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普洱)시는 '세계차원(世界茶源)、중국차성(中国茶城)、보이차도'로 차나무의 원산에 있어 세계적 중심지이자 보이차(普洱茶)의 발원지이다.
'차마고도'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보이시(普洱市)를 언급하지 않을수 없을만큼 사모(思茅)는 '차마도고(茶马古道)' 상의 중요한 역참이었다.
경곡(景谷)에서 차나무의 시조(茶树始祖)로 알려진 3540만년 전의 관엽목란화석(宽叶木兰化石)이 발견된 사실이 있다.
2700년 된 진원(镇沅) 천가채(千家寨)의 야생 '차수왕(茶树王)'
1000년 이상된 난창(澜沧) 방위(邦崴)의 과도형 고수차(过渡型古茶树)와 같은 살아있는 표본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1800년 이상 고대에 인공 재배된 경매산(景迈山) 만묘고차원(万亩古茶园) 등은 보이시(普洱市)의 역사에 있어 다엽(茶叶)의 중요성을 충분히 증명하고도 남음이 있다.
보이시의 야생차수 군락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주요 군락지로는 무량산(无量山)、애뢰산(哀牢山) 및 난창강(澜沧江) 양안(两岸)을 들 수 있다.

보이시(옛 사모시) 차산 분포도
역사적으로 볼 때 보이시(普洱市)의 유명 8대 차구(茶区),즉 경매(景迈)、방위(邦崴)、천가채(千家寨)、무량산(无量山)、판산(板山)、불전산(佛殿山)、영반산(营盘山)、우락하(牛洛河) 등은 보이시(普洱市)의 동서남북을 망라한 사방에 분포되어 있다. 행정구역 상으로 볼 때의 주요차구(主要茶产区)는 사모(思茅),경동(景东),경곡(景谷),난창(澜沧),진원(镇沅),강성(江城) 등이며,근래에 들어 점차 알려지고 있는 곤록산(困鹿山)도 언급해야 할 것이다.。

보이차 6대 차산
고육대차산 : 유락, 망지, 혁등, 의방, 만전, 이무
아래에 각 차구에 대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경매(景迈): 난창현(澜沧县) 혜민향(惠民乡),혜민향과 맹해현(勐海县) 맹만향(勐满乡)과 서로 이웃하고 있다.
현재 차나무 수령이 천년에 이르는 만묘(万亩)의 고차원(古茶园)이 있으며,포랑족 마을(布朗族寨)인 망경(芒景)과 태족 마을(傣族寨)인 경매(景迈)는 운남성의 고차원 중에서 최대의 연면적을 자랑하고 있으며 그 모습이 대단한 장관을 이루고 있다. 주요한 고차원 분포 지역으로는 경매(景迈)、망경(芒景)、망홍(芒洪)、옹거(翁居)、옹와(翁洼) 등의 촌채(村寨)를 들 수 있다. 이들 고차원은 포랑족(布朗族)이 차나무를 재배하면서 거주한지 1300년 이상된 곳들이다. 노차수(老茶树)에 기생하는 석곡과(石斛科) 식물인 방해각(螃蟹脚)은 이 차구(茶区)의 또 하나의 이색적인 생산품이다.

경매지도
방위(邦崴): 난창현(澜沧县) 부동향(富东乡) 방위촌(邦崴村)
마을(村) 안에 수백 묘(亩)의 노차수(老茶樹) 수림(樹林)이 있고 생산량은 많지 않다. 유명한 천년 “방위고차수(邦崴古茶树)”는 전세계적으로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되고 유일한 과도형(过渡型) 대차수(大茶树)로서,이에 의해 중국 운남성 보이 지역은 전세계적으로 다엽(茶叶)의 기원지이자 발상지로서의 지위를 확정짓게 되었다.
경곡(景谷):옛이름은 “勐卧(맹와)”로서 “소금 우물이 있는 곳(有盐井之地)”이라는 의미라 한다. 경곡현(景谷县) 무량산맥(无量山脉)서남측에 위치하고 있다.
