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전자수리114 & 전파사TV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오디오.amp.cd이론 스크랩 영상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용어
hi audio 추천 0 조회 26 07.12.22 10:19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A/D변환
아날로그 신호(A)를 디지털 신호(D)로 변환하는 것을 말하며 반대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것을 「D/A변환」이라 한다. 현장에서는 짧게 줄여 A/D, D/A라고 부른다. A/D변환은 디지털화라고도 칭해지며 샘플링 주파수와 양자화 비트수의 설정으로 어느 정도의 화질로 원래의 아날로그 신호를 복원할 것인지가 정해진다. 샘플링 주파수라는 것은 매초당 몇회의 신호파형을 측정할 것인지를 나타낸 것이며 표준화(샘플링)의 정리로 ‘복원하고 싶은 주파수의 2배 이상의 주파수로 샘플링 하는 것’이라고 정해져 있다. 양자화 비트수라고 하는 것은 어느 정도의 섬세함으로 디지털화를 할 것인지를 나타내며 CD의 16비트는 음성의 강약을 2의 16승, 즉 6만5536단계로 나타낸다. 음성신호의 경우 단계적으로 나타냄으로 DV 등의 8비트 처리가 실제로는 RGB 각 색을 8비트로 처리한다. 컴퓨터 용어로 쉽게 표현하자면 24비트 처리로 약 1677만 가지의 풀컬러를 표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A-모드와 B-모드

방송위성을 사용해 주파수 대역16KHz의 4채널 스테레오의 PCM방송을 A-모드(mode)라고 하며 마찬가지로 PCM방송에서 주파수 대역이 20KHz인 2채널 스테레오 방송(CD급 음질)을 B-모드(mode)라고 한다.

A-B롤 편집

편집시 사용되는 용어로 VTR에서 VTR로 편집하는 것인데 오리지널 테이프 재생용 VTR을 2대 이상 사용해 편집하는 방식이다. 재생용 VTR이 1대인 경우는 편집 수록용 VTR(마스터 VTR)에 차례로 더빙 편집만 하는데 재생용 VTR을 포함해서 3대 이상 사용하고 스위처를 사용하면 다양한 편집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을 제어하는 것으로 편집 컨트롤러를 사용한다

ADC / ADConverter / AD컨버터 /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는 보통 ADC 또는 A/D Converter로 불리우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이다. ADC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변환 장치로 즉, 연속적인 값을 표현하는 아날로그 형태로 구성된 신호를 입력 받아서 이산적인 양의 값을 표현하는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반대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를 DA 컨버터라고 한다

ANSI Lumens(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de) 
미국공업규격협회에서 정한 밝기 단위로 스크린상의 화면을 40인치로 투영 뒤 9등분하여 각각의 밝기를 평균치를 낸다. ANSI 루멘은 프로젝터 밝기의 측정 단위이다. 투사된 영상의 중앙이 코너보다 밝기 때문에 ANSI 루멘은 룩스보다 밝고 정확한 프리젠테이션을 나타낸다. 프로젝터의 ANSI 루멘은 보통 9개의 포인트를 지니고 있다. ANSI lumens는Full White Screen상의 9개의 점으로 나누어 각 점의 밝기를 Lux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낸 값이다

AV(Audio&Video/Audio-Visual)
TV이나 영화와 같이 영상과 음성이 하나가 되어 떨어질 수 없는 관계분야를 총칭해서 가리키는 말이다.

ADPCM
Adaptive Delta Pulse Code Modulation의 약자. 오디오 정보를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AE(자동노출:Auto exposure)

카메라에 사용되는 용어로 자동노출을 의미한다. 카메라의 한 부분에 설치한 수광소자(CdS나 Si반도체 등)가 피사체 휘도를 자동적으로 측정해, 장착된 필름의 감도에 가장 적당한 셔터 속도로 설정하는 방식이다. 셔터 속도가 우선인 방식과 조리개가 우선인 방식이 있다.  

AGC(Auto Gain Control)  

자동이득제어로 캠코더에서는 영상의 적정 노출을 마이콤에서 자동으로 비교 판단해 조절한다. 입력신호가 클 때는 앰프의 이득을 내리고 입력신호가 작을 때는 앰프의 이득을 올려서 출력 신호가 항상 일정한 레벨이 되도록 자동적으로 조절한다(지난 12월호 p179∼180 참조).  

Aliasing
출력 장치의 제한된 해상도로 인해 나타나는 영상의 부정확한 모습. 일반적으로 이런 현상은 원래는 둥글게 표시되어야 하는 곡선이 톱니 모양의 각진 직선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통해 살펴 볼 수 있습니다.

Analogue

수량을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물리량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아날로그라 칭한다. 이는 전류, 전압, 온도, 속도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물리량을 나타낸다. 예를들어 음성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처리할 경우 연속적인 시간에 대한 연속적인 전압이나 전류의 변화라는 현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것을 가장 이해하기 쉬운 것은 아날로그 시계와 디지털 시계의 비교일 것이다. 아날로그 시계는 시간이란 양을 ‘연속적인 양’으로 다루는데 비해, 디지털 시계는 ‘비연속적인 수치’로 다루고 있다. 전기회로에서 아날로그 회로는 회로에 흐르는 신호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며 볼륨(가변저항)에 의한 음량(증폭률)을 연속 가변하는 앰프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측정 장비인 오실로스코프의 파형 등으로 그 양을 알 수 있고 눈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Anti-aliasing

Aliasing 현상으로 인해 톱니 모양으로 나타나는 부분을 부드럽게 표시하는 기술.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각져서 나타나는 부분의 색상을 배경색과 적절히 섞어 주어서 각진 모습이 눈에 띄지 않게 만드는 것입니다. 더 높은 해상도의 출력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또다른 해결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ASF(Active Stream Format) 파일

마이크로 소프트 사에서 제안한 스트림 포맷. 이 포맷은 앞으로 스트림 방식의 표준으로 선택될 가능성이 높은 파일 방식이다.

Aspect Ratio

일반적으로 4:3또는 16:9와 같이 TV모니터의 종횡비를 나타낼 때 사용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픽셀의 모양을 나타낼때에도 사용한다.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그래픽 데이타의 경우 에는 픽셀의 종횡비가 1인 정사각형 모양이지만, ITU-R601규격을 다루는 NTSC시스템의 경우 픽셀 수는 720*486으로 규정되어 있지만 블랭킹 신호가 차지하는 부분을 고려하면 실제로는 711개 정도의 화소만 볼 수 있다. 이때 픽셀의 종횡비를 계산해보면 486/711*4/3=0.911, 즉 각 픽셀은 가로보다 세로가 긴 직사각형 모양이 된다. 따라서 픽셀의 Aspect Ratio는 DVE를 이용하여 효과를 적용할 쌔난 비디오 시스템과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경우 화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 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AUX(Auxiliary)단자
 
영상·음성 기기를 다루다보면 ‘AUX’라고 적힌 단자를 흔히 볼 수 있다. 이 말의 본 뜻은 ‘보조의’, ‘추가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주입력이나 주출력 이외의 예비단자로써 준비돼 있는 것이다. 이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와의 입력이나 출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보통 ‘AUX IN’이나 ‘AUX OUT’로 표시된다.

Averaging (평균화)

어떤 점의 밝기나 색상값을 주위의 다른 점들의 값과 평균내는 필터 처리 과정. 각 점의 값들은 평균값으로 대체됩니다.

AVI
비디오 데이터의 파일 저장 방식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AVI(Audio Video Interleaved) 파일 형식. AVI 파일 형식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파일 형식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주는 Video for Window 환경에서 수행되어지는 파일형식. 위에서 설명한 압축 코덱들이 바로 이 AVI파일을 압축할 때 사용되어진다. 오디오와 비디오 데이터가 내부적으로 번갈아 (interleaved) 기록되어 있기에 AVI라는 용어로 표현한다

AWB(Automatic White Balance)  

텅스텐 전구와 형광등은 색온도가 다르다. 또 같은 태양광이라고 하더라도 한낮의 태양과 아침 저녁의 태양의 색 온도는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조건에서 캠코더는 간단하게 화이트 밸런스를 잡도록 오토 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가지고 있다. 컬러 카메라의 경우 광원이 색온도 3200K의 백색광을 기준으로 해서 설계돼 있다. 그러므로 피사체를 비춰주는 광원의 색온도에 대응하기 위해 색온도 변환 필터를 사용해 색 분해 광학 계통의 입사광 색온도를 맞춰 줄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어떤 광원에서 촬영하는 경우, 캠코더의 R, Bch의 레벨을 맞추어 화이트 밸런스를 잡고 적정한 색재현을 하기 위해 그 컨트롤의 양을 메모리 하는 회로와 짜맞추는 것을 말한다.

Betacam
현재 방송용이나 업무용으로 제작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베타캠은 가정용의 베타방식 VTR의 기구부를 이용한 1/2인치 카세트형 방송용 VTR이다. 뉴스취재용의 일체형 카메라를 목적으로 일본의 소니사가 지난 81년에 개발했으며 베타 일체형 카메라의 의미가 그대로 포맷방식의 이름이 됐다. 기록포맷은 베타방식과는 전혀 다르며 휘도(Y)신호와 색(C)신호를 별도의 트랙에 FM(주파수변조)기록하는 콤포넌트방식으로 두개의 색차신호(R-Y), (B-Y)는 각각 1/2 시간축 압축, 1H내에 시분할 다중하고 있다. 콤포넌트 기록 및 시분할 다중의 화질과 카세트형의 취급상 편리한 점 등이 높이 평가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소니는 베타캠을 더욱 발전시켜 지난 93년에 디지털 베타캠을 발표했다. 약 1/2의 디지털 압축으로 기록한다..

Bit

컴퓨터 메모리의 최소 단위. 영상을 이루는 각 점의 색상값을 저장할 때에 비트를 사용합니다. 점에 사용하는 비트의 수가 많을수록 더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 1비트 : 검정과 하얀색 두 색만 표현 가능. - 4비트 : 16컬러 표현 가능. - 8비트 : 256컬러 표현 가능. - 16비트 : 65,536컬러 표현 가능. - 32비트 : 1억 6천 7백만컬러 표현 가능.  

Bitmap

영상을 구성하는 각 점의 색상값을 연달아 모아 놓은 형식의 영상 표현 방식.

bps(bit per second)  
비트 1초를 의미하는 것으로 1초간에 신호를 몇 비트 보낼 것인가의 디지털 신호의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단위로는 1000비트(Kb:킬로비트) 단위로 표현한 것이 Kbps, 100만 비트(Mb:메가 비트) 단위로 표현한 것이 Mbps, 10억 비트(Gb:기가 비트) 단위로 표현한 것이 Gbps이다. 일례로 DV방식의 캠코더는 25Mbps이다. b/s로 표기하기도 한다.  

CCD Charge Couple Device·전하결합소자

CCD는 MOS(금속산화반도체)로 된 반도체로 빛이 닿으면 전하가 발생하는 소자이다. 빛의 세기에 따라 발생하는 전하의 양이 변화하기 때문에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촬상관 대신 비디오 카메라에 사용한 것이 CCD카메라이다. 기존의 텔레비전 카메라 촬상관은 이미지 오디콘에서 비디콘 등이 이용돼 왔는데 CCD를 사용함으로써 소형화를 실현했다. CCD의 기초원리는 지난 70년대 미국의 벨연구소에서 개발됐으나 실용, 응용 기술에서는 일본에서 많이 연구가 진행돼 카메라의 촬상소자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캠코더의 소형화·경량화를 실현했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캠코더에는 CCD가 탑재돼 있다.

