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불교인드라망
 
 
 
 

친구 카페

 
등록된 친구카페가 없습니다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불교영어Buddhist Sutra 스크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8년(2014년) 10월 2일 후기/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 (19)
호암산 추천 0 조회 37 14.10.12 00:39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8년(2014년) 10월 2일 후기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 (19)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10월 2일 후기.hwp

 

서울경기강원지역방 3120번 글 http://cafe.daum.net/altlovebuddha/PEK/3120

의 후속타입니다.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를 열아홉 번째로 읽었습니다. 오늘 불서읽기에는 루카 법우, 환희장엄 법우, 저 관문 이렇게 3명이 참석했습니다.

오늘도 지난번에 모였던 장소 ‘Cafe 57th’에서 모임을 가졌습니다. 이곳은 지하철 3호선 안국역 1번 출구에서 나와 80 미터 가량 직진하신 후 풍문여고를 오른 쪽에 끼고 돌아서 약 60 미터 가면 보이는 곳입니다. 모이는 때는 매주 목요일 오후 7시입니다.

 

오늘은 우리의 교재 <The Dalai Lama and Howard C. Cutler, The Art of Happiness> Part III Transforming Suffering: CHAPTER 10 Shifting Perspective의 중간부분을 읽었습니다. 관문이 가지고 있는 책으로 180페이지 10째 줄부터 187페이지 5째 줄까지입니다.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를 읽는 동안의 후기는 영어와 저희가 시도해 본 번역을 올리겠습니다. 번역본으로 <달라이 라마 & 하워드 커틀러/류시화 옮김,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김영사> 를 가끔씩 참고하겠습니다.

                                                             

                                              PART III Transforming Suffering

                                           제3부 고통을 전환하기

 

CHAPTER 10 Shifting Perspective

제10장 시점 바꾸기

 

The Dalai Lama’s suggestion to venerate one’s enemies because of the opportunities for growth they provide might be a bit hard to swallow at first. But the situation is analogous to a person seeking to tone and strengthen his or her body through weight training. Of course, the activity of lifting is uncomfortable at first ? the weights are heavy. one strains, sweats, struggles. Yet it is the very act of struggling against the resistance that ultimately results in our strength. one appreciates good weight equipment not for any immediate pleasure it provides, but rather for the ultimate benefit one receives.

적들이 성장의 기회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우리의 적들을 존경하라는 존자님의 제안은 처음에는 받아들이기가 좀 어려웠다. 하지만 그 상황은 품위를 찾아서 역기를 들어 올리는 것을 통해 신체를 강화하는 사람에 비유할 수 있다. 물론 역기를 들어 올리는 행위는 처음에는 매우 불편할 것이다. 역기는 엄청 무겁다. 그는 애를 쓰고, 땀을 흘리고, 버둥거린다. 하지만 우리를 결국 강건함으로 이끄는 것은 그 저항에 투쟁하는 바로 그 행위이다. 우리는 역기가 즉각적으로 제공하는 쾌락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가 받는 궁극적 이득 때문에 훌륭한 역도 설비에 감사한다.

 

Perhaps even the Dalai Lama’s claims about the “rarity” and “preciousness” of The Enemy are more than just fanciful rationalizations. As I listen to my patients describe their difficulties with others, this becomes quite clear -- when it comes down to it, most people don’t have legions of enemies and antagonists they’re struggling with, at least on a personal level. Usually it’s just confined to a few people. A boss perhaps, or a co-worker, an ex-spouse, a sibling. From that standpoint, The Enemy is truly “rare” -- our supply is limited. And it’s the struggle,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conflict with The Enemy -- through learning, examining, finding alternative ways of dealing with them -- that ultimately results in true growth, insight, and a successful psychotherapeutic outcome.

아마도 ‘적’의 “희귀성”과 “소중함”에 대한 존자님의 주장은 단지 환상적인 합리화 이상이다. 내가 내담자들이 다른 사람들과의 어려움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들으면서, 이 사실이 매우 분명해졌다. 적에 대한 것이 현실화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엄청나게 많은 적과 분투하고 싸우는 것이 아니다. 적어도 개인적인 차원에서. 대개 그것은 두어 명의 사람으로 제한되어 있다. 아마도 사장이거나, 동료, 이혼한 전 배우자, 동기 중 한 명 등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적’은 정말로 “희귀하다”. 그 적은 매우 제한되어 있다. 궁극적으로 진정한 성장, 통찰, 성공적인 심리치료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배움과 조사하기, 적들을 다루는 대안적인 방법을 찾기 등을 통해서 적과의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 즉 투쟁이다.

