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발길이머므는곳에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여행♡정보방 스크랩 만보
산사랑 추천 0 조회 36 05.10.18 01:11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만보(晩步)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잊음 많아 이 책 저 책 뽑아 놓고서
흩어진 걸 도로 다 정리하자니,         
해가 문득 서으로 기울어지고,          
가람엔 숲 그림자 흔들리누나.           
막대 짚고 뜨락으로 내려를 가서         
고개 들고 구름재를 바라다보니,      
아득아득 밥 짓는 연기가 일고,          
으스스 산과 벌은 싸늘하구나.        
농삿집 가을걷이 가까워지니,          
방앗간 우물터에 기쁜 빛 돌아.          
갈가마귀 날아드니 절기 익었고,  
해오라비 우뚝 서니 모습 훤칠해.        
내 인생은 홀로 무얼 하는 건지 원.    
숙원이 오래도록 풀리질 않네.          
이 회포를 뉘에게 얘기할거나.            
거문고만 둥둥 탄다, 고요한 밤에.    

dia_bluve.gif 요점 정리

 

circle01_blue.gif 지은이 :  이 황(李滉)/신호열(辛鎬烈) 옮김

circle01_blue.gif 성격 : 사색적, 성찰적

circle01_blue.gif 주제 : 성취하지 못한 학문에 대한 소망, 가을날 저녁의 자아 성찰

circle01_blue.gif 특징 : 수확의 계절인 가을날의 해질녘에 수확의 기쁨에 들떠 있는 사람들과 풍요로운 자연의 모습을 보며 학문적으로 숙원을 이루지 못한 자신을 돌아보고 있는 작품으로 퇴계와 같은 대학자가 이룬 것이 없다는 말은 실제로 이룬 것이 없다는 말이 아니라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꿈이 그만큼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dia_bluve.gif 내용 연구

 

잊음 많아 이 책 저 책 뽑아 놓고서
흩어진 걸 도로 다 정리하자니,       
해가 문득 서으로 기울어지고,    
가람엔 숲 그림자 흔들리누나.     
막대 짚고 뜨락으로 내려를 가서       
고개 들고 구름재를 바라다보니,        
아득아득 밥 짓는 연기가 일고,             
으스스 산과 벌은 싸늘하구나.              
농삿집 가을걷이 가까워지니,               
방앗간 우물터에 기쁜 빛 돌아.             
갈가마귀 날아드니 절기 익었고,  
해오라비 우뚝 서니 모습 훤칠해.           
내 인생은 홀로 무얼 하는 건지 원.         
숙원이 오래도록 풀리질 않네.              
이 회포를 뉘에게 얘기할거나.              
거문고만 둥둥 탄다, 고요한 밤에.    

 

만보 : 늦을 녘에 거닐면서

잊음 많아 이 책 저 책 뽑아 놓고서 : 진리 또는 학문에 대한 끝없는 탐구
숙원이 오래도록 풀리질 않네 : 학문적 성취의 미진함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

苦忘亂抽書(고망난추서)  
散漫還復整(산만환복정)  
曜靈忽西頹(요령홀소퇴)  
江光搖林影(강광요림영)  
扶 下中庭(부공하중정)  
嬌首望雲嶺(교수망운령)  
漠漠炊烟生(막막취연생)  
蕭蕭原野冷(소소원야랭)  
田家近秋穫(전가근추확)  
喜色動臼井(희색동구정)  
鴉還天機熟(아환천기숙)  
鷺立風標 (로입풍표동)  
我生獨何爲(아생독하위)  
宿願久相梗(숙원구상경)  
無人語此懷(무인어차회)  
搖琴彈夜靜(요금탄야정)

dia_bluve.gif 이해와 감상

 이 시에서는 배경이 중요하다. 해는 지고 멀리 저녁이 오고 있으며, 하루의 끝을 알리는 시간이고, 그리고 눈을 멀리 들어 들로 던지니 가을걷이가 가까워져 무르익은 들녘이 보이는 한 해의 끝을 알리는 시간이다. 그래서 집집마다 밥 짓는 연기가 피어오르고, 또, 방앗간이며 우물터에서는 사람들이 수확의 기쁨에 들떠 있고 모든 것이 성취의 기쁨을 맛보는 시간이다. 밥 짓는 연기며 방앗간 우물터의 기쁜 빛이 그런 뜻을 함축한다. 그래서 날아드는 갈가마귀며 우뚝 선 해오라비까지도 다 기쁨과 자랑에 차 있는데, 이런 가운데 나만 오로지 이룬 것이 없다. 책을 뽑아 놓고 흩어진 걸 정리하면서 그 공허함이 새삼 뼈에 사무친다. 숙원을 가진 지 오래지만, 하루 일이나 농사일 같은 소득이 없다. 그 말을 누구에게 할 수 있으랴, 거문고만 탈 뿐이다. 이처럼 바라보는 사물과 대비되는 나를 발견하면서 학문적 성취에 대한 미진함을 생각하면서 삶에 대한 깊은 내면의 성찰을 하고 있는 작품이다.

