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한울 DS(디에스)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기본 자료실 스크랩 콩재배 기술
농촌사랑 추천 0 조회 104 12.05.03 08:40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Ⅰ. 콩 생육에 알맞은 재배환경

1. 콩의 적정 생육온도

○ 대립종은 소립종보다 발아가 늦다.

- 안정적 생산을 위한 적산온도 : 2,500~3,00℃

표1. 토양 온도에 따른 콩 출현 정도 (1983. Scott &Aldrich)

토양온도(℃)

파종깊이

(㎝)

파종후 50%유묘출현시간(일)

최저

최고

12

24

3.8

270(11일)

15

29

3.8

144(6일)

23

34

2.5

88(4일)

○ 생장 및 개화적온 : 20~25℃(화아분화 15~25℃ 전후)

○ 지상부와 뿌리생육 : 22~27℃

2. 콩의 적정 수분

콩은 다른 작물에 비하여 비교적 요수량이 높은 작물(밀, 보리, 옥수수의 2배정도)

○ 특히 개화시부터 약1개월에 전 생육기간 동안 흡수하는 수분이 약 80%를 흡수하기 때문에 이 기간의 토양수분함량은 콩의 생육과 수량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

○ 콩의 생육기간이 100일에서 190일까지 분포한다고 할 때 콩의 생육기간 중 물 이용량은 450~825㎜ 정도이다.

○ 콩의 최대 물 이용은 착협기와 종실비대기에 가장 높다.

표2. 주요 작물의 요수량 (1983. Scott &Aldrich)

작 물

요수량(㎏ H2O/㎏ dry matter)

646

고 구 마

575

545

옥 수 수

349

수 수

305

3. 콩의 일장 및 광도

콩은 단일성 식물로 대부분 10시간 일장 조건에서 30일~35일 이내에 꽃이 핀다

- 16시간 이상 광을 비추면 꽃이 피지 않는다(가로등 불빛 주의)

광도는 개화에 영향을 미치는데 현재의 재배품종들은 2~100lux의 범위에 있다.

4. 콩 재배에 적합한 토양

○ 콩 재배 최적 토양 산도 : pH 6.0~6.5

Ⅱ. 콩 용도별 육성품종의 특성

표3. 장류용콩의 주요 품종특성과 적응지역

품 종

성숙기

(월.일)

경장

(㎝)

100립중

(g)

배꼽색

수량성

(㎏/10a)

적응지역

선 유 콩

신 기 콩

대 풍 콩

호 장 콩

장 원 콩

소 담 콩

송 학 콩

대 원 콩

진품콩2호

두 유 콩

신팔달2호

태 광 콩

만 리 콩

장 수 콩

새 알 콩

황 금 콩

장 엽 콩

9. 28

10. 4

10. 8

9. 28

9. 26

10. 7

10. 7

10. 10

10. 2

10. 4

10. 3

10. 5

9. 26

10. 4

10. 11

10. 5

10. 4

54

73

56

67

82

66

71

78

68

52

64

82

68

91

67

50

50

29.6

22.5

20.7

23.4

28.5

25.2

20.9

25.6

22.0

17.6

22.2

24.0

19.8

22.2

25.0

25.0

24.0

담갈

회갈

담갈

244

236

305

247

239

285

280

293

263

276

274

266

262

241

228

242

228

전국(제주 제외)

전국

전국(제주 제외)

전국(제주 제외)

전국(충남, 제주 제외)

전국(제주 제외)

경기, 강원

충청, 영호남, 제주

전국(제주 제외)

전국

전국(제주 제외)

영호남

중북부지역

영호남

표4. 나물용 콩의 주요 품종특성과 적응지역

품 종

성숙기

(월.일)

경장

(㎝)

100립중

(g)

배꼽색

수량성

(㎏/10a)

적응지역

녹 채 콩

소 진 콩

보 석 콩

안 평 콩

서 남 콩

소 원 콩

도레미콩

소 명 콩

다 원 콩

풍산나물콩

은 하 콩

9. 22

10. 8

10. 4

10. 2

9. 23

10. 3

10. 1

10. 10

9. 28

10. 9

10. 9

41

52

65

64

60

74

63

47

50

60

63

9.2

9.7

8.6

11.6

9.3

9.3

11.0

8.3

9.4

10.1

12.0

농갈

담갈

남부이모작지대(제주제외)