 

Imagine what it would be like if we went through life never encountering an enemy, or any other obstacles for that matter, if from the cradle to the grave everyone we met pampered us, held us, hand fed us (soft bland food, easy to digest), amused us with funny faces and the occasional “goo-goo” noise. If from infancy we were carried around in a basket (later on, perhaps on a litter), never encountering any challenge, never tested -- in short, if everyone continued to treat us like a baby.

만일 우리가 적을 비롯해 어떤 장애물도 만나지 않고 삶을 산다면, 그리고 요람에서 무덤까지 만나는 모든 사람들이 우리를 아껴주고, 떠받들고, 입에 음식을 넣어주고(그것도 자극이 없고 소화가 잘 되는 것으로), 재미있는 표정을 지어 웃겨주고, 가끔 깍궁깍궁 하고 얼러준다면 어떨지 한 번 상상해보라. 또 아기 때부터 바구니에 담아서 데리고 다니고(나중에는 가마 같은 것에 태워서 다니고), 어떤 도전도 만나지 않고, 시험도 받지 않는다면, 간단히 말해 모든 사람들이 계속해서 우리를 아기처럼 다룬다면 어떨지 상상해보라.

 

That might sound good at first. For the first few months of life it might be appropriate. But if it persisted it could only result in one becoming a sort of gelatinous mass, a monstrosity really -- with the ment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veal. It’s the very struggle of life that makes us who we are. And it is our enemies that test us, provide us with the resistance necessary for growth.

그런 대우를 받으면 처음에는 무척 기분이 좋을 것이다. 세상에 태어나 처음 몇 달 동안에는 그렇게 하는 게 적당할 것이다. 하지만 그런 일이 계속된다면, 인간은 송아지 수준의 정신과 감정을 가진 살덩어리에 불과하거나 괴물이 될 것이다. 우리를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만드는 것은 바로 삶 속에서 겪는 투쟁이다. 그리고 우리를 시험하고 성장을 위해서 필요한 장애물을 제공해주는 것은 바로 우리의 적들이다.

 

Is This Attitude Practical?

이런 태도가 실용적인가?

 

The practice of approaching our problems rationally and learning to view our troubles or our enemies from alternative perspectives certainly seemed like a worthwhile pursuit, but I wondered to what degree this could really bring about a fundamental transformation of attitude. I remembered once reading in an interview that one of the Dalai Lama’s daily spiritual practices was the recitation of a prayer, The Eight Verses on The Training Of The Mind, written in the eleventh century by the Tibetan saint, Langri Thangpa. It reads, in part:

문제에 대해 이성적으로 접근하고, 어려운 상황이나 적을 다른 시점에서 바라보는 것은 확실히 가치 있는 일처럼 여겨졌다. 하지만 그것이 얼마만큼 우리의 태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지가 의심스러웠다. 존자님이 매일 하는 영적인 수행 중에는 ‘마음을 변화시키는 여덟 편의 시’라는 기도문을 암송하는 것도 들어있다는 인터뷰 기사를 읽은 기억이 났다. 이 기도문은 11세기 티벳의 성자 랑리 탕빠가 썼다고 한다. 기도문의 부분은 다음과 같다.

 

Whenever I associate with someone, may I think myself the lowest among all and hold the other supreme in the depth of my heart! . . .

누군가를 만날 때마다 언제나 나 자신을 가장 미천한 사람으로 여기고, 내 마음 깊숙한 곳에서 상대방을 최고의 존재로 여기게 하소서!

When I see beings of wicked nature, pressed by violent sin and affliction, may I hold these rare ones dear as if I had found a precious treasure! . . .

나쁜 성격을 갖고 죄와 고통에 억눌린 존재를 볼 때면, 마치 귀한 보석을 발견한 것처럼 그들을 귀하게 여기게 하소서!

When others, out of envy, treat me badly with abuse, slander and the like, may I suffer the defeat and offer the victory to others! . . .

다른 사람이 시기심으로 나를 욕하고 비난해도 나를 기쁜 마음으로 패배하게 하고 승리는 그들에게 주소서!

When the one, whom I have benefited with great hope, hurts me very badly, may I behold him as my supreme Guru!

내가 큰 희망을 갖고 도와준 사람이 나를 심하게 해칠 때, 그를 최고의 스승으로 여기게 하소서!