CCTV
폐쇠회로 텔레비전이라 하며 보통의 텔레비전 방송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데 대해서 특정한 목적으로 특정한 사람에게 화상을 전달하는 텔레비전 시스템을 CCTV라 한다. 공업용 텔레비전(ITV), 교육용 텔레비전(ETV), 의료용 텔레비전(MTV), 텔레비전 전화, 회의용 텔레비전, 유선 텔레비전(CATV) 등이 있고 백화점이나 슈퍼마켓, 은행 등에서 감시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CCU(Camera Control Unit)  

카메라 컨트롤 유닛으로 흔히 ‘씨씨유’라 부른다. 비디오를 원격으로 조정(리모트 컨트롤)해 카메라에서 보내진 영상신호를 처리하거나 그 영상신호 파형을 감시하는 장치이다. 주로 TV스튜디오나 중계 촬영시는 빠질 수 없는 유닛이다.

Channel
전체 데이터 중에서 특별히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모아 놓은 묶음. 예를 들어 컬러 영상에서는 영상을 구성하는 색상값들을 Red 채널, Green 채널, Blue 채널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스테레오 오디오 파일은 왼쪽 스피커와 오른쪽 스피커에서 재생될 소리를 각각 왼쪽 채널과 오른쪽 채널에 나누어 사용합니다. 비디오 파일은 영상에 사용하는 채널과 오디오 채널을 합쳐 놓은 것입니다.  

Cinepak

래디우스(Radius)에서 개발된 코덱으로 압축에 많은 시간이 소용되나 가장 높은 압축을 할 수 있다. 256 칼라를 사용할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일반 압축 알고리즘과는 달리 다른 Asymetrical이라는 알고리즘을 이용하며 압축 시간이 비교적 다른 코덱에 비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지만 압축된 영상을 재생시 다른 코덱에 비해 빠르게 압축을 풀어준다는 점과 뛰어난 압축률과 좋은 Quality를 얻을수 있다는 장점 있다. 또, 위의 네가지중 파일 용량을 가장 적게 만들어 준다. 그래서 주로 CD-ROM 타이틀 제작시 많이 사용 된다. 역사가 아주 오래되었다.

Clip

윈도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함께 사용하는 임시 저장 영역. 윈도의 표준 '오려두기', '복사하기', '붙이기' 동작을 통해 사용합니다. 새로운 데이터를 클립보드로 복사하면 기존의 클립보드 데이터는 삭제됩니다.

Cloning(복제)

영상의 일부분을 다른 영상에 복사하는 것.

CODEC

COmpressor/DECompressor의 약자.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Color depth(색 깊이, 색상 수)

각각의 점에 색상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비트의 수 1 비트 color depth를 사용하면 21=2 색상, 8 비트 color depth는 28=256 색상, 24 비트 color depth는 224=16,777,216 색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lor model

색상간의 관계나 색상의 색깔을 표현하기 위한 수학적인 방식. 각 컬러 모델은 특별한 목적과 쓰임새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컬러 모델에는 RGB와 HSB가 있습니다.

Color palette
그래픽 시스템이 만들어 낼 수 있는 색상의 개수. 표현할 수 있는 색상 중에 현재 화면에서 사용할 제한된 개수의 색상만을 모아 놓은 것을 컬러 팔렛트라고 합니다.

Complementary color(보색)
complementary color는 primary color와 반대되는 값을 갖습니다. 서로 complementary color인 두 색을 섞으면 하얀색이 됩니다. 예를 들어 red의 complementary color는 cyan입니다. 그리고 green은 magenta, blue는 yellow가 각 색의 complementary color입니다

Component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독립시켜 전송 처리하는 신호를 말한다. 휘도 신호 와 색 신호가 혼합된 컴포지트 신호와 비교하여 혼합, 분리의 프로세서를 거치기 때문에 정보량의 감소 및 노이즈의 발생이 줄어들어 광대역으로 품질의 높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컴포넌트 방식의 기본은 RGB각각의 색신호를 독립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이지만, 이런 방식으로는 전송용량을 초과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Y(휘도신호)와 B-Y, R-Y(색차신호)의 세가지 신호의 형태로 하여 전송한다. 휘도 신호에는 이미 RGB의 색신호가 복원되기 때문이다. 업무용, 방송용의 비디오 기기는 컴포넌트 처리가 일반적이다.

Composite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합성한 형태로 전송처리하는 신호를 말한다. 실제로는 휘도신호와 색 신호만이 아닌 영상을 비추기 위해서 약속된 신호(수평, 수직의 동기 신호, 컬러버스트 신호)도 하나의 신호로 합쳐 전송처리한다. 컴포넌트 방식과 비교할 때 하나의 계통으로 신호가 전송되어 지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것으로 방송의 전송방식에 채용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컴포지트 신호를 받은 기기의 내부에서도 후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이때 분리 불 완전에 의한 크로스 컬러(휘도 신호를 색 신호로 착각)라고 하는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는 빈도가 높다.

Composite video

composite video에서는 영상 신호를 단 하나의 신호로 합쳐서 사용합니다.

Compression

정지영상이나 동영상 데이타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기술로 데이타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거나 중복 된 부분을 하나의 신호로 줄임으로써 자료저장 공간을 절약하는 기법을 말한다. 압축방법은 손실압축과 비손실압축이 있는데, 텍스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압축에는 비손실압축을 그래픽 데이타와 같이 데이타의 손실이 이루어져도 크게 지장이 없을 경우에는 손실 압축을 사용한다. JPEG과 퀵타임 코데은 손실 압축방식에 속한다.  

Compression(압축)

디스크에 저장하는 파일의 크기를 작게 만드는 방법. 압축에는 손실 압축과 비손실 압축 두 가지가 있습니다. 비손실 방식으로 압축된 데이터는 압축을 풀고 난 뒤의 데이터가 원래 데이터와 정확하게 일치합니다. 반면에 손실 압축에서는 손실 과정에서 덜 중요한 데이터들을 삭제하기 때문에 압축을 푼 과물은 원래 데이터와 다르게 나타납니다.

Control line

두 개의 컨트롤 포인트를 잇는 선. 에니메이션에서 물체가 움직이는 궤적을 표시할 때나 기타 효과의 변화를 표현할 때에 사용합니다.

Control point

에니메이션에서 물체를 이동하거나 효과를 줄 때에 시작하는 지점, 끝나는 지점, 중간 지점 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좌표.

Cropping

텔레비전 화면을 통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

Contrast Ratio (명암 비율)  
명암비율이란 루멘 측정에서 가장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의 밝기 차이를 나타낸다. 패널을 사용할 때, OHP나 프로젝터 자체에는 항상 빛이 있기 때문에 컴퓨터나 비디오의 영상이 전체적으로 검게 나타날지라도 몇몇 흰 빛을 나타낸다. 명암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보다 밝은 색상을 나타낸다


D/A변환기 / DAC / DAConverter / DigitaltoAnalogConverter /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
D/A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er)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라는 뜻으로 디지털 신호를 아날 로 그 신호로 재생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약자로 DAC 라고도 한다. 컴퓨터에서는 0과 1로 표현 되는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처럼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컴퓨터 자료를 아날로그 로 변환 하는 데 이용된다. D/A 변환기는 A/D 변환기와는 역으로 복호기 및 여파기를 이용하여 아날 로그 신호 를 재생하게 된다.

Data Compression Ratio / 압축률

Data Compression Ratio(압축률)은 어떤 파일의 압축 전과 압축 후를 비교한 바이트 수의 비를 말한다. 압축률이 높을수록 압축이 잘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텍스트 파일에 비해 화상 파일의 압축률이 높다. AscII 파일로 구성된 정보는 약 4:1의 압축비율을 가지게 되지만 TIF등과 같이 압축된 상태로 지정된 정보는 약 1.25:1의 압축 비율을 가진다.

Data rate(전송속도)

일정한 시간 동안에 이동하는 데이터의 양. 대용량 기억 장치(하드 디스크나 시디롬)에 데이터를 입출력할 때에 일정한 시간에 얼마나 많은 양을 다룰 수 있는지를 나타날 때 사용합니다. 또는 컴퓨터 비디오 영상을 입출력 할 때에 사용하는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Data transfer rate(전송 속도)

저장 장치(시디롬이나 하드디스크 등)나 화면 표시 장치(모니터나 MCI 장치 등)가 정보를 주고받는데 사용할 수 있는 속도. 사용하는 장치에 따라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 정의해 놓은 전송 속도는 서로 다릅니다. 예를 들어 2배속 시디롬은 초당 300KB의 속도를 갖을 때에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Data type

영상 정보를 컴퓨터 내부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 영상의 data type에 따라 영상을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양이 달랍니다. 그리고 영상의 표현 모습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data type에는 Black&White, Grayscale, Indexed 16 색상, Indexed 256 색상, RGB True Color, CMYK True Color 등이 있습니다.

Decorder

인코드 돼 있는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되돌리는 것을 말한다. NTSC 신호는 적(R), 녹(G), 청(B)의 3원색에서 휘도 신호(Y)와 두 개의 색차 신호 I,Q가 만들어져 있는데(인코드) 이것을 다시 R·G·B의 3원색 신호로 되돌리는 것을 디코드라 하며 그 장치를 디코더라 한다. 디코더는 어떤 부호 체계에서 표현된 형태를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기 위한 변환기로 해독기라고도 부른다. 하드웨어적으로는 여러 개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갖춘 장치로 입력 단자의 어떤 조합에 신호가 가해질 때 그 조합에 신호가 나타나는 것이다.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이 같은 기능을 부과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이 경우에는 디코드 프로그램이라고도 한다. 디코더의 작용은 정확히 부호기 작용의 역에 해당된다. 이는 일련신호의 의미를 결정해 해당되는 컴퓨터 연산을 실행하는 장치와 현재의 입력 신호의 조합에 따라 하나 이상의 출력 채널을 선택하는 교환 소자의 행렬이다.

Digital

원래는 아라비아어로 ‘손가락’을 가리키는 말인데, 0∼9까지의 수, 또는 손가락의 폭(0.75인치) 등을 나타내는 ‘디지트(Digit)’에서 온 것이다. 즉 물건의 양을 표시할 때 연속적인 양이 아니고 손가락으로 1, 2, 3….라고 헤아리는 것 같이 떨어져 있는(이산) 수를 다루는 것이다. 이에 반해 아날로그는 연속적인 양을 표시하는 것이다. 시간은 연속적으로 움직이고 있으므로 대표적인 아날로그 양인데, 이것을 몇 시, 몇 분, 몇 초라는 수의 값으로 나타내는 것을 ‘디지털화’라고 하며 디지털화된 신호를 기록하는 것을 「디지털 기록」, 전송하는 것을 「디지털 전송」, 가공하는 것을 「디지털 처리」라고 부른다.

Digital Betacam

현재의 아날로 베타캠 VTR을 개선하여 베타캠 방식의 테입에 디지털 녹화가 가능하도록 한 시스템이다. ITU-R 601 규격에서 제안하는 비디오 신호를 인트라 필드 압축 방식에 의해 약 2:1정도까지 데이터를 압축하여 저장하며 일부 기종은 디지털과 아날로그 베타캠 테입을 모두 재생할 수 있게 제작되었다.