dia_bluve.gif 심화 자료

이황과 신선 사상

최치원과 같이, 혼탁한 세상에서 신선 같은 삶을 살고자 한 지식인은 역사적으로 매우 많았다. 그 중에서 우리의 눈길을 끄는 인물은 우리 나라의 대표적 유학자라 일컬어지는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년)이다. 이황은 42세 때 어느 늦은 봄날 꾼 꿈을 소재로 「몽중작(夢中作)」이란 시를 남겼다.

하명동 안에는 애초에 길이 없었는데 霞明洞裏初無路
늦은 봄 이 산중엔 기이한 꽃들 피었네 春晩山中別有花
우연히 갔다가 참으로 좋은 선경을 찾았으니 偶去眞成搜異境
늘그막에 돌아가 신선같은 집을 짓고 살리. 餘齡還欲寄仙家

애초에 길이 없었다니 평소 인간의 발자국이 닿지 않은 곳이다. 알고 보니 무릉도원(武陵桃源)과 같은데, 그처럼 좋은 선경을 만난 것은 우연이었다. 아직은 현실과 거리를 두고 살기에는 젊지만, 늙은 후에는 거기에 돌아 가서 신선처럼 살고 싶다는 것이다. 지성구세(至誠救世)를 목표로 하는 유학자인 이황이 늘그막이나마 신선처럼 살고자 한 것은 의외다. 사실 이황의 삶은 한마디로 ‘신퇴(身退)’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은일적 요소가 많았다. 이 같은 삶은 당시 현실에 대한 강력한 저항의 몸부림이었다.
합리성과 이타성(利他性)을 강조하는 유가(儒家)의 입장에서 볼 때 신선이 되고자 하는 것은 지극히 허황되고 또 개인주의적이다. 이런 점에서 이단(異端)이라 하여 배척하기도 했다.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년)가 “장생하여 구시(久視)하는 술법이나 껍질을 벗고 뼈를 바꾸는 기술이 있을 리 있겠는가? 대낮에 하늘로 올라간 사람은 없다. 신선이 되게 하는 영약은 있지도 않으며, 황금은 만들어 낼 수 없다”고 장생구시설과 신선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견지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출처 : 조민환 - 춘천교대 윤리교육과 교수, 문화와 나 '2003년 겨울)

도산십이곡 발

이황(李滉)

 1501(연산군 7)∼1570(선조 3).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퇴도(退陶)·도수(陶馬).

〔생 애〕

경상도 예안현(禮安縣) 온계리(溫溪里 :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에서 좌찬성 식(埴)의 7남 1녀 중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생후 7개월에 아버지의 상(喪)을 당했으나, 현부인이었던 생모 박씨의 훈도 밑에서 총명한 자질을 키워 갔다.

12세에 작은아버지 우(屛)로부터 ≪논어≫를 배웠고, 14세 경부터 혼자 독서하기를 좋아해, 특히 도잠(陶潛)의 시를 사랑하고 그 사람됨을 흠모하였다. 18세에 지은 〈야당 野塘〉이라는 시는 그의 가장 대표적인 글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20세를 전후하여 ≪주역≫ 공부에 몰두한 탓에 건강을 해쳐서 그 뒤부터 다병한 사람이 되어 버렸다 한다.

27세(1527)에 향시(鄕試)에서 진사시와 생원시 초시에 합격하고, 어머니의 소원에 따라 과거에 응시하기 위해 성균관에 들어가 다음해에 진사 회시에 급제하였다. 33세에 재차 성균관에 들어가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하고 ≪심경부주 心經附註≫를 입수, 크게 심취하였다.

