막대의 한끝을 불꽃으로 가열하면 불꽃이 닿지 않은 다른
부분에도 열이 전달되어 점점 뜨거워진다. 이와 같은 열의 이동을 전도라 한다)
전도에 의해 전달되는 열의 양은 열전도도, 열전달면적, 고온부와 저온부의 온도 차이에 비례하고 열이 전달되는 거리에는 반비례 한다.
※ 온돌 과열에 의한 주택화재는 전도에 의한 화재
※ 전도라는 열전달방식에 의해 화염이 확산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117. 다음은 대류에 대한 설명이다. 틀리는 것은?
㉠ 화염의 확산요인으로서 대류에 의한 열이동이 차지하는 비중은 그다지
높지 않다.
㉡ 난로에 의하여 방안의 공기가 더워지는 현상은 자연대류의 예이다.
㉢ 송풍기나 펌프를 사용하여 고온의 물질을 강제로 이동시켜 대류가
일어나게 하는데 이를 강제대류라 한다.
㉣ 실내화재에서 아래 부분의 가연물이 착화하여 화염이 발행하고 그 화염
에서 발생한 열기류가 천장부위의 가연물을 가열함으로써 착화에 이르게
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대류연소라 한다.
※ 실제로 화재에서 대류연소에 의해서 화재구획의 천장부위로 화염이 확산됨으로써 화재의 최성기인 플래시오버에 이르게 되고 대류연소에 의한 화재의 확산경로는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
※ 화염의 확산요인으로서 대류에 의한 열이동 비중이 대단히 크다. 특히 구조물 내의 한정된 공간에서 화재의 전파는 열의 대류전달에 크게 기인한다.
118. 화재시 열의 이동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 열(화염)의 이동방식은?
㉠ 전도 ㉡ 대류㉢ 복사㉣ 열관류
※ 화재시 열의 이동방식에는 전도, 대류, 복사가 있으며, 화염의 전파는 복사열에 의해서 가장 많이 전달된다.
※ 절대진공을 통하여 전도와 대류는 열전달을 할 수 없지만 열에너지는 절대
진공상태의 공간을 가로질러 이동할 수가 있는데 이는 열에너지가 전자파의 형태로 이동되는 에너지 전달의 한 유형으로서 복사라고 한다.
119. 화재 시 화원과 격리된 인접 가연물에 불이 옮겨 붙은 것은 무엇인가?
㉠ 전도 ㉡ 대류㉢ 복사㉣ 적외선열
※ 스테핀-볼츠만의 법칙 : 복사체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열은 복사체의 단위 표면적당 방사열로 정의하여 정량적으로 파악하게 되는데 그 양은 복사표면의 절대온도의 4승에 비례한다.(q = εσT4)
120. 다음 중 연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 연기는 광선을 흡수한다.
㉡ 연기에는 인체에 해로운 성분이 없다.
㉢ 연기는 상층에서 하층으로 축적된다.
㉣ 연기는 고열이며, 유동, 확산이 빠르다.
※ 연기란 공기중에 부유하고 있는 고체 또는 액체의 미립자를 가리키며,
그 크기는 0.01~10㎛로 안개입자(10~50㎛)보다 작다.
※ 화재시의 연기는 연소의 결과로 발생하는 가스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가연물의 열분해로 방출되는 증기, 탄소입자, 그을음(매연), 미연소증기가 응축된 액적 등이 화재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대기 중에 확산?부유하고 있는 상태
121. 건물 내에서 '연기의 수평방향 이동속도'는 몇 m/s인가?
㉠ 0.5 ~ 1.0 ㉡ 1.0 ~ 1.2 ㉢ 2.0 ~ 3.0 ㉣ 3.0 ~ 5.0
※ 연기의 이동속도
① 수평방향 : 0.5 ~ 1.0m/sec
② 수직방향 : 2 ~ 3m/sec
③ 보행속도 : 1.0 ~ 1.2m/sec
④ 농연(계단실 내 수직방향) : 3 ~ 5m/sec
※ 복도에서의 연기유동은 플래시오버 이전 0.5m/sec,
플래시오버 이후 0.75m/sec
※ 지하가 등에서 연기의 이동속도 약 1.0m/sec,
제트팬이 설치된 터널 3 ~ 5m/sec
122. 화재시 연기에 의한 장애로써 적합하지 않은 것은?
㉠ 물리적 장애 ㉡ 생리적 장애
㉢ 심리적 장애 ㉣ 시각적 장애
123. 화재시 위험성이 가장 적은 부분은?
㉠ 바닥 ㉡ 벽
㉢ 천정 ㉣ 지붕
124. 화재 시 패닉(panic)의 원인과 직접적인 관계가 적은 것은?
㉠ 연기에 의한 시계범위 제한
㉡ 유독가스의 발생으로 호흡장애
㉢ 건축물의 가연성 내장재
㉣ 외부와의 고립 단절
※ 연기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① 시야를 감퇴하며 피난행동 및 소화활동을 저해
② 연기성분 중에 유독물(일산화탄소, 포스겐 등)의 발생으로 생명이 위험
③ 정신적으로 긴장 또는 패닉현상에 빠지게 되는 2차적 재해의 우려
④ 건물화재의 특징은 난연처리(방염처리)된 물질을 사용하여 연소 그 자체는 억제되고 있지만 다량의 연기입자 및 유독가스를 발생하는 특징
125. 문틈으로 연기가 새어 들어오는 화재를 발견할 때 안전대책으로 잘못된 것은?
㉠ 빨리 문을 열고 복도로 대피한다.
㉡ 바닥에 엎드려 숨을 짧게 쉬면서 대피대책을 세운다.
㉢ 문을 열지 않고 수건이나 시트로 문틈을 완전히 밀폐한다.
㉣ 창문으로 가서 외부에 자신의 구원을 요청한다.
※ 개구부 개방 시 백 드래프트가 발생하거나, 질식할 우려가 있다
126. 불연성기체, 고체 등으로 연소물을 감싸 산소공급을 차단하는
소화방법은?
㉠ 제거 소화 ㉡ 질식 소화 ㉢ 냉각 소화 ㉣ 억제 소화
제거요소 |
가연물 |
산 소 |
에 너 지 |
연쇄반응 |
소 화 법 |
제거소화 |
질식소화 |
냉각소화 |
억제소화 |
? 제거소화 : 가연물을 제거하여 연소현상을 제어하는 소화법(가연물과 화원을 격리)
? 질식소화 : 연소 물질조건중 하나인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여 소화의 목적을 달성
? 냉각소화 : 연소가 진행되고 있는 계의 열을 빼앗아 온도를 떨어트림으로서 소화
? 억제소화 : 화염이 발생하는 연소반응을 주도하는 라디칼을 제거하여
연소반응을 중단
127. 다음 중 화학적 작용에 의한 소화법은?
㉠ 제거소화 ㉡ 질식소화 ㉢ 냉각소화 ㉣ 억제소화
? 제거소화, 질식소화, 냉각소화는 모두 물리적 작용에 의한 소화법이다.
? 화학적 작용에 의한 소화는 연소반응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활성화
라디칼(radical)의 생성을 억제하는 연쇄반응의 중단에 의한 소화법
(분말소화약제, 하론류에 의한 소화)
128. 목재소화 시 다량의 물을 뿌려 소화하고자 한다. 이 때 가장 기대되는
소화효과는?
㉠ 제거소화 ㉡ 질식소화 ㉢ 냉각소화 ㉣ 억제소화
129. 물을 이용한 소화방법이 가장 적절한 화재는?
㉠ 일반화재 ㉡ 유류화재 ㉢ 금속화재 ㉣ 전기화재
※ 일반화재(A급화재) 생활주변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물질이 가연물이 되는 화재. 보통화재, 연소 후 재를 남기며 화재소화 시 냉각효과 (물, 수용액)
130.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소화효과와 관계없는 것은?
㉠ 제거소화 ㉡ 냉각소화 ㉢ 질식소화 ㉣ 피복소화
※ 소화방법
① 제거소화 : 연소반응에 관계된 가연물이나 주위의 가연물을 제거함으로써
연소반응을 중지시켜 소화하는 방법
- 가스밸브의 폐쇄
- 가연물 직접제거 및 파괴
- 촛불을 입으로 불어 가연성 증기를 순간적으로 날려 보내는 방법
- 산불화재 시 진행방향의 나무 제거
② 질식소화 : 산소공급원을 차단하여 소화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인 화재에서 산소공급원은 산소를 21% 함유하고 있는데 공기 중의 산소농도를
15%이하로 억제함으로서 화재를 소화하는 방법
- 불연성 기체로 연소물을 덮는 방법
- 불연성 포로 연소물을 덮는 방법
- 불연성 고체로 연소물을 덮는 방법
③ 냉각소화 : 연소하고 있는 가연물로부터 열을 뺏어 연소물의 착화온도 이하로 내리는 것. 즉 냉각함으로써 소화하는 방법으로 가장 일반적인 소화방법
- 기체연소시 고체에 의한 냉각작용
- 주수에 의한 냉각작용
-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에 의한 냉각작용
④ 억제소화 : 연소의 4요소 중 연속적인 산화반응, 즉 연쇄반응을 약화시켜 연소가 계속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여 소화하는 것으로 화학적 작용에 의한 소화방법이다.
131.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의 소화원리가 아닌 것은?
㉠ 냉각효과 ㉡ 억제효과(차단효과) ㉢ 질식효과 ㉣ 제거효과
※ 소화약제 종류별 효과
물소화약제 |
포말소화약제 |
분말소화약제 |
이산화탄소 |
할로겐화합물 |
냉각, 질식 |
질식, 냉각 |
질식, 냉각 |
질식, 냉각 |
질식,부촉매, 냉각 |
? 부촉매란 활성화 에너지를 높여주어서 반응속도를 느리게 하는 것.
132. 제4류 위험물에 적응하는 소화는 어느 것인가?
㉠ 냉각소화 ㉡ 공기차단(질식소화) ㉢ 부촉매 소화 ㉣ 억제소화
제1류 위험물 |
제2류 위험물 |
제3류 위험물 |
제4류 위험물 |
제5류 위험물 |
제6류 위험물 |
산화성 고체 |
가연성 고체 |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 |
인화성 액체 |
자기반응성 물질 |
산화성 액체 |
냉각소화 |
질식소화 |
질식소화 |
질식소화 |
냉각소화 |
질식소화 |
제1류 위험물 산화성고체 : 냉각소화, 무기과산화물은 질식소화
제2류 위험물 가연성고체
? 금속분, 철분, 마그네슘, 황화린은 마른모래, 건조분말에 의한 질식소화,
? 적린과 유황은 물에 의한 냉각소화
제3류 위험물 자연발화성 물질, 금수성물질
? 금수성이기 때문에 냉각소화는 불가능
? 건조분말, 마른모래, 팽창질석, 건조석회를 이용한 질식소화
제4류 위험물 가연성 액체류 : 질식소화
제5류 위험물 유기질소화합물로 자기반응성물질 : 냉각소화(질식소화 ×)
제6류 위험물 산화성액체 : 질식소화(냉각소화는 적당치 않음)
133. 방염의 주요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시설의 파손을 막는데 있다.
㉡ 연소확대의 방지 및 지연을 통해 피난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는데 있다.
㉢ 시설의 내구성을 높이는데 있다.
㉣ 어떠한 상황에서도 화재가 발생할수 없는 환경을 제공한다.
134. 방염물품을 사용하여야 할 특수 장소에 해당하지 않는 장소는?
㉠ 영화관 ㉡ 텔레비젼 촬영소 ㉢ 아파트 ㉣ 종합병원, 정신보건시설
※ ⑩ 아파트를 제외한 11층 이상 의 건축물
① 근린생활시설 중 안마시술소 및 헬스클럽
② 실내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수영장제외)
③ 숙박시설 ④ 종합병원,
⑤ 통신촬영시설 중 방송국 및 촬영소 ⑥ 노유자 시설
⑦ 의료시설 중 정신보건시설 ⑧ 숙박시설이 있는 청소년시설
⑨ 다중이용업의 영업장
135. 다음 중 방염대상 물품이 아닌 것은?
① 창문에 설치하는 커텐류② 카페트
③ 암막, 무대막④ 두께가 2mm 미만인 종이벽지
※ 두께가 2mm 미만인 종이벽지는 방염대상물품에서 제외한다.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0조)
136. 방염성능이 있어야 할 물품이 아닌 것은?
㉠ 전시용합판, 무대용 섬유판㉡ 침구용 시트
㉢ 커텐류, 카페트㉣ 암막, 무대막
※ 방염대상물품의 종류
? 창문에 설치하는 커텐류(브라인드 포함)
? 카페트
? 두께가 2mm 미만인 벽지류로서 종이벽지를 제외한 것
? 전시용 합판 또는 섬유판, 무대용 합판 또는 섬유판
? 암막?무대막(영화상영관에 설치하는 스크린 포함)
? 방염처리된 제품의 사용을 권장할 수 있는 경우는 다중이용업소, 숙박시설,
의료시설 또는 노유자 시설에서 사용하는 침구류, 소파 및 의자에 대하여
방염처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이다.
137. 방염성능의 기준 중 탄화한 면적은 몇 ㎠이내로 정하여야 하는가?
㉠ 30㎠ 이내 ㉡ 50㎠이내 ㉢ 100㎠이내 ㉣ 200㎠이내
※? 잔염시간(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며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의 시간) 20초 이내
? 잔신시간(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지 아니하고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의 시간) 30초 이내
? 탄화면적(불꽃에 의하여 탄화된 면적) 50㎠이내(측정기계 “프라니메타”)
탄화길이(불꽃에 의하여 탄화된 길이) 20cm이내
? 불꽃에 의하여 완전히 녹을 때까지 불꽃의 접촉횟수(접염회수) 3회 이상
? 발연량(시료를 태울 때 발생하는 연기의 양)을 측정하는 경우 최대연기밀도 400 이하
138. 방염성능 기준 중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며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의 시간(잔염시간)은 몇 초 이내인가?
① 20초② 30초③ 40초④ 50초
※ 잔염시간 즉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며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 시간은 20초 이내이어야 한다.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0조)
139. 다음 중 방염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섬유류 방염업② 합성수지류 방염업
③ 합판, 목재류 방염업④ 벽지류 방염업
※ 방염업에는 섬유류방염업, 합성수지류방염업, 합판목재류방염업 등이 있다.(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1조)
140. 방염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 섬유류방염업 ㉡ 합성수지류방염업
㉢ 합판,목재류방염업㉣ 플라스틱/금속류방염업
141. 방염성능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잔염시간 : 20초 이내 ② 잔신시간 : 30초 이내
③ 최대연기밀도 : 400 이상 ④ 탄화길이 : 20cm 이내
※① 최대연기 밀도가 400이하 ② 탄화면적 50㎠이내(프라니메타로 측정)
142. 방염대상물품의 종류로 틀린 것은?