오랜 역사를 가진 차구로서 차나무의 기원이 되는 약 3540만년 전의 시조관엽목란 화석(始祖宽叶木兰化石)이 유일하게 발견된 지역으로 보이타차(普洱沱茶(团茶:단차))가 최초로 만들어졌다. 경곡현 전체로는 100년 이산 재배한 고차원()이 3만묘 정도, 야생차 군락지가 6만2천묘 정도 있는데 주요 분포지로는 정흥진(正兴镇)의 황초패(黄草坝)와 통달(通达),익지향(益智乡)의 만룡(曼竜)과 소가산(苏家山),봉산향 순남광산(凤山乡顺南光山),경곡향(景谷乡)의 문산(文山) 및 문동(文东) 등지인데, 그 중 경곡향(景谷乡(小景谷)) 고차원의 면적이 가장 크고 품질 또한 가장 뛰어나다. 소경곡(小景谷)의 각 촌에는 모두 고차원이 있으나 그 중 가장 대표적으로 이름이 높은 곳은 고죽산(苦竹山) 및 문산의 산봉우리(文山顶) 이 두 곳에 있는 고차원 구역이다.
곤록산(困鹿山):영이현 봉양향(宁洱县凤阳乡),무량산계(无量山系) 남단에 위치
곤록산 고차원은 이미 청대(清代)에 청궁공차의 지정 생산지였으며 이런 연유로 예전에는 “곤록산 황가고차원(困鹿山皇家古茶园)”으로도 불리었다. 곤록산 고차수 군락지는 봉양(凤阳), 파변(把边)의 두 향(乡)에 걸쳐 총면적 1만묘에 달하며 그 중 봉양향(凤阳乡) 관굉촌(宽宏村)의 곤록산(困鹿山) 경내에는 반재배형(半栽培型 ) 차나무(茶树)에 속하는 차수군락(茶树群落)과 활엽수림이 혼생된 원시삼림(原始森林)이 1939묘 정도 있으며, 이는 현재 영이현(宁洱县) 경내에서 면적이 가장 크고 또한 가장 잘 보호되어 있는 고차수군락이다. 유명한 영화배우 장국립(张国立)이 3호 고차수 보호를 위해 기금을 출연한바 있다.

장국립(张国立)
진원/천가채(镇沅 & 千家寨):“위진원강(威镇沅江)” 또는 “양창소성(粮仓小城)”
진원현(镇沅县)
진원현(镇沅县)은 운남성(滇) 서남부의 애뢰산(哀牢山)과 무량산(无量山) 두 산계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여 경내에는 군산(群山)이 줄지어 솟아 있으며 산지 면적이 97.7%를 점하고 있으며 차를 재배한 역사가 오래된다. 야생차수(野生茶树)는 주로 애뢰산(哀牢山) 중부 및 무량산(无量山)의 지맥(支脉)인 노오산(老乌山)、대량산(大亮山) 일대에 걸쳐 산기슭을 따라 분포하며,재배형(栽培型) 고차수(古茶树)는 주로 해발 1700에서 2100m 사이의 자연촌채(自然村寨) 주위에 분포되어 있다. 고차수 분포지역의 총면적은 26만묘에 달하며,그 중 야생차수(野生茶树)와 재배형차수(栽培型茶树)의 고차원을 구분하자면 각각 23만묘와 3만묘이다.
천가채(千家寨) 차산(茶山)은 진원현(镇沅县) 구갑향(九甲乡) 화평촌(和平村)의 원시삼림(原始森林)에 위치하고 있으며,애뢰산계(哀牢山系)에 속한다. 야생차수(野生茶树) 군락지는 만여묘(万余亩)에 이르며,특히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구역의 면적은 4200묘 정도이다. 수령 2700년의 유명한 천가채(千家寨) 1호 고수차(古茶树)는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가장 오래된 야생고차수(野生古茶树)이다.
경동/무량산(景东 & 无量山): 경동(景东):“패자성(坝子城)”
무량산(无量山)의 옛이름은 몽락산(蒙乐山)으로, “구름 속으로 높이 솟아 오를수 없고(高耸入云不可跻),헤아릴수 없이 넓은 면적이라는 뜻(面大不可丈量之意)”으로 그 이름을 얻게 되었다.