전국

전국

단작지역, 경남북, 제주

전남북, 경남

전국

전국(강원제외)

전국

전국

이모작 지대

충남, 전남북, 경남북

Ⅲ. 파종준비 작업

1. 콩 재배시 시비량

○ 질소비료는 반드시 토양검정에 의하여 시비처방(농업기술센터에 의뢰)

○ 콩 개화기 전후하여 질소비료를 추비할 경우 수량증대 유리

표5. 거름주는량(㎏/1,000㎡)

구분

비화산회토

화산회토

성분량

실량

추비

성분량

실량

추비

질소(요소)

인산(용성인비)

칼리(염화칼리)

4

6

5

8.7

30.0

8.3

요소 8.7

4

12

5

8.7

60.0

8.3

요소 8.7

※ 웃거름 : 요소 8.7㎏는 개화기때 시용

○ 콩 전용복비(8-14-12)

- 비화산회토 : 50㎏, 화산회토 75㎏/1,000㎡

○ 콩의 질소 웃거름 효과

구 분

웃거름량

(㎏/10a)

웃 거 름

주는시기

수 량(㎏/10a)

밑 거 름

대비지수

비 고

전량밑거름

밑거름+웃거름

개간지

숙 전

4(8.7)

6(13)

개화기

234

298

297

336

127%

113

전북 ’82~’83

충남북 ’85

( ) 는 요소량임

○ 석회시용 효과

구 분

pH 범 위

5.0이하

5.12~5.5

5.6~6.0

6.1이상

평균

수량지수(%)

140

138

127

120

136

※ 석회시용량 : 200㎏/10a, 자료 : 농기연. 1964

- 석회 요구량 : 검정결과에 따라 알맞은 양을 줌

- 석회 시용은 협수. 100립중을 증가시켜 수량증수

5. 배수로 설치

○ 장마. 집중호우시 침수방지(지표배수 신속처리 되도록 설치)

- 습해 : 출아시 입모율저하, 개화기와 결협기에 수량감소

Ⅳ. 파종작업 및 잡초방제

1. 종자소독

○ 종자로 전염되는 병해인 자반병, 미이라병 등 예방 효과

○ 한발에 의한 발아 지연시 발아력 지속 유지

○ 종자 1㎏에 수화제 1호(벤레이트-T) 4~5g을 종자에 분의 소독

○ 조류기피제 처리 : 종자소독 효과가 있으니 별도의 종자소독 생략

- 콩 파종후 비둘기 등 새피해가 우려되는 포장에서 사용

- 조류 기피제를 묻힌 후 파종하면 냄새와 색깔로 조류피해 경감 효과

※ 조류기피제는 종자처리 액상수화제로써 종자 1㎏당 300㎖ 처리한 후 그늘에서 충분히 건조하여 파종

표5. 콩 종자소독에 따른 자반병 경감정도

구 분

소독방법

발아율

자반병이병율

비 고

벤레이트티

0.4%분의처리

73.3%

14.4%

자반병에 걸린종자 사용

무처리

-

66.7

57.0

2. 파종기 선택

○ 콩의 파종 적기는 20℃ 전후가 적기임.

- 중부지방 : 단작(5월 중?하순), 이모작(6월 상?중순)

- 남부지방 : 단작(6월 상?중순), 이모작(6월 중?하순)

* 콩은 발아시 과습장해를 받으면 발아가 불량해지는데, 파종일이 지연 되더라도 토양이 과습한 때를 피하여 파종하는 것이 유리 함

표6. 평균기온에 따른 콩의 출아 소요일수

구 분

평균기온(℃)

10

12

14

16

18

20

22

24

출하일수

19

13

10

8

7

6

5

5

3. 파종방법

○ 파종방법 : 재배방식, 파종기, 노동력에 따라 다양

- 점파기(황금, 장자동화 등) 이용 파종 : 파종량 조절용이, 출현 양호

- 줄뿌림파종(최소경운) : 노력절감(30분이내/10a), 파종시간 단축, 수량 대등

- 무경운 보리골 산파 : 파종노력 절감, 출현 불균일, 수량감소 우려

- 휴립광산파 : 파종노력 절감, 출현 불균일, 수량감소 우려

- 전면산파 : 노력절감 효과 큼, 출현 불균일, 습해우려, 수량감소 우려

4. 파종량

파종량은 종자의 크기에 따라 다르며, 크기별 적정파종량 기준은 다음과 같다.