이 해 귀향 도중 김안국(金安國)을 만나 성인군자에 관한 견문을 넓혔다. 34세(1534)에 문과에 급제하고 승문원 부정자(副正字)가 되면서 관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37세에 어머니 상을 당하자 향리에서 3년 간 복상했고, 39세에 홍문관수찬이 되었다가 곧 사가독서(賜暇讀書)에 임명되었다.

중종 말년에 조정이 어지러워지매 먼저 낙향하는 친우 김인후를 한양에서 떠나 보냈다. 이 무렵부터 관계를 떠나 산림에 은퇴할 결의를 굳힌 듯, 43세이던 10월에 성균관사성으로 승진하자 성묘를 핑계삼아 사가를 청해 고향으로 되돌아갔다.

을사사화 후 병약함을 구실로 모든 관직을 사퇴하고, 46세(1546)가 되던 해 고향인 낙동강 상류 토계(兎溪)의 동암(東巖)에 양진암(養眞庵)을 얽어서 산운야학(山雲野鶴)을 벗삼아 독서에 전념하는 구도 생활에 들어갔다. 이 때에 토계를 퇴계(退溪)라 개칭하고, 자신의 아호로 삼았다.

그 뒤에도 자주 임관의 명을 받아 영영 퇴거(退居)해 버릴 형편이 아님을 알고 부패하고 문란한 중앙의 관계에서 떠나고 싶어서 외직을 지망, 48세에 충청도 단양군수가 되었다. 그러나 곧 형이 충청감사가 되어 옴을 피해 봉임 전에 청해서 경상도 풍기군수로 전임하였다.

풍기군수 재임중 주자가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을 부흥한 선례를 좇아서, 고려 말기 주자학의 선구자 안향(安珦)이 공부하던 땅에 전임 군수 주세붕(周世鵬)이 창설한 백운동서원에 편액(扁額)·서적(書籍)·학전(學田)을 하사할 것을 감사를 통해 조정에 청원, 실현을 보게 되었다.

이것이 조선조 사액 서원(賜額書院)의 시초가 된 소수서원(紹修書院)이다. 1년 후 퇴임하고, 어지러운 정계를 피해 퇴계의 서쪽에 한서암(寒棲庵)을 지어 다시금 구도 생활에 침잠하다가 52세(1552)에 성균관대사성의 명을 받아 취임하였다. 56세에 홍문관부제학, 58세에 공조참판에 임명되었으나 여러 차례 고사하였다.

43세 이후 이 때까지 관직을 사퇴하였거나 임관에 응하지 않은 일이 20여 회에 이르렀다. 60세(1560)에 도산서당(陶山書堂)을 짓고 아호를 ‘도옹(陶翁)’이라 정했다. 이로부터 7년 간 서당에 기거하면서 독서·수양·저술에 전념하는 한편, 많은 제자들을 훈도하였다.

명종은 예(禮)를 두터이 해 자주 그에게 출사(出仕)를 종용하였으나 듣지 않았다. 이에 명종은 근신들과 함께 ‘초현부지탄(招賢不至嘆)’이라는 제목의 시를 짓고, 몰래 화공을 도산에 보내 그 풍경을 그리게 하였다.

그리고 그것에다 송인(宋寅)으로 하여금 도산기(陶山記) 및 도산잡영(陶山雜詠)을 써넣게 해 병풍을 만들어서, 그것을 통해 조석으로 이황을 흠모했다 한다. 그 뒤 친정(親政)하게 되자, 이황을 자헌대부(資憲大夫)·공조판서·대제학이라는 현직(顯職)에 임명, 자주 초빙했으나, 그는 그때마다 고사하고 고향을 떠나지 않았다.

그러나 67세 때 명나라 신제(新帝)의 사절이 오게 되매, 조정에서 이황의 내경(來京)을 간절히 바라 어쩔 수 없이 한양으로 갔다. 명종이 돌연 죽고 선조가 즉위해 그를 부왕의 행장수찬청당상경(行狀修撰廳堂上卿) 및 예조판서에 임명하였다. 하지만 신병 때문에 부득이 귀향하고 말았다.

그러나 이황의 성망(聲望)은 조야에 높아, 선조는 그를 숭정대부(崇政大夫) 의정부우찬성에 임명, 간절히 초빙하였다. 그는 사퇴했지만 여러 차례의 돈독한 소명을 물리치기 어려워 마침내 68세의 노령에 대제학·지경연(知經筵)의 중임을 맡고, 선조에게 〈무진육조소 戊辰六條疏〉를 올렸다.

