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마음챙김 & 소마틱스 요가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MBSR 스크랩 미국의 심신의학
Nyasin-맹부 추천 0 조회 138 12.08.31 16:41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미국의 심신의학 (2007/9/28)





 

 


 

 

미국 심신의학의 현황과 임상적 응용


I. 서론


마음가짐이 신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명상의 생리적 효과와 정신신경면역학이나 정신신경내분비학의 결과로 증명이 되고 있다.1-7) 마음의 상태를 잘 파악하고 바로 잡기 위한 의학적 노력으로, 정신분석을 통하여 마음상태를 분석하고, 여러 치료방법을 시도하고 있으나, 마음의 고통과 정신질환은 지금도 해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마음의 고통이나 마음가짐은 불안증, 신경과민이나 불면증 같은 심리적 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신체에 직접 영향을 미쳐서 협심증과 고혈압, 부정맥, 십이지장 궤양, 천식의 악화, 불임, 당뇨, 암의 발병 등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1, 3, 7, 8, 11)


1970년대 이후부터 명상의 의학적 효과가 본격적으로 연구되면서 미국에서는 많은 심신수련의 의학적 연구와 임상적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1, 2, 9-12) 명상을 포함한 정신수련의 역사는 동양이 훨씬 앞서있으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와 임상적 적용은 미국을 포함한 서양에서 더 활발한 상태이므로 미국의 각 대학병원에서 현재 활용되고 있는 심신의학의 현황을 알아보고, 우리나라에서 응용하거나 새롭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도 의의가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심신의학적 치료법들은 만성 통증, 두통, 약물중독, 불안증, 정신적 안녕, 폭식증, 천식, 암 치료의 부작용 감소뿐만 아니라 암환자의 생존기간 연장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1, 2, 9-12), 미국에서는 주요대학병원뿐 아니라 일반 병원에서도 널리 적용되고 있다. 저자가 2006년 7월부터 1년간 스탠포드 대학 통합의학센타에서 심신의학연수를 하면서 경험한 미국의 심신의학 현황과 임상적 적용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II. 본론

정신이 신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이미 수천 년전의 고대의학인 아유르베다의 원리에도 있다고 하며13), 구체적인 심신관계 현상의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기원전 300년경 Hippocrates는 상상임신에 대한 열두 명의 여성들에 대한 기록을 남겨놓았다.14) 근대적 의미의 심신의학은 1818년 독일의 Heinroth에 의하여 처음으로 ‘정신 신체적(psychosomatic)’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지만15), 실제로 과학적인 연구가 본격화된 것은 하버드 대학병원 심장내과교수인 허버트 벤슨이 명상수련자의 생리적 변화를 현대적 장비로서 측정한 이후라고 할 수 있으며3, 4), 그 이후 명상의 내분비적 변화 및 면역학적 효과 등 객관적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5, 6)

미국의 의료기관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심신의학적 방법으로는 명상, 최면치료, 생체 되먹이기, 인지행동치료, 이완법, 태극권, 기공, 요가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며1, 2, 7, 9, 10, 16), 각 의료기관에서 행해지고 있는 방법들과 임상적 적용의 대상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미국 각 의료기관에서의 심신의학 활용배경과 현황]


1. 하버드 대학, Benson-Henry Institute for Mind Body Medicine

하버드대학의 Benson은 여러 가지 명상법과 심신수련법의 심신이완효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공통점을 찾아 ‘이완반응(Relaxation response)'1)과 ‘신념요소(Faith factor)'7)로 요약하였으며, 일반인이 쉽게 스트레스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벤슨과 그의 동료들에 의해 연구되어 적용되고 있는 주요 질환과 그에 대한 심신의학적 방법(http://www.mbmi.org/conditions/default.asp)은 스트레스를 포함한 정신적 증상 외에 알레르기, 각종 통증과 불면증, 불임, 암 등 매우 다양하다.


2. 매사추세츠 대학, The Center for Mindfulness (www.umassmed.edu/cfm)

매사추세츠 대학병원의 Kabat-Zinn은 남방불교의 명상법을 치료에 접목한 ‘마음챙김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이라는 8주간의 명상수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일반인에게 소개하였다.2) MBSR 프로그램의 의학적 효과도 Benson의 연구 못지않게 방대하게 연구되어있고 실제로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수백 곳에서 개설된 심신의학 클리닉 혹은 심신수련센타의 모델이 되었다.