① 카페트 ② 영화상영관에 설치하는 스크린
③ 침구류 ④ 무대용 합판 또는 섬유판
143. 제조공정 방염처리물품의 방염성능검사 신청기관은?
㉠ 시, 도지사(소방서장) ㉡ 경찰서장
㉢ 한국소방산업기술원 ㉣ 소방방재청장
※ 방염성능검사 신청기관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144. 현장 방염처리물품의 방염성능검사 신청기관은?
㉠ 시, 도지사(소방서장) ㉡ 경찰서장
㉢ 한국소방산업기술원장 ㉣ 소방방재청장
※ 현장방염처리물품의 방영성능검사 신청기관은 시?도지사(소방서장)
※ 방염대상물품에 대하여 방염처리를 하고자 하는 자는 시?도지사에게 방염처리업(방염업)의 등록
(미등록 영업자에 대한 벌칙 : 3년 이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 벌금)
145. 방염물품에 부착되는 합격표시 및 방염표지 모양설명이 틀린 것은?
㉠ 합판, 섬유판등 바로 붙일 수 있는 곳엔 지름 5mm 크기의 검자를 부착한다.
㉡ 카페트의 방염표지는 군청색이지만 방염글자는 적색이다.
㉢ 벽지류, 합판, 목재, 섬유판, 합성수지판, 합성수지시트의 방염표지는 녹색이다.
㉣ 커텐, 암막의 방염표지는 주황색이며 45mm X 12mm 의 규격이다
※ 합판, 섬유판 등 합격표시를 바로 붙일 수 있는 것은 10mm크기의 검자를 부착. 커텐 등 합격표시를 가열하여 붙일 수 있는 것은 5mm크기의 검자를 부착
※ 포장단위가 두루마리인 방염물품은 3±0.3m 단위, 다만, 합성수지벽지류 등 최종생산 공정이 고속이고 자동으로 포장이 완료되는 제품은 15±1m 이하의 단위로 할 수 있다.
146. 방염업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영업행위를 한 자의 경우 벌칙은?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 의 벌금
㉣ 5년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 방염대상물이 방염성능기준에 미치지 못하거나 방염성능검사를 받지 아니한 경우 관계인에게 방염대상물을 제거하도록 하거나 방염성능검사를 받도록 하는 등 필요한 조치명령을 정당한 사유없이 위반한 자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 의 벌금
※ 방염대상물품을 방염성능기준이상으로 설치의 규정을 위반한 자 :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147. 거주, 집무, 작업, 집회, 오락등의 목적으로 장시간 지속적으로 머무르는 곳은?
㉠ 거실 ㉡ 내실 ㉢ 응접실 ㉣ 집무실
※ 거실이라 하면 일반적으로 주택의 거실(Living room)로 알고 있으나 건축법상 거실은 거주, 집무, 작업, 집회, 오락 등의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는 방을 말한다.
148. 벽, 기둥, 바닥, 보, 지붕 및 주계단에 대한 용어의 정의는?
㉠ 건축설비 ㉡ 주요구조부 ㉢ 내화구조 ㉣ 방화구조
※주요구조부는 건축물의 구조상 주요 골격부분인 내력벽, 기둥, 바닥, 보, 지붕틀 및 주계단을 말하며 건축물의 안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
※ 구조내력 등 : 건축물은 고정하중, 적재하중, 적설하중, 풍압, 지진 기타의 진동 및 충격 등에 대하여 안전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149. 지하층에 대한 가장 적절한 설명은 무엇 인가?
㉠ 1층 밑에 있는 층
㉡ 24시간 중 햇빛이 12시간 이상 들지 않는 층
㉢ 바닥에서 지표면까지 평균높이가 해당층 높이의 1/2이상인 층
㉣ 지상으로 나가는 개구부가 별로도 존재하지 않는 층
※ 건축물에 바닥이 지표면(G.L) 아래에 있는 층으로서 그 바닥으로부터
지표면까지의 평균높이가 당해 층 높이의 1/2이상인 것을 말한다.
※ 건축물의 높이 산정에서 제외되는 부분 : 옥상부분(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승강기탑, 계단탑, 망루, 장식탑, 옥탑 등)으로서 그 수평투영면적의 합계가 당해 건축물의 건축면적의 1/8이하인 경우로서 그 부분의 높이가 12m를 넘는 부분만 높이에 산입하고 옥상부분 면적이 1/8을 넘으면 그 높이의 전부를 건축물의 높이에 산입한다.
150. 재료의 구분으로 합당하지 않는 것은?
㉠ 불연재료 - 난연 1등급 - 발연계수 30
㉡ 준불연재료 - 난연 2등급 - 발연계수 60
㉢ 난연재료 - 난연 3등급 - 발연계수 120
㉣ 일반재료 - 난연 4등급 - 발연계수 150
※ 일반재료는 별도 구분 없음
151. 다음중 내화구조가 아닌것은?
㉠ 철근.철골철근콘크리트 10cm이상의 벽
㉡ 19cm이상의 벽돌조 내력벽
㉢ 작은 쪽 지름이 25cm이상의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
㉣ 두께 40cm 이상의 목조 벽
?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0cm 이상인 벽
? 골격구조는 철골조로 하고 그 양면을 두께 4cm 이상의 철망모르타르
(그 바름 바탕을 불연 재료로 한 것) 또는 두께 5cm 이상의 콘크리트블록, 벽돌 또는 석재로 덮은 벽
? 벽돌조로서 두께가 19cm 이상인 벽
?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조로서 두께가 10cm 이상인 벽
? 작은 지름이 25cm 이상인 철근콘크리트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
? 철골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0cm 이상인 바닥
?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 벽돌조 또는 석조로서 철재에 덮은 콘크리트불록 등의 두께가 5cm 이상인 것
152. 방화구획 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10층 이하 건축물로써 바닥면적 1,000㎡넘는 것
㉡ 스프링클러 설치 시 5배
㉢ 11층 이상은 층내 바닥면적 200㎡, 불연재인 경우 500㎡이내 마다 구획
㉣ 3층 이상의 모든 층은 층마다, 지하층은 층마다 구획
※ 스프링클러등 자동식소화기 설치는 상기 지정면적의 3배 이내마다 구획
153. 방화문과 방화셔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비차열시간-갑종 방화문 : 1시간이상, 을종 방화문 : 30분이상의 성능이 확보
㉡ 방화셔터는 3m이내에 갑종 방화문이 있어야함
㉢ 일체형셔터 출입구 기준은 유효너비 0.9m이상 유효높이 2m이상
㉣ 방화문은 스프링클러설비 설치를 안 해도 된다.
154. 다음 중 안전구획의 설정으로 틀린 것은?
㉠ 1차 안전구획 : 복도㉡ 2차 안전구획 : 계단부속실
㉢ 3차 안전구획 : 계단㉣ 3차 안전구획 : 계단부속실
※ 연기에 관계된 안전구획 개념
① 복도: 1차 안전구획
② 계단전실(계단 부속실) : 2차 안전구획
③ 계단: 3차 안전구획
④ 안전구획 사이의 벽은 기밀성이 높은 벽으로 하고 출입문은 방화문
155. '전기설비의 구성과 관계법'에 의한 전압 및 전기설비의 구분 중 틀린 것은?
㉠ 저압 : 직류 750V, 교류 600V 이하
㉡ 고압 : 직류 750V, 교류 600V를 넘고, 7,000V이상
㉢ 특별고압 : 7,000V를 넘는 것
㉣ 일반용 전기설비 : 600V이하로 75kw이상의 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전기 설비
※ 일반용 전기설비의 범위
? 600V이하로 75kw이하(제조업, 심야전기 100kw)의 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전기설비
? 600V이하로 10kw 미만인 비상용 예비발전기
※ 일반용 전기설비로 보지 않는 경우
? 자가용 전기설비를 설치하여 동일한 수전장소에 설치하는 전기설비
? 위험시설에 설치하는 용량 20kw 이상의 전기설비
(화약류, 갑종탄광, 위험물제조?저장소)
?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에 설치하는 20kw 이상의 전기설비(공연장, 영화관, 주점)
※ 전기안전 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는 전기 설비
(다음 각호에 해당하는 전기수용설비를 제외한 전기설비로 한다.)
? 전압이 600V 이하이고 용량이 200kw 미만인 전기수용설비(제조, 서비스업에 설치)
? 심야전력을 이용하는 전기설비로 전압 600V 이하이고 용량이 200kw 미만이
전기수용설비
? 휴지 중인 다음 각목의 전기설비
- 수용자가 전기 사업자에게 전기설비의 휴지를 통보한 전기설비
- 심야전력 전기설비
- 농사용 전기설비
156. 전기화재의 주요 원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 과부하에 의한 발화㉡ 폭발에 의한 발화
㉢ 누전에 의한 발화㉣ 전선합선(단락)에 의한 발화
※ 전기화재의 종류 : 단락(합선), 과부화, 반단선, 트래킹 및 흑연화, 누전,
접촉불량(아산화동증식 발열현상), 방전, 정전기,
은이동(silver migration), 낙뢰
157. 전선의 절연피복이 손상되어 동선 상호가 직접 접촉한 경우를
설명하는 용어로 적합한 것은?
① 단락 ② 과부화 ③ 트래킹 ④ 누전
※ 단락(합선) : 전선의 절연피복이 손상되어 동선 상호가 직접 접촉한 경우,
못 등의 금속을 매개로 동선상호가 이어진 경우
158. 다음 전기화재 양상 중 설명이 틀린 것은?
㉠ 반단선 : 전선의 반복적인 구부림에 의해 심선이 끊어져 발생
㉡ 트래킹 & 흑연화 현상 : 절연물 표면에 도전성 통로가 형성되어 발생
㉢ 누전 : 전선에 인가된 최대전류보다 큰 전류가 흘러 발생
㉣ 접촉불량 & 아산화동증식 발열 현상(접속부의 과열에 의한 화재) : 도체의
접촉불량으로 인한 접촉저항의 증가에 따라 주울열 증가 또는
특수산화물 생성에 의한 발열(아산화동증식 발열 현상)
※ 과부하 : 전선에 인가된 최대전류보다 큰 전류가 흘러 발생
※ 누 전 : 전류의 통로로 설계된 이외의 곳으로 전류가 흐르는 현상
※ 단락(합선) : 전선의 절연피복이 손상되어 동선 상호가 직접 접촉한 경우,
못 등의 금속을 매개로 동선상호가 이어진 경우
※접촉불량 및 아산화동증식 발열현상(접속부의 과열에 의한 화재) :
도체의 접속부의 접촉상태가 불량이 되면 전류가 흐를 때 발열하여 접촉부 근처 전선의 절연피복이 발화하는 것이 있다. 이 발열요인으로서는 접촉저항의 증가에 따라 주울열에 의한 것과 특수산화물의 생성에 의한 발열(아산화동증식 발열현상)이 있다.
※트레킹(미소물질에 의한 도전성 통로 형성) 전압이 인가된 이극(서로 다른)
도체간의 고체절연물 표면에 수분을 많이 함유한 먼지 등 전해질의 미소물질, 전해질을 함유하는 액체의 증가 또는 금속가루 등의 도체가 부착하면 그 절연물 표면에 점차로 도전성의 통로(track)가 형성되는데 이 현상을 트래킹이라고 한다.
무기절연물(돌 등)은 이 경우에 도전성물질 생성이 적기 때문에 트래킹에 대해서는 문제가 적지만, 유기절연물은 탄화하여 도전성물질(흑연)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흑연화 현상 : 목재가 보통 화염을 받아 탄화된 경우는 무정형 탄소로 되어 전기를 통과시키지 않지만 스파크 등에 의해 고열을 받은 경우 또는 화염만으로 산소결핍을 받은 경우에 무정형 탄소는 점차로 흑연화되어 도전성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이 목재이외의 고무 등의 유기절연물에도 생긴다. 이와 같이 흑연화 현상이란 유기절연물이 전기불꽃(누전회로 중에 발생하는 스파크, 전기회로의 스위치, 릴레이 등의 접점 개폐시에 발생하는 불꽃 등)에 장시간 노출되면 절연체 표면에 적은 탄화도전로가 생성되어 그 부분을 통해서 전류가 흘러 주울열이 발생하여 고온이 되고 인접부분을 열로 새롭게 흑연화시켜 전류를 통과시키게 된다. 이것이 다음에서 다음으로 이어져 서서히 입체적으로 확대되어 전류가 증가하여 결국은 넓은 범위로 발열발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 주울열은 전류가 흐름으로써 도체에 발생하는 열을 말하며 전기다리미, 백열전구 등은 바로 이 주울열을 이용한 것이며, 주울의 법칙은 도체에 전류를 흘렀을 때 발생하는 열량은 전류의 제곱과 도체의 저항의 곱에 비례한다는 것이다.
159. 전기화재 방지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① 개폐기는 습기나 먼지가 있는 사용하기 쉬운 위치에 부착한다.
② 누전차단기를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③ 문어발식 콘센트의 사용을 금지한다.
④ 전기담요의 사용 시 주의를 요한다.
160. 다음 감전전류 영향 설명 중 틀린 것은?
㉠ 최소 감지전류는 교류 상용주파수(60Hz)에서 2mA이하로 인체에 위험이 없다.
㉡ 고통 한계전류(전류의 흐름에 따른 고통을 참을 수 있는 한계 전류)는 7~8mA
㉢ 이탈전류와 교착전류(마비 한계전류)의 값은 10~15mA
㉣ 심실세동은 심장이 일시적으로 정지될 뿐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
※ 심실세동은 심장의 맥동에 영향을 주어 혈액 순환이 곤란하게 되고 끝내는
심장기능을 잃게 되는 현상, 심실세동을 일으킬 때 그대로 방치하면 수분 이내에 사망하게 되므로 즉시 인공호흡을 실시하여야 한다.
※ 누전차단기는 누전으로 인한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감도전류 30mA이하, 동작시간이 0.03초 이하인 누전차단기 설치(욕실 등은 15mA, 0.03초 전류동작형 설치)
161. 가스계소화설비의 가스방출표시 등 점등시험 시 확인사항이 아닌 것은?
① 해당 방호구역의 출입구 외부에 설치된 방출표시등 점등
② 수동조작함의 방출표시등 점등
③ 감지기의 교차회로(2개회로) 작동
④ 수신반의 방출표시창 점등
※ 수신반의 화재표시등, 지구표시등 점등
162. 다음 중 액화석유가스(LPG)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주성분은 프로판과 부탄이다. ㉡ 가정용, 공업용, 자동차 연료로 사용된다.