선조는 이 소를 천고의 격언, 당금의 급무로서 한 순간도 잊지 않을 것을 맹약했다 한다. 그 뒤 이황은 선조에게 정이(程蓬)의 〈사잠 四箴〉, ≪논어집주≫·≪주역≫, 장재(張載)의 〈서명 西銘〉 등의 온오(蘊奧)를 진강하였다.

노환 때문에 여러 차례 사직을 청원하면서 왕에 대한 마지막 봉사로서 필생의 심혈을 기울여 ≪성학십도 聖學十圖≫를 저술, 어린 국왕 선조에게 바쳤다. 이듬해 69세에 이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번번히 환고향(還故鄕)을 간청해 마침내 허락을 받았다.

환향 후 학구(學究)에 전심하였으나, 다음해 70세가 되던 11월 종가의 시제 때 무리를 해서인지 우환이 악화되었다.

그 달 8일 아침, 평소에 사랑하던 매화분에 물을 주게 하고, 침상을 정돈시킨 후, 일으켜 달라 해 단정히 앉은 자세로 역책(易愁 : 학덕이 높은 사람의 죽음)하였다.

선조는 3일간 정사를 폐하여 애도하고,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영의정 겸 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영사를 추증하였다. 장사는 영의정의 예에 의하여 집행되었으나, 산소에는 유계(遺誡)대로 소자연석에 ‘퇴도만은진성이공지묘(退陶晩隱眞城李公之墓)’라 새긴 묘비만 세워졌다.

죽은 지 4년 만에 고향 사람들이 도산서당 뒤에 서원을 짓기 시작해 이듬해 낙성, 도산서원의 사액을 받았다. 그 이듬해 2월에 위패를 모셨고, 11월에는 문순(文純)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학 문〕

 이황이 ≪주자대전≫을 입수한 것은 중종 38년, 즉 그의 43세 때였고, 이 ≪주자대전≫은 명나라 가정간본(嘉靖刊本)의 복각본(復刻本)이었다. 가정간본의 대본(臺本)은 송나라 때 간행된 것을 명나라 때 복간한 성화간본(成化刊本)의 수보본(修補本)이었다.

그가 ≪주자대전≫을 읽기 시작한 것은 풍기군수를 사퇴한 49세 이후의 일이었다. 이황은 이에 앞서 이미 ≪심경부주≫·≪태극도설≫·≪주역≫·≪논어집주≫ 등의 공부를 통해 주자학의 대강을 이해하고 있었으나, ≪주자대전≫을 완미(玩味)함으로써 그의 학문이 한결 심화되었고, 마침내 주희의 서한문의 초록과 주해에 힘을 기울였다.

그의 학문이 원숙하기 시작한 것은 50세 이후부터였다고 생각된다. 50세 이후의 학구 활동 가운데서 주요한 것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53세에 정지운(鄭之雲)의 〈천명도설 天命圖說〉을 개정하고 후서(後敍)를 썼으며, ≪연평답문 延平答問≫을 교정하고 후어 (後語)를 지었다.

54세에 노수신(盧守愼)의 〈숙흥야매잠주 夙興夜寐箴註〉에 관해 논술하였다. 56세에 향약을 기초, 57세에 ≪역학계몽전의 易學啓蒙傳疑≫를 완성, 58세에 ≪주자서절요≫ 및 ≪자성록≫을 거의 완결지어 그 서(序)를 썼다.

59세에 황중거(黃仲擧)에 답해 ≪백록동규집해 白鹿洞規集解≫에 관해 논의하였다. 또한 기대승(奇大升)과 더불어 사단칠정에 관한 질의응답을 하였고, 61세에 이언적(李彦迪)의 ≪태극문변 太極問辨≫을 읽고 크게 감동하였다.

62세에 ≪전도수언 傳道粹言≫을 교정하고 발문을 썼으며, 63세에 ≪송원이학통록 宋元理學通錄≫의 초고를 탈고해 그 서(序)를 썼다. 64세에 이구(李球)의 심무체용론(心無體用論)을 논박했고, 66세에 이언적의 유고를 정리, 행장을 썼고 ≪심경후론 心經後論≫을 지었다.

68세에 선조에게 〈무진육조소〉를 상서했으며, 〈사잠〉·≪논어집주≫·≪주역≫〈서명〉 등을 강의하였다. 또한 그간 학구의 만년의 결정체인 ≪성학십도≫를 저작, 왕에게 헌상하였다.