Digital video
디지털로 영상을 표현하는 방식. 디지털 비디오에서는 영상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파일 형식이나 디지털 방식으로 저장, 재생합니다. 아나로그 방식으로 저장하는 아나로그 비디오와 대조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igitalCamera / 디지털카메라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는 고체촬상소자(CCD)와 메모리카드, 컴퓨터 등을 사용해 필름 없이 사 진을 촬영할 수 있는 차세대 영상기록 매체를 말한다. 디지털 카메라는 사진촬영을 한 다음 컴퓨 터와 연결하면 그 즉시 촬영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이를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어 기존 카메 라 보다 사진출력 및 보관이 간편하며 컴퓨터에 입력된 촬영내용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확대, 축소, 삽 입, 삭제 등 다양하게 편집할 수도 있어 활용도가 뛰어나다. 디지털 카메라는 고체촬상 소자 를 통해 피 사체의 빛 신호를 받아들이면 이를 신호변환기가 디지털 신호로 바꿔 메모리 카드에 저장 하는 원리로 작동하고 성능은 화소의 양을 결정하는 고체촬상소자와 메모리카드의 용량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DigitalVCR / 디지털VCR

디지털VCR는 자기테이프에 싣는 영상과 음성 신호가 모두 디지털로 기록하는 VCR을 말하는 것으로 전자파동을 그대로 기록했다가 재생하는 기존 아날로그방식의 VCR과 달리 여러 번 녹화하고 재생 해 도 화질에는 변함이 없다. 디지털VCR는 디지털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컴퓨터와 호환해 쓸 수 있 고 디지털방식의 고선명TV(HDTV)와 연결하면 고화질의 영상을 즐길 수 있으며 많은 정보를 해 독하 기 위 해서 영상신호를 적은 용량의 자기테이프에 고밀도로 압축하는 기술과 헤드드럼의 속도를 기 존 아날 로그 제품보다 빠르게 하는 등의 첨단기술을 필요로 한다. 디지털V CR는 테이프의 크기와 용 도에 따라 2분의 1인치 테이프를 쓰는 가정용 디지털VCR과 4분의 1 인치 테이프를 쓰는 디지털 캠코 더로 나눌수 있는데 대부분 전자회사들은 가정용 디지털VCR보다 시장성 요건에 맞는 디지털캠코더 개발에 주력 하고 있는 추세이다.

Dithering

원래는 더 많은 색상으로 되어 있던 영상을 제한된 더 적은 색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 예를 들어 Grayscale 영상을 Black&White 형식으로 표현할 때에는 더 어두운 부분에 더 촘촘히 검은색 점을 배치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그 밖에 제한된 색상 중의 서로 다른 색상의 점을 고루 모아서 눈으로 불 때에는 제한된 색상으로 표현할 수 없었던 새로운 색상처럼 보이게 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디더링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각각의 방식은 서로 다른 계산 방법과 배치 방법을 사용합니다.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는 각각의 메모리 셀에 위치한 알루미늄 마이크로 미러의 초강력 구조를 지닌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CMOS) Static Random Access memory(SRAM)에 근거한다. DMD 디지털 빛을만들기 위해 2가지 상태("on"과 "off")로 움직이면서 전환하고 빛이 들어올때 표면으로 디지털 회색(gary) 영산을 반사시킨다. 디지털로 만들어진 영상은 디지털로 프린트된 영상을 만들기 위해 적절한 광학이나 필터를 통해 전송됩니다


Dots per inch(DPI)
프린터나 스크린 등에서 해상도를 나타낼 때에 사용하는 단위. 1인치에 한 줄로 나열할 수 있는 점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때로는 Pixels per inch(PPI)라는 이름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Dots per inch(DPI)
프린터나 스크린 등에서 해상도를 나타낼 때에 사용하는 단위. 1인치에 한 줄로 나열할 수 있는 점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때로는 Pixels per inch(PPI)라는 이름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는 디지털로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라고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 등에 대표되어지는 프로세서(신호의 처리와 연산을 행하는 소자)는 디지털 신호를 취급하는 곳이지만 이 중에서도 DSP라고 불리는 것은 신호를 리얼타임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오디오나 영상신호 등 늦어서는 안될 신호를 처리하기에 적합한 프로세서이다. DSP가 AV업계에서 더욱더 알려져 있는 것은 AV앰프에 탑재된 것으로 돌비, 프로로직을 비롯해 복잡한 음장(音場)재생의 신호처리가 용이하다는데 있다. DSP가 등장하기 전에는 복잡한 처리를 실시간으로 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것은 고사하고 아날로그로 처리하던 때에는 약간의 딜레이(신호의 지연)를 하는 것만으로도 음질의 열화를 피할 수 없었다. 하지만 디지털로 신호를 처리하게 됨으로써 음질 자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도 복잡한 처리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폰에도 음성의 압축이나 신장 등의 실시간 처리가 불가피해 DSP가 탑재되고 있다. 게다가 DV기기나 DVDP 등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DVD 오디오
 
차세대 오디오 규격의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의 오디오 CD는 규격화 되었을 당시 아날로그에 비해 고음질이라고 생각했지만 오늘날에 와서는 보다 뛰어난 고음질을 찾게됨에 따라 여기에 대응하기 위해 규격화 되어진 것이다. DVD미디어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크의 기록용량도 CD의 약 7배나 된다. 음질 추구의 방법은 CD의 고안을 연장시킨 것으로 샘플링주파수 44.1KHz, 양자화비트수 16비트의 오디오용 CD에 반해 DVD오디오에서는 보다 높은 샘플링주파수, 비트수를 설정함과 동시에 CD의 2채널만으로 다채널화에도 채택하고 있다. 샘플링주파수는 48/96/192KHz와 44.1/88.2/176.4KHz의 두 패턴이 있다. 전자는 DAT등의 샘플링주파수의 배수이고 후자는 CD의 배수에 설정돼 있다. 비트수는 16/20/24비트가 각각의 주파수와의 조합으로 가능하다. 멀티채널은 176.4KHz를 뺀 각 주파수로 최대 6채널까지 설정할 수 있다. 고음질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보면 기본적으로는 비압축의 「리니어PCM」이지만 24비트/192KHz에서는 2채널이라도 64분밖에 기록할 수 없어지기 때문에 열화가 없어 그 이름도 「로스레스 압축」을 채택한 것으로 최저에서도 CD와 동등한 74분을 확보하고 있다.

DLP(Digital Light Processing) 
DLP는 프로젝터에 채택되는 투사엔진 시스템이다. DLP(Digtal Light Processing)는 美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사가 개발한 미세 반사경 집합체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MD)」로 형성한 반도체소자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DLP는 거울의 반사원리를 이용해 투사하기 때문에 빛의 이용효율이 높고, 광원을 뒷면에서 투사하는 투과형 액정방식보다 고휘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모든 제어를 디지털방식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해상도에서도 액정을 앞지르고, 단판구조이기 때문에 소형화에도 유리하다


Edit decision list(EDL)
비디오 프로젝트에 존재하는 클립, 효과, 트랜지션 등에 관한 정보를 모아 놓은 것입니다. 이 목록에는 각 클립의 시간상의 위치, 시작점, 끝점, 다른 클립과의 관계 등에 관한 모든 정보가 들어 있습니다. 이 목록은 비디오 편집 장비에서 최종 프로젝트를 처리할 때에 주로 사용합니다

EGA  
Enhanced Graphics Adaptor. 확장 그래픽 보드로서 16가지색을 지원한다. IBM PC에서 사용되는 그래픽 카드의 한 가지. 80개의 열과 25줄의 문자 화면과 16색상의 해상도 640*350을 사용하는 그래픽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가격에 비해 고가였고 기능은 충분치 못했던 관계로 많이 사용되지 않았다. PC에 있어서 컬러 디스플레이는 이후에 나온 VGA부터 많이 사용되었다


EFP(Electronic Field Production)  
소형 텔레비전 카메라와 소형 VTR, 간이 편집기 등을 사용해 영화의 로케이션과 같이 야외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것을 말한다. 뉴스 취재의 ENG 방식을 발전시켜 프로그램 제작에 응용한 것을 뜻한다.

ENG 카메라  
영상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지금 ENG라는 말을 흔하게 사용하고 있는데, 이 말은 전자적 뉴스 취재(Electronic News Gathering)의 머리글자를 딴 것이다. 예전에는 뉴스나 다큐멘터리를 제작할 때 16미리 필름으로 취재를 했으나, 지금은 필름 대신 비디오카메라를 통해 전자적으로 취재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필름 카메라가 아닌 소형 비디오 카메라나 VTR 등의 전자기기를 사용해 뉴스취재를 하는 것을 말하며 작고 기동성이 뛰어나 많은 인력이 필요없는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ENG라고 하는 것은 TV 역사상 길이 남을 크나큰 기술혁명이라고도 할 수 있을 만큼 지금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흐름을 보면 미국의 CBS가 ENG를 처음으로 실용화한 것이 지난 74년이며 일본에서 ENG가 처음 사용된 것은 이듬 해인 75년이다. 카메라와 VTR의 일체형 ENG가 가능하게 된 것은 일본의 소니사가 지난 82년에 발표한 1/2인치 방송규격인 베타캠 포맷을 개발하면서부터이다. 국내에는 지난 80년대 초 컬러TV가 들어오면서부터 본격적으로 ENG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EP 모드
 
EP라는 것은 Extended Play의 약자로 가정용 홈비디오인 VHS에 있어 장시간(3배) 기록하는 모드를 말하고 이는 ‘3배 더 장시간 녹화를 할 수 있다’를 의미한다. 이는 「H병렬」이라고 해서 테이프에 기록되어지는 수평동기신호의 기록위치가 표준모드의 1/3이라는 데서 ‘3배속 모드’라고도 부른다. 실제로 1시간 분량의 테이프에 3배속(EP모드)으로 녹화를 할 경우 3시간을 녹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화질의 안정성 면에서는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File format(파일 형식)

컴퓨터가 영상 정보 등을 데이터에 저장하는 방식.

Filters

특별한 효과를 주기 위해 데이터를 수정하는 도구.

FPS(Frame Per Second)
비디오나 필름의 속도를 측정하는 단위로서 초당 표현되는 프레임 수를 말한다.

Frame

비디오나 TV에서 송수신되는 1장의 화면을 말한다. NTSC는 초당 30프레임 , PAL은 초당 25프레임의 장면을 화면에 뿌려 사람의 눈을 속이는 기법으로 동영상을 만든다

Frame rate

1초에 얼마나 많은 개수의 프레임을 재생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값.

Frame size(프레임 크기)

비디오나 에니메이션의 영상을 표시하는데 사용하는 화면의 크기. 프레임 중에 일부가 기본 프레임 크기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프레임을 적절히 자르거나 크기에 맞게 재계산해야 합니다.

Graphics file

벡터 그래픽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로 이루어진 파일. 벡터 그래픽에서는 영상을 구성하는 각 점을 일일이 표현하지 않습니다. 그 대신 영상을 그리기 위한 점이나 선들의 위치, 곡선을 그리는 방법, 도형의 내부를 채우는 방법 등에 관한 정보로 영상을 표현합니다.

