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새로운 지폐 시안을 발표하다
작년 10월 7일 노르웨이 중앙은행(Norges Bank)은 자국의 새로운 지폐 시안을 발표했다. 유럽의 북방 한계선인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위치한 노르웨이는 스위스, 리히센슈타인 등과 함께 유럽연합(EU)에 속하지 않은 국가인 까닭에 유로화가 아닌 자국의 화폐 단위인 크로네를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가장 마지막으로 진행한 지폐 리뉴얼이 지난 2001년일 정도로 오래된 터라, 보안상의 위험에 미리 대처하고자 새로운 지폐를 만들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미지 목록 |
|
가장 최근인 2001년 발행한 1,000크로네. 앞면 초상의 주인공은 노르웨이의 국민 화가 에드바르 뭉크(Edvard Munch)이며, 뒷면에는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태양(The Sun)’이 도식화되어 담겼다. ©Norges Bank |
2017년 발행 예정인 새로운 지폐의 시안은 작년 초 총 여덟 팀의 디자인 회사를 대상으로 초청 형식으로 치른 공모전을 통해 선정되었다. 노르웨이 중앙은행이 밝힌 대로 화폐로서 갖추어야 할 안전장치, 즉 훼손과 위조,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요소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앞으로 지폐 디자인의 변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농후하다. 어쨌든 노르웨이의 새로운 지폐는 발표 직후 노르웨이 현지뿐 아니라 전 세계적인 화제가 되었다. 대체 이 지폐의 무엇이 사람들의 이목을 끌어당긴 것일까.
바다, 노르웨이의 정체성
화폐는 단순히 돈 이상의 가치를 가진다. 국기 다음으로 국가를 대표하는 ‘제2의 얼굴’이란 말처럼 국가의 정체성 표현에 탁월한 도구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보통 해당 국가를 대표하는 역사적인 위인, 유적, 자연경관, 동식물 등을 등장시키곤 한다. 이번 노르웨이의 새로운 지폐 주제는 바로 바다(the sea)였다.
피오르(fjord) 해안으로 잘 알려진 노르웨이는 유럽에서 해안선이 가장 긴 국가로 꼽힌다. 그 길이가 무려 8만 3천km에 달할 정도다. 노르웨이 경제에서 바다와 관련된 수산업과 유전 산업은 국가의 기간 산업으로 간주된다. 주거 지역 또한 해안에 밀접해 있어 대부분의 노르웨이인에게 바다란 옛 바이킹 시절부터 익숙한 공간이다. 즉 그 경제적 가치뿐 아니라 국민의 삶 깊숙이 들어온 바다는 노르웨이라는 국가와 떼려야 뗄 수 없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셈이다.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파격적인 디자인
노르웨이 중앙은행은 공모전 결과를 발표하며 복수의 회사를 지목했다. 즉 지폐의 앞면과 뒷면의 디자인이 각각 다른 회사의 작업이다. 앞면은 ‘메트릭 시스템(The Metric System)’의 ‘노르웨이인의 삶의 공간(Norwegian Living Space)’이 선정됐고, 뒷면은 ‘스뇌헤타(Snøhetta)’의 ‘경계의 아름다움(Beauty of Boundaries)’이 차지했다.
등대, 배 등 노르웨이인과 바다와의 공간적인 접점을 사실적인 기법으로 표현한 메트릭 시스템의 작업은 노르웨이 중앙은행으로부터 “지폐에 필요한 보안 요소를 담기에 적합하며, 동시에 개방적이고 밝은 노르딕 문화의 전형을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미지 목록 |
|
|
|
|
지폐 앞면에는 특정 모티프와 해양 알파벳을 나타내는 깃발이 있다. 알파벳의 합은 노르웨이(NORGE)다. ©Norges Bank |
[이미지 상세 설명]
• 50크로네 앞면: 노르웨이 서쪽 끝인 송노피오라네 주에 있는 우트베르(Utvær) 등대. 깃발 속 해양 알파벳은 R이다.
• 100크로네 앞면: 9세기 바이킹이 타던 곡스타드 선(The Gokstad ship)의 모습. 깃발 속 해양 알파벳은 O다. <X-BOW®형 선체, 디자인 소유권자: 울스테인 디자인 & 솔루션스(Ulstein Design & Solutions AS)>
• 200크로네 앞면: 노르웨이에서 잡히는 대구와 청어. 깃발 속 해양 알파벳은 N이다.
• 500크로네 앞면: 콜린 아처(Colin Archer)가 고안한 구명정. 깃발 속 해양 알파벳은 G다. <보트 디자인: 콜린 아처, 사진: 안데르스 베르 빌세(Anders Beer Wilse), 린 크로그 한센(Linn Krogh Hansen)>
• 1,000크로네 앞면: 바다의 거센 파도 풍경. 깃발 속 해양 알파벳은 E다.
그와 달리 스뇌헤타는 지폐에 ‘픽셀 디자인’을 도입하며 파격이란 말이 가볍게 느껴질 정도로 지폐 디자인의 공식을 깬 전무후무한 예를 선보였다. 막대 모양의 픽셀들은 각자에 부여된 색으로 마치 오래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만든 것 같은 그라데이션 효과를 자아내며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지극히 추상적인 모습을 추구한다. 노르웨이 중앙은행은 이에 “전통과 현대적인 표현을 동시에 성취했다”고 평했다.