In short may I, directly and indirectly, offer benefit and happiness to all beings; may I secretly take upon myself the harm and suffering of all beings! . . .

요컨대 나로 하여금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모든 존재에게 도움과 행복을 줄 수 있게 하소서. 남들이 알지 못하게 모든 존재의 불편함과 고통을 나로 하여금 떠맡게 하소서!

 

After I read about this, I asked the Dalai Lama, “I know that you’ve contemplated this prayer a great deal, but do you really think it is applicable these days? I mean, it was written by a monk living in a monastery -- a setting where the worst thing that might happen is someone gossiping about you or telling lies about you or perhaps the occasional punch or slap. In that case it might be easy to ‘offer the victory’ to them -- but in today’s society the ‘hurt’ or bad treatment one receives from others might include rape, torture, murder, etc. From that standpoint, the attitude in the prayer really doesn’t seem applicable.” I felt a bit smug, having made an observation I thought was rather apt, the ol’ bon mot.

이 글을 읽은 뒤 나는 존자님에게 물었다.

“존자님은 이 기도문을 놓고 날마다 명상을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로 이런 태도를 요즘 세상에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이것을 쓴 사람은 수도원의 수도승이었습니다. 그곳에서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의 일은 누군가 당신을 헐뜯고, 거짓말을 하고, 가끔 주먹으로 치거나 뺨을 때리는 정도가 고작이겠지요. 이런 경우에 승리를 그들에게 돌리는 것은 쉬운 일일 것입니다. 하지만 요즘 사회에서 다른 사람들로부터 받는 상처와 나쁜 대우는 강간, 고문, 살인과 같은 것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기도문과 같은 태도를 현실에 실제로 적용할 수 없을 것 같군요.” 나는 내가 적절한 재치 있는 명언을 했다고 생각하면서 좀 뻐기는 기분이 들었다.

 

The Dalai Lama was silent for several moments, his brow furrowed deep in thought, then he said, “There may be something in what you are saying.” He then went on to discuss instances where there may need to be some modification to that attitude, where one may need to take strong countermeasures to others’ aggression to prevent harm to oneself or others.

존자님은 잠시 침묵을 지켰고, 생각에 잠긴 그의 이마에는 더욱 깊은 주름이 잡혔다. 이윽고 존자님이 말했다.

“당신의 말에도 일리가 있습니다.”

존자님은 곧 이어 기도문에 나오는 태도를 수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와, 자신이나 타인에 대한 해를 막기 위해 누군가의 공격에 강력히 대항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대해 말했다.

 

Later that evening I thought over our conversation. Two points emerged vividly. First, I was struck by his extraordinary readiness to take a fresh look at his own beliefs and practices -- in this case, demonstrating a willingness to reeval‎uate a cherished prayer that had no doubt fused with his very being through years of repetition. The second point was less inspiring. I was overcome with a sense of my own arrogance! It occurred to me that I had suggested to him that the prayer might not be appropriate because it wasn’t in keeping with the harsh realities of today’s world.

그날 밤 늦게 나는 존자님과 나의 대화를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그러자 두 가지가 뚜렷하게 떠올랐다. 첫 번째로 존자님이 너무나 쉽게 자신이 갖고 있던 믿음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본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날 존자님은 그 소중한 기도문을 기꺼이 다시 평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물론 그 기도문이 수년 동안 그것을 암송한 그 자신과 하나가 되어 있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었다. 두 번째 점은 그렇게 감동적인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내가 오만함에 빠져 있다는 느낌이었다! 기도문이 오늘날 세계의 가혹한 현실과 맞지 않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고 나는 존자님에게 말했다.

 

But it wasn’t until later that I reflected on who I had been speaking to -- a man who had lost an entire country as a result of one of the most brutal invasions in history. A man who has lived in exile for almost four decades while an entire nation placed their hopes and dreams of freedom on him. A man with a deep sense of personal responsibility, who has listened with compassion to a continuous stream of refugees pouring out their stories of the murder, rape, torture, and degradation of the Tibetan people by the Chinese. More than once I’ve seen the look of infinite caring and sadness on his face as he listened to these accounts, often told by people who crossed the Himalayas on foot (a two-year journey) just to catch a glimpse of him.