〈무진육조소〉의 내용은, 제1조 계통을 중히 여겨 백부인 선제(先帝) 명종에게 인효(仁孝)를 온전히 할 것, 제2조 시신(侍臣)·궁인의 참언(讖言)·간언(間言)을 두절하게 해 명종궁(明宗宮)과 선조궁(宣祖宮) 사이에 친교가 이루어지게 할 것,

제3조 성학(聖學)을 돈독히 존숭해 그것으로서 정치의 근본을 정립할 것, 제4조 인군(人君) 스스로가 모범적으로 도술(道術)을 밝힘으로써 인심을 광정(匡正)할 것, 제5조 군주가 대신에게 진심을 다해 접하고 대간(臺諫)을 잘 채용해 군주의 이목을 가리지 않게 할 것,

제6조 인주(人主)는 자기의 과실을 반성하고 자기의 정치를 수정해 하늘의 인애(仁愛)를 받을 것 등으로, 시무 6개 조를 극명하게 상주한 풍격(風格) 높은 명문이다.

≪성학십도≫는 제1도 태극도(太極圖), 제2도 서명도(西銘圖), 제3도 소학도(小學圖), 제4도 대학도(大學圖), 제5도 백록동규도(白鹿洞規圖), 제6도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제7도 인설도(仁說圖), 제8도 심학도(心學圖), 제9도 경재잠도(敬齋箴圖), 제10도 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와 도설(圖說)·제사(題辭)·규약 등 부수문(附隨文)으로 되어 있다.

제1도는 도와 도설이 모두 주돈이(周敦蓬)의 저작이며, 제2도의 〈서명〉은 장재의 글이고, 도는 정복심(程復心)의 작품이다. 제3도의 제사는 주희의 말이고, 도는 ≪소학≫의 목록에 의한 이황의 작품이다. 제4도의 본문은 주희의 ≪대학경 大學經≫ 일장(章)이고, 도는 권근(權近)의 작품이다.

제5도의 규약은 주희의 글이고, 도는 이황의 작품이며, 제6도의 상도(上圖) 및 도설은 정복심의 저작이고 도는 이황의 작품이다. 제7도는 도 및 도설이 모두 주희의 저작이고, 제8도는 도 및 도설이 모두 정복심의 저작, 제9도에서 잠은 주희의 말이고 도는 왕백(王柏)의 작품이며, 제10도의 잠은 진백(陳柏)의 말이고, 도는 이황의 작품이다.

그러므로 제3·5·10도와 제6도의 중간 하도(下圖) 등 5개 처는 이황의 독자적인 작품이고, 나머지 17개 처는 상기한 선현들의 저작이다. 그러나 이들 유학 사상의 정수는 이황에 의해 독창적으로 배치되어 서로 유기적으로 관련됨으로써 생명 있는 전체적 체계를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이황의 학문은 일대를 풍미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역사를 통해 영남을 배경으로 한 주리적(主理的)인 퇴계학파를 형성해 왔다. 그리고 도쿠가와(德川家康) 이래로 일본 유학의 기몬학파(崎門學派) 및 구마모토학파(熊本學派)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끼쳐 왔다.

또한, 개화기 중국의 정신적 지도자에게서도 크게 존숭을 받아, 한국뿐만 아니라 동양 3국의 도의철학(道義哲學)의 건설자이며 실천자였다고 볼 수 있다.

≪언행록≫에 의하면, 조목(趙穆)이 이덕홍(李德弘)에게 “퇴계선생에게는 성현이라 할 만 한 풍모가 있다.”고 했을 때, 덕홍은 “풍모만이 훌륭한 것이 아니다.”라고 답했다고 한다. 그리고 ≪언행통술 言行通述≫에서 정자중(鄭子中)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선생은 우리 나라에 성현의 도가 두절된 뒤에 탄생해, 스승 없이 초연히 도학을 회득(會得)하였다. 그 순수한 자질, 정치(精緻)한 견해, 홍의(弘毅)한 마음, 고명한 학(學)은 성현의 도를 일신에 계승했고, 그 언설(言說)은 백대(百代)의 후에까지 영향을 끼칠 것이며, 그 공적은 선성(先聖)에게 빛을 던져 선성의 학(學)을 후학의 사람들에게 베풀었다. 이러한 분은 우리 동방의 나라에서 오직 한 분뿐이다.”