표7. 작기별 종자크기별 파종량 기준

구 분

일모작

이모작

소립종(10g내외/100립중)

중립종(20g내외/100립중)

대립종(25g내외/100립중)

3~4㎏

5~6㎏

6~7㎏

4~5㎏

6~8㎏

8~10㎏

5. 잡초방제

○ 제초노력 : 농작업의 19% 소요(방제소홀시 32~77% 수량감소)

○ 파종 후 40일까지 방제 필요

○ 제초제 사용

- 토양처리제 : 파종 직후 및 3일 이내

? 과습토양 약해 우려(싹이 나온 후에는 사용금지)

- 경엽처리제 : 처리시기는 잡초 3~5엽기 정도

? 화본과(피, 바랭이 등) 발생시 지호프, 세톡시딤 살포

○ 경엽처리제 사용시 주위의 작물에 비산 주의

표8. 콩 밭밥초 적용약제 사용방법

구 분

적 용 약 제

사 용 적 기

사용량

토 양

처리제

리푸론(수)

파종복토후 3일이내

20㎖/물20ℓ

메토라크롤(입)

파종복토후(잡초발생전)

3㎏/10a

알라(유)

파종복토후 3~4일 이내

40㎖/물20ℓ

알라(입)

파종복토후 3~4일 이내

3~5㎏/10a

트리린(유)

파종복토 직후

40㎖/물20ℓ

에탈프루라린(유)

파종복토후 3일이내(잡초발생전)

60㎖/물20ℓ

경 엽

처리제

플루페나??메트리부진(수)

파종복토후 3일이내 토양처리

20㎖/물20ℓ

페녹사프로프피에칠(유탁)

화본과 3~3엽기

20㎖/물20ℓ

푸로파키자호프(유)

잡초 3~5엽기

15㎖/물20ℓ

클레소딤(유)

화본과 3~5엽기

20㎖/물20ℓ

할록시호프알메칠(유)

화본과 잡초 3~5엽기

12㎖/물20ℓ

Ⅴ. 중간재배관리기술

1. 중경, 배토(북주기)

○ 중경 : 잡초 제거 및 토양 물리성 개선

- 제초제 사용시 : 파종후 30~40일경 1회 실시

- 제초제 미 사용시 : 제초를 겸해 2~3회 실시

○ 배토 효과 : 토양 통기성 양호, 지온조절, 부정근 발생 조장

○ 중경, 배토시 유의할 점 : 개화 10일전까지 마쳐야 함

2. 순지르기(적심)

○ 대상포장 : 밀식, 다비포장, 비가 많이 와서 웃 자랐을 때

○ 적심 효과 및 방법

- 적심효과 : 도복방지, 유효생육 유도

- 시기 및 방법 : 본엽 5~7매 정도에 상장점 절단

○ 유의사항

- 늦게 파종하거나 생육이 불량할 때 적심효과 없음.

※ 생육기 왕성할 때의 순지르기는 증수효과가 있으나 생육이 보통일 때의 순지르기는 오히려 감수를 가져옴

3. 추비

○ 개화시 콩의 생육상황을 고려하여 추비

- 개화기 내지 결협기 비절시 콩알의 비대가 불량

Ⅵ. 재해경감 및 대책

1. 습해피해

○ 습해발생

- 7~8월 장마로 인한 과도한 수분이 존재할 경우 토양산소 부족으로 습해발생

- 배수불량지에서는 강우 후 과습 조건이 오래 지속되므로 습해발생

- 개화기에서 종실비대기 사이에 습해발생은 수량감소 큼

○ 습해대책

- 요소 1%액 엽면시비(10%내외 피해경감)

- 배수로 설치 후 고인물 제거

2. 한발피해

○ 콩의 요수량 : 옥수수의 1.8배로 수분 요구량이 큼

○ 한발피해는 종실비대기>개화기>영양생장기 순임

○ 관수 및 피복으로 증수 효과 큼(20% 내외)

