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옛 시조 47수와 추억 ▣▣▣
▣▣▣ 옛 시조 모음 47 수 ▣▣▣
(청산은 나를 보고) - 나옹선사
청산(靑山)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명월(明月)은 나를 보고 티 없이 살라하네 욕심(慾心)도 벗어놓고 성냄도 벗어놓고 바람같이 구름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나옹선사 (1262-1342) ;고려 말기의 고승, 공민왕의 왕사. (춘산에 눈 녹인 바람) - 우 탁
춘산에 눈 녹인 바람 건듯 불고 간 데 없다 저근듯 빌어다가 머리 우에 불리고자 귀밑의 해묵은 서리를 녹여 볼까 하노라
우 탁 (1262-1342) ; 고려 말기의 학자, 성리학에 뛰어남.
(이화에 월백하고) - 이조년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은 삼경인데 일지춘심을 자규야 알랴마는 다정도 병인냥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이조년 (1268-1343) ; 고려 말의 학자, 시와 문장에 뛰어남.
(녹이상제 살찌게 먹여) - 최 영
녹이상제 살찌게 먹여 시냇물에 씻겨 타고 용천 설악 들게 갈아 두러 메고 장부의 위국충절을 세워 볼까 하노라
최 영 (1316-1388) ; 고려 말의 명장, 이성계에게 죽임을 당함
(가마귀 사우는 골에) -김정구
가마귀 싸우는 골에 백로야 가지 마라 성난 가마귀 흰 빛을 새오나니 창파에 좋이 씻은 몸을 더럽힐까 하노라
지은이가 정몽주의 어머니라고 하나, 연산군 때 김정구라는 설이 확실함.
(이 몸이 죽고 죽어) - 정몽주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 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정몽주 (1337-1392) ; 고려 말의 위대한 충신, 이방원에 의해 피살됨
(오백년 도읍지를) -길 재
오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 산천은 의구한데 인걸은 간 데 없네 어즈버 태평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길 재 (1353-1419) ; 고려 말의 학자, 고려가 망하고 고향에 숨어서 살았다
(백설이 잦아진 골에) - 이 색
백설이 잦아진 골에 구름이 머흐레라 반가운 매화는 어느 곳에 피었는고 석양에 홀로 서서 갈 곳 몰라 하노라
이 색 (1328-1395) ; 고려 말의 학자, 조선 건국 후에 벼슬을 그만 둠.
(백두산 돌 칼 갈아 없애고) - 남 이
백두산 돌 칼 갈아 없애고 두만강 물 말 먹여 없애리 남아 나이 이십에 나라 평정 못할진대 후세에 뉘라서 대장부라 하리요
남 이 (1441-1468) ; 조선 초 훌륭한 장군, 간신 유자광의 모함으로 죽음.
(흥망이 유수하니) - 원천석
흥망이 유수하니 만월대도 추초로다 오백년 왕업이 목적에 부쳤으니 석양에 지나는 객이 눈물겨워 하노라
원천석 ( ? ) ; 고려 말의 학자, 절개의 선비.
(눈 맞아 휘어진 대를) - 원천석
눈 맞아 휘어진 대를 뉘라서 굽다 턴고 굽을 절이면 눈 속에 푸르르랴 아마도 세한고절은 너 뿐인가 하노라
원천석 ( ? ) ; 고려 말의 학자, 절개의 선비.
(오리의 짧은 다리) - 김 구
오리의 짧은 다리 학의 다리 되도록 검은 가마귀 해오라비 되도록 항복무강하사 억만 세를 누리소서
김 구 (1488-1543) ; 조선 전기 학자, 서예와 문장에 뛰어남
(고인도 날 못 보고) - 이 황
고인도 날 못 보고 나도 고인 못뵈 고인을 못봐도 예던 길 앞에 있네 예던 길 앞에 있거든 아니 예고 어쩔꼬
정 철 (1501-1570) ; 조선시대 학자, 도산서원에서 후진 양성함.