위에서 밝힌 사실만으로도 우리는 그가 제자들에게서 성현의 예우를 받는, 한국 유림에서 찬연히 빛나는 제일인자임을 엿볼 수 있게 된다.

〔계승·평가·연구〕

 이황의 학풍을 따른 자는 당대의 유성룡(柳成龍)·정구(鄭逑)·김성일(金誠一)·조목·이덕홍·기대승·김부륜(金富倫)·금응협(琴應夾)·이산해(李山海)·정탁(鄭琢)·정유일(鄭惟一)·구봉령(具鳳齡)·조호익(曺好益)·황준량(黃俊良)·이정(李楨) 등등을 위시한 260여 인에 이르렀다.

나아가서 그는, 성혼(成渾)·정시한(丁時翰)·이현일(李玄逸)·이재(李栽)·이익(李瀷)·이상정(李象靖)·유치명(柳致明)·이진상(李震相)·곽종석(郭鍾錫)·이항로(李恒老)·유중교(柳重敎)·기정진(奇正鎭) 등등을 잇는 영남학파 및 친영남학파를 포괄한 주리파 철학을 형성하게 했으니, 이는 실로 한국 유학 사상의 일대장관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이익은 ≪이자수어 李子粹語≫를 찬술해 그에게 성인(聖人)의 칭호를 붙였고, 정약용(丁若鏞)은 〈도산사숙록 陶山私淑錄〉을 써서 그에 대한 흠모의 정을 술회하였다.

임진왜란 후 이황의 문집은 일본으로 반출되어 도쿠가와가 집정(執政)한 에도(江戶)시대에 그의 저술 11종 46권 45책이 일본각판으로 복간되어 일본 근세 유학의 개조(開祖) 후지와라(藤原惺窩) 이래로 이 나라 유학 사상의 주류인 기몬학파 및 구마모토 학파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고, 이황은 이 두 학파로부터 대대세세(代代世世)로 신명(神明)처럼 존숭을 받아 왔다.

기몬학파의 창시자 야마사키(山崎暗齋)는 그를 “주자의 직제자(直弟子)와 다름 없다.”며 ‘조선의 일인(一人)’이라 평가하였다. 그리고 그의 고제(高弟) 사토(佐藤直方)는 “그의 학식이 이룬 바는 크게 월등해 원명 제유(元明諸儒)의 유(類)가 아니다.”라고 찬양하였다.

이나바(稻葉默齋)는 ‘주자의 도통(道統)’에서 ‘주자 이래의 일인(一人)’이라고 존신(尊信)했으며, 구마모토 학파의 시조 오쓰카(大塚退野)는 “만약에 이 사람이 없었다면 주자의 미의(微意)는 불명해 속학(俗學)이 되어 버렸을 것이라 생각된다.”고 하였다.

도쿠가와 말기의 요코이(橫井小楠)는 그를 원·명시대를 통해 ‘고금절무(古今絶無)의 진유(眞儒)’라 절찬했고, 역시 이 계통에 속하는 막부(幕府) 말 메이지(明治)시대의 구스모토(楠本碩水)는 “명대의 대유(大儒) 설경헌(薛敬軒)·호경재(胡敬齋)와 명말청초의 육가서(陸稼書)·장양원(張楊園)과 비교하면 훨씬 탁월하다.”고 단언하였다.

마쓰다(松田甲)의 ≪일선사화 日鮮史話≫에 의하면, 요코이의 친구이자 제자로서 메이지 제일의 공신이며 교육 칙어(敎育勅語)의 기초자인 모토다(元田東野)는 “정주(程朱)의 학은 조선의 이퇴계(李退溪)에게 전해졌고, 타이야(退野) 선생이 그 소찬(所撰)의 ≪주자서절요≫를 읽고 초연히 얻은 바 있었으니, 내 지금 타이야의 학을 전해 이것을 금상황제(今上皇帝)에게 봉헌하였다”고 술회했다 한다.

뿐만 아니라, 1926년 중국의 북경(北京) 상덕여자대학(尙德女子大學)에서는 대학의 증축·확장기금에 충당하기 위해 ≪성학십도≫를 목판으로 복각(復刻)해 병풍을 만들어서 널리 반포(頒布)하였다.

이 때, 중국 개화기의 대표적인 사상가 량치차오(梁啓超)는 찬시(贊詩)를 써 그 제1연에서 “아득하셔라 이부자(李夫子) 님이시여”라며 거리낌없이 그를 성인이라 호칭하였다. 다음과 같은 조호익의 말은 이황의 학적 지위를 간결히 표현한 매우 적절한 평가라 볼 수 있다.

