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유성음(Voiced)과
무성음(Voiceless) 발음
기호 인쇄하기
발음
연습 손을 성대에 대고 발음했을 때 성대가 울리는 것은 유성음이고
그렇지 않는 것은 무성음이다. 모음은 모두 유성음이지만 자음은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나뉜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유성
음
|
/b/
|
/d/
|
/g/
|
/v/
|
/z/
|
/ /
|
/ /
|

|
/m/
|
/n/
|

|
h
|
clear/ l /
|
dark/l/
|
/r/
|
/rl/
|
/w/
|
/j/
|
무성음
|
/p/
|
/t/
|
/k/
|
/f/
|
/s/
|
/ /
|
/ /
|

|
|
|
|
|
|
|
|
|
|
|
2. 폐쇠음(Stop)과 지속음(Continuant)
(1) 폐쇠음(파열음)이란
혀,이,입,입천장등을 통해 입김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완전히 막은 다음 갑자기
터뜨려서(파열시켜서)내는 음을 말한다./p/, /b/ , /t/ , /d/ , /k/ , /g/가
있다 (2) 지속음이란 입김을 부분적으로만 차단함으로써 내는 음으로 자세히
구분하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비음 : 코를 통해 소리를 내는 음으로
/m/ , /n/ , / /이 있다 ② 측음 : 혀의 두 측음을 통해 소리를 내는 음으로
/l/이 있다 ③ 마찰음 : 입김이 입 안의협소한 장소를 통과할 때 생기는 마찰을
통해 나는 음으로 /f/
, /v/ , / / , / / , /s/ , /z/ , / / , / / , /h
/가 있다. ④ 파찰음 : 파열음이 마찰음으로 바뀔 때 생기는 음으로써 / / / 가 있다 ⑤ 반 모음 :소리를 내는 입정한 장소가 없는 음으로 /j/
, /w/ , /r/이 있다.
|
(3) 조음 기관
|
1.
/p / 와 / b /
크게
보기 동영상
보기 p /
b 두 음을 발음할 때 입의 모양은 동일하다.
차이점은 성대를 울리느냐 울리지 않느냐에 있다.
|
|
/ p /의 발음
/ p /가 어두에 왔을 때는 입술에서 입김이 나가지 않도록 입을 다문 다음 성대를 울리지 않고 입김을
퍄열시켜 주면 된다.어미에
왔을 때는 입술을 다물고 소리를 내지 않는다. 이 경우 우리말의 '밥'을
발음 할 때의 받침 'ㅂ'과 비숫하다. ex. pine / pipe ,
tap / clip /
|
/b /의 발음 / p/와 동일하나 성대를 울리면서 파열시킨다. 우리말의 'ㅂ'은
'가방'이나 '선반'처럼 모음 사이나 유성음 뒤에 올 때만 유성음으로 발음되고
그 밖의 경우는 무성음이므로 유성음인 영어의 / b /와는차이가 있다
ex.
bag / bread, crib / sold
|
2.
/ t / 와 /
d /
크게 보기 동영상
보기
|

|
혀끝의 윗니의 윗몸에 위치시킨다음 입김을 멈춘다. 이 혀를
떠어냄과 동시에 입김을 바깥으로 내면 무성음 / t /가 된다. /
t /는 무성음이고 / d / 는 성대를 울리는 유성음이다 ex. time /
town ,
dime / down
|
영어의 /t /와 우리말의
'ㄷ' 'ㅌ' , /d/와 /ㄷ/의 비교
크게 보기 동영상
보기 ㅌ
|

우리말의
'ㄷ' 'ㅌ'은 치음(dental)으로 혀끝을 윗니의 뒷면에 붙인 상태에서 발음하지만
영어의 /d/ ,/t/는 치경음(alveolar)으로 혀끝을 윗니의 윗몸에 대고 발음해야
한다.
** 설탄음 /t/ , /d/ (舌彈音 : Flap Sound) :'water'나 '
ladder'처럼 't'와 'd'가 모음 사이에 오고 뒤에 있는 모음에 강세가 없을 때는
/r/과 유사한 발음난다. ex. battery , water, meddle, ladder
|
3.
/
k / 와 / g /
크게
보기 동영상
보기 k g
/k/는 한국어의 'ㅋ'와 유사한 발음이며 'notebook'의 경우처럼
어미에 왔을 때는 '노트부크'와 같이 '크'를 발음하지 않고 'ㄱ'으로 하여
'노욷북'처럼 발음해야한다./g/ 발음시 유의해야 할 점은 gum을 '껌' , game을
'께임'으로 발음하지 말고 '검' , '게임'으로 발음해야 한다.즉 경음화를 시키면
안된다.
|

