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다락골사랑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 축산 스크랩 보증종모우 정액을 이용한 우량송아지 생산
조디안 추천 0 조회 53 08.02.20 21:29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1. 보증종모우의 선정과정
    한우검정은 검정요령(농림부고시 제97-18호. 97.3.6)에 의거 유전적으로 능력이 우수한 씨소인 보증종모우를 선발하기 위해서 당대검정과 후대검정을 실시하고 있다.
  당대검정은 농협 한우개량사업소에서 주관하고 후대검정은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실시하고 있다.
           
  2. 당대검정조건
    당대검정이라함은 후보종모우를 선발하기 위하여 당해 수소의 능력을 검정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당대검정우는 다음 조건에 해당되어야 한다. 당대검정우는 종빈우에서 태어나고 생후 160일령 이전에 이유한 수송아지, 등록기관에 혈통등록이상으로 등록되고, 혈액형 검사결과 친자가 확인된 것, 외모심사 평점이 75점 이상인 것, 생후 120일령에서 160일령 사이의 수송아지 일 것, 당대 검정우나 당대검정우의 부모 또는 형제 자매중에서 선천성 기형이나 유전적 불량형질이 나타나지 않는 것, 생후 180일령 체중이 150㎏g이상인 것을 검정한다.
검정방법은 예비검정과 본검정으로 구분하되, 예비검정은 생후 150일령에서 180일령사이에 최소 20일 이상으로 하며, 동 기간중에 기생충 구제, 예밥접종, 질병검사와 사육 환경에 대한 적응여부를 검정하고 본검정은 예비검정이 끝난후 180일간 실시한다.
  당대검정우의 조사사항은 체중, 체위,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 및 외모심사, 정액검사를 실시한다.
  당대검정우 선발을 위한 최종평가 기준은 표준화된 지수식인 다음과 같은 선발지수를 사용한다.

      표준화된 지수식
     
I = 43.8X1+ 0.109X2- 5.36X3+ 29.125
         
X1=일당증체량, X2=12개월체중, X3=사료요구율(TDN)
           
  3. 후대검정조건
    후대검정이라함은 보증종모우를 선발하기 위하여 후보종모우의 자손의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후대검정대상이 되는 후보종모우는 당대검정에 의하여 선발되고 도 및 전국단위 축산진흥대회에서 입선된 것이나 종축검사합격축 또는 이에 준하는 외모심사 결과 75점 이상으로 종축등록이 된것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이는 12~18개월령으로 12개월령체중이 350㎏이상이고 정액검사에 합격되어야 한다.
  교배빈우는 후대검정용 송아지를 생산하는 암소로 나이는 2~6세로서 정상적으로 발육되고 외모심사결과 70점이상인 것으로 체중은 300㎏이상이며 등록기관에 종축으로 등록된 것으로 생년월일, 산차, 체중 및 번식상황 등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여야 한다.
  검정대상우라함은 후대검정을 위하여 생산된 수송아지를 말하는 것으로 검정은 예비검정과 본검정으로 구분하여 예비검정은 본검정 개시전 최소 20일간, 본검정 개시일령은 270~300일령으로 360일간 검정하며 검정대상우의 선정기준은 후보종모우1두당 교배빈우30~60두를 교배시켜 생산된 수송아지가 10두이상이어야 하고 이유일령은 120일-160일령으로 하며 외모는 기형 및 유전적 결함이 없어야 한다. 또한 검정개시두수는 후보종모우 1두당 8두 이상으로 한다.
조사항목은 검정대상우의 체중, 체위,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도체성적 및 외모심사로 한다.
  이러한 성적이 얻어져서 후대검정이 완료된 후보종모우는 검정성적을 가축개량협의회(한우분과)에서 정한 지수식( I = 0.75×SBVcwt + 0.75×SBVema + 1.5×SBVms) 여기서 SBVcwt : 냉도체중의 육종가를 표준화한 값, SBVema : 배장근단면적의 육종가를 표준화한 값, SBVms : 근내지방도의 육종가를 표준화한 값에 의해 평가한 후 가축개량협의회 심의를 거쳐 보증종모우로 선발된다(그림 1, 표 1).
           
 
 
그림 1. 선발된 보증종모우
           
  표 1. 현보유 보증종모우 능력(1등급)
 
KPN명호
추정육종가
선발
지수
도체중
배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
육종가
신뢰도
육종가
신뢰도
육종가
신뢰도
KPN279
KPN334
KPN261
KPN232
KPN336
KPN338
KPN243
KPN244
KPN289
KPN263
KPN200
KPN291
KPN256
KPN267
KPN179
12.758  
1.583  
6.806  
1.332  
8.285  
7.437  
5.738  
11.796  
7.165  
6.205  
8.41    
-1.503  
11.075  
3.772  
9.137  
78
71
70
69
57
61
76
68
76
70
75
79
67
63
75
2.174
0.526
1.567
0.632
2.298
0.615
-0.135  
3.378
0.464
2.913
3.172
0.401
-0.189  
2.000
1.004
76
70
69
68
56
59
75
67
75
69
74
78
66
62
73
0.665
0.751
0.579
0.719
0.469
0.538
0.592
0.259
0.520
0.375
0.276
0.604
0.398
0.356
0.306
76
69
67
65
55
58
74
66
74
67
72
77
65
61
71
6.001
4.743
4.623
4.558
4.380
4.052
3.918
3.869
3.852
3.833
3.544
3.465
3.308
3.104
2.945
           