Grayscale

영상을 회색의 명암으로 표시하는 형식.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식은 254개의 서로 다른 명암을 갖는 회색과 검은색, 그리고 하얀색의 256 색을 사용하는 256 grayscale입니다.

Halftoning

검정색과 하얀색을 섞어서 회색을 표현하는 방식. 디더링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 중의 하나입니다.

Hardware CODEC

디지털 비디오 영상을 압축하는데 사용하는 방식. 특별히 하드웨어 코덱은 비디오 영상을 캡처하거나 재생할 때에 영상 압축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하드웨어 칩을 사용합니다. 하드웨어 코덱을 사용하면 소프트웨 코덱을 사용할 때에 비해 빠른 속도로 압축을 할 수 있습니다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고선명 텔레비전으로 현재의 방송용 TV보다 주사선 수가 많아 선명한 화상과 양질의 음향인 고품질의 TV방송방식이다. 일본의 경우 NHK가 개발 방식의 닉네임을 하이비전이라 부르고 있고 국제적으로는 주사선 수가 1000개 이상의인 텔레비전 방식을 말한다. 하이비전은 NHK가 지난 70년대부터 연구 개발한 것으로 86년 말부터는 방송 위성 BS-Ⅱb를 사용해 실용화 시험을 계속해 왔으며 지금은 실용화 돼 있다. 주사선 1125개로 필드 주파수 60㎐, 2:1 비월주사, 화면비율은 16:9로 기존의 4:3보다 와이드화 돼 있으며 휘도신호대역 22㎒, 색차신호대역 7㎒와 광대역을 요하는데 이는 뮤즈(Muse)

HiColor
16비트(5-6-5) 데이터 형식을 사용하는 색상 표현 방식. 최대 65,536 개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형식을 지원하는 파일 포맷에는 TGA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다른 포맷에서는 HiColor 값을 True Color 값으로 변환하여 사용합니다. 컴퓨터 디스플레이 어댑터에서는 HiColor를 15비트(5-5-5; 32,768 색상)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Huffman coding

JPEG 압축 방식의 한 과정. 적게 나타나는 데이터에 긴 길이의 코드를 부여하고, 많이 나타나는 데이터에 적은 길이의 코드를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압축 방식 중의 하나이기도 합니다.

IDE

PC에서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장치와의 입출력에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방식

Image compression(영상 압축)

디지털 영상이나 비디오 파일의 데이터 양을 줄이기 위한 방법.

Image(영상)
사진이나 그림 등을 구현한 것. 멀티미디어에서 이 용어를 사용할 때에는 사진이나 비디오를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하여 점의 집합으로 표현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컴퓨터 화면에 표시하거나 영상 처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원하는데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

Interlaced

NTSC 등의 TV 시스템에서 화면을 나타내는 리프레시 방식. 일반적으로 TV 영상 한 프레임은 두 개의 필드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이 중 한 필드에는 홀수줄에 관한 정보가 담기고, 다른 필드에는 짝수줄에 관한 정보가 담깁니다. 이 두 필드를 연달아 한 화면에 표시하면 하나의 프레임이 완성되는 것입니다.

Interleave

부드럽고 동기가 제대로 이루어진 재생이나 압축을 하기 위한 오디오와 비디오의 배열. 표준 AVI 포맷에서는 오디오와 비디오를 동등하게 배열합니다

Irrelevance

삭제되더라도 인간의 눈으로 삭제 여부를 쉽게 식별할 수 없는 부분을 표현할 때에 사용하는 단어. 영상 데이터 손실 압축을 할 때에 irrelevance한 부분은 삭제됩니다. 그렇게 해도 인간의 눈으로는 일부 데이터가 삭제되었다는 것을 쉽게 눈치채지 못 할 것입니다.

JPEG

1.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조인트 포토그래픽 코딩 익스퍼트 그룹 ISO/JIC1과 ITU-T가 공동으로 설립한 사진 등의 자연화상의 부호화 알고리즘을 검 토하는 전문가 그룹에 의해서 작성된 부호화 방식이다. 원래는 정지화상에 대한 부 호화 방식인데 부호화된 화상의 편집이 쉽기 때문에 최근에는 동화상에 대해서도 사 용되는 예가 많다. 2.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제이펙 정지화상 전달의 국제적인 통일 방식을 위해서 설치된 합동 조직. 또 그 정지 화상 압축방식의 하나이며 컴퓨터의 화상 압 축에도 널리 채택되고 있다. 보통 컴퓨터는 기종 고유의 화상 파일 포맷이 사용되 는 수가 많은데 여러 가지 컴퓨터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의 표준 형식으로 써 JPEG이 많이 쓰인다. 3.M-JPEG(Motion-JPEG)·모션 제이펙 비디오 캡처카드가 영상신호를 캡처할 때 사용하 는 압축방식의 하나이다. JPEG이라는 것은 정지화를 효율성 있게 압축하기 위한 국 제규격이다. 이 압축을 동화상에 응용한 것이 M-JPEG이다. 기수·우수프레임마다 또 는 필드마다 압축하는 M-JPEG은 원래가 정지화에만 프레임 단위의 편집에 응용할 수 있다. 압축률 면에서도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점이 비디오 편집에 적합하 게 돼있다. 단지 M-JPEG 자체는 규격화가 돼 있지는 않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호환 성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전용의 하드웨어(압축·전개용의 칩)라고 는 볼 수 없고 범용성이 높다고도 말할 수는 없다.  Key color
배경 영상이 나타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표시되는 색상. 이것은 한 영상을 다른 영상 위에 겹쳐 놓을 때에 사용합니다. 이 때에 위에 올려놓은 영상 중에 key color로 지정한 부분은 투명하게 처리되어 그 밑에 있는 영상의 모습이 나타납니다.

Keystone Correction(키스톤 보정) 
스크린과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각도가 100도 이상되면 투사된 영상이 직사각형이 생기지 않고 아랫부분이 좁은 사다리꼴 모양이 된다.(각도가 커질수록 더 심해진다) 키스톤 보정은 이것을 완전한 직사각형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Key frame rate(키 프레임 간격)
비디오 파일 압축을 돕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키 프레임입니다. 여러 프레임 중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프레임씩을 선택하여 해당 프레임을 키 프레임으로 지정합니다. 압축을 할 때에 키 프레임에 해당하는 프레임의 영상은 전체를 모두 저장합니다. 그리고 키 프레임 사이의 영상들은 키 프레임과 비교하여 바뀐 부분만 저장합니다. 그랬다가 압축을 해제할 때에는 키 프레임을 기준으로 다른 프레임들을 구성하여 영상을 재생합니다.

LCD (Liquid-Crystal Display) 
LCD는 2개의 얇은 유리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물질인 액정을 주입해 상하 유리판위 전극의 전압차로 액정분자의 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명암을 발생시켜 숫자나 영상을 표시하는 일종의 광스위치 현상을 이용한 소자다. 구동방법에 따라 수동 매트릭스 방식과 능동 매트릭스 방식으로 분류하는 데 수동 매트릭스 방식에는 TN(Twisted Nematic)과 STN(Super Twisted Nematic)이 있으며 능동 매트릭스 방식에는 TFT(Thin Film Transistor) 등이 있다. LCD는 전자시계, 전자계산기, 액정TV, 노트북PC 등 전자제품에서 자동차, 항공기의 속도표시판 및 운행시스템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Laserdisk
디지털화된 비디오를 저장하는 매체. 레이저디스크에 저장된 정보는 읽을 수만 있습니다. 레이저디스크의 정보를 변경할 수는 없습니다

Mark in / Mark out

비디오 편집에서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클립이 실제로 사용되는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을 지정할 때에 mark in과 mark out을 합니다.

Mask

mask는 영상을 편집할 때에 특정한 부분에만 효과 처리가 적용되지 않게 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합니다. mask 중에는 효과 처리 적용을 막아내는 정도를 부분마다 다르게 지정할 수 있는 형식도 있습니다.

Matte

밑에 겹쳐져 있는 다른 영상이나 클립이 표시될 부분을 구분해 놓은 영상이나 비디오.

MCI

오디오와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방식. VCR이나 레이저디스크와 같은 외부 비디오 소스를 컴퓨터에 연결할 때에도 사용합니다.

MHz / 메가헤르쯔

MHz는 컴퓨터에서 주기를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컴퓨터의 클럭주파수는 메가헤르쯔 (MHz) 라는 단위를 써서 나타낸다. 1초당 10의 6승 번에 해당되는 주기를 가지는 경우에 사용되며 1MHz = 100만Hz를 나타낸다.

MIDI

신디사이저를 비롯한 전자 악기 상호 간에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산업 표준 인터페이스 규약. 컴퓨터가 전자 악기를 제어할 때에도 사용합니다.

Motion-JPEG

JPEG 방식으로 압축한 영상으로 이루어진 동영상을 표현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지정한 ※Video for Windows 포맷.

MPEG

1.Moving Picture image coding Experts Group·무빙 픽처 이미지 코딩 익스퍼트 그룹 텔레비전 화상을 압축해서, 예를 들면 위성의 트랜스폰더 한 개로 수채널의 방송이 되도록 한다. 이른바 디지털 압축 기술이다. MPEG1과 MPEG2는 현행의 텔레비전 방송에 의해 고품질의 화상을 압축할 수 있으며 고선명(HD)TV에도 대응되기 때문에 다채널 위성방송이나 케이블 텔레비전의 국제규격으로 가장 유력한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2.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엠펙 JPEG를 제안하고 있는 조직들은 움직이는 이미지를 압축하기 위한 표준으로 MPEG을 제안하고 있다. MPEG역시 국제표준 그룹인 CCITT와 ISO가 공동 개발했으며 MPEG의 최종 목적은 오디오가 결합된 풀모션(초당 30프레임) 컬러 비디오의 압축표준으로 정의하는 것이다. 압축된 비디오와 오디오 스킴(scheme)은 CD-ROM 혹은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고아 드라이브 등의 디지털 저장매체에 저장된다. MPEG의 비디오 위원회는 1988년부터 시작해 1990년 9월에 표준의 기초를 만들고 1991년 4월에 재정리해 최종적으로 표준으로 제정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MPEG표준 개발에 참여한 업체는 C-Cube, NEC, 미츠비시, 필립스, 소니 등이다. 3.Motion Picture Experts Group·엠펙 컬러 동작화면을 압축·신장하는 방식을 표준화할 목적으로 1998년에 설립된 ISO(국제표준화기구)와 IEC(국제전기표준회의:International Electrical Commission)조직이나 그 방식을 말한다. 규격의 개발단계에 따라 현재 이용하고 있는 압축·신장 방식은 ‘MPEG1’이라고도 불린다. 동화상을 압축·부호화하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알고리즘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MPEG에서는 음성부호화도 하고 있어 레이어 1, 2, 3의 3단계로 나누어진다. 현재 방식은 고품질인 레이어 3에서 음성 CD에 견줄만한 음질을 재생할 수 있다고 한다. MPEG1은 CD-1의 동작화면 재생방식인 FMV(풀모션 비디오) 규격에서 채택됐다.  
NAB

미국방송연맹(National Association of Brodcasters)을 말한다. 미국의 방송업자들의 단체로 방송기기 관계의 규격 등을 정하고 있다. 테이프나 테이프 리코더의 호환성을 갖기 위해 릴 사이즈, 트랙 패턴, 재생 이퀼라이저 등 여러 특성의 규정이 있다.