㉢ 누출 시 천장에 체류한다. ㉣ 비중은 공기보다 1.5~2.0배 무겁다.
※ LPG(Liquefied Petroleum Gas : 액화석유가스)
? 주성분 : 프로판, 부탄, 프로필렌, 부틸렌(무색 무취의 가스)
? 가정용, 공업용, 자동차연료로 사용
? 체적 : 250배(액화 프로판이 기화할 때)
? 비중 : 1.5 ~ 2.0
? 누출 시 낮은 곳에 체류하므로 가스누출 감지기는 바닥에서 30cm 이내에 설치
? 발열량 : 24,000~31,000㎉/㎥
? 연소범위 : 2.1%~9.5%로 하한농도가 낮아 소량의 가스가 누설되어도 폭발의 위험
167. 가스의 분류 중 저장상태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① 압축가스 ② 액화가스 ③ 용해가스 ④ 가연성가스
※압축가스 : 수소, 산소, 질소, 메탄과 같이 비점(끓는점)이 낮기 때문에 상온에서 압축하여 액화하기 어려운 가스를 단지 상태변화 없이 압축한 것
(판매시 용기충전 압력은 약 12Mpa 이상)
※액화가스 : 프로판, 염소, 암모니아, 탄산가스, 산화에틸렌 등과 같이 상온에서 압축하면 비점이 다른 가스에 비해 높아 압력을 가하면 쉽게 액화되는 가스(액화시켜 용기에 충전한 것으로 용기내에 액체 상태로 저장)
※용해가스 : 아세틸렌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매우 특별한 경우로서 압축하면 분해 폭발하는 성질 때문에 단독으로 압축하지 못한다.
(용기에 다공물질의 고체를 충전한 다음, 아세톤과 같은 용제를 주입하여 이것에 아세틸렌을 용해하여 압축한 것을 말한다.)
※ 가스의 연소성에 따른 분류 : 가연성가스, 지연성가스, 불연성가스
※ 지정수량이란 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으로서 제조소 등의 설치허가 등에 있어서 최저의 기준이 되는 수량(농업용은 실외에 보관하기 때문에 일반지정수량의 20배가 기준)
제6편 : 위험물 실무
168. 다음 중 위험물이 아닌 것은?
㉠ 도시가스 ㉡ 알코올 ㉢ 휘발유 ㉣ 경유
※ 도시가스는 고압가스에 해당되며 위험물에는 고압가스류는 없다.
제4류 인화성 액체에는 특수인화물, 제1석유류(휘발유, 아세톤),
알코올류(60%이상의 알코올), 제2석유류(경유, 등유),
제3석유류(중유, 클레오소트유), 제4석유류(기어유, 실린더유), 동식물유류
?위험물 :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품
?지정수량 : 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
?제조소 : 위험물을 제조할 목적으로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기 위하여 허가를 받은 장소
?저장소 :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하기 위한 대통령령이 정하는 정소로서 허가를 받은 장소를 말함.
169. 다음 위험물 중 지정수량의 단위를 Kg으로 표시하지 않는 것은?
① 과산화수소 ② 질 산 ③ 나트륨 ④ 중 유
※ 지정수량이란 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으로서 제조소 등의 설치허가 등에 있어서 최저의 기준이 되는 수량
※ 고체는 Kg, 액체는 ℓ(리터)로 표시하지만 제6류 위험물은 액체인데도
“Kg"으로 표시하는 이유는 비중을 고려하여 엄격히 규제
※ 제1, 2, 3, 5, 6류 위험물은 Kg으로 표시하고 제4류 위험물만 리터로 표시
170. 4류 지정수량 설명으로 틀리는 것은?
㉠ 특수 인화물 50ℓ ㉡ 수용성 제1석유류 200ℓ
㉢ 알코올류 400ℓ ㉣ 동식물 유류 10,000ℓ
제 4 류 인 화 성 액 체 |
① 특수인화물 |
50리터 | |
② 제1석유류 |
비수용성액체 |
200리터 | |
수용성액체 |
400리터 | ||
③ 알코올류 |
400리터 | ||
④ 제2석유류 |
비수용성액체 |
1,000리터 | |
수용성액체 |
2,000리터 | ||
⑤ 제3석유류 |
비수용성액체 |
2,000리터 | |
수용성액체 |
4,000리터 | ||
⑥ 제4석유류 |
6,000리터 | ||
⑦ 동식물유류 |
10,000리터 |
※ 제4류 위험물(인화성 액체: 액체[1기압과 20℃에서 액상인 것]로서
인화의 위험성이 있는 것)
① 특수인화물 : 이황화탄소, 디에틸에테르 그밖에 1기압에서 발화점이 100℃이하인 것. 인화점이 영하 20℃이하이고 비점이 40℃이하인 것
② 제1석유류 : 아세톤, 휘발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21℃미만것
③ 알코올류 : 1분자를 구성하는 탄소원자의 수가 1개부터 3개까지인 포화1가 알코올
④ 제2석유류 : 등유, 경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21℃이상 70℃미만
⑤ 제3석유류 : 중유, 클레오소트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70℃이상 200℃미만
⑥ 제4석유류 : 기어유, 실린더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200℃이상 250℃ 미만
⑦ 동식물유류 : 동물의 지육, 식물의 종자나 과육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1기압에서 인화점이 250℃ 미만
171. 제4류 위험물중 제4석유류의 인화점은 몇 ℃인가?
① 21℃미만 ② 21℃이상 70℃미만
③ 70℃이상 200℃미만 ④ 200℃이상 250℃미만
※ ①제1석유류 ②제2석유류 ③제3석유류
172. 제4류 위험물에 대한 주의사항 표시는 어떻게 하는 것이 적당한가?
㉠ 물기주의 ㉡ 접근금지 ㉢ 화기엄금 ㉣ 충격주의
※ 위험물게시판
주의사항 게 시 판 |
품 명 |
게시판 색상 |
화기주의 |
2류위험물(인화성고체 제외) |
적색바탕에 백색 |
화기엄금 |
4류, 5류, 위험물, 2류의 인화성고체, 3류의 자연발화성 물품 |
적색바탕에 백색 |
물기엄금 |
3류 금수성, 1류 알카리금속의 과산화물 |
청색바탕에 백색 |
173. 다음 중 제 4류 위험물의 공통성질이 아닌 것은?
㉠ 인화하기 쉽다 ㉡ 증기는 공기보다 가볍다
㉢ 증기는 공기와 혼합되어 연소, 폭발㉣ 물보다 가볍고 물에 녹지 않는다.
※제4류 위험물(1기압 20℃에서 액체상태의 가연성 물질)의 일반성질 : 질식소화
① 인화하기 쉽다.
② 가연성 증기는 공기보다 무겁다.
③ 연소범위의 하한이 낮은 것이 많다.
④ 비중은 물보다 가볍고 대부분 물에 녹지 않는 것이 많다.
⑤ 비교적 낮은 발화점을 가진다.
174. 다음 중 제1류 산화성 고체의 품명 및 지정수량이 틀린 것은?
㉠ 아염소산염류, 염소산염류, 과염소산염류, 무기과산화물 - 50kg
㉡ 브롬산염류, 질산염류, 요오드산염류 - 300kg
㉢ 과망간산염류, 중크롬산염류 - 1,000kg
㉣ 제1류 산화성 고체 중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것 - 1,000kg
※ 제1류 산화성고체는 위에 나열한 9가지를 제외한 그 밖에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것과 위의 성분이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한 경우에는 50, 300, 1,000kg
※ 제1류 산화성고체는 모든 품목이 산소를 다량으로 함유한 강력한 산화제이며 분해하여 산소(O2)를 방출한다. 제1류 위험물과 제6류 위험물과 혼합하면 산화성이 증대된다. 냉각소화(무기과산화물은 질식소화), 폭발위험 안전거리 확보
175. 다음 중 제2류 가연성 고체의 품명 및 지정수량이 틀린 것은?
㉠ 황화린, 적린, 유황 - 100kg
㉡ 철분, 금속분, 마그네슘 - 500kg
㉢ 제2류 가연성 고체 중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것 - 500kg
㉣ 인화성고체 - 1,000kg
※ 제2류 가연성고체는 황화린, 적린, 유황, 철분, 금속분, 마그네슘 외의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것과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한 경우에는100, 500kg
※ 금속분, 철분, 마그네슘, 황화린은 마른모래, 건조분말 등으로 질식소화
적린과 유황은 물에 의한 냉각소화가 적당
176. 다음 중 제3류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의 품명 및 지정수량이
틀린 것은?
㉠ 칼륨, 나트륨, 알킬알루미늄, 알킬리튬 - 10kg
㉡ 황린 - 20kg
㉢ 알칼리금속(칼륨, 나트륨 제외) 및 알칼리토금속, 유기금속화합물
(알킬알루미늄, 알킬리튬 제외) - 50kg
㉣ 금속의 수소화물, 금속의 인화물, 칼슘, 알류미늄의 탄화물 - 100kg
※ 금속의 수소화물, 금속의 인화물, 칼슘, 알류미늄의 탄화물 - 300kg
황린은 공기와 접촉하면 자연발화한다.
※ K, Na은 산소가 함유되지 않은 석유류에 저장하고 격렬히 연소하기 때문에
특별한 소화수단이 없으므로 연소할 때 연소 확대방지에 주력해야 한다.
※ 특수물질의 저장방법
① 칼륨, 나트륨 : 등유, 경유 속에 저장
② 이황화탄소, 황린 : 물속에 저장
③ 아세트알데이드, 산화프로필렌 : 알루미늄이나 철의 용기에 저장
④ 아세틸렌 : 아세톤, DMF 용제에 용해시켜 저장
177. 다음 중 제5류 자기 반응성 물질의 의 품명 및 지정수량이 틀린 것은?
㉠ 유기과산화물, 질산에스테르류 - 10kg
㉡ 니트로화합물, 니트로소화합물, 아조화합물, 디아조화합물, 히드라진 유도체 - 200kg
㉢ 히드록실아민, 히드록실아민염류- 100kg
㉣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것 - 200kg
※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것과 어느 하나이상을 함유한 것은 10, 100, 200kg
질식소화는 효과가 없으므로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를 해야 한다.
178. 다음 중 제6류 산화성액체의 품명과 지정수량이 틀린 것은?
㉠ 과염소산 300kg ㉡ 과산화수소 300kg
㉢ 질산 300kg ㉣ 마그네슘 300kg
※ 마그네슘은 제2류 가연성고체로 지정수량이 500kg이며
제6류 산화성액체는 지정수량이 300kg으로 과염소산, 과산화수소, 질산,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것과 위의 품명을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한 것
※ 자신은 불연성 물질이지만 강력한 산화제로 가열하면 산소를 발생한다.
따라서 다른 가연성 물질을 착화, 연소시키는 지연성이 크다.
179. 각 위험물의 저장?취급 기준으로 틀린 것은?1
① 제2류 위험물 : 산화제와 함께 보관한다.
② 제3류 위험물 : 금수성 물질은 물과의 접촉을 피한다.
③ 제4류 위험물 : 불티, 불꽃과의 접촉을 피한다.
④ 제5류 위험물 : 가연물과의 접촉을 피한다.
① 제1류 위험물 : 가연물과의 접촉, 혼합이나 분해를 촉진하는 물품과의 접근 또는 과열, 충격, 마찰 등을 피하는 한편, 알카리금속의 과산화물 및 이를 함유한 것에 있어서는 물과의 접촉을 피하여야 한다.
② 제2류 위험물 : 산화제와의 접촉, 혼합이나 불티, 불꽃, 고온체와의 접근 또는 과열을 피하는 한편, 철분, 금속분, 마그네슘 및 이를 함유한 것에 있어서는 물이나 산과의 접촉을 피하고 인화성 고체에 있어서는 함부로 증기를 발생시키지 아니하여야 한다.
③ 제3류 위험물 : 자연발화성물질에 있어서는 불티, 불꽃 또는 고온체와의 접근, 과열 또는 공기와의 접촉을 피하고, 금수성물질에 있어서는 물과의 접촉을 피하여야 한다.
④ 제4류 위험물 : 불티, 불꽃, 고온체와의 접근 또는 과열을 피하고, 함부로 증기를 발생시키지 아니하여야 한다.
⑤ 제5류 위험물 : 불티, 불꽃, 고온체와의 접근이나 과열, 충격 또는 마찰을 피하여야 한다.
⑥ 제6류 위험물 : 가연물과의 접촉, 혼합이나 분해를 촉진하는 물품과의 접근 또는 과열을 피하여야 한다.
180. 다음 중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인 것은?
㉠ 제1류 위험물 ㉡ 제2류 위험물
㉢ 제3류 위험물 ㉣ 제4류 위험물
제1류 위험물 |
제2류 위험물 |
제3류 위험물 |
제4류 위험물 |
제5류 위험물 |
제6류 위험물 |
산화성 고체 |
가연성 고체 |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 |
인화성 액체 |
자기반응성 물질 |
산화성 액체 |
181. 제5류 위험물인 자기반응물질의 성질 및 소화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 자기연소 또는 내부연소를 일으키기 쉽다.
㉡ 연소속도가 빨라 폭발적이다.
㉢ 질식소화가 효과적이며, 냉각소화로는 불가능하다.
㉣ 유기질화물이므로 가열, 충격, 마찰 또는 다른 약품과의 접촉에 의해 폭발하기
쉽다.
※ 질식소화는 효과가 없으며,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를 해야 가장 효과적이다.
제5류 위험물 : 유기질소화합물로 자기반응성물질(냉각소화)
182. 유류의 공통적인 성질이 아닌 것은?
㉠ 인화하기 쉽다.
㉡ 유류 증기는 대부분 공기보다 가볍다.
㉢ 착화온도가 낮은 것은 위험하다.
㉣ 물보다 가볍고 물에 녹지 않는다.
※ 유류의 공통적인 특징
① 인화하기 쉽다.
② 증기는 대부분 공기보다 무겁다.
③ 증기는 공기와 혼합되어 연소?폭발한다.
④ 착화온도가 낮은 것은 위험하다.
⑤ 물보다 가볍고 물에 녹지 않는다.
※ 난로는 가연물로부터 1m 이상 거리를 유지하고 불씨가 있는 부근에서 빨래 등 인화물질을 방치하지 않는다.
183. 다음 중 소화설비에 해당되는 것은?