경동현(景东县)
경동현(景东县)은 차를 생산한 역사가 오래 되며,보이차(普洱茶) 노산구(老产区)에 속한다. 경동(景东)의 야생차수(野生茶树) 분포 면적은 28.6만묘(万亩)에 달하며,그 중 무량산(无量山)에 있는 군락지가 23.5만묘,애뢰산(哀牢山)에 있는 군락지가 5.1만묘이다. 재배고차원(栽培古茶园)은 3.71만묘이다. 그 중 노창복덕(老仓福德) 고차산(古茶山)에 1.6만묘가 있는데 주요 분포지로는 안정향(安定乡)과 문룡향(文龙乡)이 있으며, 금정고차산(金鼎古茶山)에 7500묘(亩)가 있는데 주로 임가향(林街乡)、경복향(景福乡)、대조산동진(大朝山东镇)에 분포하고, 만만진(漫湾镇)의 만만고차산(漫湾古茶山) 3000묘(亩), 금병진(锦屏镇)과 문정진(文井镇)에 주로 분포한 어필고차산(御笔古茶山)에 5000묘(亩),그리고 애뢰산(哀牢山) 서파고차산(西坡古茶山)의 5600묘(亩)는 주로 화산향(花山乡)、대가향(大街乡)、태충향(太忠乡)、용가향(龙街乡)에 분포되어 있다. 무량산 자연보호구는 운남성 경동(景东), 남간(南涧) 두 현(县) 경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무량산(无量山)의 좁고 긴 산지(山地) 중상부(中上部) 지역이다. 무량산 양측 언덕의 기후는 어느 정도 일정한 차이가 있으며 기후의 수직분포의 차이도 명확하다.
강성/우락하(江城 & 牛洛河)
세 강이 둘러싸고 있는(三江环绕) 지리적 특성에 의해 “강성(江城)”이라는 이름을 얻은 지역이다.
강성현(江城县)은 월남(越南) 및 라오스(老挝)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지역이다.
역사적으로 볼때 강성(江城)의 찻입(茶叶) 생산은 맹아기, 흥성기, 쇠락기를 지나 다시 발전하고 있는 중에 있다. 우락하차창(牛洛河茶厂) 등을 선두로 하여 현대적 다원이 12.8만묘에 달하며(대수차 미포함) 유럽 수출과 국내 판매가 활발하다. 우락하자연보호구(牛洛河自然保护区)는 산 위에 있는 삼림과 초지의 식생이 서로 교차하면서 우거져 있어 동식물의 수직적 분포가 나타나 차나무 생장에 적합하여 만묘생태다원(万亩生态茶园)이 운남성 전역에서 명성을 얻게 되었다.
불전산(佛殿山) 서맹현(西盟县)
서맹현(西盟县) 경내에 있는 5개소의 고차수(古茶树) 군락지(群落地)는 총면적이 2.85만묘(万亩) 정도이며, 그 중 불전산(佛殿山) 야생고차수(野生古茶树) 군락의 면적이 가장 넓어 9000묘(亩)에 이른다.
영반산(营盘山)
사모구(思茅区) 성구(城区) 동남 10여km 부근
영반산(营盘山) 만묘유기다원(万亩有机茶园)은 그 면적이 2.4만묘(万亩)에 달하며 관광 및 유람을 위한 “중화보이차박람원(中华普洱茶博览苑)”을 세우기 위해 조성하였다.
판산(板山)
영이현(宁洱县) 맹선향(勐先乡) 원시림 일대.
청대(清代)에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공차(贡茶) 산지였으며, 판산(板山)에 있는 금죽림청(金竹林箐)、차산청(茶山箐) 및 백초지(白草地) 일대에 대량의 재배형(栽培型) 차수군락(茶树群落)이 발견되었다.
첫댓글 좋은 정보 고마워요...지기님...
별말씀을요^^
자~~알 생깃다!장국립!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