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에 신림동에서 노무사 수업 마치고, 14시에 노량진 스튜디오 이동해서 해설강좌를 촬영했습니다.
아마 곧 학원홈피와 공단기 유튜브 등에 올라올테니 문제 내용의 파악은 그 강좌를 참조해 주시면 되구요,
이 곳은 제 카페니까 개인적 감상을 씁니다. (많은 질문들에 대한 답변이 늦어져 죄송하고, 며칠내 다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지난 토요일 치러진 군무원 시험에 대한 제 생각을 올려야 할 것 같아 글을 씁니다)
1.
시험 치고 오신 분들 너무나 고생하셨습니다.
날씨가 습하고 더워서도 그랬지만, 문제가 좀 여러분을 고통스럽게 했을 겁니다.
경영학을 가르친 강사로서 좀 마음이 안 좋았습니다.
2.
그 이유는 문제가 어려워서가 아닙니다.
통상의 국가시험과는 다른 출제패턴 때문입니다.
매년 군무원은 그랬습니다.
다른 국가시험과는 다르게 선지가 엉성하거나 답이 없거나 답이 여러 개거나 하는 식입니다.
출제방식의 근본적 변화가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출제위원 선정과정부터 문제의 검토까지.
현직 경영학 교수가 출제했다면 들어가기 힘든 문제들이 매년 들어가는걸 보면 말이죠...
(글을 추가합니다. 아래에 어떤 다른 분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군무원시험 출제관련 법령을 찾아보니, 출제위원은 교수나 경영학박사가 아니라도 가능하네요?)
제21조의2(시험위원의 임명등) ① 시험 실시기관의 장은 일반군무원 임용시험의 출제, 면접시험ㆍ실기시험ㆍ서류전형, 그 밖에 시험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담당하는 시험위원으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을 임명하거나 위촉할 수 있다. <개정 2018. 2. 27.>
1. 해당 직무 분야에 관한 전문적인 학식 또는 능력을 가진 사람
2. 시험 출제에 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
3. 임용예정직무에 관한 실무에 정통한 사람
3.
구체적으로 이상한 문제들에 대한 제 감상입니다.
1) 문제2번은 다른 강사님도 정답이 이상하다고 하셨다는데 제가 보기에도 그렇습니다.
차라리 <--인 것은?> 을 <--가 아닌 것은?>으로 바꾸는게 오히려 적절해 보이는데요.
2) 문제5번은 인적자원관리 내용은 맞습니다만, 국내교과서에는 소개하지 않는 내용이며, 노무사2차 수험생들도 지엽적이라 해서 유예생(2년차 이상 수험생)들이 아니고서는 보지 않을 주제입니다. 선지가 이상한 것은 덤입니다.
3) 문제21번의 사회계약론적 윤리관은 해당 사회 구성원들에게 옳다고 받아들여지는 원칙이 정당하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이게 국제경영학에서 해외진출기업의 임금책정을 사례로 사용한 것은 너무나 부적절합니다. 차라리 국제인사관리 분야에서 다루는 현지중심 임금책정 등의 원칙으로 정답을 체크하는 문제라면 이건 출처(족보)라도 분명한 내용인데, 본 문제는 사례와 선지가 너무 적절치 않게 매칭되어 있습니다. 어거지로 정답을 찾을수는 있습니다. 국어문제라고 생각하면 말이죠. 하지만 문제 자체의 내용타당성(content validity)가 너무 떨어집니다.
4) 백미는 24번의 잠재적 창의성에 관한 글입니다. 하버드대 T. Amabile 교수의 저서에 대한 문제인데요, 이건 이 내용을 배우는 노무사 2차 선택과목인 경영조직론 선택 수험생보고 풀어보라고 해도 선지 몇개를 보고 오잉?? 할 것입니다. 선지3은 회복탄력성(resiliency)에 관한 것인데 이것이 창의성과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선지4의 창의성과 윤리성과의 관계가 있는지에 관해서는 상관성이 있다는 것이 맞는 내용입니다. 여러분들이 잘 아시다시피 상관성은 긍정적 상관성과 부정적 상관성 두 종류가 있습니다. 이 분야 연구의 내용은 이렇습니다.
[다수 연구] 창의성이 높은 사람은 여러 가지 궤변을 생산할 수 있기에 비윤리적 행동을 하고도 정당화할 가능성이 높다.
--> 창의성과 윤리는 상관이 높다. (단, 상관이 마이너스, 즉 부정적 상관)
[소수 연구] 창의성은 긍정적 윤리행동과 관련이 있다.
두 연구 모두 창의성은 윤리에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상관이 있음'을 제시합니다.
선지4를 다시 봅시다.
창의성은 바람직한 많은 개별적 특성과 관계가 있어 윤리와 상관관계가 높다.
기존 연구내용은 이렇습니다.
- 창의성이 바람직한 특성과 관련이 있는가? (O)
- 창의성은 윤리적 부정행위와 관련이 있는가? (O)
- 창의성은 윤리성과 상관관계가 있는가? (O) --> 윤리적 행동을 높이거나 낮추는 것 모두 상관성이 있는 것입니다.
이런 정황을 감안하면 출제의도대로 선지 4가 정답이(즉 틀린 선지가) 되기 위해서는 문장이 다음과 같이 바뀌어야 합니다.
창의성은 윤리적 행동을 유발하는 다양한 개별적 특성과 긍정적 상관관계를 가진다.
그냥 상관관계라는 말만 갖고 현재의 선지대로 정답이 선지 4라는 것은 어거지에 가깝습니다.
4.
이상한 문제로 1년의 수험생활을 평가받으시는 여러분의 마음만 하겠습니까만은, 나름대로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강의컨텐츠를 준비하는 제 입장에서도 많이 허탈한 문제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도 여러분도 내년을 준비해야 하니, 나름의 방법론을 제안한다면
1) 어느 종류든 강사수험서 1권을 붙잡고 최대한 지엽적으로 공부해야 합니다. 어느 꼬투리를 잡아 문제를 낼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2) 문제를 풀때는 이론적 근거로 OX 판단을 해야 하지만, 그렇게 답 도출이 안되는 경우에는 국어문제라고 생각하고 문장의 어색함을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3) 군무원 시험은 그 시험 내부의 경향성이라는게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즉 군무원시험 기출만 갖고는 합리적 예측이나 판단을 하는 것이 의미가 없습니다. 따라서 타 국가시험(회계사, 공무원, 노무사, 경영지도사 등)의 기출도 함께 공부하셔야 합니다.
이상입니다.
최중락 드림
첫댓글 해설강좌 업로드가 안된 것 같습니다..확인부탁드립니닷🙏🏻
https://gong.conects.com/teacher/comment?teacher_id=cjr01
여기로 들어가시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