3. 스탠포드 대학, Stanford Center for Integrative Medicine

스탠포드대학 정신과 Spiegel 등12)은 전이된 유방암환자에게 심신의학적 치료를 병행한 결과 생존기간의 증가 뿐 아니라 심리적 도움도 컸다고 보고하였고, 현재 스탠포드 암센터에서는 집단정신치료와 유도심상법, 예술치료, 기공, 요가, NIA(Neuromuscular Integrative Action) 등 다양한 심신수련 프로그램을 암환자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http://cancer.stanfordhospital.com/forPatients/amenities/cancerPatientServices
/supportiveCareServices/default), 스탠포드 통합의학센터에서는 최면치료, MBSR, 생체 되먹이기, 용서, 치유글쓰기 등의 심신의학 관련프로그램 (www.stanfordhospital.com/clinicsmedServices/clinics
/complementaryMedicine/default) 을 운영하고 있다.


4. UCSF, Osher Center for Integrative Medicine (www.osher.ucsf.edu)

UCSF 의료원에는 ‘Osher Center for Integrative Medicine’이라는 독립된 통합의학센터가 운영되고 있으며, Osher Center의 심신의학 프로그램은 가정의학과 전문의인 Barrows의 책임 하에, MBSR 뿐만 아니라, 마음챙김명상을 응용하여 산모의 출산과 육아를 돕기 위한 ‘Mindfulness-Based Childbirth & Parenting’, 죽음을 맞는 마음의 준비를 위한 ‘Living mindfully now’ 등이 있으며, 생체 되먹이기와 태극권, 명상과 유도심상 무료강좌, 수술 전 환자의 안정을 위한 유도심상 프로그램 등이 운영되고 있다.(www.osher.ucsf.edu/Classes/)


5. 쵸프라센타 (www.chopra.com)

초월명상과 인도 고전의학인 아유르베다 의학을 현대의학적으로 재해석하여 임상적인 치료를 시도하고 있는 곳으로,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에서 내분비내과의사인 Chopra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아유르베다 의학은 6천 년 전 인도에서 시작된 전인의학으로서, ‘생명은 몸과 마음과 영혼의 불가분적 합체이며, 의사는 밝은 지혜로써 환자의 가장 내면의 영혼에 다가가지 않고는 질병을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없다. 그러므로 질병을 벗어나려면 자신의 인식에 접촉하여 그 인식을 균형 잡은 다음, 그 균형을 몸에 확대해야 한다’라는 심신의학적 기본개념을 가지고 있다.13, 17) 아유르베다 의학은 고대 유럽과 이집트로도 전파되었고, 인도불교의 전파에 따라 티벳, 중국, 일본과 동남아시아에도 소개되어 한의학과 아시아 문화에 영향을 미쳤으나 서양과학문명의 발달과 함께 쇠퇴되었다가, 1980년대 초에 요가 수행자인 Maharishi Mahesh 요기에 의해 재조명되었고 Chopra에 의해 심신의학의 또 다른 형태로 적용되게 되었다.13, 17) 아유르베다 치료법에 대해서 100편이상의 논문이 보고되었으나 대부분 아유르베다 약초나 요가, 명상에 대한 연구이며, 아유르베다의 핵심철학인 인간체질의 3유형(바타, 피타, 카파)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가 제시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관련 연구의 가치를 인정하더라도 완전히 정통의학으로 통합되기에는 아직 이른 단계이며 지속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6. 심신의학센터, The Center for Mind-Body Medicine (www.cmbm.org)

조지타운대 정신과 교수와 백악관 보완대체의학 위원회 의장을 지낸 정신과 의사 Gordon에 의해 운영되는 곳으로, 의료인을 위한 심신의학 전문수련과정, 암환자를 위한 심신의학을 포함한 포괄적 통합의학 프로그램(Cancer guides)의 수련과정, 약으로서의 음식(Food As Medicine) 프로그램 등이 있고, 환자를 위한 명상, 유도심상, 생체 되먹이기 등이 행해지고 있다.

[심신의학의 임상적 적용]

1. 정신심리적 증상

1) 스트레스, 불안증

이완반응1, 7), MBSR2)과 최면16), 생체 되먹이기18) 등 심신의학적 치료법의 가장 중요하고 보편적인 효과는 스트레스와 불안, 공황, 공포 등을 포함한 정신심리적 증상이다.