㉠ 상수도소화용수설비 ㉡ 옥내소화전설비
㉢ 연결살수설비 ㉣ 연결송수관설비
※ 소화설비
① 소화기구 ② 물분무 등 소화설비 ③ 옥외소화전설비
④ 옥내소화전 스프링클러, 간이스프링클러 및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
※ 경보설비
①비상경보설비 ②단독경보형감지기 ③비상방송설비
④누전경보기 ⑤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기
⑥자동화재속보설비 ⑦가스누설경보기 ⑧통합감시시설
※ 피난설비
① 미끄럼대, 피난사다리, 구조대, 완강기, 피난교, 피난밧줄, 공기안전매트
② 방열복, 공기호흡기 및 인공소생기
③ 유도등 및 유도표시
④ 비상조명등 및 휴대용비상조명등
※ 소화용수 설비
① 상수도소화용수설비 ② 소화수조?저수조 그 밖에 소화용수설비
※ 소화활동설비
① 제연설비 ② 연결송수관설비 ③ 연결살수설비
④ 비상콘센트설비 ⑤ 무선통신보조설비 ⑥ 연소방지설비
184. 다음 중 소방시설설치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소방시설의 종류가
아닌 것은?
㉠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 방화설비
※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 소화용수 설비, 소화활동설비
185. 다음 중 소화활동설비가 아닌 것은?
① 제연설비 ② 비상콘센트 설비
③ 상수도소화용수설비 ④ 무선통신보조설비
186. 화재발생을 감지하고 통보하는 설비를 무슨 설비라고 하는가?
① 경보설비 ② 소화활동설비③ 소화용수설비④ 소화설비
※ 경보설비란 화재발생 사실은 통보하는 기계기구 또는 설비를 말한다.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1)
187. 다음 중 소방시설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포소화설비 ② 누전경보기
③ 공기호흡기 및 인공소생기④ 피뢰침
※ 피뢰침은 위험물 제조소 등의 시설에는 설치하나 소방관계법령에서 정하는 소방시설은 아니다.(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1)
188. 소화기의 설치기준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무엇입니까?
① 각 층마다 설치하여야 한다.
②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소형소화기는 보행거리가 20m 이내가 되도록 계산한다.
③ 구회된 각 거실(33㎡ 이상인 거실)마다 설치한다.
④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건물은 모두 수동식소화기의 2/3를 감소할 수 있다.
※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인 부분, 근린생활시설, 위락시설,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 판매시설 및 영업시설, 숙박시설, 노유자시설, 의료시설, 아파트, 업무시설(무인변전소를 제외),통신촬영시설, 교육연구시설, 운수자동차 관련시설, 관광휴게시설은 제외
189. 다음 중 소화기구의 종류가 아닌 것은?
㉠ 수동식소화기
㉡ 자동식소화기(, 캐비넷형 자동소화기, 자동확산소화용구)
㉢ 간이소화용구
㉣ 누전경보기
※ 소화기의 종류
① 수동식소화기 : 건축물의 연면적 33㎡ 이상
② 간이소화용구 : 지정문화재, 가스시설, 터널의 전부
③ 투척용소화기 : 노유자시설 전부
④ 자동식소화기 : APT 전층
190. 자동식소화기의 가연성 가스의 누출을 검지하는 부품은?
① 감지부② 가스차단밸브
③ 탐지부④ 수신부
※ 탐지부는 주방의 가스누설 여부를 탐지하는 부품으로서
LPG 등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를 사용하는 곳에는 바닥부근에 설치하며,
LNG 등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를 사용하는 곳에는 천장부근에 설치한다.
191. 자동식소화기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① 아파트의 주방에 설치하는 소화기로서 가스렌지에서 조리중인 음식물
등의 화재진화용 소화기이다.
② 화재가 발생하면 가스렌지에 공급되는 가스배관상의 개폐밸브를
차단시키는 기능도 한다.
③ 탐지부가 작동하면 가스개폐밸브가 작동하여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며
또한 소화약제가 방출된다.
④ LNG를 사용하는 아파트는 탐지부를 천장면으로부터 30c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해야 한다.
※ 수신부가 자동소화기의 감지부와 탐지부의 작동신호를 받아 화재경보음을 발생하고 가스밸브를 차단하며, 소화기의 밸브를 개방하는 등 자동식소화기의 제어기능을 하는 기기이다.
192. A급 소화기 중 대형소화기는 몇 단위이상을 말할까요?
① 1단위 ② 2단위
③ 10단위 ④ 20단위
※ 대형소화기는 능력단위가 A급은 10단위이상, B급은 20단위 이상
193. 유류화재는 소화기에서 무슨 급으로 표시될까요?
① A급② B급③ C급④ D급
※ B라고 표시된 것은 유류화재에 적용가능하며, 이러한 화재는 인화성액체, 가스, 유류 등의 화재로서 타고나서 재를 남기지 않는 화재
194. 업무시설의 사무실은 바닥면적 몇 ㎡마다 소화기를 1단위 이상
두어야 할까요?
① 30㎡② 50㎡③ 100㎡④ 200㎡
※ 업무시설의 사무실은 바닥면적 100㎡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의 소화기구를 설치
195. 다음 중 소화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대형소화기의 배치거리는 30미터 이내이다.
㉡ 소형소화기의 배치거리는 20미터 이내이다.
㉢ 소화기는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 가압식소화기에는 지시압력계가 부착되어 있다.
※ 축압식 소화기에 지시압력계가 부착되어 있다
※ 가압식 소화기에는 별도의 가압용 가스용기에 충전(작동봉판을 파괴)
196. 가압식 분말 소화기의 점검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① 소화기를 거꾸로 뒤집어서 소화기 내부의 소화약제가 응고(덩어리 짐) 되었는지를 약제가 떨어지는 소리를 듣고 알 수 있다.
② 가압용기(CO2 봄배) 봉판이 파손되었는지 눈으로 확인한다.
③ 가스도입관, 약제방출관이 구부러지지 않는 등 상태를 확인한다.
④ 가압용기(CO2 봄배) 봉판이 파손되지 않으면 가압용 가스는 누출되지 않는다.
※ 봉판이 파괴되지 않아도 가압가스가 누설될 수 있으며 가압용기통의 무게와 가압가스가 들어 있는 상태에서의 무게의 차이를 이용하여 가스의 무게를 가늠 할 수 있다.
197. 정상적인 축압식소화기는 압력계의 지시눈금이 어느 색상범위에 있어야 하나요?
① 녹색② 노랑색③ 청색④ 검정색
※ 소화기의 시시압력계가 녹색의 범위(7∼9.8kg/㎠)내에 있어야 적합하며, 빨간색 부분은 과압(압력이 높음)의 범위이며, 노란색 부분은 소화기내의 압력이 부족한 것으로 소화약제를 정상적으로 방출할 수 없다.
198. 축압식 소화기의 적정압력은?
㉠ 2Kg/㎠ ~ 4.8Kg/㎠ ㉡ 4Kg/㎠ ~ 6.8Kg/㎠
㉢ 7Kg/㎠ ~ 9.8Kg/㎠ ㉣ 10Kg/㎠ ~ 11.8Kg/㎠
※ 외형상 압력계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력계는 녹색(7Kg/㎠ ~ 9.8Kg/㎠)을 지시하면 정상이고 압력미달이나 과충전되어 있으면 안 된다.
※ 소화약제의 가압방식에 의한 분류
①가압식 소화기 ②축압식소화기③화학반응식소화기
199. 소형수동식 소화기는 보행거리 몇 m마다 비치해야 하는가?
① 10m② 20m③ 30m④ 40m
※ 소형수동식소화기의 보행거리는 20m 이내이고, 대형수동식 소화기의
보행거리는 30m 이내이다.(소화기구의 화재안전기준 제4조)
200. 수동식 소화기의 설치높이로 알맞은 것은?
① 바닥으로부터 30cm 이하
② 바닥으로부터 1m 이하
③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
④ 바닥으로부터 2m 이하
※ 소화기구(자동식소화기 및 자동확산소화용구 제외)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하의 곳에 비치해야 한다.(소화기구의 화재안전기준 제4조제1항제6호)
201. 소화기 표시사항중 "A-5, B-10"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소화기의 소요단위 ㉡ 소화기의 능력단위
㉢ 소화기의 소비단위 ㉣ 소화기의 사용순서
202. 대형소화기의 능력단위로서 맞는 것은?
㉠ A- 5, B-10 이상 ㉡ A-10, B-20 이상
㉢ A-15, B-30 이상 ㉣ A-20, B-30 이상
※ 대형소화기의 소화능력단위가 A급 화재에는 10단위 이상
B급 화재에는 20단위 이상
203. 소화약제 충전량에 의해 대형소화기로 분류되는 것은? 1
① 물 소화기 - 80리터 ② 분말 소화기 - 4.5Kg
③ 할로겐화합물 소화기 - 10Kg ④ 이산화탄소 소화기 - 20Kg
※ ① 분말소화기 20Kg ② 할로겐소화기 30Kg ③ 이산화탄소소화기 50Kg
④ 포소화기(기계포) 20리터 ⑤ 강화액소화기 60리터 ⑥ 물소화기 80리터
204. 다음 중 간이소화용구가 아닌 것은?
㉠ 자동확산 소화용구 ㉡ 소화기
㉢ 간이소화용구 ㉣ 팽창질석 또는 팽창진주암
※ 간이소화용구 : 1. 자동확산 소화용구
2. 소화약제에 의한 간이소화용구
3. 삽을 상비한 팽창질석 또는 팽창진주암
4. 삽을 상비한 마른모래
205. 다음 사례를 기준으로 침대가 있는 숙박시설의 수용인원을 바르게 계산한 것은?
□ 종사자수 : 1인 □ 2인용 침대 1개가 있는 객실 수 : 9실 |
① 10인 ② 15인 ③ 19인 ④ 25인
※ 종사자 + 9실× 2인 = 19인
206. 다음 사례를 기준으로 침대가 있는 숙박시설의 수용인원을 바르게 계산한 것은?
□ 화장실을 제외한 1개 객실(바닥면적 4.5㎡)의 수 : 9실 □ 종사자수 : 1인 □ 사무실 바닥면적 : 3㎡ |
① 10인 ② 14인 ③ 16인 ④ 20인
※ 수용인원 계산 = 종사자의 수 + (바닥면적 / 3㎡)
= 1 +(4.5㎡× 9실+3㎡)/3㎡ = 1+ (43.5/3㎡) = 1+ 14.5 = 15.5인 = 16인
계산결과 1미만의 소수는 반올림 한다.
※ 강의실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용도로 쓰이는 특정소방대상물 : 당해 용도로 사용하는 바닥면적의 합계를 1.9㎡로 나누어 얻은 수
207. 침대가 없는 바닥변적의 합계가 300㎡인 숙박시설에 종사자가 30명일 경우 이 건물의 수용인원은 몇 명인가?
① 30명 ② 130명③ 300명 ④ 330명
※ 침대가 없는 숙박시설의 경우 당해 종사자의 수에 숙박시설의 바닥면적의 합계를 3㎡로 나누어 얻은 수를 합한 수를 말한다.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3)
즉 수용인원 = 30인 + 300㎡/3㎡ = 130명
208. 옥내소화전설비 중 가압송수방식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 가압수조 ㉡ 압력수조 ㉢ 맨홀 ㉣ 고가수조
※ 옥내소화전설비 가압송수방식에 따른 분류
① 고가수조(최상층부의 소화전함보다 높은 위치에 수조를 설치)
② 압력수조(수원 및 가압원을 설치하여 압력탱크의 2/3는 급수, 1/3 공기압축)
③ 가압수조 : 가압원인 압축공기 또는 불연성 고압기체에 따라 소방용수를 가압
④ 펌프방식 : 펌프의 가압에 의하여 방수압력을 얻는 방식(가장 많이 이용)
※ 옥내소화전설비 소방시설 적용기준
① 건축물의 연면적 3,000㎡이상
(위의 1층 지하층?무창층 또는 층수가 4층 이상인 층중 바닥면적 600㎡이상 전층)
② 지하가 중 터널의 경우 길이가 1,000m 이상
③ 건축물의 연면적(근린생활?위락?판매?영업?숙박?노유자?의료?업무?통신
촬영?공장?창고시설?운수자동차관련 및 복합건축물) 1,500㎡이상 전층
(위의 3층 지하층?무창층 또는 층수가 4층 이상인 층중 바닥면적 300㎡이상 전층)
④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된 차고, 주차장으로서 차고 또는 주차용도로 바닥면적 200㎡ 이상
⑤ 공장 및 창고로서 특수가연물을 저장?취급량 : 지정수량의 750배 이상
209. 설정압력이상이면 과압을 방출하여 펌프내의 체절운전 시 공회전에
의한 수온상승을 방지하는 설비는?
① 스트레이너 ② 릴리프밸브 ③ 안전밸브 ④ 플렛블조인트
①스트레이너(Strainer) : 흡입측 배관에 모래, 침전물과 같은 이물질 등이 펌프 케이싱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펌프의 고장이나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여과장치(U형보다 Y형을 많이 사용)
②릴리프밸브 : 설정압력 이상이면 밸브 캡을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이 밀려올라가 열리면서 과압을 방출하여 펌프내의 체절운전시 공회전에 의한 수온상승을 방지하는 설비이다.
③안전밸브(Safty Valve) : 펌프 토출측의 배관에 과도한 압력이 작용될 때 작동(개방)되어 압력을 방출한다. 따라서 설비는 과도한 압력으로부터 보호된다.
④플레시블조인트(Flexible Joint) : 펌프의 토출측과 흡입측에 펌프와 직결하여 쓰이는데 펌프의 기동 또는 기동 후 정지시 펌프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여 배관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는 신축이음으로서 급격한 압력차로 생기는 충격중량을 흡수하기 위한 설비
210. 송수초기에 급작스럽게 압력이 상승되어 충격적인 압력이 배관에 연결된 방수장치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배관의 진동, 누수 등을 초래하는 이상고압의 충격을 흡수?완화하는 설비는?
① 볼류트펌프 ② 터빈펌프 ③ 충압펌프 ④ 수격방지기
볼류트펌프(Volute Pump) 안내날개가 없으며 이로 인하여 임펠러가 직접 물을 케이싱으로 유도하는 펌프로서 고유량 저양정 펌프의 특성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펌프의 단수(임펠러 수)를 많게 하여 높은 양정을 얻는 다단 볼류트 펌프가 많이 사용된다.
터빈펌프(Turbine Pump) 안내날개가 있어 임펠러 회전운동시 물을 일정하게 유도하여 속도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압력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즉 안내날개로 인하여 난류가 생기는 것을 감소시키므로 물의 압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터빈펌프는 저유량 고양정 펌프의 특성을 가져 고층건물에 많이 사용한다.
충압펌프(보조펌프 Jockey Pump, Priming Pump) 펌프 토출측 배관계통의 압력을 항시 일정한 압력이상으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화재발생시 방출구로부터 즉각적으로 규정압력 이상의 소화수를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기에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충압펌프는 기동용수압 개폐장치에 의하여 자동기동 되도록 설치되며 배관계통의 압력변화에 따라 기동 및 정지를 반복하게 된다.