Non-interlaced

영상 리프레시 방식. interlaced 방식과 달리 주사선이 한 줄씩 건너뛰며 영상을 구성하지 않습니다. non-interlaced 방식을 사용하면 ※interlaced 방식에 비해 화면이 깜빡임을 줄일 수 있습니다.  

NTSC

미국 텔레비전방식 위원회(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의 약자로 TV방식의 하나이며 흑백TV와의 양립성이 있다.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캐나다 등이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주사선 수는 525라인이다. 1초간에 30프레임(29.97)을 전송하며 필드 주파수는 59.94㎐인 ‘콤포지트 컬러 TV방식’으로써 NTSC에 의해 규정돼 있다.

PAL

Phase Alternation Line의 약자. 독일 등의 유럽 국가에서 많이 사용하는 컬러 텔레비전 표준으로 625 줄과, 초당 50개의 필드를 사용합니다.  

PIXEL(Picture Element) 
화소 Picture ELement의 약자로 CRT 화면상에 문자, 도형, 이미지 등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서 한 점. 화면상에 가로 세로로 배치되어 있고 이 픽셀을 켜거나 끔으로서 화면에 정보를 표시한다. 컬러에서는 각 점의 색을 16, 256, 65535, 1670만 컬러 등으로 조절하여 정보를 표시하기도 한다. 보통 IBM PC에서는 설정하기에 따라 다르지만 640x480, 800x600, 1024x768, 1280x1024, 1600x1200 등의 가로 세로 픽셀을 가진 화면을 사용한다

PDP
플라즈마 표시판(Plasma Duration Modulation)을 가리킨다. 방전에 의한 발광을 이용해서 문자나 화상을 표시하는 얇은 타입의 표시장치이다. 네온가스의 방전을 이용하는 플라즈마 표시판은 기본적으로 전면과 배면 유리 및 칸막이로 가스를 밀봉하고 음극과 양극에 전압을 가해 이때 일어나는 네온 발광을 이용해 문자나 화상을 표시한다. 인가 전압에 따라 교류 구동형과 직류 구동형으로 구분된다. ■Pixel Picture element의 약자. 컴퓨터 모니터에 표현되는 영상의 초소 단위입니다.  

Prime colors

RGB 컬러 모델의 기본을 이루는 색상으로 red, green, blue 세 가지입니다. 이 세 가지 색상을 어떤 비율로 섞느냐에 따라 어떠한 색상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Proxy file
작업할 때에 더 적은 시스템 자원을 가지고도 처리할 수 있도록 원래 영상이나 비디오 파일을 더 낮은 해상도로 변경해 놓은 파일. 이것을 사용하면 프로젝트의 편집과 제작을 더 빨리 할 수 있습니다. 일단 프록시 파일을 사용하여 편집을 한 뒤에 최종물은 원본 파일을 사용하여 만드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Quantizaion

JPEG 압축 방식의 한 과정. 눈의 잘 띄는 중요한 부분은 정교하게 표현하고, 눈으로 식별이 어려운 중요하지 않은 부분은 대략적으로 표현하게 하는 방식입니다.

Quick Time VR / 퀵타임VR

퀵타임(QuickTime) VR은 디지털 무비에서 잘 알려진 퀵타임 아키텍처의 확장기능으로 개발되어 인터랙티브한 파노라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기술로 PC에서도 간단히 가상현실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사용자는 준비된 포인트에서 마우스로 시점을 상,하,좌,우로 움직이면서 클릭하면 양방향성(Interactivity)을 즐길 수 있다. 또 한가지 특징은 특수한 기재를 사용하지 않고 컴퓨터 화상과 보통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값싸게 파노라마 화상으로 작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매킨토시용과 윈도용이 있고 이 기술을 이용한 CD롬 타이틀도 만들어지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사도 서라운드 비디오라는 이름으로 같은 기술을 개발중이다.

Raster

컴퓨터에서 영상은 디지털로 표현됩니다. 이 때에 모든 영상은 점을 기본 단위로 사용합니다.

Redundance

영상 압축 과정에서 삭제해도 상관이 없는 여분의 정보를 나타내는 용어. redundance를 제거해도 압축을 해제한 뒤에 나타나는 영상은 원본과 별 차이가 없습니다.

Resolution(해상도)

모니터에서 표현할 수 있는 ※픽셀의 수. 해상도가 높을수록 더 섬세한 표현이 가능합니다.

RGB  
RGB는 빛 처리의 기본이 되는 색 신호 처리 체계를 상징하는 말이다. 빛의 3원색인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의 첫 영문자들을 따서 만든 약자로 비디오 모니터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출력신호의 한 형태로 비디오 모니터는 다양한 강도로 적색, 녹색, 청색을 혼합하여 스크린에 서로 다른 컬러를 만들어 낸다. 사용할 수 있는 컬러의 최대치는 대개 이들 값의 강도를 각각 몇 단계로 표현할 수 있는가 하는 것으로 표현되는데 각각이 8비트 즉 256 단계의 강조를 갖는다면 256x256x256 = 16,777,216 컬러가 표현 가능한 컬러 수가된다. 예) Red+Green=Yellow || Red+Blue=Magenta || Green+Blue=Cyan || Red+Green+Blue=White


Run Length Encoding
JPEG 압축 방식의 한 과정. 여러번 되풀이되는 데이터를 일일이 기록하지 않고, 그 대신에 해당 데이터의 값과 반복 회수를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기본적인 압축 방식 중의 하나입니다.

S-VHS

S-VHS는 일반 VHS의 확장포맷이라고 할 수 있다. VHS포맷이 정해졌을 당시의 기술레벨에서는 테이프에 기록시의 밀도가 적어 수평해상도가 240"TV라인이라는 텔레비전 방송의 퀄리티를 충분히 녹화 할 수가 없었다. 이에 따라 최신 기술을 투입, VHS의 카세트, 드럼이나 주행계의 메커니즘과 호환성을 가지면서 화질을 행상시켜 수평해상도 400"TV라인 이상을 가지고 있어 뛰어난 퀄리티를 실현하는 것이 S-VHS이다

SAN
서버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고 저장장치를 또 다른 그룹으로 묶어 두 그룹간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즉 분산된 각 서버가 요구하는 만큼의 저장공간을 저장장치 그룹 내 가장 적절한 곳으로 배치하는 형태이다. 이때 NAS가 일반 데이터 네트워크인 LAN을 활용하는 반면에 SAN은 LAN과 분리된 네트워크라는 점에서 큰 차이가 난다. AV(Audio & Video/Audio-Visual) 텔레비전이나 영화와 같이 영상과 음성이 하나가 되어 떨어질 수 없는 관계 분야를 총칭해서 가리키는 말이다.  

Scaling

영상을 필요한 크기로 변환하는 것.

SCSI

Small Computers System Interface의 약자. 고속 데이터 ※전송 속도를 필요로 하는 고성능 PC에서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로 사용하는 것이 SCSI입니다.

Secam

Sequential Couleur M moire의 약자. ※NTSC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진 컬러 텔레비전 시스템 방식으로 625 줄과 초당 50개의 절반 영상을 사용합니다.  

Serial Port / 시리얼포트

Serial Port는 직렬 포트라는 뜻으로 컴퓨터 시스템에서 한 순간 하나의 비트씩 외부에 있는 다른 장치 와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통신 포트를 말한다. 컴퓨터에 위치하는 Serial Line을 연결할 수 있는 플러그이다.

SI(System Integration)
시스템 통합이라고도 하는데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정보시스템에 관한 기획, 입안에서부터 구축, 나아가서는 실제 운용까지의 모든 공정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Silicon / 실리콘

Silicon(실리콘)은 규소라는 원소를 말하는 것으로 원자 번호 14번과 원자량 28로 표현된다.     알루미늄과 비슷한 속성을 가지고 있는 제4족의 원소로 오늘날 반도체의 소자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실리콘은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또는 집적 회로 등의 원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Slot / 슬롯

Slot(슬롯)이란 PC 카드나 확장 보드를 끼우는 곳을 말한다. 컴퓨터에서 주변 장치를 쉽게 확장하기 위해 주변 장치를 위한 확장 카드를 모기판에 삽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홈이다.

SMPTE
미국의 영화 텔레비전 기술자협회(Society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를 말한다. 영화나 텔레비전 기술의 국제적인 연구기관의 하나로 영화와 텔레비전에 관한 각종의 기준을 검토·발표하며 각국의 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다. 일례로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컬러바도 이 기준에 따르고 있는 것이다. SMPTE 코드  
영화·텔레비전 기술의 연구기관인 SMPTE가 규격화한 비디오 화면의 각 프레임마다 붙인 코드를 의미한다. 시간과 닮은 타이밍 신호 등에서 타임 코드라 부르고 있다. 컴퓨터에 의한 VTR의 편집 작업을 할 때 편집장소를 설정하는 데에 편리하다. MA작업 때의 VTR과 오디오 테이프 리코더는 SMPTE 코드에 의해 동기화하며 일체화돼 동일 기능으로 취급된다. 비디오 제작에 있어 영상 1프레임 프레임에 각각 다른 수(어드레스)를 가해 두면 편집 처리 및 복수의 소재, 기기의 동기에 편리하다. 이 어드레스의 수 표시법 및 신호 포맷의 하나로 코드형식은 위상변조 방식이고 반송 주파수는 2400㎐, 80비트로 구성, 00시 00분 00초 00프레임까지 표시되며 0에서 최대 23H 59M 59S 29F가 된다.

SO(System Operater)
 
보통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국 그 자체를 일컫는데, 유선 텔레비전 시설 사업자를 말한다. 시설 사업자는 유선 텔레비전 시설의 관리·운용을 하는 것으로 방송 서비스를 하는 방송사업자와는 성격이 다르다. 우리나라와 미국에서는 각 지역 단위로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을 시설해 운용한다.  

Software CODEC

특별한 하드웨어 없이도 디지털 비디오 동영상을 압축하거나 재생할 수 있는 방식. 이 경우 영상의 화질은 컴퓨터 시스템의 수행 성능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직까지는 소프트웨어 코덱으로 VHS 화질을 감당할 수 없습니다.

Still-Video

카메라로 잡은 영상을 한 장의 사진으로 플로피 디스켓이나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

S-Video

S-Video에서는 영상 정보를 밝기값과 색상값으로 나누어 전송합니다. (※Y/C)

SVGA 
Super VGA는 표준의 VGA를 넘어선 기능을 가졌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으로 표준적인 규정 없이 제조 업체마다 다르게 만들어진다. 이름은 정식의 명칭이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불려지는 이름이 되었다. 표준의 VGA가 256KB의 메모리에 최대 640x480 16컬러, 320x200 256컬러의 성능을 가진데 비해 비디오 메모리를 512KB, 1MB, 2MB, 4MB, 8MB 등으로 늘리고 800x600, 1024x768, 1280x1024, 1600x1200 등의 다양한 해상도 지원과 256, 32768, 65535, 24Bit True 컬러 등을 지원하도록 개선한 제품을 말한다. 그러나 이 같은 모드는 표준이 정해지지 않아 그래픽 콘트롤러에 따라 다른 사용 방법을 가지고 있다. 이 점은 호환성 문제를 일으켰는데 윈도우 액셀러레이터 등의 후에 추가되는 다른 많은 기능들로 인해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다만 해상도와 컬러 모드의 지정 등에 대해서는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에서 업계 표준을 발표하였고 이는 거의 모든 VGA가 지원하게 되었다. 그러나 결국 끊임없이 개선되고 추가되는 기능으로 인해 이마저도 넘어 선지 오래이기 때문에 SVG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드라이버를 설치해 주어야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Sychronization / 동기화
Synchronization는 동기화라는 뜻이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을 하는 장치들이 작업의 진행 속도를 서로 맞추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법으로 사건들 사이의 시간적 관계를 조정하여 사건들이 동시에 일어나게 하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정해진 시간차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속도로 동작하는 두 개의 장치 사이에서 이들 장치의 동작이 서로 협조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사건의 진행을 일치시키는 작업이다.