Benson의 이완반응1) 방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신의 믿음 체계에 맞는 낱말이나 짧은 기도문 혹은 만트라를 선택한다.

(2) 편안한 자세로 조용히 앉는다.

(3) 눈을 감는다.

(4) 근육을 이완시킨다. 발부터 종아리, 허벅지, 복부, 어깨, 머리로 점차 이완한다.

(5) 천천히 자연스럽게 호흡하면서 내쉴 때 조용히 만트라를 반복한다.

(6) 수동적인 자세를 지킨다. 잡념이 들면 ‘괜찮아’하고 다시 만트라를 반복한다.

(7) 10분에서 20분간 계속한다.

(8) 바로 일어나지 않고 잠깐 앉아 있거나 다른 생각이 떠오르게 허용한 다음, 눈을 뜨고 몇 분 더 앉아 있다가 일어난다.

(9) 하루에 한두 번씩 반복한다. 아침이나 저녁 식전이 좋다.


마음챙김명상은 동양에서 비파사나명상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는데, 단계적이어서 초보자도 어렵지 않게 시작할 수 있고, 다른 심신수련법보다 객관성이 강하며, 언제 어디서나 할 수 있어서 일상생활과 괴리되지 않을 뿐 아니라, 우리 의식의 구조와 원리를 잘 알고 활용하는 명상법이므로19), 동남아에 국한되어 전승되어오다가 20세기 후반부터 전 세계로 전파되고 있으며, Kabat-Zinn은 마음챙김명상과 요가, 합기도의 철학을 융합하여 MBSR 프로그램을 창안하였다.2)


마음챙김명상의 기본은 몸, 감각, 마음, 법을 느끼고 관찰하는 것(사념처관)으로, 처음에는 마음속으로 숨을 세다가, 숨을 지켜보는 수련과 몸 상태와 동작을 느끼고 관찰하는 수련을 하고, 다음에는 감각을 지켜보는 수련, 그 다음단계는 마음을 관찰하는 수련을 한다. 마지막 과정인 법을 관찰하는 단계에 대해서는 ‘법’에 대한 정의부터 ‘의식의 대상’, ‘불교의 가르침’, ‘깨달음 혹은 진리’ 등 여러 의미로 사용될 수 있어19) 해석에 이견이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마음챙김명상의 수련과정의 하나로 몸 상태와 동작, 감각을 바라보며 이완하거나, 마음상태를 관찰하는 수련을 하게 되면, 통증을 포함한 감각변화나 정신적 스트레스 상황을 맞더라도 온전히 깨어서 바라보게 되며, 더 이상 고통으로 느끼지 않게 된다고 한다.2, 19)


2) 불면증

Jacobson의 점진적 이완법20)과 Schultz의 자율훈련21) 등의 여러 집중기법이 불면증에 효과가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 Jacobs 등22)은 6주 프로그램의 인지행동치료로서 불면증 치료에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고, Kabat-Zinn의 MBSR 프로그램 중 보디스캔2)이나, Spiegel의 최면치료16)도 불면증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2. 암, 말기 환자

1) 암환자의 치료를 위한 심신의학적 방법

Spiegel 등12, 23)은 전이된 유방암환자에게 정통적 암 치료만 한 그룹과, 정통적 암 치료와 병행하여 집단정신치료와 최면치료를 실시한 그룹을 10년간 경과 관찰한 결과, 심신의학적 치료를 병행한 군의 생존기간이 두 배나 길었을 뿐 아니라 심리적 도움도 컸다고 보고하였고, 마음챙김명상도 많은 의료기관에서 암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어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며24, 25) 하버드 대학 심신의학 연구소에서는 암환자를 위한 10주간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Table 1).