수격방지기(Water Hammer Cushion : WHC) : 송수초기에 급작스럽게 압력이 상승되어 충격적인 압력이 배관에 연결된 방수장치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배관의 진동, 누수 등을 초래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펌프직상부나 곡관부위 및 관의 말단에 수격방지기를 부착한다. 수격방지기는 내부에 공기실이 있어 순간적인 이상고압의 충격을 흡수?완화한다.
211. 펌프의 토출축 체크밸브 이전에서 분기시켜 20mm 이상의 배관으로 설치하고 배관상에서 개폐밸브를 설치하여서는 아니되며 체절운전시 체절압력 미만에서 개방되는 설비는?
① 체크밸브 ② 후드밸브 ③ 순환배관 ④ 안전밸브
①체크밸브(Check Valve) 유체의 흐름이 역류하면 자동적으로 밸브가 닫혀지게 할 때 사용하며 현재 스모렌스키 체크밸브(Smolensky Check Valve)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②후드밸브(Foot valve) 수원의 수위가 펌프보다 아래에 위치한 흡수방식을 흡수관 말단에 설치하여 펌프가동시 물의 흐름을 펌프측으로만 흡상되게 하고 펌프정지시에 흡입관내 물을 가두어 두는 역할(체크기능)과 수조내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걸러주는 여과기능을 겸한다.
③순환배관 : 펌프의 토출축 체크밸브 이전에서 분기시켜 20mm 이상의 배관으로 설치하고 배관상에서 개폐밸브를 설치하여서는 아니되며 체절운전(펌프토출측의 배관이 모두 막힌 상태, 즉 물이 전혀 방출되지 않고 펌프가 계속 작동되어서 압력을 낼 수 있는 최상한 점으로 압력이 더 올라 갈 수 없는 상태에서 펌프가 공회전 하는 것)시 체절압력 미만에서 개방되는 설비
④안전밸브(Safty Valve) : 펌프 토출측의 배관에 과도한 압력이 작용될 때 작동(개방)되어 압력을 방출한다. 따라서 설비는 과도한 압력으로부터 보호된다.
⑤성능시험배관 : 정기적으로 펌프의 성능을 시험하여 펌프의 방사압과 토출량을 검사하기 위한 설비
212. 다음중 옥내소화전 방수량 및 방수압으로 바른 것은? 2
① 350ℓ/min, 2.5MPa이상
② 130ℓ/min, 0.17MPa이상~ 0.7MPa이하
③ 350ℓ/min, 0.17MPa이상~ 0.7MPa이하
④ 130ℓ/min, 2.5MPa이상
※ 가압송수장치는 고가수조방식, 압력수조방식, 가압수조방식, 펌프방식이 있다.
※ 수원의 량은 호스릴 옥내소화전이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설치개수
(5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5개) × 2.6㎡(130ℓ×20분간)
213. 옥내소화전 방수구 및 소화전함과 관련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방수구는 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수평거리 25m 이하로 설치한다.
② 방수구는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③ 소화전함내 호스는 구경 65mm이상의 것으로 비치한다.
④ 가압송수장치의 시동표시등은 적색등으로 해야 한다.
※ 방수구와 소화전함의 설치
① 층마다 설치하되, 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수평거리 25m 이하로 설치
②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1.5m 이하가 되도록 함.
③ 함 내에는 호스를 구경 40mm 이상 것으로서 적정수량을 비치
④ 위치표시등은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과 부착면이 15°이상의 범위 안에서 부착지점으로부터 10m 이내의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적색등으로 한다.
⑤ 가압송수장치의 시동을 표시하는 표시등은 옥내소화전함의 내부 또는 그 직근에 설치하되 적색등으로 해야 한다.
⑥ 옥내소화전설비의 함에는 그 표면에 “소화전”이라고 표지하고 그 사용요령을 기재한 표시판을 부착
⑦ 옥내소화전함의 재질은 두께 1.5mm 이상의 강판 또는 두께 4mm 이상의
합성수지재로 하고 문짝의 면적은 0.5㎡ 이상으로 하여 밸브의 조작, 호스의 격납 등에 충분한 여유 공간을 확보
214. 옥내소화전설비에서 비상전원 용량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 10분 ㉡ 20분 ㉢ 30분 ㉣ 60분
※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7층 이상이고 연면적 2,000㎡이상이거나 기타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 이상인 소방대상물의 옥내소화전설비에는 당해 설비를 유효하게 20분이상 작동할 수 있도록 비상전원(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을 설치
215. 옥내 소화전의 사용요령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① 호스를 꼬아서 적절한 방수가 되도록 한다.
② 밸브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연다.
③ 화점을 향해 방수한다.
④ 호스는 음지에 말린다.
216. 옥내소화전설비의 방수압력을 측정하는 점검기구에 해당되는 것은?
① 방수압력측정계 ② 조도계
③ 절연저항계 ④ 연기감지기 시험기
※ 방수압력 측정계(Pitot gauge) 옥내?외 소화전의 수압측정 및 유량측정에 사용
옥내외 소화전 설비 점검시 옥내소화전은 0.17Mpa 이상 0.7Mpa이하의 압력이 측정되어야 하고, 옥외소화전은 0.25Mpa이상 0.7Mpa이하의 압력이 측정
Q(분당 토출량 ℓ/min) = 2.065 × D2 ×√P
D : 관경(노즐구경 mm) 옥내 13mm, 옥외 19mm P : 방수압력(Mpa)
※ 입도계 : 분말약제의 입도시험(미세도 시험)을 위해 사용되는 점검기구
※ 조도계 : 비상조명등 및 유도등의 조도를 측정하는 기구
※ 절연저항계 : 전선로의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기구
217. 다음 중 펌프 체절운전에 대한 설명이 바르게 된 것은?
① 펌프가 정지한 상태
② 정격유량 상태일 때의 운전
③ 펌프성능시험 시 토출량이 “0”일때의 운전
④ 정격토출량의 150%이상 되었을 때의 운전
※② 정격부하운전점 ④ 최대운전점
218. 펌프의 기동 또는 정지 시 수격작용이 일어나는 원인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수격방지기 미설치 ② 수격방지기 고장
③ 저수위 감시 스위치 고장 ④ 압력챔버내 공기 미취입
※ 수격방지기(WHC Water Hammer Cushion) 가압송수펌프가 기동되어 송수를 시작할 때 초기에는 펌프에서부터 급작스럽게 압력이 상승되어 관로망으로 퍼져나간다. 주펌프는 용량이 크므로 이 충격적인 압력(순간적인 고압)은 배관에 연결된 방수장치(헤드, 일제개방밸브 등)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배관의 진동, 누수 등을 추래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펌프직상부나 곡관부위 및 관의 말단에 수격방지기를 부착한다. 수격방지기는 내부에 공기실이 있어 순간적인 이상고압을 흡수 충격을 완화한다.
219. 옥내소화전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 소화전함의 두께는 1.5mm이상 강판 또는 두께 4mm이상의 합성수지재로 한다.
㉡ 방수압력은 0.7MPa이상이고 방수량은 매분 130ℓ이상이어야한다.
㉢ 방수구는 1.5m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
㉣ 방수구의 수평거리는 25m이하가 되도록 한다.
① 방수압은 0.17MPa이상 0.7MPa이하이고 방수량은 매분 130ℓ이상이다
② 수원의 량 : 설치개수(최대5) x 2.6㎥ ex) 5 x 2.6 = 13㎥
③ 위치 표시등 식별 범위 : 벽면으로부터 15°이상 범위 안에서
10m이내에서 식별 가능한 적색등
④ 방수구 지름 : 40mm이상
220. 옥내소화전설비의 가압송수장치에는 체절운전시 수온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은?
㉠ 순환배관 ㉡ 시험배관 ㉢ 수압개폐장치 ㉣ 물 올림장치
※ 펌프의 토출측 체크벨브 이전에서 분기시켜 20mm 이상의 배관으로 설치하고 배관상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여서는 아니 되며 체절운전(펌프 토출측의 배관이 모도 막힌 상태, 즉 물이 전혀 방출되지 않고 펌프가 계속 작동되어서 압력을 낼 수 있는 최상한 점으로 압력이 더 올라 갈 수 없는 상태에서 펌프가 공회전 하는 것)시 체절압력 미만에서 개방되는 설비
221. 펌프가 체절운전이 되고 있을 때에 수온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관내의 과압을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을 하는 부품은?
① 스트레이너② 체크밸브 ③ 릴리프밸브④ 후드밸브
※ 릴리프밸브는 펌프가 체절운전이 되고 있을 때에 수온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관내의 과압을 배관의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을 합니다.
222. 펌프의 흡입측 배관에 설치하여 수조(물탱크)의 물을 펌프가 흡입할 때에 물속의 찌꺼기를 여과하는 기능을 하는 부품은?
① 스트레이너② 수격방지기③ 릴리프밸브④ 후드밸브
※ 스트레이너는 펌프의 흡입측 배관에 설치하여 수조의 물을 펌프가 흡입할 때에 물속의 찌꺼기를 여과하는 기능을 합니다.
223. 펌프가 작동할 때에 배관 내의 물의 압력이나 배관의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펌프의 흡입측 배관과 토출측 배관에 설치하는 부품은?
① 스트레이너② 수격방지기
③ 릴리프밸브④ 플렉시블조인트
※ 플렉시블조인트는 펌프가 작동할 때에 배관내의 물의 압력이나 배관의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펌프의 흡입측 배관과 토출측 배관에 설치
224. 펌프의 임펠러실 내에 자동으로 물을 급수하는 기능을 하는 부품은?
① 물올림탱크② 수격방지기③ 릴리프밸브④ 후드밸브
※ 물올림탱크는 프라이밍탱크라고도 부르며, 펌프보다 수원의 수위가 아래에 있는 경우에 설치를 합니다. 물올림탱크의 주요기능은 펌프의 흡입관 끝에 설치하는 후드밸브의 고장 또는 흡입배관의 누수로 인하여 펌프 임펠러실에 물이 없으면 펌프가 작동할 때에 펌프가 물을 흡입할 수 없기 때문에 펌프의 임펠러실내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
225. 1개층에 옥내소화전이 3개씩 설치된 5층 건물에 물탱크의 저수량과 옥상수조의 저수량은?
① 물탱크의 저수량 - 5.2㎥, 옥상수조의 저수량 - 2.6㎥
② 물탱크의 저수량 - 7.8㎥, 옥상수조의 저수량 - 2.6㎥
③ 물탱크의 저수량 - 10.4㎥, 옥상수조의 저수량 - 3.5㎥
④ 물탱크의 저수량 - 13㎥, 옥상수조의 저수량 - 4.3㎥
※물탱크저수량 3개*2.6㎥ = 7.8㎥, 옥상수조의 저수량 7.8㎥*1/3 = 2.6㎥
226. 옥상소화전시설의 옥상수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소가 아닌 것은?
① 지하층을 포함한 건물의 높이가 10m 이하인 경우
② 수원이 건축물의 지붕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경우
③ 옥상이 없는 건축물 또는 공작물
④ 지하층만 있는 건축물
※ 지표면으로부터 당해 건축물의 상단까지의 높이가 10m 이하인 경우에
옥상수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① 옥상이 없는 건축물 또는 공작물
② 지하층만 있는 건축물
③ 고가수조를 가압송수장치로 설치한 옥내소화전설비
④ 수원이 건축물의 지붕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경우
⑤ 지표면으로부터 당해 건축물의 상단까지의 높이가 10m이하인 경우
⑥ 주펌프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는 별도의 펌프로서 내연기관의 기동과 연동하여 작동되거나 비상전원을 연결하여 설치한 경우
⑦ 아파트, 업무시설, 학교, 전시시설, 공장, 창고시설 또는 종교시설 등(옥상수조 설치대상 제외)으로서 동결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 있어서는 기동스위치에 보호판을 부착하여 옥내소화전함내에 설치한 경우
227. 옥내소화전의 노즐선단에서의 방수압력?
① 0.1Mpa 이상 ③ 0.17Mpa 이상
③ 1Mpa 이상④ 1.7Mpa 이상
※ 0.17Mpa(호스릴옥내소화전 설비의 경우에는 0.25MPa)이상으로 하며,
방수압력이 0.7MPa을 초과할 경우 호스접결구의 인입측에 감압장치를 설치
228. 옥내소화전시설의 주배관중 수직배관의 구경은?
① 25mm이상 ② 32mm이상 ③ 40mm이상 ④50mm이상
※ 주배관중 수직배관의 구경은 50mm이상이어야 한다.
229. 옥내 소화전의 송수구 시설기준 중 틀린 것은?
①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자동배수밸브 및 체크밸브를 설치한다.
②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
③ 송수구로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한다.
④ 소방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노출된 장소에 설치한다.
※ 송수구로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않음.
다만 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소화설비, 포소화설비 또는 연결송수관 설비의 배관과 겸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30. 옥내소화전설비 비상전원은 얼마 이상의 시간동안 작동할 수 있어야 하는가?
① 10분 이상② 20분 이상③ 30분 이상④60분 이상
※ 옥내소화전설비 비상전원은 20분 이상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231. 불연재료로 된 소방대상물 중 옥내소화전설비의 방수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소가 아닌 것은?
① 발전소의 전기시설이 설치된 장소② 목욕실
③ 냉장창고의 냉장실④ 음악당
※ 냉장창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창고의 냉동실, 고온의 노가 설치된 장소 또는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는 물품의 저장 또는 취급장소, 발전소?변전소 등으로 전기시설이 설치된 장소, 식물원?수족관?목욕실?수영장 또는 그 밖의 이와 비슷한 장소, 야외음악당, 야외극장 또는 그 밖의 이와 비슷한 장소에서는 방수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232. 옥내소화전(호스릴 옥내소화전은 제외) 전 양정을 계산하는 공식으로서 맞는 것은?
① H = h1 + h2 + 17m② H = h1 + h2 + 25m
③ H = h1 + h2 + h3 + 17m ④ H = h1 + h2 + h3 + 25m
※H = h1 + h2 + h3 + 17m(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에는 25m)
H : 전 양정(m)
h1 : 소방용 호스의 마찰손실 수두(m)
h2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 수두(m)
h3 : 실양정(흡입+토출양정) 또는 낙차(m)
17m : 노즐선단의 방수압력 환산수두
233. 옥내소화전설비의 전동기 용량을 계산하는 식은?
P(kw) = 0.163×Q×H/E × K 이다. 공식에 대한 설명이 잘못 된 것은?