하지만 문득 내가 어떤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었는지가 생각났다. 그는 역사상 가장 잔인한 침략 가운데 하나로 손꼽히는 중국의 침략을 받아 나라를 송두리째 잃어버린 사람이었다. 또한 거의 40여년을 망명객으로 살고 있고, 동시에 티벳 민족 전체가 자유를 얻을 수 있는 꿈과 희망을 그에게 걸고 있었다. 자신의 책임감을 가슴 깊이 느끼며, 그는 계속해서 밀려드는 피난민들이 풀어놓는 이야기에 자비심을 갖고 귀를 기울였다. 그것은 중국인들이 티벳인들을 죽이고, 강간하고, 고문하고, 가혹하게 다루는 이야기였다. 존자님이 그런 이야기를 들으며 한없이 걱정스럽고 슬픈 표정을 짓는 것을 나는 여러 번 보았다. 이런 사람들 중에는 존자님을 잠깐이라도 보기 위해 2년에 걸쳐 히말라야를 걸어서 넘어온 사람들도 종종 있었다.

 

And these stories aren’t of physical violence only. Often they involved the attempt to destroy the spirit of the Tibetan people. A Tibetan refugee once told me about the Chinese “school” he was required to attend as a youngster growing up in Tibet. The mornings were devoted to indoctrination and study of Chairman Mao’s “little red book.” The afternoons were devoted to reporting on various homework assignments. The “homework” was generally devised to eradicate the deeply ingrained spirit of Buddhism among the Tibetan people.

그리고 이런 이야기들 속에는 단지 육체적인 폭력에 대한 것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중국인들이 티벳 사람들의 정신을 말살하려고 한다는 이야기도 종종 있었다. 한 피난민이 티벳에서 자라는 동안 청소년으로서 반드시 다녀야 하는 중국 “학교”에 대해 내게 말한 적이 있었다. 오전에 학생들은 공산당 세뇌 교육과 마오쩌둥 주석의 <작은 붉은 책>을 공부하는 데 바쳐야만 했다. 오후 시간에는 갖가지 숙제에 대한 보고를 해야 했다. “숙제”는 보통 티벳 사람들의 마음 깊이 새겨진 불교 정신을 말살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었다.

 

For example, knowing about the Buddhist prohibition against killing and the belief that every living creature is equally a precious “sentient being,” one schoolteacher assigned his students the task of killing something and bringing it to school the following day. The students were graded. Each dead animal was given a certain point value -- a fly was worth one point, a worm two, a mouse five, a cat ten -- and so on. (When I recounted this story to a friend recently, he shook his head with a look of disgust, and mused, “I wonder how many points the student would get for killin’ the damn teacher?”)

예를 들어, 불교에서 살생을 금하고 모든 생명체는 똑같이 귀중한 “생명을 가진 존재”라고 믿는다는 것을 알고 있는 한 교사가 학생들에게 무엇인가를 죽여서 다음 날 학교에 가지고 오라는 숙제를 냈다. 그것으로 학생들은 성적이 매겨졌다. 각각의 죽은 동물에게는 일정한 점수가 주어졌다. 이를테면 파리는 1점, 벌레는 2점, 쥐는 5점, 고양이는 10점이라는 식이었다. (최근에 이 이야기를 한 친구에게 해주자 그는 혐오스런 표정을 지으며 머리를 흔들더니 사려 깊은 투로 말했다. “학생들이 그 빌어먹을 교사를 죽이면 몇 점을 받을까?”)

 

Through his spiritual practices, such as recitation of The Eight Verses on The Training Of The Mind, the Dalai Lama has been able to come to terms with the reality of this situation, yet continue to actively campaign for freedom and human rights in Tibet for forty years. At the same time he has maintained an attitude of humility and compassion toward the Chinese, which has inspired millions worldwide. And here was I, suggesting that this prayer might not be relevant to the “realities” of today’s world. I still flush with embarrassment whenever I think of that conversation.

‘마음을 변화시키는 여덟 편의 시’를 암송하는 것 같은 영적인 수행을 통해 존자님은 이런 상황의 현실과 타협을 하고, 40년 동안 티벳의 자유와 그곳에 남은 사람들의 인권을 위한 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칠 수 있었다. 동시에 그는 중국에 대해 겸손하고 자비로운 태도를 갑고 있었다. 그의 그런 태도는 전 세계의 수백만 명의 사람들을 감동시켰다. 그런데 나는 이런 기도가 오늘날 세계의 현실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말했던 것이다. 그날의 대화를 생각할 때마다 나는 아직도 부끄러운 마음에 얼굴이 화끈거린다.