Simonton 등26)은 항암제를 포함한 의학적 치료법과 면역계가 암세포를 파괴시키는 유도심상치료로 생명을 연장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으나, 근거로 제시한 자료는 암환자 생명의 연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소의 영향을 배제하지 못했기 때문에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Simonton 외에도 심상요법을 포함한 심신의학적 치료로 암을 치료하기 위한 시도는 계속 되었으나27, 28) 아직 심상요법으로 암을 완치시키거나 생명을 연장시킨다는 근거는 없고, 암 치료의 보조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명상, 최면, 인지행동치료, 이완법 등의 방법들은 암에 동반되는 통증, 우울, 불안, 불면증 등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1, 2, 9, 16, 29) 을 이런 심신의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암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2) 임종환자를 위한 심신의학적 방법의 적용


말기 환자의 정서적 불안과 공포, 신체적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도 심신의학은 매우 효과적이다.23) 말기 환자들에게 이완과 자기최면30) 등의 심신의학적 방법이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말기 환자를 돌보는 간병인에게도 도움이 된다.31) Spiegel은 Dalai Lama와의 대담에서, 죽음에 직접 대면하는 것이 더 편하게 느껴지는 이유를 물었을 때, Dalai Lama는 어떤 일이든 미리 알면 걱정이 덜하다고 비유했다.23) 죽음 이후의 세계를 알 수는 없지만, 지난 30년 동안 수많은 근사체험에 관련된 보고를 통해서 추정해 보면, 죽음의 과정과 근사체험에서 겪은 바는 공포와 고통이라기보다는 행복과 평안, 사랑의 경험으로 요약된다.32, 33) 그러므로 죽음에 임박한 사람들이나 임종환자의 가족친지에게 죽음을 막연히 두려워하는 것보다, 깨어서 죽음의 순간을 느끼고 관찰해보는 명상체험이 정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UCSF Osher center에서는 마음챙김명상에 기초한 죽음을 준비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3. 통증과 수술

1) 통증, 두통

이완반응1, 7), 명상2)과 최면치료16)로 두통이나 통증을 덜 심하게 느끼게 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정신적 수련 외에 생체 되먹이기34)나 감각차단탱크35)를 활용하여 효과를 볼 수도 있다.


2) 수술

수술시의 불안과 통증에 대해서도 최면과 유도심상치료가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16), UCSF Osher center에서는 수술 전 환자의 안정을 위한 유도심상 프로그램(Prepare for Surgery)을 격주로 운영하고 있다.


4. 산부인과

1) 불임

스트레스가 불임을 일으키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지만, 2차적 여성불임환자에게 10주간의 인지행동치료나 지지요법을 하고 1년 후 임신성공률을 비교해 본 결과, 인지행동치료군(55%)과 지지요법군(54%)에서 대조군(20%)에 비해 현저한 임신성공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36) 하버드 대학병원의 불임환자를 위한 심신의학 10주 프로그램을 모델로 다수의 의료기관에서 이완법, 명상, 스트레스 해소법, 부부간의 대화와 접촉, 영양상담 등을 포함한 심신의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 출산

임신은 새로운 생명의 잉태에 대한 기대와 함께 출산의 고통에 대한 두려움과 신체 및 생활의 변화에 대한 불안을 동반하게 되므로, 심신의학적 치료가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임신부와 남편을 위해 UCSF Osher center에서는 ‘Mindfulness-Based Childbirth and Parenting’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5. 식사장애와 비만

Kabat-Zinn은 ‘당신은 바로 당신이 먹은 것으로 구성된다’는 경구를 인용하면서, 우리가 먹는 음식이 어떻게 자라고 만들어졌는지, 어디서 왔는지, 어떤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얼마나 많이, 얼마나 자주, 언제 먹는지 등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이기를 권한다.2) 그의 MBSR 프로그램에서는 건포도 세알을 주고 주의를 집중하여 먹도록 한다. 한 번도 본 적이 없었던 것처럼 주의 깊게 색깔과 표면을 관찰하고, 손가락으로 잡았을 때의 촉감을 느낀 후, 건포도에 대한 생각을 하고, 냄새를 맡은 후 입에 넣는다. 입에 넣은 후에도 천천히 씹어 넘길 때 입안에서 목구멍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느끼도록 한다.2)

이런 먹기 명상법은 온전히 음식과 그 먹는 행위에 대한 명상과 관찰이 될 뿐만 아니라, 음식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비만의 원인이 되는 잘못된 식사습관을 바꾸는데 도움이 된다. 마음챙김명상에 기반한 식사법2, 37)뿐만 아니라 최면18)으로도 식습관의 교정과 체중감량의 효과가 있지만, 수영이나 조깅과 같은 완만하며 반복적인 동작의 유산소운동은 이완 반응과 병행하기 쉬우므로7) 심신의학적 방법과 이런 운동들을 같이 한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6. 방사선 검사와 중재

방사선 검사나 방사선 중재에 따르는 고통이나 불안 등에서도 자기최면을 이용한 이완법으로 통증과 약물사용을 줄일 수 있다.38, 39)


