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당대(唐代)에 시가(詩歌)가 흥성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시(诗)는 중국 문학을 대표하는 장르이다. 중국은 '시의 나라'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가(诗歌)가 가장 흥성한 때는 중국 당대(唐代)였다. 청대(清代) 강희(康熙) 연간에 편찬된 『전당시(全唐诗)』에는 무려 48,900 여수의 당시(唐诗) 작품들이 실려 있으니, 당 시대에 얼마나 시가가 흥성했는지 알 수 있다. 그러면, 시가가 당대에 들어와 그렇게 흥성했던 원인은 무엇일까? 그 원인으로는 다음과 사실들을 들 수 있다.
첫째, 시가(诗歌) 자체의 역사적 진화이다.당대 이전에 이미 칠언고시(七言古诗)와 율절(律绝)의 신체시(新体诗)가 출현하여 다음의 발전의 기회를 기다리고 있었다. 바로 이런 시체(诗体)를 이용해서 당대의 시인들은 신의 시적(诗的) 역량을 십분 발휘하여 훌륭한 작품들을 써 낼 수 있었다.
둘째, 정치적 지지이다.당대(唐代)는 군주에게 권력이 집중된 시대였다. 이런 중앙 집권적 정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하여 관료 조직이 절대 필요했다. 황제들은 관료 사대부의 행정 조직과 그 지지가 필요했는데 이런 고급 관리는 과거(科举) 제도를 통해서 충원되었다. 과거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진사과(进士科)였는데, 시문(诗文)을 지어 자신의 지식과 문장 능력을 증명하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 민간의 시인들이 과거에 합격해 정부의 관리가 되었던 것이다. 이렇게 하여 당대 문학의 주도권은 완전히 관료 사대부들의 손 안에 들어 갔다. 더구나, 당 시대의 황제들 중에는 시가를 애호한 사람들이 많아서 사대부들의 작시(作诗) 활동은 더욱 촉진되었다. 이를테면, 태종(太宗)은 이세민(李世民)은 문학관(文学馆)과 홍문관(弘文馆)을 개설하여 학자들과 시인들을 불러들여 우대했다.
셋째, 시인들의 사회적 지위의 변화이다.당대 이전에는 문학 활동이 거의 귀족들에게 제한되어 있었다. 이를테면 서진(西晋)과 동진(东晋), 남북조(南北朝) 때에는 조정의 군주와 귀족들이 문단을 독점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은 당대에 들어와 크게 달라졌다. 이전의 민간의 서민 출신의 시인들은 재능이 있어도 정치 권력에 접근하기 어려웠지만, 당대에는 과거 제도를 통해 자신의 시적(诗的) 재능으로 중아 정치에 진출할 수 있었다. 서민 출신의 시인들이 과거와는 달리 사회 상층부에 들어갈 수 있었다. 시인들의 지위의 급상승이라 아니 할 수 없다. 당대의 시인들은 귀족 계급이 아니라 그 부분은 민간에서 나와서 민중의 삶을 살아본 적이 있었고, 현실 사회에 대한 체험이 풍부했다. 이런 출신 배경은 당대 시인들의 시작의 주제와 소재를 크게 확대시켜 주었다. 현실에서 동떨어진 문학은 그 생명이 오래 갈 수 없는 것인데, 당대의 시인들은 민중의 현실적 생활에 밀착되어서 생명력으로 충만했던 것이다.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시작(诗作)을 통해 관직을 얻었고, 관직에 오른 후에도 민중의 삶과 민중적 체험을 시를 통해 표현했다. 그래서 당대의 시인들의 시경(诗境)은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이 풍부할 수 있었다.
넷째, 새로운 민족 기질의 형성이다. 오호십육국(五胡十六国) 시대부터 당대(唐代)까지는 이민족들이 중국 내지에까지 들어가서 민족 혈통의 대혼합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 대혼혈을 거쳐서 중국 대륙에 새로운 민족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런 거대한 혼혈 양상에 의한 새 민족의 출현은 당연히 문학적으로도 새로운 기풍을 일으켰다. 대표적인 예로 이백(李白)을 들 수 있다. 이백의 특히한 성격에 대해 최근에 일부학자들은 그 원인이 그의 혼혈에서 기인한 것이라고도 생각한다. 새로운 민족 기질과 더불어 당 왕조의 대외 확장 정책은 이민족과의 접촉을 더욱 증대시켰다. 중국 한족과 이민족과의 혈통적, 문화적 혼합은 자연스럽게 문학에도 반영되어 새로운 기풍을 조성했다. 그래서 당시(唐诗)는 풍격이 복잡다단하고 웅장운혼하며 창조 개척의 정신으로 충만한 양상을 지니게 되었다.
----
(위의 글을 무단으로 퍼 가거나 허가 없이 전재하면 관계 법률의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첫댓글 唐代의 시가 (詩歌)가 흥성했던 이유 잘 읽고 갑니다^^*
别客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