이미지 목록 |
|
|
|
|
각 크로네의 뒷면에는 영감이 된 모티프와 함께 풍속에 따른 파도의 세기가 패턴으로 표현되어 있다. ©Norges Bank |
[이미지 상세 설명]
• 50크로네 뒷면: 지평선 위의 등대. 초속 1.6m의 가벼운 산들바람은 순한 파도를 만든다.
• 100크로네 뒷면: 화물선. 초속 3.4m의 순한 산들바람은 물마루를 만들 준비를 한다.
• 200크로네 뒷면: 고기잡이배. 초속 8m의 싱그러운 바람이 만든 파도의 높이는 1m 이상이다.
• 500크로네 뒷면: 석유 시추기. 초속 13.9m의 폭풍 속에서 파도는 하얀색 포말을 뱉어내며 깨져 바다를 쌓아올린다.
• 1,000크로네 뒷면: 수평선. 초속 20.8m의 강력한 돌풍이 높은 파고를 부르고 짙은 풍광은 바람의 방향조차 잊게 한다.
이성적인 시나리오가 만든 바다 풍경
스뇌헤타의 지폐 디자인에서 중요한 것이 단순히 ‘픽셀’을 사용한 참신한 표현 기법만은 아니다. 작업의 방점은 부드러움과 단단함,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접합해 역동하는 바다를 표현한 이성적인 시나리오 구축에 있다. 각 지폐는 픽셀 모티프와 큐빅 패턴, 그리고 오가닉 패턴의 조합으로 자신만의 스토리를 가진다. 가장 작은 단위인 50크로네와 가장 큰 단위인 1,000크로네를 비교하면 이해가 훨씬 빨라진다.
이미지 목록 |
|
50크로네, 100크로네의 뒷면©Norges Bank |
50크로네를 구성하는 픽셀은 ‘지평선 위의 등대’에서, 1,000크로네는 ‘지평선 그 자체’에서 형태의 모티프를 가져왔다. 여기서 재미있는 구석은 각 픽셀의 비율이 지폐마다 다르다는 점이다. 50크로네는 픽셀은 가로 세로의 비율이 비슷하고, 1,000크로네는 가로의 비율이 세로보다 월등히 크다. 그 이유는 바로 풍속 때문이다.
전자는 초속 1.6m의 가벼운 숨결 같은 바람이 부는 바다를 상정한바, 모티프인 등대의 모습이 상대적으로 뚜렷이 보이고 색감도 다양하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는 초속 20.8m의 강력한 돌풍 때문에 주변 풍경을 인지하기가 쉽지 않고 그 색감도 어두워진다.
게다가 이런 상황을 더 극적으로 전해주는 요소는 픽셀 위를 끊임없이 채우는 물결 패턴이다. 50크로네는 물결이 잔잔하고 천천히 반복되는 반면 1,000크로네는 촘촘하고 출렁거리는 물결이 그림 전체를 지배한다. 이렇게 이성적인 시스템으로 움직이는 바다의 여러 모습은 궁극적으로 긴장과 삶을 만들어내는 원동력으로서 노르웨이의 바다를 이야기한다.
실제 50, 100, 200, 500, 1,000크로네까지 총 5종의 지폐 뒷면을 가로로 길게 이어놓으면, 마치 디지털 기술로 바다의 지평선을 구현한 추상화처럼 보인다. 이런 스뇌헤타의 접근법은 실제 화폐 제작 과정에서 변형이 일어난다 해도 그 성취의 의의가 쉽사리 변하지는 않을 것이다.
5종의 화폐 뒷면을 모두 이은 모습. 마치 노르웨이의 바다를 함축한 추상화 같다. ©Snøhetta
지폐, 가장 작은 일상 속 캔버스
지폐는 한 국가의 이미지를 단숨에 읽을 수 있는 가장 작은 도구 중 하나다. 해당 국가에 거주하는 사람에겐 자국의 지폐는 매일 접하는 친근한 예술 작품이나 다름없다. 자그마한 일상 속 캔버스라고나 할까. 또한, 다른 나라 사람에겐 그 국가의 이모저모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지갑 속의 장치다. 알록달록하거나 신기한 디자인의 지폐를 접할 때 순간 그 나라에 대한 감정이 뒤바뀌는 경우가 잦지 않던가. 이처럼 지폐 디자인은 대내외적으로 국가의 정체성과 특징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큰 힘을 발휘한다.
그렇다면 노르웨이의 새로운 지폐 디자인은 우리에게 어떻게 다가올까. 노르딕의 향취 속에 노르웨이인과 바다의 관계를 고요하게 말하는 앞면과, 픽셀 디자인으로 구현한 파격적이고 현대적인 뒷면. 이 두 경계에 선 노르웨이는 우리가 막연히 알던 기존의 노르웨이와는 자못 다를 것이다.
인터뷰 및 자료 제공
노르웨이 중앙은행, 스뇌헤타
더불어 노르웨이의 삶에 대해 알려준 얀과 우현에게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기사출처 : 네이버캐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