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연마 | ||||||||||||||||||||||||||||||||||||||||||||||||||||||||||||||||||||||||||||||||||||||||||||||||||||||||||||||||||||||||||||||||||||||||||||||||||||||||||||||||||||||||||||||||||||||||||||||
|
2.6.1 연삭 숫돌의 구성 연삭 숫돌은 연삭 입자(Grain or Abrasive), 결합제(Bond)와 기공(Pore)으로 구성된다.
1) 연삭 입자 (Abrasive)
② 입자 크기 (입도 : Grain Size, 또는 Grit, KS L6001, L6501) 숫돌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체의 1인치당 구멍수로 표시하며, 체를 만들기 어려운 입도 #240보다 고운 입자는 현미경 사진을 이용한다.
거친 연삭에는 #10~#30 정도의 거친 숫돌을 사용하고, 다듬질 연삭에는 고운 입도의 연삭 숫돌을 사용한다.
한 숫돌로 거친 연삭부터 중간 정도 다듬질까지 할 경우 등은 입도가 다른 입자들을 혼합해 사용하기도 한다.
① 결합제 종류 및 특성 연삭입자를 결합하여 숫돌 형상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강도 범위, 자생 작용 등 숫돌 특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용도에 따라 적합한 결합제가 선택 사용된다.
;기타 폴리비닐알코올을 아세틸화한 스폰지 형상의 결합제를 사용한 PVA 숫돌, 다이아몬드나 CBN 전착 숫돌 등이 사용된다.
② 결합도 (또는 경도 : Grade, KS L 6501) 연삭입자를 결합하고 있는 결합제의 결합 상태 강약 표시
: 너무 단단하면 눈메꿈(Loading)이 생기고, 너무 연하면 쉽게 손상됨.
숫돌 단위 체적당 입자수 (지립률)
: 보통 연한 재질이나 거칠은 연삭에는 엉성한 조직의 숫돌, 단단한 재질이나 다듬질 연삭에는 세밀한 조직의 숫돌을 사용한다.
1) 다이아몬드 숫돌 입자 - 다이아몬드 숫돌 입자는 보통 다음의 3가지 형태가 사용된다. (다이아몬드 공업회 규격)
2) 입자 크기(입도) 입자 크기는 메쉬(Mesh)로 표시된다 ( KS B 3617 ).
3) 결합도 다이아몬드 숫돌의 결합도는 J ~ R 로 표시한다.
4) 지립률 지립률은 집중도로 표시하는데, 숫돌 1㎤ 당 함유 다이아몬드 양이 4.4캐럿 (ct: carats, 1ct=200mg)일 경우를 집중도 100으로 한 환산값으로 나타낸다 (집중도 100은 대략 지립률 25% 수준임).
5) 결합 방법 결합 방법은 보통 아래의 4가지가 사용된다.
CBN 지립은 일반 CBN과 금속 코팅된 CBN 2가지 형태가 사용된다. 금속 코팅된 CBN은 주로 레지노이드 본드용으로 사용된다. 입도, 집중도, 결합제 등은 다이아몬드와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연마기에 사용되는 연마 숫돌, 드레서 등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공구 (Pneumatic Tool) 등에 사용되는 연마 숫돌은 수작업용 소모성 공구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1) 연삭 숫돌의 선정 (KS B 0431 연삭 숫돌 선택 표준) KS 규격에서는 피연삭재, 연삭 방식, 숫돌 크기 등에 따른 연삭 숫돌 선택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고속도강 등 공구강의 연삭은 WA계열, 초경 공구의 보통 연삭은 GC계열. 다듬질 연삭은 다이아몬드 숫돌이 유리하다. 예) 유리 원통 연삭시 : C80KmV
KS 규격에서는 형상을 1호 ~ 28호까지로 규정하고 있다 ( 27호와 28호는 옵셋트형). 가장자리 형상은 A ~ P로 구분하고 있으며, 1호 평형, 5호 1면 오목형, 7호 양면 오목형에 적용된다.
< 숫돌 형상 구분 >
< 가장자리 형상 구분 >
연삭 숫돌의 표시 방법은 각 제조 업체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어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어렵지만, 우선은 KS 규격에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불가피할 경우 업체 규격을 따른다. 규격은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표시한다. : 칫수/지립 종류/입도/형상(/결합도/조직/결합제) 등 예) 100x13x31.75 WA60 평형 연삭숫돌
4) 드레서 (Diamond Dressing Tools) 연마 숫돌의 드레싱이나 트루잉(Truing:형상 수정)에 사용되는 공구로 주로 다이아몬드로 제작된다.
드레싱은 눈메꿈(Loading)이나 연삭 입자 마모(Grazing)가 생긴 연삭 숫돌의 표면을 깍아 새로운 예리한 입자가 표면에 나오도록 하는 작업을 말하며, 트루잉은 연마 숫돌의 외주를 정확한 형상으로 다듬질하는 작업을 말한다.
정밀 연삭용 숫돌의 드레싱은 거의 대부분 다이아몬드 드레서가 사용되며, KS 규격에서는 다이아몬드 드레서를 아래의 4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① 다이아몬드 단석 드레서 (KS B 3621 Single Point Diamond Dressing Tools) ② 다이아몬드 고결 드레서 (KS B 3622 Impregnated Diamond Dressing Tools) ③ 다이아몬드 정날 드레서 (KS B 3630 Chisel Edge Diamond Dressing Tools) ④ 다이아몬드 포인트 드레서 (KS B 3631 Pointed Diamond Dressing Tools)
다이아몬드 단석 드레서는 다이아몬드 원석을 강재의 지지구에 붙인 형태로 제작된다. 규격은 보통 다이아몬드 원석 크기(ct:캐럿)로 표시되며, 드레싱할 연마 숫돌의 사양과 크기에 따라 선택한다. 예) 직경150, 폭 25 이하 연마 숫돌용 : 1/4~3/4 ct 직경300, 폭 25 이하 연마 숫돌용 : 3/4~1 ct 직경300, 폭 25 이상 연마 숫돌용 : 1~1.5 ct 등
다이아몬드 고결 드레서는 스트레이트 생크형과 머리붙이 경사 생크형(Headed Shank Inclined Type), 머리붙이 생크형 등의 종류가 있다. 가격이 싸고 취급이 용이하며 마모가 적어 드레싱의 정밀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다이아몬드 지립의 입도는 연마 숫돌의 입도에 따라 결정하며, 결합 상태는 경(H), 연(S) 2가지로 구분한다.
일반 평형, R 또는 V 형홈이 있는 각형 연마 숫돌 드레서나, 다이아몬드 전착 도금한 각형 드레서는 축달린 숫돌, 기름 숫돌 등의 드레싱에 사용된다.
기타 강으로 된 별 모양의 판을 여러장 동일축에 헐겁게 끼운 형태로 된 거친 드레싱용 헌팅턴(Huntington)형 드레서 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