○ 파종기 한발은 출아율 감소

○ 종실비대기 한발은 콩알의 무게, 크기 감소

표9. 생육단계별 관수처리에 의한 콩의 생육 및 수량(’91, 작시)

시험품종

파종기

(월.일)

관수기간

(관수횟수)

착협수

(개)

100립중

(g)

수량

(㎏/10a)

수량지수

황 금 콩

6. 20

영양생장기~성숙기(3회)

36.1

27.2

331

126

무 처 리

28.9

27.0

263

100

5. 19

개화기~성숙기(3회)

55.7

28.3

298

121

무 처 리

49.5

26.8

246

100

화엄풋콩

5. 19

종실비대기~성숙기(2회)

15.0

28.1

198

113

무 처 리

17.5

27.1

175

100

○ 도복피해

- 밀식, 질소과비, 가리 및 규산 부족시 도복 발생

- 줄기상처에 의한 호흡증대 및 저장양분의 소모

- 양분 이동 저하에 의한 수량 감소

표10. 도복시기 및 각도에 따른 수량(’89, 작시)

(단위 : ㎏/10a)

도복각도

개화전15일)

개 화 기

개화 후 15일

개화 후 30일

40°

60°

80°

344(100)

323(94)

319(92)

294(85)

343(100)

312(91)

305(89)

264(77)

329(100)

315(96)

280(85)

243(74)

324(100)

284(88)

299(92)

260(80)

평균

320

306

292

292

※ ( )는 수량지수 임

Ⅶ. 병충해 방제

발생시기가 비슷한 병해충을 동시에 방제하기 위하여 살균제와 살충제를 혼합하여 방제시 노력절감 효과가 큼

표11. 병충해 동시방제 요령

구분

방제시기

대상 병해충

약 제 명

방 제 법

1차

7월하순

8월상순

노균병, 먹뿌리썩음병, 자주빛무늬병,

미이라병, 진딧물,

콩줄기굴파리,

콩줄기명나방,

노린재류 등

살균제(베노밀수화제, 만코지 수화제)와 살충제(디프수화제, 피리모수화제, 지노멘수화제, 메프수화제) 등을 혼합하여 살포

10a당 물 100~200ℓ에 따서 뿌림

2차

8월하순

9월상순

세균성점무늬병,

탄저병,

먹뿌리썩음병,

미이라병, 콩나방,

노린재류,

자주빛무늬병 등

1. 검은뿌리 썩음병

○ 피해증상

- 배수불량지, 연작지에 심한 피해, 저온 다습조건에서 발병 심함

○ 방제법

- 발병식물체 즉시제거, 꼬투리 비대기에 침투성 살균제 베노밀 살포(병해 경감)

2. 탄저병

○ 피해증상

- 고온, 다습, 도장 할 경우 생육후기 아랫부분의 줄기, 꼬투리 및 잎자루 등에 발병

○ 방제법

- 종자소독(베노람 등)

- 개화기 이후 베노밀 등 곰팡이 방제약 살포

3. 자반병(자주무늬병)

○ 피해증상

- 포장에서의 병징은 종자가 맺히기 시작할 때부터 시작되어 각이진 불규칙한 형태의 병반 형성

- 잎자루, 줄기, 꼬투리에서도 병반이 형성되며 조기낙엽 초래

- 뚜렷한 병징은 종자에서 나타나며 흑자색 병반이 종피에 형성됨

- 이병된 종자는 쭈글쭈글하기도 하며 제 1차 전염원으로 작용 입모율 불량, 어린묘에 병을 일으킨다

○ 감영경로 및 발병조건

- 병원균은 병든 종자와 식물체 잔재물에서 월동을 한다.

