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Mo계 내 크리프 강종은 CSEFA(Creep Strength Enhenced Ferritic Alloy)로 조직 특성상 관리가 까다로워 기존 규격 요건(예: 용접후 예열 유지 및 PWHT 실시 등)으로는 한계가 있어서 ASME는 P-No.를 기존 P-No. 5에서 P-No. 15로 변경 및 재분류하기로 결정하였읍니다.
우선 ASME BPVC Sect. IX-2009년 Addenda에서 P91 모재의 P-No를 P-No. 5B에서 P-No. 15E로 바꾸고 나머지는 추후 변경될 것으로 보입니다.
상세한 내용은 하기 자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P91 소재는로 용접 후 Ma 조직의 높은 경도 등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PWHT로 조직을 Tempering 즉, Temper Ma로 만들어 사용합니다.
그러나 P91 소재는 용접 완료후 과냉 Au가 잔류하며 이 과냉 Au는 PWHT후 냉각시 Ma로 변태하므로 Mf 온도 미만에서 유지하거나 상온까지 냉각시켜 과냉 Au의 Ma 변태를 유도해 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P91 소재를 Mf 온도 미만으로 유지하거나 상온까지 냉각시킬 경우 저온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냉각전 반드시 Hydrogen Bake-Out 즉, Post Heating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상세한 내용은 하기 자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P91 소재는 열영향부 중 세립역에서 Type IV Cracking이 발생하여 사용수명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는 재질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상세한 내용은 하기 자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Guideline for Welding P91 Materials_EPRI.pdf
SOC in ASME IX-09A.pdf
Welding Grade 91 Alloy Steel_Sperko.pdf
첫댓글 저 죄송하지만요.. 이게 다운이 안받아지는데요^^
영문이라 좀 어렵겠네요 ^^ 하지만 열심히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