즉, “주자가 작고한 뒤……도(道)의 정맥은 이미 중국에서 두절되어 버렸다. 퇴계는 ……한결같이 성인의 학으로 나아가 순수하고 올바르게 주자의 도를 전하였다. 우리 나라에서 비교할 만한 사람이 없을 뿐 아니라, 중국에서도 이 만한 인물을 볼 수 없다. 실로 주자 이후의 제일인자이다.”

1609년 문묘(文廟)에 종사(從祀)되었고, 그 뒤 그를 주사(主祀)하거나 종사하는 서원은 전국 40여 개 처에 이르렀다. 그리고 그의 위패가 있는 도산서원은 제5공화국 때 대통령의 지시에 의해 국비 보조로 크게 보수, 증축되어 우리 나라 유림의 정신적 고향으로서 성역화 되었다.

이황의 학덕은 그의 생시(生時)외 한·일 양국의 역사에서 크게 선양되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에 국제적 규모로 널리 부흥, 재검토되고 있다. 1970년 서울에 퇴계학연구원이 창립되었고, 1972년 퇴계 400주기 기념 논문집 ≪퇴계학연구≫가 간행되기 이전부터 발행된 계간 학술지 ≪퇴계학보≫는 2000년 3월 현재로 105집에 이르렀다.

경북대학교에 퇴계연구소가 부설되었는가 하면, 서울과 거의 같은 시기에 일본 동경에 이퇴계연구회가 설립되었다. 대만에도 국립사범대학 안에 퇴계학연구회가 부설되었고, 근래에는 미국의 워싱턴·뉴욕·하와이에 이퇴계연구회가 조직되었으며, 독일 함부르크 및 본에 퇴계학연구회가 생겼다.

1986년에는 단국대학교에서 퇴계 기념 중앙도서관이 낙성되어 그 안에 퇴계학연구소를 부설하였다. 또한, 국제퇴계학회가 창설되어 1976년 이래로 거의 해마다 한국·일본·대만·미국·독일·홍콩 등지에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 세계 각 국의 이 방면의 석학들이 회동해 주제 논문을 발표하며 진지한 토론을 거듭해 오고 있다.

≪참고문헌≫ 退溪全書, 陶山全書(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 日本刻版 李退溪全集(退溪學硏究院, 1975), 退溪의 生涯와 學問(李相殷, 瑞文堂, 1973), 退溪의 生涯와 思想(柳正東, 博英社, 1974), 退溪哲學의 硏究(尹絲淳, 高麗大學校 出版部, 1980), 退栗性理學의 比較硏究(蔡茂松, 景仁文化社, 1982), 李退溪哲學-그 深層硏究 및 理論-(全斗河, 國民大學校 出版部, 1987), 退溪와 栗谷의 哲學(劉明鍾, 東亞大學校 出版部, 1987), 李退溪-その行動と思想(阿部吉雄, 評論社, 1977), 李退溪と敬の哲學(高橋進, 東京東洋書院, 1985), 退溪書節要(張立文, 中國人民大學 出版社, 1989), 李退溪와 그의 學說(李丙燾, 韓國學硏究叢書, 成進文化社, 1971), 退溪의 敎育哲學(丁淳睦, 지식산업사, 1971), 李滉-性理學의 眞髓-(朴鍾鴻, 韓國의 人間像 4, 新丘文化社, 1971), 退溪의 詩歌文學硏究-短歌의 歌辭에 대하여-(李家源, 退溪學硏究, 1972), 退溪先生과 奇高峯(李乙浩, 退溪學硏究, 1972), 退溪의 敬思想(李楠永, 韓國人의 人間觀, 한국교육개발원, 1977), 退溪哲學의 根本問題(柳承國, 退溪學報 19, 退溪學硏究院, 1978), 儒敎의 憂患意識과 退溪의 敬(安炳周, 退溪學報 25, 退溪學硏究院, 1980), 退溪先生의 人性論(裵宗鎬, 退溪學報 32, 退溪學硏究院, 1981), 陶山十二曲攷(崔珍源, 陶山學報 7·8, 陶南學會, 1985), 退溪의 家庭觀(琴章泰, 退溪學硏究 1,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1987), 退溪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金炯孝 外,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7), 퇴계학 연구논총(경북대학교, 1997).(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