- 이병조직에서 형성된 포자는 바람과 빗방울에 의해 주변으로 퍼진다

- 자연 감염율은 개화기, 결협기, 성숙기의 온도와 강우량, 강우일수와 상관이 있으며

- 종자의 발병은 성숙기전 10일간의 기온이 15~24℃의 경우에 많고 수확적기 5일 전 까지의 영향은 크다

- 수확이 늦거나 수확후 야적기간이 길수록 발병이 많다

- 건조한 날씨라도 병원균의 발아에 충분한 정도의 이슬이 맺히는 경우에도 발생된다

○ 방제대책

- 정선한 종자를 이용하여 재배한다

- 파종전 반드시 종자소독 후 파종

- 생육기에 톱신엠, 벤레이트 등을 살포한다

- 결협기에 벤레이트 티, 호마이 등의 약제를 살포한다

- 포장에서 이병잔재물 제거와 윤작을 실시한다

4. 담배거세미나방

○ 피해증상

- 어린 유충은 잎 뒷면이나 새순부위에서 밀집하여 가해

- 낮에 지하나 낙엽 밑에 잠복 후 밤에 주로 가해

○ 방제 : 8월 중?하순경에 살충제 1~2회 정도

5. 노린재류(콩 재배에 가장 피해가 심한 해충)

○ 피해증상

- 노린재는 80년대 벼에서 반점미를 유발하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음

- 1년에 2~3회 발생하며, 최근 콩 재배에 큰 피해를 주었음

- 꼬투리 형성기부터 몸의 앞끝에 붙어있는 침으로 즙액을 빨아 가해

- 피해 꼬투리가 빈깍지가 되거나 성숙기 지연

- 노린재 피해 종자는 발아율 저하로 콩나물 및 종자생산에 피해 큼

그림1. 콩 생육단계별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피해정도(2001. 호농연)

○ 방제법

- 개화기 이후 관심을 가지고 예찰 실시

- 꼬투리가 달리는 시기부터 약제방제 필수

- 착협기 이후 메프수화제(스미치온), 델타린(데시스), 알파스린 등 10알 간격 살포

- 마을 또는 단지 동시방제 효과 큼

6. 콩 진딧물

○ 피해증상

- 콩 바이러스 매개 해충임

- 잎의 뒷면에 붙어서 즙액을 빨아먹음

- 작은 노란 반점이 갈색으로 변함

○ 방제법 : 약제살포(피리모수화제 등)

Ⅷ. 수확, 건조, 조제

1. 수확기 판정

○ 수확시기 : 개화후 60일경, 논 재배시는 이보다 5~10일 늦어짐

○ 수확적기 판정

- 콩 꼬투리의 80~90%가 품종 고유의 성숙색깔로 변색(성숙기)

- 성숙기 이후 7~14일이 수확적기(수분 18~20%)

- 수확시기 늦으면 탈립에 의한 손실, 미아라병, 자반병 등 품질저하

표12. 콩 수확시기와 수량(’88, 농진청)

구 분

개화 후 일수(일)

40

45

50

55

60

65

수량(㎏/10a)

수량지수

100립중(g)

90

73

15.8

118

94

18.4

120

95

19.2

121

96

21.8

125

100

20.6

125

100

21.2

2. 수확방법

○ 인력 수확

- 단으로 묶어 세우거나, 깔아서 건조

- 건조시 비를 피할 것(자반병, 미이라병 등 품질저하)

○ 콤바인(기계) 수확

- 도복에 강한 품종, 탈립이 강한 품종 유리

- 성숙 후 10일 정도, 수분함량 18~20%(손실 적음)

- 수확시간 10~17시 유리(미탈립 방지를 위해)

- 수확시 미성숙 개체 및 잡초제거

- 집단화 필요(기계 활용도 및 작업 효율성 증진)

표13. 수확방법에 따른 노력절감 효과

수확방법

수확시간(분/10a)

생력화정도(%)

예 취

탈 곡

바인더+투입식탈곡기

콩 전용 탈곡기

범용콤바인

인력+투입식탈곡기

51.1

-

-

358.3

50.8

69.3

19.0

51.8

101.9

69.3

19.0

410.0

75

83

95

0

3. 탈곡

○ 수확후 2~3일 건조해서 탈곡

○ 탈곡기 이용은 꼬투리 수분함량 20%이내

○ 수분 20%이상은 탈립율 저하, 작업 소요시간 길어짐

○ 과다건조는 깨진 종자 많음(회전속도 조절 필요)

4. 건조 및 저장

○ 수분함량 14% 이하 보관

○ 건조후 서늘한 장소 저장

○ 나물콩 및 종자용은 천일건조가 발아력 유리

○ 불가피할 경우 건조기 이용은 30~40℃, 상대습도 50~70% 내외 풍건

○ 장기저장시 5℃이하 상대습도 60% 내외, 수분함량 10% 이하

5. 국산나물콩의 문제점 및 건의사항

○ 수입콩에 비해 균일도와 발아율이 떨어짐(정선불량)