SYNC(싱크:synchronizing signal)  
복수의 기능을 동일한 동작 진행을 시키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동기신호라 한다. 텔레비전이나 팩시밀리에서는 수평주사선이 시작되는 것을 결정하는 수평동기신호와 필드가 시작되는 것을 결정하는 수직동기 신호를 전송한다. 이들은 모두 영상신호의 귀선 소거 구간을 이용해 영상 신호와 반대 극성의 펄스 신호를 전송한다.

Time Code

특정한 프레임의 시작점으로부터의 위치를 표시할 때에 타임 코드를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시:분:초:프레임 형식으로 표현합니다. 동일한 비디오 프로젝트 내에 여러 가지 다른 타임 코드가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하나는 전체 프로젝트를 다루기 위한 것이고, 다른 것들은 프로젝트의 각 클립에 사용하기 위한 것들입니다.

TrueColo

실제 자연에 나타나는 색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수의 색상을 사용하는 형식. 영상에서는 일반적으로 1억 6천 7백만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24 비트 색상을 True

UADSL (Universal Asymmetrical Digital Subscriber)  

1.5Mbps급의 전송속도를 가지고 있는 인터넷 서비스를 말하며 일반 가정에서도 아날로그 모뎀과 같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일반인에게는 모통신업체의 ‘나는 ADSL’로 잘 알려져 있다.

VGA 
Video Graphics Array. IBM PC의 CGA, EGA에 이은 비디오 어댑터의 향상된 규격으로 640x480의 해상도에 16컬러 지원, 320x200의 해상도에서 256컬러 지원 등 이전 제품에 비해 크게 개선된 규격이다. 256KB 비디오 메모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제품의 출시와 함께 IBM PC의 그래픽 환경이 크게 개선되기 시작하였다. EGA까지의 그래픽 어댑터가 TTL 디지털 출력을 가지고 있고 RGB 각 색을 on/off하여 8색을 만들고 각 색에 강도 조절을 한 단계씩 가능하게 하여 16컬러의 사용이 가능한데 비해 VGA에서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RGB 각 색당 64단계의 강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해서 262,144색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물론 비디오 메모리 문제 등으로 이 색을 모두 한꺼번에 사용할 수는 없고 이중 256컬러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팔레트 방식을 이용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이 정도의 기능으로는 만족할 수 없게 되었고 IBM에서는 더 높은 해상도 지원과 컬러 지원이 가능한 8514 그래픽 카드와 XGA 어댑터 등을 발표하였다. 이에 대해 IBM PC 제조업자들은 IBM의 방침을 따르기 보다는 더 빠른 성능의 개선을 통해 SVGA라는 이름으로 불려지는 제품들을 내놓았다. 우리 나라에서는 컬러 제품의 보급 초기부터 SVGA 급의 제품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일상적으로는 SVGA의 제품 등 IBM PC용의 그래픽 카드를 말할 때 "VGA 카드"라고 통칭하기도 한다


VHS
Video Home System의 약자. 가정용 VCR에서는 일반적으로 1/2" 테이프를 사용하여 비디오 영상을 녹화하거나 재생합니다. VH 시스템은 밝기와 색상에 관한 정보를 하나의 신호에 합쳐놓은 ※composite 신호를 사용합니다.  

Video decoder

아나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장치

Video encoder

디지털 정보를 아나로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

Video for Windows
비디오 영상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파일을 재생하는데 사용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의 시스템 장치. (※digital video)

Video scan rate

비디오 신호를 스캔하는 주기. 비디오 스캔 레이트가 높을수록 화질은 향상되고, 깜빡거림도 줄어듭니다.  

Video-8
8mm 테이프를 사용하는 비디오 시스템. Video 8은 ※composite 신호를 사용합니다.  

VISCA

컴퓨터에서 외부 비디오 장치를 제어할 때에 사용하는 프로토콜.

Warping

격자 무늬 패턴을 기반으로 한 왜곡 방식. 격자가 교차하는 지점에 나타나는 컨트롤 포인터를 이동하여 영상의 왜곡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XGA 
eXtended Graphics Array. IBM에서 VGA, 8514A 등의 그래픽 어댑터에 이어 90년에 내놓은 제품으로 PS/2 모델 90과 95 등에 기존의 8514 어댑터와 호환되며 16비트 컬러의 지원과 최대 1024x768해상도에 256컬러의 지원이 가능하다. 이 제품은 92년 XGA2로 변경되었는데 1024x768해상도에서도 16비트 컬러의 지원이 가능하도록 향상되고 속도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MCA 버스를 기본으로 하며 IBM의 PS/2 기종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진 제품들이다. 일반적인 IBM PC 호환기종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Y/C
Y/C에서는 영상 신호를 두 개의 요소로 구분합니다. Y는 밝기 정보이고, C는 색상 정보입니다

YUV

Y에는 밝기 정보를 담고, U와 V에는 색상 정보를 담는 컬러 모델

커버샷(Cover Shot)  

편집에 대비해서 원래의 화면 외에 부가적으로 촬영을 해둔 샷이다. 흔히 현장에서는 인서트 컷을 찍는다고 하는데 이 샷을 충분히 찍어 놓으면 편집시 컷과 컷을 보다 부드럽게 연결할 수 있어 대단히 편리하다

컨버전렌즈(Convergence lens)  
카메라에 장착돼 있는 렌즈의 초점거리를 변하게 하는 렌즈 액세서리 중에 하나다. 장착하는 것에 따라 와이드와 텔레(망원)으로 나뉜다. 먼저 와이드 컨버전 렌즈를 장착하면 보다 넓은 화각을 얻을 수 있고 텔레 컨버전 렌즈는 줌의 배율을 두 배나 그 이상을 확대할 수 있다. 보통 와이드 컨버전 렌즈는 공간이 협소한 실내 촬영이나 넓은 풍경 등을 촬영할 때 많이 활용되며 렌즈 특성상 초점 심도를 깊게 하여 핀트가 맞는 범위를 넓게 한다. 반면에 텔레 컨버전 렌즈는 멀리 있는 피사체를 가깝게 확대해 촬영할 수 있는 액세서리이나 밝기가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컨버터(변환기:Converter)  

신호를 변환하는 장치이다. 일례로 UHF의 전파를 VHF로 변환하는 주파수 컨버터, PAL신호를 NTSC(상호반대 포함)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 디지털이나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컨버터, A/D컨버터 등이 있다.

컬러콜렉터(Color corector)  
비디오 신호의 컬러밸런스나 색의 농도를 조절하는 영상보정기기이다. AWB(오토 화이트 밸런스)가 표준기능이 된 요즘에는 사용하는 경우가 한정됐으나 화이트밸런스를 잘못 설정해 촬영했을 때 이 기기로 정상에 가깝게 색을 조절할 수 있다. 또 흑백영상 등을 만들 때 사용한다.

퀵타임
퀵타임은 매킨토시나 PC에서 동영상이나 정지화상을 표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이 소프트웨어는 91년 3월, 애플이 매킨토시 컴퓨터에서 동영상 표현을 위해 새로운 시스템 아키텍쳐를 기반으로 개발했으며 92년 1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맥월드 엑스포에서 퀵타임을 기반으로한 응용 어플리케이션들이 대폭으로 늘어나면서 보급이 이루어졌다. 90년대 초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CD롬과 사운드카드의 비중이 커지고 멀티미디어 타이틀 제작과 보급이 확산되던 시대였던 관계로 퀵타임과 같은 플레이어의 필요성이 점증했다. 특히 국내에서도 CD롬 타이틀 개발열기와 사용자들의 관심이 크게 치솟던 94∼95년을 전후로 일부 CD롬 타이틀에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기능만 제공하는 퀵타임 런타임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유명해졌다. 92년 1월부터 발표된 이래 퀵타임은 93년에 단일 소프트웨어로 1백만달러의 판매고를 기록하는 흥행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퀵타임은 음악과 풀스크린 비디오를 지원하는 버전 2.0에서부터 인터렉티브 텔레비전의 기능을 갖춰나갔다. 비교적 최근인 95년 5월에는 AT&T와 애플은 퀵타임을 이용한 비디오 컨퍼런싱에 관한 공동연구를 발표함으로서 퀵타임은 단순한 동영상 재생용 소프트웨어에서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에 까지 영역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현재 보급되고 있는 퀵타임은 무비플레이어와 픽쳐뷰어의 두가지 소프트웨어가 포함돼 있으며 mov, avi와 같은 동영상 파일 재생과 jpg 등의 정지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큐(CUE)  

원래의 뜻은 ‘지시하다’라는 말로 연기나 음악, 조명, 음향 등의 시작을 지시하기 위한 신호라 할 수 있다. 보통 현장에서는 인터컴 등의 통화장치나 몸짓으로 지시하는 핸드 사인에 의한 신호를 많이 사용한다. 테이프 리코더의 경우는 CUE스위치가 리와인드와 포워드 중에 테이프를 재생헤드에 접속시켜서 소리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로 쓰인다. 또 믹싱콘솔의 큐회로로 모니터 회로에 신호를 보내는 기능을 한다.  

키노플로 라이트 (KINOFLO LIGHT)  
모양은 형광등과 똑같고 숫자는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일반 라이트와 달리 인물을 조명할 때 사용하면 인물 스킨 톤이 부드러워지는 장점이 있다.

태블릿(Tablet)  

일반적으로 디지타이저의 작은 것을 말한다. 스타일러스 팬이나 커서를 사용해서 도면의 좌표나 도형의 입력에도 사용되는데 대화적인 입력장치에도 사용해 왔다. 마우스와 달라서 절대적인 좌표를 지니고 있으므로 초보자가 다루기 쉽다. 전자유도방식이 정밀도가 높다. 마우스에 비해서 값이 비싸지만 조전 고무를 사용한 값이 싼 것도 개발됐다.  

텔레시네(Telecine)  
필름으로 촬영한 영화의 광학 신호를 텔레비전 신호로 변환해 모니터에 보내주는 장치를 일반적으로 텔레시네라고 부른다. 텔레비전은 1초에 30프레임의 화상을 주사하는데 대하여 영화필름은 일반적으로 24프레임으로 구성돼 있다. 이 24프레임의 신호를 30프레임의 텔레비전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는 반대로 비디오 신호를 영화의 필름으로 전환하는 장치는 키네마스코프라고 한다.  