① H = 실양정(m) ② Q = 토출량(㎥/min)
③ E = 펌프의 효율④ K = 전달계수
※ P = 전동기출력(kw), Q = 토출량(㎥/min), E = 펌프의 효율
K = 전달계수, H = 전양정(m)
234. 호스릴 옥내소화전설비을 설치하는 건물에서 1층 소화전 5개,
2층 소화전 3개, 3층 소화전 3개를 설치한다면 펌프의 물탱크 용량과
옥상수주의 물탱크 용량은?
① 물탱크의 저수량 - 6㎥, 옥상수조의 저수량 - 2㎥
② 물탱크의 저수량 - 13㎥, 옥상수조의 저수량 - 4.4㎥
③ 물탱크의 저수량 - 7.8㎥, 옥상수조의 저수량 - 2.6㎥
④ 물탱크의 저수량 - 3.6㎥, 옥상수조의 저수량 - 1.2㎥
※ 펌프의 물탱크 용량 : 5개 × 1.2㎥ = 6㎥ 이상
옥상수조의 물탱크 용량 : 6㎥ × 1/3 = 2㎥ 이상
235. 물올림탱크의 유효수량은 얼마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① 10ℓ 이상② 50ℓ 이상③ 100ℓ 이상④ 200ℓ 이상
※ 물올림장치에는 전용의 탱크를 설치하고 탱크의 유효수량은 100ℓ 이상
236. 물올림탱크에 급수되는 급수배관의 구경은 얼마의 크기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① 10mm 이상② 15mm 이상③ 25mm 이상④ 32mm이상
※ 물올림장치는 구경 15mm 이상의 급수배관에 따라 당해 탱크에 물이 계속 보급되도록 한다.
237. 물올림탱크를 설치하는 목적은?
① 펌프의 토출압력을 높이기 위하여
② 펌프의 임펠러실에 물이 배수되었을 때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③ 펌프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④ 펌프의 토출량이 많이 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 흡수배관에서의 누수현상이나 후드밸브의 고장 등로 인하여 흡입배관의 물이 배수가 되며 펌프의 임펠러실 내에 물이 배수가 되고 없는 현상이 일어날 때 펌프가 작동하면 펌프는 물탱크의 물을 흡입하지 못하고 공회전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펌프의 임펠러실을 물올림탱크로부터 자동으로 물을 보급하여 펌프가 가동되도록 하는 기능
238. 압력챔버에 공기를 채우기 위하여 압력챔버의 물을 모두 배수를 한 후에 압력챔버에 얼마만큼의 공기를 넣은 후 안전밸브와 배수밸브를 닫아야 하는가?
① 압력챔버의 1/3부피 정도② 압력챔버의 2/3부피 정도
③ 압력챔버 부피 전체④ 압력챔버의 1/4부피 정도 추가삽입
※ 배수가 끝난 후 압력챔버 내에 공기만 가득 들어있는 상태에서
G2(안전밸브), G3(배수밸브)밸브를 잠급니다.
239. 펌프성능시험배관에 대한 기준이며 괄호 속에 적합한 용어는?
성능시험배관은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 )이전에서 분기하여
설치하고, 유량측정장치를 기준으로 전단 직관부에( )를 후단
직관부에는 ( )를 설치한다.
① 개폐밸브, 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② 체크밸브, 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③ 릴리프밸브, 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④ 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유량조절밸브
※ 성능시험배관은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하여 설치하고, 유량측정장치를
기준으로 전단 직관부에 개폐밸브를 후단 직관부에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
240. 펌프성능시험배관에 설치하는 유량측정장치는 정격토출량의 얼마이상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어야 하는가?
① 100% 이상② 150% 이상③ 165% 이상④175% 이상
※ 펌프성능시험배관에 설치하는 유량측정장치는 정격토출량의 175%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어야 한다.
241. 펌프의 정격토출량이 2,000ℓ/min이면 유량계 규격은 얼마 이상의
크기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① 2,000ℓ/ min 이상② 3,000ℓ/ min 이상
③ 3,500ℓ/ min 이상④ 4,000ℓ/ min 이상
※ 펌프의 정격토출량이 2,000ℓ×175% = 3,500ℓ
242. 압력챔버 압력스위치의 RANGE의 값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① 펌프의 작동압력② 펌프의 정지압력
③ 펌프의 예비동작압력④ 펌프의작동압력과 정지압력의 차이
※ 압력챔버 압력스위치의 RANGE값은 펌프의 작동정지 압력을 말함.
예를 들어서 RANGE가 0.8MPa(8kg/㎠)이면, 배관과 압력챔버의 물의 압력이 0.8MPa에서 작동하고 있는 펌프가 자동으로 정지
243. 압력챔버 압력스위치의 DIFF의 값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① 펌프의 작동압력② 펌프의 정지압력
③ 펌프의 예비동작압력④ 펌프의작동압력과 정지압력의 차이
※ 압력챔버 압력스위치의 DIFF의 값은 펌프의 작동압력과 정지압력의 범위(차이)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DIFF가 0.2MPa(2kg/㎠)이면, 펌프의 작동압력과 정지압력의 범위가 0.2MPa입니다.
244. 압력챔버의 충압펌프 압력스위치 RANGE가 7kg/㎠, DIFF는 1kg/㎠이면 충압펌프는 배관의 물의 압력이 얼마일 때 작동이 되는가?
① 5kg/㎠② 6kg/㎠③ 7kg/㎠④ 8kg/㎠
※ 압력챔버의 충압펌프 압력스위치의 RANGE가 7MPa, DIFF는 1MPa이면
충압펌프는 배관의 물의 압력이 6MPa(7MPa - 1MPa)일 때 작동
245. 옥내소화전의 노즐에서의 방수압력과 방수량은 얼마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① 방수압력 0.10MPa 이상, 방수량 100ℓ/min 이상
② 방수압력 0.17MPa 이상, 방수량 130ℓ/min 이상
③ 방수압력 0.25MPa 이상, 방수량 60ℓ/min 이상
④ 방수압력 0.70MPa 이상, 방수량 130ℓ/min 이상
※ 측정하는 건물의 어느 층에 있어서도 당해 층의 옥내소화전(5개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5개의 옥내소화전)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각 소화전의 노즐선단에서의 방수압력이 0.17MPa(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에는 0.25MPa)이상이 되어야 한다. 방수량은 130ℓ/min(호스릴옥내소화전 설비의 경우에는 60ℓ/min)이상이 되어야 한다.
246. 다음 각 소화설비중 방수압력이 가장 높은 것은?
㉠ 옥내소화전설비 ㉡ 스프링클러설비
㉢ 옥외소화전설비 ㉣ 물분무소화설비
※ ① 물분무소화설비 0.35MPa ② 옥외소화전설비 0.25Mpa
③ 스프링클러설비 0.1 ~ 1.2Mpa ④ 옥내소화전설비 0.17 ~ 0.7Mpa
247. 스프링클러설비 분류에 포함 안 되는 것은?
㉠ 습식 ㉡ 개방형 ㉢ 준비작동식 ㉣ 일제살수식
※ 스프링클러설비 종류
(1) 습 식 : 1, 2차측 모두 가압수 - 폐쇄형 헤드 (동파 위험)
(2) 준비작동식 : 1차 가압수, 2차 저압공기?대기압 - 폐쇄형 헤드, 감지기 2개
(3) 건 식 : 1차 가압수, 2차 압축공기?불연성 가스 - 폐쇄형 헤드
(4) 일제살수식 : 1차 가압수, 2차 대기압 - 개방형 헤드, 감지기 2개
※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해야 할 스프링클러설비의 적용기준
①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
? 수용인원 100인 이상
? 영화상영관 용도로 쓰이는 바닥면적 : 지하층, 무창층 500㎡(이외 1,000㎡)
? 무대 부면적 : 지하층, 무창층, 4층이상의 경우 300㎡이상(이외 500㎡)
② 판매시설 및 영업시설
? 층수가 3층 이하 : 6,000㎡ 이상 전층
? 층수가 4층 이상 : 5,000㎡ 이상 전층
? 수용인원 500인 이상 전층
③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 전층
④ 노유자시설?정신보건시설 및 숙박시설이 있는 교육연구시설중 청소년시설로 연면적 600㎡ 이상 전층
⑤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10m 넘는 랙크식 창고의 연면적 : 1,500㎡ 이상
⑥ 지하가(터널제외)의 연면적 : 1,000㎡ 이상
⑦ ①⑤목에 해당하지 아니한 지하층, 무창층 또는 4층이상인 층의 바닥면적 : 1,000㎡ 이상
⑧ 보일러실 또는 연결통로 등(①~⑦에 부속된 것)
⑨ 복합건축물 또는 교육연구시설내의 학생수용 기숙사로 연면적 5,000㎡이상 전층
⑩ ⑤목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공장 및 창고로서 특수가연물 저장, 취급량 : 지정수량의 1,000배 이상
⑪ 교정시설 교도소, 보호장소, 유치장 : 전부
248. 다음 중 헤드사용방식에 따른 분류로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 방식은?
㉠ 습 식 ㉡ 준비작동식 ㉢ 건 식 ㉣ 일제살수식
※ 폐쇄형스프링클러는 습식, 건식, 준비작동식이 있다.
249.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의 장점으로 바른 것은?
① 초기화재에 절대적인 효과가 있다.
② 초기 시설비가 적게 든다.
③ 물로 인한 피해가 심하지 않다.
④ 시공이 타 시설보다 간단하다.
<장점> ① 초기진화에 절대적인 효과가 있다.
② 소화제가 물이라서 값이 싸고 소화 후 복구가 용이하다.
③ 감지부의 구조가 기계적으로 오작동이나 오보가 없다.
③ 조작이 간편하며 안전하다.
④ 완전자동으로 사람이 없는 야간이라도 자동적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소화 및 경보를 해준다.
<단점>
① 초기 시설비가 많이 든다.
② 시공이 타 시설보다 복잡하다.
③ 물로 인한 피해가 심하다.
250. 스프링클러소화설비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초기화재에 절대적이다.
㉡ 소화제가 물이므로 값이 싸서 경제적이다.
㉢ 감지부의 구조가 기계적이므로 오동작 염려가 있다.
㉣ 시설의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 감지부의 구조가 기계적이므로 오동작이나 오보가 없다
251. 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 중 수조(물탱크)의 후드밸브(Foot Valve)에서
부터 패쇄형헤드의 끝까지 전체 배관 내에 물이 들어있는 설비는?
① 습식스프링클러설비 ② 건식스프링클러설비
③ 준비작동식스프링클러설비④ 일제살수식스프링클러설비
※ 습식스프링클러설비는 물탱크의 후드밸브에서부터 폐쇄형헤드의 끝까지 전체 배관내에 폄프가 가압한 압력수가 들어 있는 설비로서 화재에 의한 열로 인하여 헤드가 개방되면, 개방된 헤드로 방수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됩니다. 펌프는 배관의 압력이 감소하면 작동을 하여 물탱크의 물을 배관으로 송수하고 헤드에는 계속 방수가 됩니다.
252. 습식스프링클러설비의 장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화재감지기가 없는 설비로서 구조가 간단하다.
② 화재발생시에 물이 즉시 방수되므로 소화가 빠르다.
③ 다른 종류의 스프링클러설비보다 유지관리가 쉽다.
④ 배관이 동파의 우려가 있는 추운장소에도 설치할 수 있다.
※ 장점 : 구조가 간단하고 공사비 저렴, 소화가 신속,
타 방식에 비해 유지관리가 용이
※ 단점 : 동결 우려 장소에 사용제한, 헤드오동작시 수손피해
배관부식촉진, 배관 하중이 많이 걸린다.
253. 습식스프링클러설비의 알람밸브 점검방법으로 올바르지 못한 것은?
① 말단시험밸브로 방수되는 방수압력(0.1MPa이상)과 방수량(80ℓ/min)을
측정한다.
② 화재경보(사이렌)가 울리는지는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
③ 수신반에 화재표시등과 프리액션밸브 작동표시등이 점등되는지 확인한다.
④ 배관내에 적정압력이 빠진 후 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한다.
※ 습식스프링클러설비의 알람밸브 점검 방법 시 화재경보(사이렌)가 울리는지는 확인하여야 하며 확인 후 수신반의 복구스위치를 눌러 울리고 있는 화재경보 사이렌을 중지하고 화재표시등과 프리액션밸브 작동표시등의 점등을 원상태로 복구(소등)합니다.
254. 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 중 수조(물탱크)에서부터 프리액션밸브 1차측
까지는 배관내에 가압수가 들어 있으며, 밸브 2차측부터 폐쇄형헤드
까지는 대기압 또는 저압의 공기가 들어 있는 설비는?
① 습식스프링클러설비 ② 건식스프링클러설비
③ 준비작동식스프링클러설비④ 일제살수식스프링클러설비
※ 준비작동식스프링클러설비는 수조에서부터 프리액션밸브 1차측까지는 배관내에 가압수가 들어 있으며, 밸브 2차측부터 폐쇄형헤드까지는 대기압 또는 저압의 공기가 들어 있는 빈 배관으로서 화재발생으로 감지기가 작동하면 화재경보가 발생하며 닫혀있던 프리액션밸브가 열리면서 배관내의 가압수가 빈 배관으로 흘러 들어갑니다. 화재의 열기에 의하여 폐쇄형헤드가 개방되며 배관에 들어있는 물이 개방된 헤드로 방수되어 화재를 소화합니다.
255. 준비작동식스프링클러설비의 단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설비가 복잡하며 설치비가 많이 든다.
② 고장의 우려 및 화재시 작동에 대한 신뢰성이 낮다.
③ 복잡한 설비로 관리가 어렵다.
④ 초기화재에도 화재경보음이 늦게 발생한다.
※ 준비작동식스프링클러설비는 초기화재에도 화재경보음이 빨리 발생합니다.
※ 준비작동식 장점
① 동결우려 장소 사용가능
② 헤드오동작(개방) 시 수손피해우려 없다.
③ 해드개방 전 경보로 조기대처 용이
※ 준비작동식의 단점
① 감지장치로 감지기 별도 시공 필요
② 구조 복잡, 시공비 고가
③ 2차측 배관 부실시공 우려
256. 다이어프램형 프리액션밸브(준비작동밸브)에서 밸브의 내부가 보이지 않는데 어떻게 다이어프램이 열렸는지 아는가?
① 프리액션밸브의 솔레노이드밸브(또는 전동밸브)의 작동
② 알람(압력)스위치의 작동
③ 감지기의 작동
④ 헤드로 물이 방수
※ 화재경보 사이렌이 울리면 1차측의 가압수가 알람(압력)스위치를 작동시킨 것으로 추측되며, 다이어프램이 열려야 1차측 물이 2차측배관에 설치된 알람(압력)스위치를 작동합니다.
