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서문 [출처] 冊 <정음선생ㆍ박문기 著> 中 (사진 한글박물관)
훈민정음 서문 언해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쌔 이런 전차로 어린백성이 니르고저 ?배이셔도 마참내 제 뜨들 시러 펴디 못할노미 하니라. 내 이를 위하야 어엿비너겨 새로 스믈여?자랄 맹가노니 사람마다 해여 수비니겨 날로 쑤메 편안케 하고저 할 따라미니라.
훈민정음 해례본 (1446 목판본, 안평대군 글씨) 國之語音 異乎中國 與文字 不相流通 故 愚民 有所欲言 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 予 爲此 憫然 新制二十八字 欲使人人 易習 便於日用耳 [저자 풀이] 우리나라 문자말의 음절이 중국에서는 달라 문자로서는 서로 시원하게 통하지 아니할 새라. 이런 빌려다 쓴 것을 다시 빌려 쓰는 까닭으로 얼이 썩은 백성이 말하고자 할 바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문자에 담아 펴지 못할 놈이 많으니라. 내 이를 위하여 불쌍히 여겨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맹가노니. 사람마다 하여서 수월하게 익히어 날로 씀에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國之語音이 異乎中國?야 與文字로 不相流通??ㅣ 故로 愚民이 有所欲言?야도 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라 予 爲此 憫然?야 新制二十八字?노니 欲使人人으로 易習?야 便於日用耳니라 |
출처: 容亨互悌 원문보기 글쓴이: 同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