(내해 좋다 하고) - 변계랑
내해 좋다 하고 남 싫은 일 하지 말며 남이 한다 하고 의 아녀든 좇지 마라 우리는 천성을 지키어 생긴 대로 하리라
변계랑 (1369-1430) ;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 시와 문장에 뛰어남
(태산이 높다 하되) - 양사언
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 리 없건마는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양사언 (1517-1584) ; 조선 전기 학자, 서예에 뛰어남.
(이런들 어떠하며) - 이방원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어져 백년까지 누리리라
이방원 (1367-1422) ;이성계의 다섯 째 아들, 뒤에 태종 임금이 됨.
(샛별지자 종다리 떳다) - 김천택
샛별지자 종다리 떳다 호미 메고 사립 나니 긴 수풀 찬이슬에 베잠뱅이 다 젖는다 소치는 아이놈은 상기 아니 일었느냐 재 넘어 사래긴 밭을 언제 가려 하느냐
김천택 (?-?) ; 조선 영조 때 가인, 평민출신의 가객으로 청구영언 등 많은 작품을 남김.
(강호에 봄이 드니) - 맹사성
강호에 봄이 드니 미친 흥이 절로 난다 탁료계변에 금린어 안주 삼고 이 몸이 한가 하옴도 역군 은이샷다
맹사성 (1360-1438) ; 세종 때의 대신, 효성이 뛰어나고 청렴한 관리임
(삼동에 베옷 입고) - 조 식
삼동에 베옷 입고 암혈에 눈비 맞아 구름 낀 볕뉘도 쬔 적이 없건마는 서산에 해 지다 하니 눈물겨워 하노라
조 식 (1501-1572) ; 조선 전기의 큰 학자, 초야에 묻혀 학문에만 전념함.
(강호에 봄이 드니) - 황 희
강호에 봄이 드니 이 몸이 일이 하다 나는 그물 깁고 아희는 밭을 가니 뒷 메헤 엄기난 약을 언제 캐랴 하나니
맹사성 (1360-1438) ; 조선 초의 훌륭한 재상, 청렴한 관리였음
(간밤에 불던 바람) - 유응부
간밤에 불던 바람 눈서리 치단 말가 낙락장송 다 기울어 지단 말가 하물며 못다 핀 꽃이야 일러 무삼하리오
유응부 (?-1456) ; 사육신의 한사람, 사육신은 세조에 의해 죽은 충신들임.
(가마귀 검다 하고) - 이 직
가마귀 검다 하고 백로야 웃지 마라 겉이 검은들 속조차 검을소냐 겉 희고 속 검은 이는 너뿐인가 하노라
이 직 (1362-1441) ; 고려 말 조선초의 학자
(대추 볼 붉은 골에) - 황 희
대추 볼 붉은 골에 밤은 어이 듣드리며 벼 벤 그루에 게는 어이 내리는고 술 익자 체 장수 돌아가니 아니 먹고 어이리
황 희 (1363-1452) ; 조선 초의 훌륭한 재상, 청렴한 관리였음. (가마귀 눈비 맞아) - 박팽년
가마귀 눈비 맞아 희는 듯 검노매라 야광명월이야 밤인들 어두우랴 임향한 일편단심이야 변할 줄이 있으랴
박팽년 (1417-1456) ; 사육신의 한사람, 단종을 다시 모시려다 사형 당함
(수양산 바라보며) - 성삼문
수양산 바라보며 이제를 한하노라 주려 죽을진정 채미도 하는 것가 아무리 푸새엣 것인들 그 뉘 땅에 났더니
성삼문 (1418-1456) ; 사육신의 한사람, 단종을 다시 모시려다 사형 당함. (이 몸이 죽어 가서) - 성삼문
이 몸이 죽어 가서 무엇이 될고 하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 되었다가 백설이 만건곤할 제 독야청청 하리라.
성삼문 (1418-1456) ;사육신의 한 사람, 훈민정음 창제에 공이 큼.