7. 위약효과

Benson은 질병의 치료에 ‘신념요소(Faith factor)'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실제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 중 75%가, 병이 낫는다면 혼자서 나을 수 있는 환자들이며, 이런 특별한 치료법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에게 위약효과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였다. 나아가 나머지 25%의 환자들에게서조차 위약효과를 통해 의학적 치료가 더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하였다.7)

또한 위약효과는 심리적 영향만이 아니라 실제 뇌기능상의 변화를 동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0) 그러므로 위약효과를 단순한 심리적 요인으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성격유형별 혹은 최면감수성별로 더 적절히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와 임상적 시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8. 이비인후과적 영역

1) 이명

외부의 음원 없이 소리를 느끼는 상태를 말하며, 실제로는 자신을 괴롭힐 정도의 잡음을 이명이라 한다. 최근에는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음을 들려주어 청신경회로의 변화를 유도하는 이명재훈련치료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감각의 수용에 대한 마음가짐의 변화로 통증과 고통을 구분되게 느낀다는 개념2)으로 명상41)이나 최면치료42)가 시도되어 성과를 보이고 있다.

2) 돌발성 난청

돌발성 난청이란 3일 이내에 3연속 주파수 영역에서 30 dB 이상 갑자기 발생하는 난청으로서, 바이러스 감염, 자가면역질환, 혈행장애가 주요원인으로 추정되어 왔으나43), 적지 않은 경우에서 심리적 요인이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되어 왔다.44) 심리적 영향에 의해 돌발난청이 유발될 수 있는 기전으로는 교감신경계에 의한 혈류장애, 내분비계의 영향에 의한 내이의 항상성 손상 등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다.45) 특히 와우는 특별한 구조적 특성에 의해 두 가지 통로로 교감신경의 영향을 받아 심리적 긴장에 특히 예민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46) 심리적 측면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부에서 문제점을 제기하는 수준에서 그쳤을 뿐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되지 못했다. 최면과 명상은 심리적 이완 뿐 아니라 면역력을 증가시키므로47-49) 돌발성 난청의 치료에 정통적 치료방법과 함께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심신의학 적용에 대한 의문과 발전 방향에 대한 제안]

1. 모든 심신의학적 방법이 효과가 같은가? 모든 사람에게 일률적인 방법으로 공통된 심신의학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합당한가?


Benson은 많은 명상법이나 종교, 철학체계나 수행 방법이 지니는 공통적인 치유의 요소로서 이완반응과 신념요소를 발견하고, 각 수행법이 건강에 주는 혜택은 유사하다고 하였으나1, 7), 각 개인의 인식체계와 감각체계, 종교관과 믿음의 정도에 따라 그 차이는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각종 명상법의 특징과 방법을 깊이 파악하면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19) 개인의 명상에 대한 관심과 성격 특성이 명상수련 지속성과 연관성이 있다는 보고50)는 있으나, 수행방법별 혹은 성격이나 믿음체계에 따라 받아들이는 정도와 효과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연구된 바가 없다.


Spiegel 등은 최면감수성과 관련하여, 순진하며 수용적이고 순종적이면서 최면감수성이 높은 디오니소스형, 인지적이고 조직적이며 비판적 성격이면서 최면감수성이 낮은 아폴론형, 중간형인 오디세이형 등의 3가지 성격으로 분류한 군집가설을 제시하였다. 즉, 성격유형별로 디오니소스형에게는 통찰이나 직면보다는 설득이나 지도가 적합하며, 아폴론형에게는 비지시적인 면담구조, 탐구적 정신분석치료가 잘 맞고, 오디세이형에게는 탐구, 직면, 위로가 중요하며 게슈탈트 치료나 집단치료가 적절하다고 하였다.16)


성격유형과 명상수련방법에 대해 이와 비슷한 국내 명상가의 제안19)도 있다. 박 석은 이성적인 경향의 사람에게는 불교적 명상(참선, 비파사나)이나 지나나 요가처럼 지혜의 힘으로 진리를 체득하는 것이 적합하고, 감성적인 유형의 사람에게는 기독교나 이슬람교(수피명상), 유대교 명상(카발리즘), 박티요가가 적합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명상의 방법을 관찰명상(관법)과 집중명상(지법)으로 분류하였을 때, 관법은 비파사나 명상이 대표적이고, 집중명상은 기도문구나 만트라에 집중하는 대부분의 종교명상이 여기 해당한다고 분류하였다.19)