트래킹(Tracking)  
재생시에 재생 헤드가 정확히 자기 트랙 위를 주행하여 테이프에 기록된 기록 패턴을 통해 영상을 읽어주는 능력이다. 녹화된 데크와 재생되는 데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패턴을 헤드가 바로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화면에 줄이 가거나 흔들리는 경우)이 나타나므로 헤드를 기록패턴의 제자리로 이동시키는 장치를 트래킹조정이라 한다.  

파형모니터(Waveform Moniter)
 
영상신호를 감시·조정·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영상신호전용의 오실로스코프이다. 종방향으로 IRE(Institute of Radio Engineer), 단위(최고의 흰색을 100%로 하는 영상레벨표시)의 스케일이다. 통상적으로는 필드로 영상신호의 휘도분포를 감시하지만 시간축을 절환하는 것에 의해 라인으로 파형을 볼 수 있고 휘도신호의 성분이나 색신호 성분도 원터치로 간단하게 체크할 수 있다.  


팬더 달리 (PANTHER DOLLY)
 
크레인의 일종으로 3∼4M 높이 내에서 상하 좌우를 자유롭게 이동해 찍을 수 있는 장비이다.

프리롤(Pre-roll)

편집 개시점에서 서로의 위치와 동기를 맞추기 위해 일정한 시간동안 VTR이 테이프를 리와인드 하는 것이다. VTR의 기종이나 편집기법에 따라서 테이프간의 조정 등에 요하는 시간이 다르므로 프리롤 시간은 보통 3초부터 30초 정도까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편집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리롤 타임은 3초이다. 다른 말로 롤백이라고도 한다.

하울링(Howling)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이 근접해 있으면 스피커로부터 나온 음이 마이크로 들어가 증폭돼 다시 스피커로 나온다. 이것이 계속 반복돼 (일종의 정귀환이 돼) 웅-, 삐- 하는 발진음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어쿠스틱 피드백이라고도 한다). 리코더의 재생시 스피커로부터의 음이 픽업에 입력돼 같은 모양의 발진현상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해상도(Resolution)
 
간단하게 말하면 텔레비전의 촬상부(카메라계)나 디스플레이 등으로 화상을 어디까지 세밀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가라고 하는 성능을 나타내는 척도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재생된 이미지에서 볼 수 있고, 화상이 분해된 세밀함의 최대수치라 할 수 있다. 해상도는 이미지의 픽셀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카메라 렌즈의 품질과 TV의 수상관, 필름의 처리과정과 필름스캐너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양자화 비트 수(4, 8, 10 등)는 디지털 신호의 해상도를 결정한다. 가령 4비트는 1/16의 해상도를 가지며 8비트는 1/256, 10비트는 1/1024이 된다. 이 가운데 8비트는 방송 텔레비전을 위한 최소한의 허용비트이다. TV장치내의 촬상계나 디스플레이계의 화상분해능력이나 재생되는 상의 미세한 부분이 판별되는지의 여부는 화소의 수(TV는 몇라인인지)에 달려 있다. 국내에서 채용하고 있는 NTSC에서는 대략 80라인에 1㎒가 필요하다. 촬상계에서는 변조도 전달관수인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가 렌즈와 촬상관(촬상판), 소자와 증폭기 등을 포함해 해상력을 표현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호리존트(Horizont)
 
사이클로마라고도 하며 스테이지 뒤쪽 일면에 시설된 막 또는 벽으로 돼 있다. 조명의 효과에 따라서 하늘이나 무한의 공간 등을 표현한다. 또 구름이나 눈 등을 투영할 수도 있다. 벽의 상부가 수직으로 된 것을 룬드호리존트라고 하며 활 모양으로 굽은 것을 쿠펠 호리존트라 한다.  

후발녹화(애프터리코딩)  

영상을 먼저 편집하고 나중에 영상에 맞춰 내래이션이나 음악을 삽입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수록된 화면이나 소리에 동기시킨 다음에 효과음이나 해설, 노래 등을 삽입하는 녹음방식으로 영상신호에 관계없이 음성을 넣을 수 있는 기능이다. 오디오 인서트라고도 불려진다. VHS와 8㎜에서와는 달리 VHS로 애프터리코드가 가능한 것은 일반적인(NORMAL) 음성뿐이고 하이파이 음성은 불가능하다. 8㎜의 경우, 표준음성이 영상에 겹쳐지기 때문에 애프터리코드는 PCM음성부를 사용하게 된다. 애프터리코드가 가능한 것은 PCM음성기능을 가진 8㎜나 Hi8㎜ VCR 뿐이다. DV의 경우에는 오디오 섹터와 비디오 섹터가 분리돼 있어 애프터리코드는 오디오 섹터에 12비트 스테레오로 행해진다. 단지 애프터리코드 기능의 유무나 방식은 각 기기의 사양에 따른다. 다른 말로 포스트 리코딩(Post Recording)이라고도 한다.  
.

VOD(Video On Demand)
기존의 TV나 케이블 방송들이 방송국 자체에서 편성된 프로그램을 정해진 시간에 의해 방영을 함으로써 시청자들은 그 시간에만 자신이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볼 수 있는 일방적인 방식이었지만 VOD 방식은 시청자가 자기가 보고 싶은 시간에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언제든지 볼 수 있는 쌍방향 방식입니다.

4:2:2 샘플링
컴포넌트 비디오의 휘도와 색차성분(Y.Cr.Cb)을 디지털화 하는데 사용하는 샘플링주파수 비율의 하나로 4:2:2은 Y의 매 4개 샘플에 대해 Cb와 Cr 각각 샘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흔히 ‘사둘둘’이라 부르는데, 4와 2라는 것은 원래 NTSC 신호의 컬러 서브캐리어인 3,58㎒의 배수를 의미한다. 4배라면 14.32㎒이 나오는 계산이 되지만 실제로는 13.5㎒가 된다. 그 이유는 국제규격으로써 NTSC방식 뿐 만 아니라 PAL방식으로의 변환도 고려한 것이다. 그 결과 양방의 중간적인 수치로 결정이 됐다. 이후에 4:2:2 샘플링은 방송용의 표준 규격인 CCIR601이나 SMPTE259에 규정돼있고 방송용 신호의 표준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DV계에서는 4:1:1샘플링이지만 충분한 레벨의 화질이 얻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4:1:1도 방송용으로서 인식되는 추세이다. 4배속 전송화상을 압축해 전송비율을 내릴 수 있는 점을 이용해 4배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말한다. 현재 출시돼 있는 모델 중에서 DVCAM, DVCPRO, 베타캠SX가 비선형편집기와의 사이에서 실현돼 있고 소재의 업로드시간을 4분의 1로 줄였다. 게다가 DVCAM에서는 다운로드, 즉 다시 테이프에 되돌릴 때에도 4배속 기록을 실현해 편집시간을 단축시켰다

가색법(Additive Color Process)  

두 가지 이상의 색을 혼합해 다른 색을 만드는 것을 혼색이라 하는데 색의 빛을 겹치게 해서 합치는 경우를 가법 혼색이라 하며 이것에 의한 색재현법을 가색법이라 한다. 혼색에 의해 여러가지 색을 만들어 낼 수 있는데 적절히 선택하면 세 가지의 색 혼합에 의해 거의 모든 색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것을 3원색이라 하며 가색법에서는 적(R), 녹(G), 청(B)이 기본이 된다. 컬러 브라운관은 규칙적으로 배열한 미세한 적·녹·청의 형광체의 발광으로 미묘한 색을 표현하고 있으며 원리적으로 가색법이다. 예를 들면 필름은 3원색 색소의 층을 겹치게 해 이것을 합쳐 각층이 빛의 색성분을 흡수함에 따라 미묘한 색상을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혼색법을 감법 혼색(감색법)이라 한다. 감색법의 3원색은 마젠타(M), 시안(C), 옐로우(Y)이다. 3원색을 짜맞추면 가색법에서는 백, 감색법에서는 흑을 만들 수 있다. 3원색 성분을 각각 제로로 함으로써 가색법에서는 흑, 감색법에서는 백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도트 간격(Dot Pitch) 
Shadow Mask 방식 CRT의 형광면에는 Red, Green, Blue의 3색 형광체 점(dot)들이 수십만개 코팅되어 있다. 도트피치란 한 색의 dot로부터 가장 인근하는 동일 색의 dot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CRT의 구조상 가장 인근하는 동일색의 dot는 대각선 방향에 오게 되므로 보통 표시되어 있는 것은 대각선 피치이다. 하지만 상당히 많은 모니터 카탈로그에서 이 대각선 피치를 '수직피치'라고 표기하고 있다.  반면에 Aperture Grill이나 FTM(Flat Tension Mask)방식의 CRT는 dot가 아닌 stripe 형태로 형광체가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 피치밖에는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CRT의 방식에 따라 피치의 측정방법이 틀리므로 서로 다른 방식의 모니터를 동시에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삼성전자에서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Dynaflat CRT가 Shadow Mask 방식이기 때문에 Aperture Grill의 수평 피치에 비해 덜 정밀한 제품으로 인식될 수 있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Shadow Mask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수평 피치로 환산한  값을 각종 카탈로그에 표기하고 있다.  엄밀히 말하자면 이는 Pitch의 원래 개념과는 동떨어진 편법적인 표기방식이지만  한편으로는 평면 모니터에 가장 많이 채용되고 있는 Aperture Grill과 쉽게 비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도 하다. 물론 이 경우에도 절대적인 비교수치로 이용할 수는 없다


디지털 더빙  
영상이나 음성을 디지털 신호 그대로 다른 기기에 복사하는 것을 ‘디지털 더빙’이라 한다. 이는 DV와 같은 디지털 기록 포맷에 한정되어진다. 규격에 따라서 몇 개의 방법이 있는데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DV의 경우는 DV단자를 통해 DV로 압축한 신호 그대로를 주고받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따져보면 더빙에 따른 퀄리티의 열화가 일어나지 않는게 원칙이라 하겠다.

디지털 데이터 방송
 
방송전파에 디지털 데이터를 실어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행하는 것으로 현재는 BS방송의 St.GIGA에서 빈 대역을 사용해 데이터 방송을 행하고 있다. 수퍼 패미콤의 게임 소프트를 내보내기도 하는데 수신을 위해서는 수퍼 패미콤이나 전용의 어댑터 세트가 필요하다. 앞으로는 CS방송에서도 다양한 서비스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비디오(DV)  

지금까지 VHS나 8미리 비디오 등의 가정용 VTR에도 디지털 기술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어져 왔지만 그것은 회로의 디지털화라고 하는 단계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난 95년, 신호처리는 물론이고 기록까지도 디지털 방식으로 행하는 전혀 새로운 개념의 가정용 비디오 포맷으로써 디지털 비디오(DV)가 등장했다. 고화질과 작은 카세트 테이프, 게다가 장시간 기록이 가능하다는 것이 DV의 장점이다. 디지털의 광대한 데이터를 6.35㎜의 좁은 폭의 테이프에 기록하는 정보압축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카세트의 크기는 2종류로 현재 국내에 가장 많이 보급돼 있는 기존의 8미리 카세트보다 큰 120분용의 표준 카세트와, DAT 카세트보다 작은 1시간용의 미니카세트가 있는데 가정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콤팩트한 DV캠코더에는 작은 미니카세트만 사용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취급하는 동화 데이터를 말할 때도 같은 용어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따지자면 윈도의 AVI나 메킨토시의 Quick Time 무비를 가리키기도 한다. 이들의 데이터를 취급하는 컴퓨터 상에서 편집을 행하는 것은 비디오편집 소프트이다.  