257. 준비작동식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시험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슈퍼비조리판넬의 동작스위치 작동
② 수신반에서 솔레노이드밸브 수동 기동
③ 감지기 1개 회로 작동
④ 수신반에서 동작시험으로 감지기 2개회로 동작
<준비작동식스프링클러설비의 준비작동밸브 작동점검 방법>
㉮ 슈퍼비죠리판넬(수동조작함)의 작동스위치를 누른다.
㉯ 감지기를 교차회로(2개회로 이상) 작동시킨다.
㉰ 수신반(제어반)에서 솔레노이드(또는 전자) 밸브 기동스위치를 작동시킨다.
㉱ 수신반(제어반)에서 동작시험으로 감지기를 교차회로(2개 회로이상) 동작시킨다.
㉲ 준비작동식밸브의 긴급해제(테스터)밸브 또는 전자밸브를 수동으로 개방한다.
① 슈퍼비조리판넬 : 준비 작동밸브와 함께 설치되어 밸브와 전원의 상태를 감시하고 수동으로 직접 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밸브가 정상상태일 때에는 상단부의 전원표시등만이 점등되고 준비 작동밸브 1차측, 2차측 개폐 표시형 밸브가 닫히면 밸브주의 표시등이 점등된다. 기동스위치를 누르면 화재감지기가 동작된 것과 같이 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되어 준비 작동밸브가 작동하게 된다.
② 솔레노이드밸브 : 감지기 작동이나 수동조작함의 기동스위치 조작 또는 화재수신반의 수동 개방스위치 조작 시 자동으로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시켜 중간 챔버의 압력을 감소시켜 준비 작동밸브의 디스크를 개방시켜 주는 밸브로서 평상시에는 패쇄상태로 유지된다.
258. 준비작동식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순서로 올바르지 못한 것은?
① 열기가 더욱 확대되어 1개회로(교차회로)이상이 감지되면 수신기에서는
프리액션밸브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또는 전동밸브)를 작동한다.
② 프리액션밸브의 솔레노이드밸브(또는 전동밸브) 작동으로 밸브 내 압력
제어부의 압력 균형이 깨어져 다이어프램(또는 클래퍼)이 개방된다.
③ 1차측 가압수가 2차측 배관 안으로 흘러 들어간다.
④ 흘러들어간 가압수가 압력(알람) 스위치를 작동하여 화재경보 (사이렌)가
발생한다.
※ 열기가 더욱 확대되어 2개회로(교차회로) 이상이 감지되면 수신기에서는
프리액션밸브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전동밸브)를 작동합니다.
259. 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 중 유수검지장치의 1차측 배관에는 가압수가 들어 있으며, 2차측 배관에는 압축공기 또는 불연성가스가 들어 있는 설비는?
① 습식스프링클러설비 ② 건식스프링클러설비
③ 준비작동식스프링클러설비④ 일제살수식스프링클러설비
※ 수조(물탱크)에서 건식(드라이)밸브 1차측까지는 가압수가 배관 내에 들어 있으며, 2차측 배관 내에는 폐쇄형헤드까지 압축공기 또는 불연성 가스가 들어 있습니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의 열기에 의하여 폐쇄형헤드가 개방이 되며, 개방된 헤드로 압축공기 또는 불연성가스가 빠져나가 배관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드라이밸브내의 1차측의 물의 압력이 2차측의 공기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아 클래퍼가 개방이 됩니다. 드라이밸브의 클래퍼가 개방되므로서 1차측 배관의 가압수는 2차측 배관으로 이동하며 화재의 열기에 의하여 개방된 헤드로 방수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됩니다.
260. 건식스프링클러설비의 장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2차측배관 내의 물이 동파될 우려가 있는 추운장소에도 설치할 수 있다.
② 감지기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공사가 간단하다.
③ 배관내의 압축공기가 화재시에는 화재를 더욱 확대시킬 우려가 있다.
④ 폐쇄형헤드에 의해 화재를 감지하므로 오동작의 우려가 적다.
※건식스프링클러의 장점은 동결우려 장소, 옥외에 사용가능
※건식스프링클러의 단점은 살수개시 시간이 지연되고, 구조가 복잡하며
화재초기 압축공기에 의한 화재 촉진 우려가 있으며 일반헤드인 경우
상향형으로 시공하여야 함
261. 드라이밸브에 설치되는 부품 중 엑셀레이터의 기능은?
① 설비의 오작동 방지② 드라이밸브의 신속한 작동
③ 클래퍼의 복구방지 기능④ 개폐밸브의 개방여부 확인
※ 드라이밸브에 설치되는 부품중 드라이밸브의 신속한 작동이 엑셀레이터 기능을 합니다.
262. 건식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순서로 올바르지 못한 것은?
① 화재의 열기로 인하여 폐쇄형헤드의 감열부가 개방된다.
② 2차측 배관 내의 공기압력 감소로 급속개방기구(엘셀레이터)가 작동한다.
③ 개방된 클래퍼의 시트 사이에 중간실로 물이 들어가 압력(알람)스위치를
작동시켜 화재경보가 발생한다.
④ 배관내의 압력감소를 압력챔버의 압력스위치가 감지하여 펌프를
기동(작동)한다.
※ 화재의 열기로 인하여 폐쇄형헤드의 감열부가 파괴(분리)됩니다.
정상상태에서 방수구를 막고 있는 감열체가정온도에서 자동적으로
파괴, 용해 또는 이탈됨으로써 분사구가 열려지는 스프링클러헤드
263. 건식스프링클러 설비 중 드라이밸브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클래퍼 위쪽에는 에어콤푸레샤가 공급한 공기의 압력이 들어있고,
클래퍼의 밑에는 펌프가 공급한 물의 압력이 들어 있다.
② 클래퍼는 잠금장치가 있으며, 물의 압력이 공기압력보다 높으면
물의 압력에 의해 클래퍼가 상승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③ 평소에 물의 압력과 공기의 압력이 동일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④ 화재의 발생으로 헤드로 압축된 공기가 빠져 나가면 공기의 압력이 감소되어
물의압력에 의하여 클래퍼가 상승하는 것이 드라이밸브의 개방이다.
※ 클래퍼는 열리지 못하게 걸쇠 등 잠금장치가 없으며, 물의 압력이 공기 압력보다 높으면 물의 압력에 의해 클래퍼가 상승하는 구조로 되어 있음
264. 건식스프링클러 설비 중 헤드가 감열한 후부터 건식밸브의 클레퍼가
열리기 까지의 시간인 트립시간(Trip Time)을 줄이기 위하여 설치
하는 장치는 무엇인가?
① 엑셀레이터② 이그져스터③ 솔레노이드④ 프리액션
※ 엑셀레이터는 헤드가 감열한 후부터 건식밸브의 클레퍼가 열리기 까지의 시간인 트립시간(Trip Time)을 줄이기 위하여 설치한다.
265. 다음 중 물과 오리피스가 배관에 의해 분리되어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헤드는 무엇인가?
① 화재조기진압용스프링클러헤드② 건식스프링클러헤드
③ 플러쉬스프링클러헤드 ④ 리세스드스프링클러헤드
※ 건식스프링클러헤드는 물과 오리피스가 배관에 의해 분리되어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헤드를 말합니다.
266. 다음 중 리세스드스프링클러헤드에 덮개가 부착된 스프링클러헤드는
무엇인가?
① 컨실드스프링클러헤드② 조기반응형헤드
③ 주거형스프링클러헤드④ 라지드롭형스프링클러헤드
※ 컨실드스프링클러헤드는 리세스드스프링클러헤드에 덮개가 부착된
스프링클러헤드를 말합니다.
267. 저압건식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순서로 올바르지 못한 것은?
① 열에 의하여 폐쇄형헤드가 개방되며, 개방된 헤드로 배관내의 압축공기가
빠져나간다.
② 엑츄레이터가 닫히면서 저압드라이밸브가 작동된다.
③ 펌프가 가동(작동)하며, 수신반에 화재표시등 점등하고 화재경보가
발생한다.
④ 개방된 헤드로 방수된다.
※ 엑츄레이터가 개방되면서 저압드라이밸브가 작동한다.
※ 간이스프링클러 적용기준
① 다중이용업소가 지하층에 설치된 영업장의 바닥면적 : 150㎡ 이상
② 주용도가 근린생활시설로 연면적 : 1,000㎡ 이상
③ 교육연구시설 내에 합숙소로 연면적 : 100㎡ 이상
④ 노유자시설, 정신보건시설 : 300㎡ 이상 600㎡ 미만
⑤ 교정시설 중 보호장소 사용부분 : 전부
268. 저압건식스프링클러설비의 구성부품이 아닌 것은?
① 엑설레이터② 솔레노이드밸브
③ 푸시핀 ④ 래치
※ 솔레노이드밸브는 일제살수식스프링클러의 구성부품입니다.
269. 저압건식밸브에서 1차측의 물의 압력이 2차측의 공기압력보다 높아도
클래퍼가 닫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① 푸시핀이 고정을 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② 래치가 고정을 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③ 클래퍼에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④ 엑츄레이터의 공기가 미는 넓은 면적과 물이 미는 좁은 면적에 의한 힘의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 압력의 차이에도 클래퍼가 닫혀 있도록 하는 원리는 엑츄레이터의 공기가 미는 넓은 면적과 물이 미는 좁은 면적에 의한 힘의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
270. 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 중 모든 헤드에 개방형헤드가 설치되며 일제개방밸브의 1차측 배관에는 가압수가 들어 있으며, 2차측 배관에는 대기압의 공기가 들어 있는 설비는?
① 습식스프링클러설비 ② 건식스프링클러설비
③ 준비작동식스프링클러설비④ 일제살수식스프링클러설비
※ 일제살수식스프링클러설비는 모든 헤드에 개방형헤드가 설치되며 일제개방밸브의 1차측 배관에는 가압수가 들어 있으며, 2차측 배관에는 대기압의 공기가 들어 있습니다.
※ 장점은 초기화재에 신속 대처 용이하고 층고가 높은 장소에서도 소화 가능
단점은 대량살수로 수손피해가 우려되며 화재감지장치를 별도로 설치 필요
271. 일제살수식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순서로 올바르지 못한 것은?
①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경보가 울린다.
② 감지기가 작동하면 일제개방밸브의 솔레노이드(전자)밸브가 작동(개방)된다.
③ 일제개방밸브가 개방(작동)되며, 일제개방밸브의 1차측 가압수가 2차측의
빈 배관으로 이동하여 헤드로 방수된다.
④ 흐르는 물이 일제개방밸브 2차측 압력(알람)스위치를 작동시켜
화재경보(사이렌)을 울린다.
※ 흐르는 물이 일제개방밸브 2차측 압력(알람)스위치를 작동시켜
화재경보(사이렌)을 울립니다.
272. 알람밸브의 알람스위치가 작동하여 화재경보가 울리고 있을 때에,
경보를 정지시키고자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밸브를 잠그면 물의 이동이
차단되어 경보가 울리지 않게 하는 장치는 무엇인가?
① 1차측개폐밸브② 2차측개폐밸브
③ 클래퍼④ 경보정지밸브
※ 경보정지밸브는 알람밸브의 알람스위치가 작동하여 화재경보가 울리고 있을 때에, 경보를 정지시키고자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밸브를 잠그면 물의 이동이 차단되어 경보가 울리지 않게 된다.
273. 배관내에 패들을 설치하여 물의 이동에 의하여 패들의 위치가 변동되어
스위치 내부에 접점되면서 회로가 연결되어 유수검진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는 무엇인가?
① 알람밸브② 패들형습식유수검지장치
③ 프리액션밸브④ 드라이밸브
※ 패들형습식유수검지장치는 배관내에 패들을 설치하여 물의 이동에 의하여 패들의 위치가 변동되어 스위치 내부의 접점이 붙어 회로가 연결되어 유수검지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274. 프리액션밸브 점검 방법에서 가장 먼저 실시해야 할 것은?
① 프리액션밸브의 1차측 밸브를 잠근다.
② 프리액션밸브의 2차측 밸브를 잠근다.
③ 프리액션밸브의 배수밸브를 개방한다.
④ 프리액션밸브의 배수밸브를 잠근다.
※ 프리액션밸브 점검 방법에서 가장 먼저 2차측 밸브를 잠그는 이유는 밸브작동 시험결과 2차측 배관으로 물이 흘러 들어가면 복구를 하면서 배관내에 배수를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2차측의 빈 배관으로 물을 보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275. 프리액션밸브의 작동상태 점검 시 틀린 것은?
① 프리액션밸브의 솔레노이드밸브가 작동하여 다이어프램(클래퍼)이
개방되는지 확인한다.
② 화재경보(싸이렌)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③ 수신반에 화재표시등이 점등되는지 확인한다.
④ 배관내에 적정압력이 빠진 후 펌프가 수동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한다.
※ 배관내에 적정압력이 빠진 후 펌프가 자동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
276. 소화기의 설치기준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무엇입니까?
① 각 층마다 설치하여야 한다.
② 소방대상물의 각부분으로부터 소형소화기는 보행거리가 20m 이내가
되도록 계산한다.
③ 구획된 각 거실(33㎡ 이상인 거실)마다 설치한다.
④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건물은 모두 수동식소화기의 2/3를 감소할 수 있다.
※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인 부분, 근린생활시설, 위락시설,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 판매시설 및 영업시설, 숙박시설, 노유자시설, 의료시설, 아파트, 업무시설(무인변전소를 제외), 통신촬영시설, 교육연구시설, 운수자동차관련시설, 관광휴게시설은 제외
277. 다음 중 스프링클러설비 수조의 설치기준이 아닌 것은?
① 점검에 편리한 곳에 설치할 것
② 동결방지조치를 하거나 동결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③ 수조의 상단이 바닥보다 낮을 때에는 수조의 외측에 고정식 사다리를
설치할 것
④ 수조가 실내에 설치된 때에는 그 실내에 조명 설비를 설치할 것
※ 수조의 상단이 바닥보다 높을 때에는 수조의 외측에 고정식 사다리를 설치
278. 다음 중 탬퍼스위치의 설치기준이 아닌 것은?
① 급수배관에 설치되어 급수를 차단할 수 있는 개폐밸브에는 그 밸브의
개폐상태를 감시제어반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
② 급수개폐밸브가 잠길 경우 탬퍼스위치의 동작으로 인하여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에 표시되어야 하며 경보음을 발할 것
③ 탬퍼스위치는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에서 동작의 유무확인과 동작시험, 도통시험을 할 수 있을 것
④ 급수개폐밸브의 작동표시 스위치에 사용되는 전기배선은 일반전선으로
설치할 것
※ 급수개폐밸브의 작동표시 스위치에 사용되는 전기배선은 내화전선 또는 내열전선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279. 다음 중 시험밸브함의 설치기준이 아닌 것은?