(이런들 어떠하며) - 이 황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료 초야우생이 이러타 어떠하료 하물며 천석고황을 고쳐 무엇하료
이 황 (1501-1570) ; 조선시대 최고의 학자, 도산서원에서 후진 양성함. (한 손에 가시 쥐고)- 우 탁
한 손에 가시 쥐고 또 한손에 막대 들고 늙는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렸더니 백발이 제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풍상이 섯거 친 날에) - 송 순
풍상이 섯거 친 날에 갓 피온 황국화를 금분에 가득 담아 옥당에 보내오니 도리야 꽃이온 양 마라 임의 뜻을 알괘라
송 순 (1493-1583) ; 조선 전기 학자, 벼슬 그만 두고 독서와 문장을 즐김
(청산은 어찌하여) - 이 황
청산은 어찌하여 만고에 푸르르며 유수는 어찌하여 주야에 긋지 아니는고 우리도 그치지 말고 만고상청 하리라
이 황 (1501-1570) ; 조선시대 최고의 학자, 도산서원에서 후진 양성함.
(철령 높은 곳에) - 정 철
철령 높은 곳에 쉬어 넘는 저 구름아 고신원루를 비삼아 띄워다가 님 계신 구중심처에 뿌려본들 어떠리
정 철 (1536-1593) ; 조선 선조 때의 문신 시인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등 가사집이 있다.
(청초 우거진 골에) - 임 제
청초 우거진 골에 자난다 누웠난다 홍안은 어디 두고 백골만 묻혔나니 잔 잡아 권할 이 없으니 그를 설어 하노라
임 제 (1549-1584) ; 조선 전기의 풍류남자, 문장에 뛰어남
(추강에 밤이 드니) - 월산대군
추강에 밤이 드니 물결이 차노매라 낚시 드리우니 고기 아니 무노매라 무심한 달빛만 싣고 빈배 저어 오노라
월산대군 (1455-1489) ; 조선 초기 성종임금의 형으로 34세에 요절한 불우한 왕손, 문장과 풍류가 뛰어남.
(국화야 너는 어이) - 이정보
국화야 너는 어이 삼월춘풍 다 지나고 낙목한천에 네 홀로 피었나니 아마도 오상고절은 너뿐인가 하노라
이정보 (15??-?) ; 조선중기의 이름난 학자
(이화에 월백하고) - 이조년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은 삼경인데 일지춘심을 자규야 알랴마는 다정도 병인냥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이조년 (1268-1343) ; 고려 말의 학자, 시와 문장에 뛰어남.
(초당에 일이 없어) - 유성원
초당에 일이 없어 거문고를 베고 누어 태평성대를 꿈에나 보려터니 문전에 수성어적이 잠든 나를 깨워라
유성원 (?-1456) ; 사육신의 한 사람, 당시에 집에서 자결했음
(한산섬 달 밝은 밤에) - 이순신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 긴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던 차에 어디서 일성호가는 남의 애를 끊나니
이순신 (1545-1598) ; 조선 선조 때의 장군, 임진왜란 때 나라를 구하고 전사함.
(이고 진 저 늙은이) - 정 철
이고 진 저 늙은이 짐 벗어 나를 주오 나는 젊었거늘 돌인들 무거우랴 늙기도 서러라커늘 짐을조차 지실까
정 철 (1536-1593) ; 조선대 문인, 송강 가사로 유명함
(짚방석 내지 마라) - 한 호
짚방석 내지 마라 낙엽엔들 못 앉으랴 솔불 혀지 마라 어제 진 달 돋아 온다 아희야 박주 산챌망정 없다 말고 내어라 한 호 (1543-1605) ; 조선대 명필 한석봉, 떡 장사 어머니 이야기가 유명함.
(장백산에 기를 꽂고) - 김종서
장백산에 기를 꽂고 두만강에 말 씻기니 썩은 저 선비야 우리 아니 사나이야 어떻다 인각화상을 누가 먼저 하리오
김종서 (1390-1453) ; 세종 때의 뛰어난 장군, 뒤에 수양대군에게 죽음.