|
/ k /의 발음법  혀의
뒷부분이 연구개에 닿도록 위치시켜 숨공기의 통로를 막고 접촉 된 혀를 떼면서
입김을 강하게 내뿜으면 무성음 / k /가 된다.sick처럼 어미에 온 경우는
우리말 'ㄱ'과 비슷하고 'king'처럼 액센트가 있는 모음앞에왔을 때는 한국어의 'ㅋ'와 유사한 음이 된다.
ex. Keep your camera in the case.
|
/
g / 의 발음법 /g/의 발음법은 /k/와 동일하지만 성대를 울려서 발음하는 유성음이다. /g/는
유성음이지만 우리말의 'ㄱ'은 무성음이므로'마감', '농가'의 경우처럼 'ㄱ'이
모음과 모음 사이나 유성음 뒤에 와서 유성음이되었을 때에만 /g/와 유사 하게
된다.
|
4.
/
f / 와 / v /
크게 보기 동영상
보기 f v
/f/와 /v/는
우리말에 없는 발음이므로 정확한 발음법을 익혀서발음해야한다. 주의할 점은
윗입술과 아랫 입술이 닿아서는 안되며 단어의 끝에 /f/ 나 /v/음이 올 때는 입김이
다 내뿜어졌을 때까지 입을 벌려서도 안된다. 입을 너무 빨리 벌리면 give의 경우
/giv/가
아닌 /giv /로 발음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
|
윗니를 아랫입술 안쪽에 대고 입김을 밖으로불어내면서 발음한다 /
f/는 무성음이고 / v /는 유성음이다.
<발음 비교> few / view , belief
/ believe , face / vace
|
5. s / 와 / z /
크게
보기 동영상
보기 s z
/s/우리말의
/ㅅ/과 비슷하게 발음하는 사람이 있는데 영어의
/s/는 /ㅅ/ 보다
더 강한 마찰음이다
|

|
윗니와 아랫니를 조금
벌리고 혀끝을 윗니 바로 뒤쪽에위치시킨 다 음 입김을 불어낸다. 'supermarket'(쑤퍼마켓)처럼
/s/가 강세가 있는 모음 앞에 왔을 때 는 우리말의
/ㅆ/과 동일한 음을 내지만 'small'(스몰)이나 'place'(플레 이스)처럼
/s/가 자음 앞이나 어미에 왔을 때는 /ㅅ/으로
발음된다 /
s /는 무성음 ,/ z /는 유성음이다.
ex. say ,
pencil, easy,
zero
<발음 비교> ice
/ eyes prise
/ prize rice /
rise
|
6. /
/ 와 /
/
크게
보기 동영상
보기
|

|
/ /는
한국어 /쉬/와 가장 가까운 음이다. 혀의 앞부분을 윗니 잇몸 뒤 쪽 에
가까이 위치시켜 발음한다
/ /는
무성음이며 /
/는 유성음이다
ex.
impression finish garage
usual
|
7. / / 와
/ /
우리말의 /취/ ,
/쥐/와 비슷한 발음이다
크게
보기 동영상
보기
|

|
혀의 윗니를 잇몸(tooth
ridege)에 댐으로써 입김의 유출을 막았다가 갑자기
때면서 발음한다. / t / 발음을 시작할 때와 같은 위치(윗니의 잇몸)에
혀끝을 댄 다음 / /의
위치로 이동하면서(혀의 앞부분을 윗니 의
잇몸 뒤쪽에 위치시킴) 입김을 내보낸다
/ /는
무성음이고 / /는
유성음이다
ex. church teach judge
bridge
|
8. /
/
와 / /
크게
보기 동영상
보기
|