○ 수확후 정선등 관리 철저, 등급별 차등을 두었으면 함

○ 국산콩 품질이 수입산에 비해 떨어짐

○ 종자용콩 지속적 우량종자 공급 요망

Ⅸ. 콩 재배 생력화 기술

1. 파종

○ 경영규모별 기계화 파종

- 0.3㏊ 미만 소규모 재배 : 소형인력기계점파기 이용파종

- 1㏊ 내외 또는 그 이상의 대면적 재배 : 로타리 경운과 이랑짓기 및 파종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트렉터 부착용 작조동시 점파기와 자갈메몰형로타리를 활용하면 파종노력을 크게 절감

2. 시비 및 입제농약 살포

○ 시비작업 생력화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농기계가 많이 개발되고 있으나, 중?소농규모에서는 기존의 동력살분무기를 이용하면 입제농약의 살포뿐만 아니라 시비작업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기계의 활용도 높일 수 있다.

○ 대농 규모에서 시비작업을 생력화하기 위해서 부착용 비료 살포기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

3. 배토작업과 생육중기제초 및 병해충 방제작업의 생력기계화

○ 배토작업은 첫 꽃이 피기 전까지 실시 : 잡초방생정도와 콩의 생육정도에 따라 1-2회 실시하며 소농 규모에서는 소형관리기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나 대규모의 경우 승용관리기부착용 배토기나 트랙터 부착용 배토기를 이용하는 것이 작업노력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 생육중기에 액제, 유제, 수화제 등을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경엽처리형 병해충과 잡초 방제용 약제의 살포는

- 중, 소농가에서는 기존의 경운기에 부착하는 동력방제기나 동력살분무기를 이용하여 살포 할 수 있으며,

- 대농 규모의 경우에는 승용관리기 부착용 붐 방제기를 활용하면 방제 노력을 줄일 수 있다.

4. 수확 및 탈곡작업

○ 콩 재배과정 중에서 생력기계화가 어려운 부분 중의 하나가 예취, 탈곡, 정선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수확과 탈곡이며, 특히 예취작업의 기계화가 현재로서 가장 미진한 부분

○ 콩 예취작업의 생력화는 경영규모에 따라서 달리해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 재배면적이 0.1㏊ 내외의 소농 규모에서는 배부식 잡초예취기를 이용

- 소형 보행식 콩 예취기와 같이 안정성을 높여 개량 된 농기계도 개발보급 중

○ 0.3㏊내외의 중농 규모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바인더 등은 현재 국산화된 기계가 상품화되어 있지 않으나, 농촌진흥청 농업공학연구소에서는 바인더(예취기)를 개량하여 국산화에 노력하고 있어서, 소농 또는 중농 규모 농가에서 콩 예취작업의 기계화는 조속한 시일 안에 해결될 것임

○ 손쉬운 콩농사와 생산비 절감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집단화 및 규모화 된 대규모 단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취와 탈곡작업을 동시에 이루어지는 범용콤바인과 같은 대형자동화 기계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한 실정

Ⅹ. 콩의 경쟁력 제고와 유통개선 방향

1. 콩의 시장개방 확대에 따른 영향

○ DDA, FTA 등 시장개방 확대 등으로 상대적으로 비싼 국내 밭작물의 경쟁력은 점점 떨어질 것으로 예상됨

- FTA 체결시 관세율 대폭 인하해야 하기 때문

○ 선진국의 관세구간과 감축률을 적용하고 100%의 관세상한 부과할 경우 콩 생산액은 910억원, 생산액 기준 22.8% 감소 추정

○ FTA에 의해 관세가 완전회 철폐될 때 콩 생산자 잉여는 43.8% 감소하는 것으

로 분석됨

2. 콩의 SWOT 분석

○ 콩은 안전성과 관련하여 우리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가 높은 강점을 갖고 있 으며, 지역별 특성에 따라 특산화 및 소득화가 가능함.

○ 콩은 국민 소득 증대에 따른 웰빙, 안전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지역

특화 및 산업화를 통한 새로운 성장 산업으로 전환 가능함.