그러므로 심신의학적 방법을 적용하더라도 이런 가설을 염두에 두고, 성격경향에 따라 각각 다른 심신의학적 방법을 적용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된다. 즉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은 아폴론 형, 감성적이고 지시적인 방법은 디오니소스 형 이라는 원칙으로, Spiegel과 박 석의 주장에 저자의 의견을 추가하여 심신의학방법에 적당한 성격유형별로 분류하면, Table 2와 같다. 물론 아폴론 형이라고 최면치료가 안되거나 집단치료에 금기라는 의미는 아니고, 이것은 이론을 바탕으로 추정한 가설이므로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2. 한 번에 한가지의 심신의학적 치료법만 적용할 것인가? 심신의학적 치료법을 적절하게 혼합하면 더 효과적이지 않겠는가?


대부분의 명상법은 앉거나 누워서 하게 되며, 활동성이 극히 적으므로 별도의 신체단련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Kabat-Zinn2)과 Khalsa51) 등은 요가와 명상수련을 병행하도록 제안하였고, Benson은 수영이나 걷기, 조깅 같은 유산소운동과 이완반응을 결합하여 시행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7) 또한 최면과 분만교육을 병행한 경우에, 최면이나 분만교육을 단독으로 한 경우보다 훨씬 상승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52), 각 개인별로 명상, 최면, 생체 되먹이기 등 다양한 심신의학적 방법에 의학적 교육과 운동을 병행하면 더욱 치료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III. 결론

미국에서는 명상과 최면치료 등 다양한 심신의학적 방법을 프로그램화 하여 보완 발전시키면서 각 질환과 증상별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하는 과학적 검증과정을 거치고 있다. 명상과 심신수련의 역사는 동양이 서양보다 더 역사적으로 오래되고, 사회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는 편이나, 아직 국내 의료기관내에서 체계적인 심신의학의 모델이 개발되지는 못한 상태이다.


또한 많은 심신의학적 방법들이, 가능성에 비해 아직 충분히 의학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아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각 개인의 성격특성이나 증상-질환별 특성에 맞는 치료방법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도되고 있으므로, 향후 의료인들의 더 많은 관심과 연구가 뒤따른다면 심신의학의 발전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IV. 참고문헌

1. Benson H. The Relaxation Response. New York: William Morrow ; 1975.

2. 존 카밧진. 장현갑역. 명상과 자기치유. 초판. 서울: 학지사 ; 1998

3. Wallace RK, Benson H, Wilson AF. A wakeful hypometabolic physiologic state. Am J Physiol. 1971 Sep;221(3):795-9.

4. Benson H, Lehmann JW, Malhotra MS, Goldman RF, Hopkins J, Epstein MD. Body temperature changes during the practice of g Tum-mo yoga. Nature. 1982 Jan 21;295(5846):234-6.

5. Infante JR, Peran F, Martinez M, Roldan A, Poyatos R, Ruiz C, et al. ACTH and beta-endorphin in transcendental meditation. Physiol Behav. 1998 Jun 1;64(3):311-5.

6. Davidson RJ, Kabat-Zinn J, Schumacher J, Rosenkranz M, Muller D, Santorelli SF, et al. Alterations in brain and immune function produced by mindfulness meditation. Psychosom Med. 2003 Jul-Aug;65(4):564-70.

7. 허버트 벤슨, 윌리엄 프록터 공저. 장현갑, 장주영, 김대곤 공역. 과학명상법. 초판. 서울: 학지사 ; 2003

8. Antoni MH, Lutgendorf SK, Cole SW, Dhabhar FS, Sephton SE, McDonald PG, et al. The influence of bio-behavioural factors on tumour biology: pathways and mechanisms. Nat Rev Cancer. 2006 Mar;6(3):240-8

9. Barrows KA, Jacobs BP. Mind-body medicine. An introduction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Med Clin North Am. 2002 Jan;86(1):11-31.

10. Hardy ML, Favreau JT, Elfenbaum PD, Morton SC, Roth EA, Genovese BJ, et al.

Mind-body interventions for gastrointestinal conditions. Evid Rep Technol Assess (Summ). 2001 Mar;(40):1-2.