  4. 종모우의 활용
    비육밑소를 선택할 때 암소에 어떤 수소를 교배하였느냐에 따라 송아지의 능력과 자질이 달라지므로 우수한 수소와 교배시키는 것이 개량효과를 극대화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현재 가축개량사업소에서 생산공급하고 있는 한우의 정액은 100% 보증종모우의 정액이며, 이러한 숫소의 능력을 알면 송아지 선발시 중요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암소를 기르고 있는 번식농가는 암소를 종축으로 등록(한국종축개량협회)하고 육질이 우수한 보증종모우의 정액으로 계획교배에 의한 인공수정을 통해 송아지를 생산하여야 하며, 이렇게 생산된 송아지를 비육 밑소로 선정하여 사육하면 육량을 늘리고 육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고급육 생산에 유리하다. 특히 주의하여야 할 점은 정액을 선택할 때 농가가 키우는 암소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보완하여야 할 부분에 가장 합당한 종모우의 정액을 선택하여 인공수정을 시켜야 한다.
  축산기술연구소에서 발간하는 한우유전능력평가보고서 책자에 종모우별 생산형질과 체형의 유전능력이 자세하게 표시되어 있는데, 육량과 육질이 우수한 고급육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 상강도(근내지방도)등을 참고하여 종모우정액을 선택하여 수정하면 우수한 송아지가 생산되어 생산성 향상은 물론 농가 소득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가. 육종가(Breeding value)와 추정 전달 능력(PTA)
      어떤 가축의 육종가는 그 가축의 종축으로서의 가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KPN000'이란 종모우의 18개월령 체중에 대한 육종가는 우리나라에 있는 여러 암소를 임의로 뽑아 'KPN000'과 교배하여 송아지를 얻은 다음, 이 송아지들의 18개월령 평균체중에서 우리나라 소 전체의 18개월령 체중의 평균을 뺀 값을 2배한 값이 된다. 여기서 2배를 하는 것은 'KPN000' 능력의 절반만이 송아지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암소를 많이 뽑을수록 다시 말해 교배하여 얻은 송아지의 숫자가 많을수록 우리가 구한 육종가의 정확도는 높아진다(무한히 많은 암소와 교배를 하여 송아지를 얻으면 정확한 육종가를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사실상 이렇게 하기란 비용, 시간, 노력이 많이 들고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일정한 두수의 암소를 뽑아 교배를 하여 송아지를 얻어 이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육종가를 추정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추정한 육종가(Estimated Breeding Value ; EBV)의 정확도를 표시하기 위해 '신뢰도'를 표시한다.
  어떤 개체의 육종가가 음(-)의 값이 나왔다면 아래 식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그 개체의 능력이 전체 평균보다도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할 것은 육종가가 음의 값이 나왔다고 해서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만약 체중에 대한 사료요구율(체중 1㎏을 증가하는데 필요한 사료의 양)의 육종가를 추정하여 보니 A란 소는 2가 나오고 B란 소는 -2가 나왔다고 하자. 이는 A소가 평균보다 2㎏을 더 먹고 체중 1㎏을 낸다는 것이고 B소는 평균보다 2㎏이나 적게 먹고도 같은 양의 체중이 증가한다는 것이 된다. 즉, 이런 경우에 음의 값이 나온 것이 더 우수한 것이 된다.

개체 A의 육종가 추정치 = 2×(개체 A 자손들의 평균 - 전체 평균)

  'KPN000'의 참육종가가 100이었다면 이 개체가 자손에게 유전적으로 물려줄 수 있는 능력은 100의 절반인 50이 된다(정자 또는 난자는 전체 유전자의 절반만 가지므로). 즉 어떤 개체가 그 다음 세대로 전달하는 값은 그 개체의 육종가의 절반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어떤 개체가 새끼에게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유전전달능력(Transmitting Ability)'이라고 하고 이는 그 개체 육종가의 절반이 된다. 즉 A 개체의 유전전달능력(TA) = 1/2 × A 개체의 육종가(BV)가 된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할 것은 어떤 가축의 참육종가를 정확히 아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통계적으로 추정한 추정 육종가(Estimated Breeding Value;EBV)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참육종가 대신에 추정한 육종가 즉 추정 육종가를 사용하고 이에 따라 우리가 구한 유전 전달 능력도 역시 참유전 전달 능력이 아닌 추정 전달 능력(Predicted Transmitting Ability;EPA)이 되는 것이다. 즉 Arocp의 추정 유전전달능력(PTA) = 1/2 × A 개체의 추정육종가(EBV)이 된다.
  따라서 각 형질별 PTA는 후대검정성적 중에서 해당형질에 미칠 수 있는 환경적인 요인을 제거하고 종모우가 후대에게 물려줄 수 있는 순수한 유전적 요인만을 나타낸 수치이다.
  일당증체량을 예로 들면 A종모우의 일당증체량에 대한 PTA값이 +0.2㎏이고 B종모우의 일당증체량에 대한 PTA값이 -0.1㎏이면, A종모우로 교배하여 생산한 수송아지의 일당증체량이 B종모우로 교배하여 생산한 수송아지의 일당증체량보다 0.3㎏이 더 많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나. 신뢰도(Accuracy)
      종모우의 유전능력으로 제시된 PTA의 신뢰도(정확도)를 말하며, 종모우의 유전능력 평가에 이용된 자료가 많을수록 신뢰도가 높아진다. 즉, 10마리의 후대 수송아지를 가지고 능력검정을 한 경우와 100마리의 후대인 수송아지를 가지고 검정을 한 경우를 비교하면 후자의 신뢰도가 높아진다.
           
  참 고 문 헌

축산기술연구소. 2001. 한우유전능력평가보고서.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______________. 2000. 축산시험연구보고서.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______________. 2000. 가축개량관련자료. 농림부 축산기술연구소.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