(가노라 삼각산아) - 김상헌
가노라 삼각산아 다시보자 한강수야 고국산천을 떠나고자 하랴마는 시절이 하 수상하니 올동말동하여라
김상헌 (1570-1650) ; 조선 인조 때의 절개 곧은 선비, 청나라에 항거한 삼학사 (윤집 오달재와).
(천만리 머나먼 길에) - 왕방연
천만리 머나먼 길에 고운 님 여의옵고 내 마음 둘 데 없어 냇가에 앉았으니 저 물도 내 안 같아여 울어 밤길 예놋다
왕방연 ( ? ) ; 사육신 사건 때 단종을 귀양지 영월까지 모셨던 사람.
(간밤에 불던 바람) - 유응부
간밤에 불던 바람 눈서리 치단 말가 낙락장송 다 기울어 지단 말가 하물며 못다 핀 꽃이야 일러 무삼 하리오
유응부 (?-1456) ; 사육신의 한사람, 사육신은 세조에 의해 죽은 충신들임.
(마음이 어린 후이니) - 서경덕
마음이 어린 후이니 하는 일이 다 어리다 만중운산에 어느 님 오리마는 지는 잎 부는 바람에 행여 그인가 하노라
서경덕 (1489-1546) ; 조선 전기의 대학자, 평생을 벼슬하지 않고 학문만 함.
(장검을 빠혀 들고) - 남 이
장검을 빠혀 들고 백두산에 올라 보니 대명천지에 성진이 잠겼에라 언제나 남북풍진을 헤쳐 볼까 하노라
남 이 (1441-1468) ; 조선 초 훌륭한 장군, 간신 유자광의 모함으로 죽음.
(삭풍은 나무 끝에) - 김종서
삭풍은 나무 끝에 불고 명월은 눈 속에 찬데 만리변성에 일장검 짚고 서서 긴파람 한 소리에 거칠 것이 없에라
김종서 (1390-1453) ; 세종 때의 뛰어난 장군, 뒤에 수양대군에게 죽음.
(산은 옛 산이로되) - 황진이
산은 옛 산이로되 물은 옛 물이 아니로다 주야에 흐르니 옛 물이 있을소냐 인걸도 물과 같아야 가고 아니 오노매라
황진이 (15??-?) ; 조선중기의 이름난 기생, 시와 가무에 뛰어남.
<방화수류정에서 바라 본 석양>
▣▣ 추억 ▣▣ - 공산성 -
- 수원 화성 -
-관악산 -
-현충원 -
- 광교산 A코스 턴지점 -
<광교산>
<세월은 흘러만 가는데>
<남은여생은 건강하게 즐기며...>
<감사합니다>
|
|
첫댓글 명품입니다
두고 두고 보아야 할터인데......,
캄사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다미가 마지막을 장식했군요~~~
청산유수님 미인들이 그리 따라오니 기쁨 어찌할까....
내가 더좋은 이날 잊을수가 없어라......ㅎ
감사합니다... 언제나 언제나 건강하시길~~~~~
아공 과찬이십니다
아무튼 좋은 덕담으로 사기를
올려주시니 몸둘바를 모르것네요
왕창 감사드림니다
참... 좋은 글과 옛 선인들의
숨가뿐 심정을 잘 표현한 글들에...
지금에 시국에 비춰서
잘 새기고 갑니다..
어수선한 세월은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네.
모두가 그 때의 세월을
빗대어 남긴 글들인데..
이 세월에도 같은 세월이
흘러가는것을 보니..
흘러가는 물소리는
어느 시절에도 그치지 않는지 ..
속깊은 물처럼 살다가지 못함은
흘러가는 물은
내스스로 소리를 그치지 못함일까...
작금에 진리는
변함이 없는것 같습니다
고명하신 지기님 의견에 공감하며 감사드림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