11. Kristeller JL. An Exploratory Study of a Meditation-based Intervention for Binge Eating Disorder. J Health Psychol, 1999 Jul;4(3):357-63

12. Spiegel D, Bloom JR, Kraemer HC, Gottheil E. Effect of psychosocial treatment on survival of patients with metastatic breast cancer. Lancet. 1989; 2: 888-891.

13. Prathikanti S. Ayurvedic Treatments. In : Lake JH, Spiegel D. editer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reatments in mental health care. 1st ed. Arlington: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2007. p. 225-72

14. Hippocrates. Oeuvres Completes. Paris: Baliere, 1937

15. Heinroth JC. Textbook of Disturbances of Mental Life(1818). Translated by Schmorak, T. 2 Vols. Baltimore, MD: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1975.

16. Spiegel H, Spiegel D. Trance and treatment: Clinical uses of hypnosis. 2nd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2004.

17. 디팍 초프라. 강유현 번역. 완전한 건강. 초판. 서울: 도서출판 화동 ; 1994.

18. Green EE, Green AM, Walters ED. Biofeedback training for anxiety tension reduction. Ann N Y Acad Sci. 1974 Apr 15;233:157-61

19. 박 석. 명상길라잡이. 재판. 서울: 도솔출판사 ; 2003

20. Jacobson E. Progressive Relax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1938.

21. Schultz JH, Luthe W. Autogenic training. New York: Grune & Stratton ; 1959

22. Jacobs GD, Pace-Schott EF, Stickgold R, Otto MW.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pharmacotherapy for insomn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direct comparison. Arch Intern Med. 2004 Sep 27;164(17):1888-96.

23. Spiegel D, Classen C: Group Therapy for Cancer Patients: A Research-based Handbook of Psychosocial Care. New York: Basic Books ; 2000

24. Ott MJ, Norris RL, Bauer-Wu SM. Mindfulness meditation for oncology patients: a discussion and critical review. Integr Cancer Ther. 2006 Jun;5(2):98-108.

25. Smith JE, Richardson J, Hoffman C, Pilkington K.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as supportive therapy in cancer care: systematic review. J Adv Nurs. 2005 Nov;52(3):315-27. Review. Erratum in: J Adv Nurs. 2006 Mar;53(5):618.

26. Simonton OC, Simonton SM, Sparks TF. Psychological intervention in the treatment of cancer. Psychosomatics. 1980 Mar;21(3):226-7, 231-3.

27. Morgenstern H, Gellert GA, Walter SD, Ostfeld AM, Siegel BS. The impact of a psychosocial support program on survival with breast cancer: the importance of selection bias in program eval‎!uation. J Chronic Dis. 1984;37(4):273-82.

28. Gellert GA, Maxwell RM, Siegel BS. Survival of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adjunctive psychosocial support therapy: a 10-year follow-up study. J Clin Oncol. 1993 Jan;11(1):66-9.

29. Carlson LE, Garland SN. Impact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 on sleep, mood, stress and fatigue symptoms in cancer outpatients. Int J Behav Med. 2005;12(4):278-85.

30. Finlay IG, Jones OL. Hypnotherapy in palliative care. J R Soc Med. 1996 Sep;89(9):493-6.

31. Bruce A, Davies B. Mindfulness in hospice care: practicing meditation-in-action.

Qual Health Res. 2005 Dec;15(10):1329-44.

32. Ring K. Life After Death: A Scientific Investigation of the Near-Death Experience. New York: Coward Mc Cann ; 1980

33. French CC. Near-death experiences in cardiac arrest survivors. Prog Brain Res. 2005;150:351-67.

34. Health and Public Policy Committe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Biofeedback for headaches. Ann Intern Med 1985;102:128-31.

35. Bood SA, Sundequist U, Kjellgren A, Nordstrom G, Norlander T. Effects of flotation-restricted environmental stimulation technique on stress-related muscle pain: what makes the difference in therapy--attention-placebo or the relaxation response?

Pain Res Manag. 2005 Winter;10(4):201-9.

36. Domar AD, Clapp D, Slawsby EA, Dusek J, Kessel B, Freizinger M. Impact of group psychological interventions on pregnancy rates in infertile women. Fertil Steril. 2000 Apr;73(4):805-11. Erratum in: Fertil Steril 2000 Jul;74(1):190.