 

Discovering New Perspectives

새로운 시점을 발견하기

 

In trying to apply the Dalai Lama’s method of shifting perspective on “the enemy,” I happened to stumble upon another technique one afternoon. During the course of preparing for this book I attended some teachings by the Dalai Lama on the East coast. on my return home I took a non-stop flight back to Phoenix. As usual, I had booked an aisle seat. Despite having just attended spiritual teachings, I was in a rather cranky mood as I boarded the packed plane.

“적”에 대한 시점을 바꾸는 존자님의 방법을 적용해보려고 노력하면서, 나는 어느 날 오후 또 다른 방법을 우연히 발견했다. 이 책을 준비하는 동안 나는 존자님이 미국 동부 해안에서 행한 강연에 몇 번 참석했었다. 한번은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피닉스 행 논스톱 비행기를 탔다. 평소 때처럼 나는 통로 쪽 자리를 예약했다. 영적인 가르침을 받는 자리에 참석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이 꽉 들어찬 비행기에 오르자 조금 짜증스런 기분이 들었다.

 

Then I discovered I had been mistakenly assigned a center seat -- sandwiched between a man of generous proportions who had the annoying habit of draping his thick forearm over my side of the armrest and a middle-aged woman whom I took an immediate dislike to because, I decided, she had usurped my aisle seat. There was something about this woman that really bothered me -- her voice a bit too shrill, her manner a bit too imperial, I’m not sure.

그런데 공항 직원의 실수로 내가 가운데 자리를 배정받은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덩치 큰 남자와 중년 여인 사이에서 샌드위치 신세가 되어야 했다. 덩치 큰 남자는 내 쪽 팔걸이로 자신의 두꺼운 팔뚝을 걸치며 나를 신경 쓰이게 했다. 나는 중년 여자를 보자마자 바로 싫은 느낌이 들었다. 그녀가 내 통로 쪽 자리를 빼앗았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 여자는 내 기분을 정말 거슬리는 면을 가지고 있었다. 그녀는 째지는 목소리를 갖고 있었고, 확실치는 않지만 조금 거만해보이기까지 했다.

 

Right after take-off she began talking continuously to the man sitting directly in front of her. The man turned out to be her husband, and I “gallantly” offered to exchange seats with him. But they wouldn’t have it -- they both wanted aisle seats. I grew more annoyed. The prospect of five solid hours seated next to this woman seemed unbearable.

비행기가 이륙하자마자 그녀는 바로 앞자리에 앉은 남자와 계속 떠들기 시작했다. 알고 보니 그 남자는 그녀의 남편이었다. 그래서 나는 용기 있게 그 남자에게 나와 자리를 바꾸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그들은 그럴 생각이 전혀 없었다. 두 사람 모두 통로 쪽을 원했기 때문이다. 나는 점점 더 짜증이 났다. 꼬박 다섯 시간 동안 이 여자 옆에 끼어 앉아 있을 걸 생각하니 도저히 견딜 수가 없었다.

 

Realizing that I was reacting so strongly to a woman who I didn’t even know, I decided that it must be “transference” -- she must subconsciously remind me of someone from my childhood -- the ol’ unresolved-feelings-of-hate-toward-my-mother or something. I racked my brain, but couldn’t come up with a likely candidate -- she just didn’t remind me of anyone from my past.

전혀 알지도 못하는 여자에게 너무 강하게 거부 반응을 보이는 내 자신을 깨닫고서, 나는 그것은 틀림없이 “감정 전이”라고 생각했다. 그녀는 나에게 어린 시절의 누군가를 무의식적으로 떠올리게 한 것이 분명했다. 내가 엄마나 다른 누군가에 대해 오래전부터 갖고 있던, 아직 풀리지 않은 증오감이 다시 살아났을 것이다. 나는 머리를 쥐어짜 보았지만, 그럴 만한 사람을 찾아낼 수 없었다. 결국 그녀를 보면서 과거의 누군가를 떠올릴 수는 없었다.

 

It then occurred to me that this was the perfect opportunity to practice developing patience. So, I started in on the technique of visualizing my enemy in my aisle seat as a cherished benefactor, placed next to me to teach me patience and tolerance. I figured this should be a snap -- after all, as “enemies” go you couldn’t get any milder than this -- I had just met this woman, and she hadn’t actually done anything to harm me. After about twenty minutes, I gave it up -- she still bugged me! I resigned myself to remaining irritable for the rest of the flight. Sulking, I glared at one of her hands that was furtively encroaching on my armrest. I hated everything about this woman.