- 콩은 세계적인 건강식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웰빙의 흐름을 타고 검은 콩두부, 검은콩 두유 등 콩을 이용한 새로운 가공식품 등의 출시되고 있음

○ 국산 콩은 유전자변형(GM)품종이 아니고 품질면에서도 전통식품의 원료에 적합하여 수입콩에 비해 유리함.

- 생산농가들의 생산 및 유통시설 부족으로 균일화와 품질저하의 문제를 발생시

킴으로써 소비자의 신뢰도 제고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

- 수입콩의 저가 공세와 DDA, FTA 등으로 인한 개방확대는 대량 수입업체의 값싼

수입콩 선호를 부추겨 국내 콩 생산 농가의 어려움이 가중

표14. 콩의 SWOT 분석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 다양한 효능으로 건강식품으로 각광

받고 있는 작물

○ 장류, 두부, 두유 등 다양한 식품소재 및 가공제품 개발이 가능

○저온저장고와 같은 시설과 생산장비의 부족으로 균일화 및 품질저하

○산지와 소매가격의 심각한 격차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 식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고조로 유전 자 변형 품종이 아닌 국산콩이 선호됨.

○ 저가 수입콩의 불법유통

○ FTA체결 등의 개방 확대

○ 아이소플라본, 아스파라진 등 기능성분 품종개발 보급

- 수입콩과 차별화된 기능성 유색콩 품종개발 : 종피색 다양화 (황→녹,흑,갈색 등)

○ 파종에서 수확까지 기계화 필요

- 경영규모별로 소형인력기계점파기 또는 트랙터 부착용 작조동시 점파기 이용 파종과 배토 및 병해충방제의 기계화, 집단화 및 규모화 된 대규모 단지에서 활용할수 있는 콩 예취기와 범용콩바인과 같은 대형자동화 기계의 개발 및 보급 필요

○ 정선, 선별 및 포장개선

- 우리나라 콩도 비중기를 거치고 선별기를 거쳐서 정선하여 제품화 바람직 함

○ 가격 이원화 : 브렌드화, 생산이력제(원산지표시) 도입

- 청자콩 브렌드화 및 주산단지 조성 : 안동시 서후면 대두서리

?면적 : 11(‘05) → 15ha(’06), 청자콩 디자인 등록, 활용(‘06)

- 대풍콩 시범재배 및 가공특산단지 육성

?경기 포천, 강원 속초, 충북 진천 : 10(‘05) → 25ha(’06)

?대풍콩 두부, 청국장 환 및 분말, 순두부 등 가공제품 브렌드화 공동 추진

- 녹채콩 지역 브렌드화

?무안군과 산업체간 농산물 협약식(‘06) 및 수매계약 추진

?무안군 : 브랜드(황토랑)사용 및 녹채콩에 대한 품질인증

- 제주 콩나물콩 이용 브렌드화 추진 필요

3. 원료콩의 유통 방향

○ 소비자를 대상으로한 콩 가격과 품질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조사결과 가격

보다는 품질을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됨

- 콩은 비싸도 품질이 좋은 콩을 구입하겠다는 의견 33%, 가격과 품질 모두

고려한다는 비율이 62%임

○ 수입확대에 대응하고 외국 농산물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국내 콩의 철저한 품질관리가 연중 안정적으로 물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생산 규모화, 용도별로 선별 및 규격화가 필요

○ 소비자 수요에 대응한 생산자의 품질관리와 공급체계 구축

- 품종선택에서부터 토양관리, 재배관리, 수확후 관리 및 상품화, 계획 생산체제

구축

- 산지의 생산 조직을 규모화, 전문화하여 연중 안정적 공급 및 경쟁력 확보

- 주산단지를 조성하여 개별 영농규모의 영세성 극복

- 지역농협, 작목반, 영농조합법인과의 계약재배 확대

○ 국산콩 소비확대 및 콩 가공산업과의 연계 강화

- 콩 특성에 적합한 포장규격화로 상품성 향상, 손실 방지, 안전성 제고

- 국산콩 우수성에 대한 홍보 확대를 통한 소비 확대

- 콩 생산자와 가공업체간 지속적인 거래관계 형성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