37. Kristeller JL, Hallett CB. An Exploratory Study of a Meditation-based Intervention for Binge Eating Disorder. J Health Psychol. 1999 Jul;4(3):357-63.

38. Lang EV, Joyce JS, Spiegel D, Hamilton D, Lee KK. Self-hypnotic relaxation during interventional radiological procedures: effects on pain perception and intravenous drug use. Int J Clin Exp Hypn. 1996 Apr;44(2):106-19.

39. Butler LD, Symons BK, Henderson SL, Shortliffe LD, Spiegel D. Hypnosis reduces distress and duration of an invasive medical procedure for children. Pediatrics. 2005 Jan;115(1):e77-85.

40. Leuchter AF, Cook IA, Witte EA, Morgan M, Abrams M. Changes in brain function of depressed subjects during treatment with placebo. Am J Psychiatry. 2002 Jan;159(1):122-9.

41. Mazurek B, Georgiewa P, Seydel C, Haupt H, Scherer H, Klapp BF, et al. Integrated intensive treatment of tinnitus: method and initial results. Gesundheitswesen. 2005 Jul;67(7):485-91.

42. Ross UH, Lange O, Unterrainer J, Laszig R. Ericksonian hypnosis in tinnitus therapy: effects of a 28-day inpatient multimodal treatment concept measured by Tinnitus-Questionnaire and Health Survey SF-36.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7 May;264(5):483-8. Epub 2007 Jan 6.

43. Koc A, Sanisoglu O.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literature survey on recent studies. J Otolaryngol. 2003 Oct;32(5):308-13.

44. Neuser J, Knoop T. Sudden idiopathic hearing loss: psychopathology and antecedent stressful life-events. Br J Med Psychol. 1986 Sep;59 (Pt 3):245-51.

45. Horner KC. The emotional ear in stress. Neurosci Biobehav Rev. 2003 Aug;27(5):437-46.

46. Spoendlin H, Lichtensteiger W. The adrenergic innervation of the labyrinth. Acta Otolaryngol. 1966 May;61(5):423-34.

47. WoodGJ, Bughi S, Morrison J, Tanavoli S, Tanavoli S, Zadeh HH. Hypnosis, differential expression‎! of cytokines by T-cell subsets, and the hypothalamo-pituitary-adrenal axis. Am J Clin Hypn. 2003 Jan;45(3):179-96.

48. Gruzelier JH. A review of the impact of hypnosis, relaxation, guided imagery and individual differences on aspects of immunity and health. Stress. 2002 Jun;5(2):147-63.

49. Davidson RJ, Kabat-Zinn J, Schumacher J, Rosenkranz M, Muller D, Santorelli SF, Urbanowski F, Harrington A, Bonus K, Sheridan JF. Alterations in brain and immune function produced by mindfulness meditation. Psychosom Med. 2003 Jul-Aug;65(4):564-70.

50. Stek RJ, Bass BA. Personal adjustment and perceived locus of control among students interested in meditation. Psychol Rep. 1973 Jun;32(3):1019-22.

51. Khalsa DS. Meditation As Medicine. New York. Simon & Schuster, Inc. 2001.

52. Harmon TM, Hynan MT, Tyre TE. Improved obstetric outcomes using hypnotic analgesia and skill mastery combined with childbirth education. J Consult Clin Psychol. 1990 Oct;58(5):525-30.

V. Tables


Table 1. Harvard Medical School, Benson-Henry Institute for Mind Body Medicine

- Cancer Mind/Body 10 weeks Program

Session I: Start where you are: The mind/body connection

Session II: The Relaxation response and beyond

Session III: Hariness, Resiliency and Meaning Making

Session IV: Change your mind, Change your mood

Session V: Change your mind, Change your mood, cont'd

Session VI: Stretch your body: Yoga

Session VII: Food as medicine

Session VIII: Health benefits of personal relationships: Social atom

Session IX: Journaling to improve health

Session X: Review and relapse prevention

Table 2. Recommended Mind-Body treatment methods by Personality Style

Apollonian

Odyssean

Dionysian

1

Mindfulness meditation

Gestalt therapy

Concentrative meditation, Pray

2

Biofeedback

Group therapy

Hypnotherapy/Imagery

3

Exploratory psychotherapy

Behavioral therapy(Some)

4

Individual psychotherapy

Positive psychology

5

Kundalini meditation

6

Art, Dance, Music therapy

7

Flotation tank

'길벗과 모은 글'로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