그 순간 지금이야말로 인내심을 키울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내 통로 쪽 자리에 앉아 있는 적을 나에게 도움이 되는 소중한 사람으로 상상하면서, 그녀가 나에게 인내와 관용의 정신을 가르쳐주기 위해 내 옆 자리에 앉은 것이라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나는 그쯤은 아주 쉬운 일에 속한다고 생각했다. 어쨌든 적으로서 이보다 더 순한 사람을 만나기는 힘들 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단지 그녀와 만난 것뿐이고, 그녀는 실제로 나를 해치는 일은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약 20분이 흐른 뒤 나는 모든 것을 포기했다. 그녀에 대한 짜증스런 느낌이 여전히 그대로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할 수 없이 신경을 곤두새운 채로 나머지 시간을 버티기로 하고 체념했다. 신경질적으로 나는 내 팔걸이 쪽으로 은근히 파고드는 그녀의 손을 보았다. 나는 그 여자의 모든 것을 미워하고 있었다.

 

I was staring absently at her thumbnail when it occurred to me: Do I hate that thumbnail? Not really. It was just an ordinary thumbnail. Unremarkable. Next, I glanced at her eye and asked myself: Do I really hate that eye? Yes, I did. (Of course, for no good reason -- which is the purest form of hate). I focused in closer. Do I hate that pupil? No. Do I hate that cornea, that iris, or that sclera? No. So, do I really hate that eye? I had to admit that I didn’t. I felt that I was on to something. I moved on to a knuckle, a finger, a jaw, an elbow. With some surprise I realized that there were parts of this woman that I didn’t hate.

무심코 그녀의 엄지손톱을 보고 있는데 언뜻 이런 생각이 머리를 스쳤다. 내가 그 엄지손톱을 미워하는가? 그렇지는 않다. 그것은 단지 평범한 손톱일 뿐이었다. 눈에 띌 만한 특징은 없었다. 다음으로 나는 그녀의 눈을 본 뒤 스스로에게 물었다. 내가 저 눈을 정말 미워하는가? 그렇다. (물론, 특별한 이유가 있는 건 아니었다. 그것은 그냥 단순한 미움일 뿐이었다). 나는 초점을 더 좁혔다. 그렇다면 난 그녀의 눈동자를 미워하는가? 아니다. 각막을 미워하는가? 아니면 홍채를? 또는 공막을? 아니다. 그렇다면 난 정말로 그녀의 눈을 미워하는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자 뭔가 이해가 되는 느낌이 들었다. 나는 계속해서 그녀의 손가락 관절, 손가락, 턱, 팔꿈치를 보았다. 놀랍게도 그 여자의 그런 신체 부위를 미워하지 않는다는 걸 나는 깨달았다.

 

Focusing on details, on particulars, instead of over-generalizations, allowed a subtle internal change, a softening. This shift of perspective tore an opening in my prejudice, just wide enough to look at her as simply another human being. As I was feeling this, she suddenly turned to me and started a conversation. I don’t remember what we talked about -- it was small talk mostly -- but by the end of the flight my anger and annoyance had been diffused. Granted, she wasn’t my New Best Friend but also she was no longer The Evil Usurper of My Aisle Seat -- just another human being, like me, moving through life as best she could.

그냥 무턱대고 미워하는 대신, 세부적이고 특별한 것에 초점을 맞추자 미묘한 내면의 변화가 일어나면서 마음이 누그러졌다. 이러한 시점의 변화는 내 편견을 깨뜨리고 그녀를 단순히 또 다른 인간으로서 볼 수 있게 해주었다. 내가 이렇게 느끼고 있을 때, 그녀가 갑자기 내 쪽으로 몸을 돌리더니 말을 걸어왔다. 우리가 무슨 이야기를 나눴는지는 지금 기억이 나지 않는다. 대체로 사소한 이야기였을 것이다. 하지만 비행기가 도착했을 때쯤에는 내 마음 속에서 분노와 짜증은 이미 사라지고 없었다. 그녀는 내가 새로 사귄 절친한 친구가 되진 않았지만, 더 이상 나의 통로 쪽 자리를 차지한 못 돼먹은 강탈자도 아니었다. 그녀는 나처럼 최선을 다해 삶을 살고 있는 또 다른 인간이었다.      

 
다음검색
댓글
  • 14.10.12 06:14

    첫댓글 나무관세음보살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