① 유수검지장치에서 가장 가까운 가지배관으로부터 연결하여 설치할 것
② 시험장치배관의 구경은 유수검지장치에서 가장 먼 가지배관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으로 하고, 그 끝에 개방형헤드를 설치할 것
③ 시험배관의 끝에는 물받이통 및 배수관을 설치하여 시험중 방사된 물이
바닥에 흘러내리지 아니하도록 할 것
※ 유수검지장치에서 가장 먼 가지배관의 끝으로부터 연결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유수검지장치로는 자동경보밸브, 패들형 유수검지기, 유수작동밸브, 오리피스형 유수검지기 등이 있으나 알람밸브(Alarm Valve)라 불리우는 자동경보밸브가 가장 많이 사용
280. 스프링클러설비의 1분당 방수량은?
㉠ 50ℓ ㉡ 70ℓ ㉢ 80ℓ ㉣ 100ℓ
※ ① 방수압 : 0.1MPa ( ~ 최대 1.2MPa )
② 방수량 : 80ℓ/min
③ 간이스프링클러 방수량 : 60 ~ 80ℓ/min
④ 스프링클러 해드와 천장의 간격은 30cm 이하
281. 스프링클러설비 헤드의 구성 부분이 아닌 것은?
㉠ 감열부 ㉡ 디플렉타 ㉢ 후레임 ㉣ 유수검지장치
※ 스프링클러 헤드의 구조
① 후레임(Frame) 스프링클러헤드의 나사부분과 디플렉타를 연결하는 이음쇠 부분
② 디플렉타(Deflector) 스프링클러헤드의 방수구에서 유출되는 물을 세분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말한다.
③ 감열체 : 정상상태에서는 방수구를 막고 있으나 열에 의하여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스스로 파괴, 용해되어 해드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방수구가 열려 스프링클러가 작동되도록 하는 부분
※ 부착방식에 의한 분류
① 상향형 : 배관상부에 부착하는 것으로 천장이 콘크리트스라브등으로 마감되어 반자가 없는 곳에 설치하는데 반사판은 40mm이상이며 분사패턴이 가장 좋은 것으로 반사판의 형태가 니플쪽을 향하여 구부려짐
② 하향형 : 배관아래에 부착하는 것으로 천정반자가 있는 곳에 주로 사용하며 반사판은 36mm로 분사패턴이 상향형보다는 떨어지나 반자의 수손을 적게하며 반구형의 배턴으로 분사되는 장점이 있다.
③ 측벽형 : 옥내의 한쪽벽 상단부에 취부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한쪽만으로 살수가 이루어지며 주로 기계식 주차설비의 2단주차 하단부에 많이 설치
282. 스프링클러설비의 음향장치의 설치거리는?
㉠ 보행거리 5m 이하㉡ 보행거리 25m 이하
㉢ 수평거리 5m 이하㉣ 수평거리 25m 이하
283. 스프링클러 설비의 종류별 주요 작동밸브가 틀리는 것은?
㉠ 습식 - 알람밸브 ㉡ 준비작동식 - 프리액션밸브
㉢ 건식 - 드라이밸브㉣ 일제살수식 - 일제폐쇄밸브
※ 일제살수식은 일제개방밸브를 설치하고 있으며
준비작동식과 일제살수식은 기동용감지기 A, B의 교차회로에 의해 작동
구 분 |
1차측 배관 |
주밸브 |
2차측배관 |
습 식 Wet Type |
가압수 |
자동경보밸브 Alarm Check Valve 리타딩챔버 |
가압수 (폐쇄형) |
건 식 Dry Type |
가압수 |
건식밸브 Dry Valve 엑츄레이터 |
압축공기, 질소가스 (폐쇄형) |
준비작동식 Preaction T |
가압수 |
준비작동밸브 PreAction V 슈퍼비죠리판넬 |
저압, 대기압 (폐쇄형) |
일제살수식 Deluge T |
가압수 |
일제개방밸브 Deluge Valve |
대기압 (개방형) |
284. 물분무소화설비의 주된 소화효과가 아닌 것은?
㉠ 냉각효과 ㉡ 희석효과
㉢ 단절효과 ㉣ 질식효과
※① 방사되는 물에 의한 냉각작용
② 고온의 연소열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한 산소의 차단효과인 질식작용
③ 유류화재시 가연물질의 표면에 노즐에서 물의 입자를 미세하게 분무시켜
엷은 층의 수막을 형성하여 화재를 소화하는 유화 효과 및 알콜, 에테르
등의 수용성 가연물질의 화재시 연소물질의 농도를 희석하여 소화하는
희석작용
④ 화재의 확대방지 및 열의 차폐에도 효과적이다.
⑤ 전기유류화재에도 효과적이며 가스화재 및 폭발제어 설비로도 사용된다.
※ 적용화재 : ① 종이, 목재, 섬유류 등의 일반 가연물 화재
② 전기설비
③ 가연성 가스·액체 등의 화재
④ 케이블트레이, 전선케이블, 전선관 등의 화재
※ 물분무등 소화설비 적용기준
① 항공기 격납고 : 전부
② 주차용 건축물의 연면적 : 800㎡이상
③ 건축물내에 설치된 차고 또는 주차장 바닥면적 : 200㎡이상
④ 기계식주차장 : 20대이상
⑤ 전기실, 발전실, 변전실, 축전지실, 통신기기실, 전산실 : 300㎡이상
⑥ 중, 저준위방사성폐기물의 저장시설 : 전부
⑦ 지하가 중 교통량, 경사도 등 고려하여 위험등급이상의 터널 : 3,000m 이상
285. 대규모 유류화재에 적합한 소화설비는?
㉠ 포소화설비 ㉡ 분말소화설비
㉢ 이산화탄소소화설비 ㉣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 포소화설비는 물에 의한 소화방법으로는 효과가 적거나 화재가 급속히 확대될 위험성이 있는 가연성액체 등의 화재에 사용하는 설비
(유류화재에 적합, 질식, 냉각소화효과가 있어 대형화재 소화에 적합)
포소화설비에는 화학포소화설비와 공기포화설비가 있는데 소방관계법상 규정하고 있는 것은 공기포소화설비에 대한 것이다.
286. 포소화설비의 약제혼합방식이 아닌 것은?
㉠ 라인프로포셔너방식㉡ 펌프프로포셔너방식
㉢ 프레져사이드 프로포셔너방식㉣ 석션프로포셔너방식
※ ① 라인프로포셔너방식 : 벤츄리관의 벤츄리작용에 의해 약제 흡입 혼합
② 펌프프로포셔너방식 : 펌프의 토출관과 약제 흡입관 사이에 흡입기 설치, 농도 조절밸브로 사용할 약제양 조절(소방펌프차에 주로 사용)
③ 프레져사이드 프로포셔너방식 : 수원펌프 토출관에 약제압입펌프로 약제 혼합(대형 옥외탱크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④ 프레져프로포셔너방식 : 벤츄리관의 벤츄리 작용과 펌프 가압수의 압력에 의한 흡입 혼합(위험물 제조소등에 제일 많이 사용하는 방식)
287. 분말소화설비의 충전용 가스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 질소 ㉡ 이산화질소 ㉢ 일산화탄소 ㉣ 수소
※ 사용가능한 가스 : 질소(N2) 또는 이산화탄소(CO2)
※ 물에 의하여 소화가 어려운 위험물시설이나 고압의 전기설비 등으로 전기의 절연성이 요구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하는 소화설비(유류, 전기 화재)
①주차장 ②통신기기실 ③제4류위험물 ④변전설비
※ 분말소화설비의 장단점
? 장점 ① 질식소화 효과가 있다.
② 연소의 계속을 억제하는 부촉매 효과가 있다.
③ 절연성이 우수하여 전기화재에 효과적이다.
④ 소화약제의 수명이 반영구적으므로 경제적이다.
⑤ 가연성액체의 표면화재 소화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 단점 ① 피연소물에 피해를 준다.
② 방출할 때 고압을 필요로 한다.
288. 분말소화설비에서 분말소화약제의 방사시간으로 적합한 것은?
㉠ 10초 ㉡ 20초 ㉢ 30초 ㉣ 60초
※소화약제량은 30초 이내에 방사할 수 있는 것(분말, 이산화탄소 CO2)
289.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 적합하지 않은 설비방식은?
㉠ 전역방출방식㉡ 국소방출방식
㉢ 호스릴방출방식(이동식)㉣ 확산방출방식
※CO2 소화설비의 분류 ①전역방출방식 ②국소방출방식 ③호스릴방식
※CO2 소화설비 적응대상
① 일반 가연물(도서실) A급
② 가연성의 기체와 액체류(경유저장실) B급
③ 전기설비(컴퓨터실) C급
290.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특징이 아닌 것은?
㉠ 화재진화 후 깨끗하다.
㉡ 부속이 고압배관, 고압밸브를 사용하여야 한다.
㉢ 소음이 작다.
㉣ 심부화재에 적합하다.
※이산화탄소(CO2)소화설비 장점
① 심부화재에 적합 ② 화재진화 후 깨끗하다
③ 피연소물에 피해가 적다. ④ 비전도성이므로 전기화재에 적합
※이산화탄소(CO2)소화설비 단점
① 사람의 질식우려 ② 방사시 동상의 우려와 소음이 크다.
③ 설비가 고압이라 특별한 주의와 관리 필요하다.
291.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설비방법에 따 분류가 아닌 것은?
㉠ 전역방출방식 ㉡ 국소방출방식
㉢ 저압저장방식 ㉣ 이동식(호스릴방식)
※ 분사헤드 설치 제외 장소
① 방제실, 제어실 등 사람이 상시 근무하는 장소
② 니트로셀룰로스, 셀룰로이드제품 등 자기연소성물질을 저장, 취급하는 장소
③ 나트륨, 칼륨, 칼슘 등 활성금속물질을 저장, 취급하는 장소
④ 전시장 등의 관람을 위하여 다수인이 출입, 통행하는 통로 및 전시실 등
292.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가스저장용기 ② 분사헤드 ③ 선택밸브 ④ 정압작동장치
※ 설비구성요소 : 가스저장용기, 기동장치, 분사헤드, 선택밸브, 자동패쇄장치, 제어반 설치
※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적응대상 : A급(도서실), B급(경유 저장실), C급(컴퓨터실)
<장점> 심부화재에 적합, 화재진화 후 깨끗하다. 피연소물에 피해가 적다.
비전도성이므로 전기화재에 좋다.
<단점> 사람에게 질식의 우려가 있다. 방사시 동상의 우려와 소음이 크다.
설비가 고압으로 특별한 주의와 관리가 필요하다.
293.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의 소화약제성분이 아닌것은?
㉠ F ㉡ Br ㉢ Cl ㉣ K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는 불연성가스인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화재발생 시 할로겐 원자의 억제작용에 의하여 냉각작용, 희석작용 및 연쇄반응을 억제하는 소화설비로서 할로겐소화약제의 소화작용은 할로겐 원자의 억제작용에 의한 것이지만 그 효과는 F > Cl > Br 순으로 커진다.
294.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의 방출방식이 아닌 것은?
㉠ 전역방출방식 ㉡ 국소방출방식
㉢ 펌프방출방식 ㉣ 이동식(호스릴방식)
※ 이산화탄소와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의 방출방식은 같다.(전국이동)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의 저장방식은 가압식과 축압식이 있다.)
※ 분사헤드의 방사시간은 소화약제량을 10초 이내에 방사할 수 있는 량
295. 옥외소화전의 배치거리로 적합한 것은?
㉠ 보행거리 25m 이하㉡ 보행거리 40m 이하
㉢ 수평거리 25m 이하㉣ 수평거리 40m 이하
구 분 |
옥외소화전설비 |
옥내소화전설비 |
배치거리(수평거리) |
40m 이하 |
25m 이하 |
방수압 |
0.25Mpa |
0.17 ~ 0.7Mpa |
방수량 |
매분 250ℓ 이상 |
매분 130ℓ 이상 |
수원의 량 |
개소당 7㎥(최대 2개소) |
개소 2.6㎥(최대 5개소) |
방수구 지름 |
65mm이상 |
40mm이상 |
※ 특정소방대상물 옥외소화전설비의 적용기준
① 지상 1층 및 2층의 바닥면적 합계 : 9,000㎡ 이상
② 국보 또는 보물로 지정된 목조건축물 : 전부
③ ①목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공장 또는 창고로서 특수가연물의 저장?취급량 : 지정수량의 750배 이상
296. 비상방송설비의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실내에 설치할 경우 몇 와트(W)
이상이여야 하는가?
㉠ 1W ㉡ 3W ㉢ 5W ㉣ 7W
※비상방송설비는 기동장치, 비상전화, 스피커, 증폭기 및 조작장치 등
① 실내 1W이상
② 일반, 실외 3W이상
③ 각 층마다 설치하되 스피커 설치거리 : 수평 25m 이하
④ 방송개시 시간 : 화재신고 접수 후 필요음량으로 10초 이하
⑤ 조작부의 위치 : 0.8m 이상 1.5m 이하
⑥ 배선은 음량조절기를 설치하면 3선식, 사람이 음량 조절할 경우 2선식
※ 특정소방대상물 비상방송설비의 적용기준
① 건축물의 연면적 : 3,500㎡ 이상
② 지하층을 제외한 11층 이상 : 전부
③ 지하층의 층수가 3개층 이상 : 전부
○ 가스시설, 지하구 및 지하가 중 터널과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동식물관련시설 제외
297.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주요 구성부분이 아닌 것은?
㉠ 수신기 ㉡ 발신기(음향장치) ㉢ 감지기 ㉣ 헤드
※ 설비의 구성요소 : 감지기, 수신기, 발신기, 음향장치, 표시등, 전원, 배선,
시각경보기, 중계기 등으로 구성
※ 헤드는 스프링클러설비의 구성요소
298. 다음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하나의 발신기까지의 수평거리는 25m이하
② 감지기 사이의 회로배선은 송배선식
③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2,000㎡이하
④ 발신기 조작 스위치의 높이는 0.8~1.5m 이하
※자동화재탐지설비 중 경계구역
① 경계구역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②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다만,
500㎡이하의 범위 안에서는 2개의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다.
③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이하로 하고 한변의 길이는 50m 이하로 할 것
다만, 당해 소방대상물의 주된 출입구에서 그 내부 전체가 보이는 것에
있어서는 50m의 범위 내에서 1,000㎡이하로 할 수 있다.
④ 지하구 또는 터널에 있어서 하나의 경계구역의 길이는 700m 이하로 한다.
299. 감지기와 감지기 사이의 회로배선방식은?
㉠ 송배선식 ㉡ 발전기식 ㉢ 연동식 ㉣ 연계식
※ 병렬식으로 할 경우 전선이탈에 의한 부작동 우려로 송배선식으로 설치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