|
우리말에
없는 발음이다.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혀끝을 가볍게 대고 입김을
불어 낸다. /
/는
무성음이고 / /는
유성 음이다
ex. thumb, thigh
, thin , this, they <발음 비교1> thigh / thy , cloth / clothe,
bath /
bathe
<발음비교2> think
/ sink , thought / sought /
/ 와 / s /, /
/와 / z /를 구별해서 하지 않으면 의미상 차이를 가져오므로
주의해야한다
|
10. /
n /의 발음법
크게
보기 동영상
보기
|

|
치경 비음(alveolar nasal) 으로 혀끝을
윗니의 잇몸에 붙이고 코를 통해 발음한다.
이 때 혀끝의 위치는 / t / , / d / , / l / 과 동일하다 한글의
/ㄴ/ 매우 유사한 발음이지, /ㄴ/ 의 경우에는 혀끝을 윗니 바로
뒤에 붙혀서 발음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ex.
noon , narrow , know
, man
|
11. /
/의 발음법
크게
보기 동영상
보기
|
|
혀의
뒷부분이 연구개에 닿도록 하여 코를 통해 발음한다 (비음) /
/이 어미에 올 때는 / g /를 첨가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즉 bang은 / 뱅 /으로
발음해야지 /뱅그/로 하면 안된다. 한글 / 상 / 에서
받침 /ㅇ/ 과 매우 유사한 발음이지만 더 분명하고 강하게 발음 해야한다
ex.
king ring long
strong
|
12. /
h /
크게
보기 동영상
보기
|
|
입을 벌리고 혀가 어떤 접촉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를 밖으로 불어낸다. 입술과
혀는 / h /다음에 오는 모음을 발음하기 위한 형태 를 취하게
된다.
|
13. clear
/ l /
크게
보기 동영상
보기
|

|
l 다음에 모음이 오는 경우로서
혀끝을 윗니의 잇몸에 밀착시켜 발음 한다. /
t /와 / d /를 발음 할 때의 위치와 동일하다. 그러나 / t /와 /
d /의 경우보다 혀에 힘을 강하게 주어서 혀의 양쪽으로 소리를 내 보낸다.
ex.
blue /부루/ (X) /블루/ (O)
, black
/브랙/ (X) /블랙/ (O)
|
14. dark
/ l /
크게
보기 동영상
보기
|

|
l 다음에 자음이 오거나 l이
어미에 오는 경우로서 혀끝이 윗니의 잇몸에 가볍게
닿거나(혀에 힘을 뺀 경우) , 닿으려는 순간에 발음 한다.
이때 혀의 뒷 부분은 clear l 의 경우보다 더 높이 올라간다. dark
l은 /엘/아니고 /에-엘/과 같이 길게 여음을 갖는다. help는 help는
/헤엘프/, heel은 /히-일/ ,
pool은 /푸울/ 로 앞의 모음을 길게 빼준다
|
15. /
r /
크게
보기 동영상
보기
|
|
혀끝을 입천장
(경구개의 앞부분)쪽으로 구부려 올리되 입천장에는 조금도
닿지 않게 하고 입모양을 약간 둥글게 하여 발음한다. 이
발음을 / l / 구별해서 정확하게 하지 않으면 의미상 차이를 가져 오므로
주의해야한다. 특히 한국 사람들은 / r/ 발음을 /l /로 하므로 실수를
하는 경우가 많다 <발음비교>
law
(법) - raw (날 것의) , lice (이) - rice (쌀) light
(빛) - right (오른쪽)
|
16. /
rl /
크게
보기 동영상
보기
|

|
일단 혀를 구부려 / r /을
발음한 다음 / l / 발음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이 때 유의할 점은 / r / 발음시 혀끝이 입 천장에
조금도 닿 지 않도록 해야한다
ex.
pearl squirrel curl
girl
|
17. /
w /
크게
보기 동영상
보기
|

|
/ w /는 반모음이다. wood를 발음할 때 /ud/라고 발음하는
사람이 많은데 /wud/라고 확실히 발음해야 한다. 즉,
/ w /음에서 / u /음 으로 빨리 넘어가며 발음해야 한다. 이때는
/ u /보다 입술을 꽉 조여 둥글게하고
혀는
연구개 (맨 위의 조음 기관 그림을 참고하기 바람) 쪽으로 잡아 올 린다.
TOP
|
첫댓글 20011451 (02영어발음) 강승영
20010668 이영구 [영어발음02강좌] 저 이거 과제할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