디지털(Digital)  
원래는 아라비아어로 ‘손가락’을 가리키는 말인데, 0∼9까지의 수, 또는 손가락의 폭(0.75인치) 등을 나타내는 ‘디지트(Digit)’에서 온 것이다. 즉 물건의 양을 표시할 때 연속적인 양이 아니고 손가락으로 1, 2, 3….라고 헤아리는 것 같이 떨어져 있는(이산) 수를 다루는 것이다. 이에 반해 아날로그는 연속적인 양을 표시하는 것이다. 시간은 연속적으로 움직이고 있으므로 대표적인 아날로그 양인데, 이것을 몇 시, 몇 분, 몇 초라는 수의 값으로 나타내는 것을 ‘디지털화’라고 하며 디지털화된 신호를 기록하는 것을 「디지털 기록」, 전송하는 것을 「디지털 전송」, 가공하는 것을 「디지털 처리」라고 부른다.  

디코더(Decorder)  
인코드 돼 있는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되돌리는 것을 말한다. NTSC 신호는 적(R), 녹(G), 청(B)의 3원색에서 휘도 신호(Y)와 두 개의 색차 신호 I,Q가 만들어져 있는데(인코드) 이것을 다시 R·G·B의 3원색 신호로 되돌리는 것을 디코드라 하며 그 장치를 디코더라 한다. 디코더는 어떤 부호 체계에서 표현된 형태를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기 위한 변환기로 해독기라고도 부른다. 하드웨어적으로는 여러 개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갖춘 장치로 입력 단자의 어떤 조합에 신호가 가해질 때 그 조합에 신호가 나타나는 것이다.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이 같은 기능을 부과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이 경우에는 디코드 프로그램이라고도 한다. 디코더의 작용은 정확히 부호기 작용의 역에 해당된다. 이는 일련신호의 의미를 결정해 해당되는 컴퓨터 연산을 실행하는 장치와 현재의 입력 신호의 조합에 따라 하나 이상의 출력 채널을 선택하는 교환 소자의 행렬이다.

랩소디

랩소디는 "맥OS"와 97년 애플에 재합류한 전 공동창업자 스티브잡스의 "넥스트 오픈스텝"기술을 통 합 한 차세대 OS다. 랩소디는 「맥OS」와 자바언어 및 「넥스트 오픈스텝」 기반의 「엘로우박스」가 중심을 이루고 있 다. 기본OS 부분에는 마이크로커널과 입출력시스템 및 파일시스템 등이 있으며 사용자인 터페 이 스 부 분은 「맥OS」의 인터페이스를 향상시킨 「어드밴스트 맥 룩앤필」이 위치하게 된다. 「랩소디」의 특징으로 CPU를 완전제어할 수 있는 OS선점형 멀티태스킹, 예측할 수 없는 프로그램 간 충돌을 보호 해 주는 메모리 보호, 하나의 명령처리(스레드)가 완료되기 전 여러개의 새로운 명령 을 받아 동시 처리할 수 있는 멀티스레드, 복수개의 CPU를 제어 할 수 있는 대칭형 멀티프로 세싱(S MP) 등 64비트 이 상 OS환경에서 가능한 거의 모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백포커스(Back Focus)  
줌 렌즈 최종면의 정점에서 상이 맺히는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또한 렌즈 마운트의 부착 기준면에서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플랜지 백이라 한다. 플랜지 백과 촬상관면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면 주밍 도중에서 핀트가 틀어지게 된다. 원래 플랜지 백은 고정돼 있는데 실제는 촬상관 부착시의 잘못으로 상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생기므로 최근의 비디오 카메라용 줌렌즈는 각개의 카메라에 맞춰 렌즈측에서 이를 조정하도록 돼 있다. 이 조정을 본래는 플랜지 백조정이라고 했는데 백포커스 조정이라고 부르는 사람이 많아졌다.

베타캠(Betacam)
 
현재 방송용이나 업무용으로 제작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베타캠은 가정용의 베타방식 VTR의 기구부를 이용한 1/2인치 카세트형 방송용 VTR이다. 뉴스취재용의 일체형 카메라를 목적으로 일본의 소니사가 지난 81년에 개발했으며 베타 일체형 카메라의 의미가 그대로 포맷방식의 이름이 됐다. 기록포맷은 베타방식과는 전혀 다르며 휘도(Y)신호와 색(C)신호를 별도의 트랙에 FM(주파수변조)기록하는 콤포넌트방식으로 두개의 색차신호(R-Y), (B-Y)는 각각 1/2 시간축 압축, 1H내에 시분할 다중하고 있다. 콤포넌트 기록 및 시분할 다중의 화질과 카세트형의 취급상 편리한 점 등이 높이 평가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소니는 베타캠을 더욱 발전시켜 지난 93년에 디지털 베타캠을 발표했다. 약 1/2의 디지털 압축으로 기록한다.

벡터스코프(Vector Scope)  

영상신호의 색신호 성분을 복조한 뒤 위상과 진폭을 브라운관상에 벡터로 표시하는 측정기를 말한다. 표시면에는 버스트 신호레벨을 기준으로 했을 때 휘도순 컬러바 신호의 각색에 규정틀이 있어 규정레벨의 신호는 이 규정틀의 중심목성에 일치해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프로덕션이나 방송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SMPTE의 기준 컬러바를 띄웠을 때 각 점이 田의 중앙에 오도록 맞춰 모니터링한다.

비디오 캡처 카드  
아날로그 비디오 영상신호의 경우 그 상태 그대로는 컴퓨터 상에서 사용할 수 없다. 반드시 어떤 신호든 간에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데 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을 ‘비디오 캡처 카드’라고 부른다. 캡처라는 것은 집어넣는 것을 의미하는데 아날로그의 영상을 디지털 데이터(AVI파일 등)로 변환하는 것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경우, 데이터의 압축도 같이 행한다. 현행의 비선형편집(NLE)에서는 M-JPEG도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IEEE1394(DV단자 등) 단자가 붙어 있으면 따로 디지털 변환할 필요는 없다. 이 카드를 기용하면 입력만 할 수도 있고 취급하기 편하게 다른 압축방식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카메라 / 캠코더

캠코더란 카메라(camera)와 비디오카세트리코더(video cassette reco-rder:VCR)의 합성어로 비디오카메라와 녹화.재생장치를 컴팩트하게 일체화한 것을말하며 카메라일체형VCR 또는 그냥 비디오카메라라고도 한다. 비디오카메라는 렌즈로잡은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비디오테이프리코더(VCR)는 영상신호와 이에 부수하는 음성신호를 자성테이프에 기록하고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장치로 이 두가지 장치를 컴팩트화해 휴대하기간편하도록 일체화한 것을 캠코더라 한다.   비디오카메라는 렌즈로 잡은 영상을 촬상관 또는 고체촬상자에 투영해 전기신호로 변환하는데 최근엔 신호처리를 디지틀화한 하이웨이트방식에 의한 영상신호변환방식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비디오카메라가 3원색의 컬로신호를 전기신호로서의 RGB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프리즘이나 다이크로익 미로(dichroic mirror:빛의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반사경) 외에 3개의 촬상관 또는 촬상소자를 필요로하는 부피가큰 방송용 비디오카메라와는 달리 가정용의 캠코더는 1개의 촬상관 또는 1개의 촬상소자에 컬러필터를 부착, 컬러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 신호로 변환하도록 소형.경량화하고 있다. 캠코더의 포맷엔 VHS와 VHS-C, S-VHS와 S-VHS-C, 8mm, ED베타의 4종이 있는데 그 이용범위가 초기의 결혼식.회갑연등 기념촬영이나 자녀의 성장기록 등패밀리유스에서 휴대해 다니면서 수시로 촬영하는 트래블유스, 스포츠유스에의 확대에 따라 1990년부터는 급격히 소형화해 가는 경향으로 S-VHS-C형과 8mm형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비트레이트(bps)  
시대가 디지털화 됨에 따라 AV분야도 비약적으로 바뀌어가고 있으며 비트레이트는 디지털화에 있어 화질과 음질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 비트레이트는 일정 시간당 어느 정도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보통은 1초간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말한다. 단위는 bps(bit per second)이고 비트는 디지털 신호의 0과 1로 나타내는 2진법을 가리킨다. 8비트로 한다면 1바이트에 해당된다. 컴퓨터에서는 8비트=1바이트를 하나의 묶음으로 보고 있어 하드디스크 등의 데이터 전송이나 용량표시에서는 바이트를 단위로 한 수치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트레이트는 디지털 AV기기에서도 많이 사용돼 수치가 높으면 높을 수록 화질이나 음질을 높일 수 있다. 일례로 최근에 등장하고 있는 D-VHS(Digital-VHS)에서도 기록모드가 비트레이트로 세밀하게 나눠져 있고 기본이 되는 표준(STD)모드에서는 14.1Mbps, BS디지털의 HDTV에 대응한 HS(High Speed) 모드에서는 28.2Mbps가 된다. 보다 낮은 비트레이트의 LS(Low Speed)모드에서는 더욱 세밀하게 나눠져 있으며 용도에 따라 분류된다. DV포맷에서는 약 25Mbps, CS나 BS방송 등에 대응한 D-VHS의 MPEG압축에 대해 DV에서는 편집시의 유리한 점을 고려한 프레임 내에서 모든 것이 이뤄지는 압축방법을 채택했다. 결국 압축률도 각종 포맷간에 서로 다르기 때문에 비티레이트 만으로 화질을 평가할 수는 없는 것이다

셋톱박스

수신장치의 어댑터를 말하는데 DBS, 텔레텍스트, CATV, 음성 다중 방송 등을 보통 텔레비전 수상기로 시청하기 위해 부착하는 별도의 수신장치를 말한다.  

스피드 컨트롤러
 
카메라 모터를 조절해주는 기능을 갖춘 카메라 부속품으로, 1초에 75프레임까지 속도를 올릴 수 있다.

아날로그(Analogue)
 
수량을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물리량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아날로그라 칭한다. 이는 전류, 전압, 온도, 속도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물리량을 나타낸다. 예를들어 음성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처리할 경우 연속적인 시간에 대한 연속적인 전압이나 전류의 변화라는 현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것을 가장 이해하기 쉬운 것은 아날로그 시계와 디지털 시계의 비교일 것이다. 아날로그 시계는 시간이란 양을 ‘연속적인 양’으로 다루는데 비해, 디지털 시계는 ‘비연속적인 수치’로 다루고 있다. 전기회로에서 아날로그 회로는 회로에 흐르는 신호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며 볼륨(가변저항)에 의한 음량(증폭률)을 연속 가변하는 앰프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측정 장비인 오실로스코프의 파형 등으로 그 양을 알 수 있고 눈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온라인 편집(On Line Editing)  

VTR편집에서 완성 테이프를 작성하기 위한 편집시스템으로 편집점 결정을 위한 오프라인 편집과 구별하기 위한 명칭이다. 화질과 음질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편집용 VTR이나 화상처리장치(스위처, 특수효과장치), 문자발생장치 등으로 구성돼 있다. 최근에는 복잡한 편집에 대응하기 위해 고도의 시스템에서는 디지털화가 보통이며 능률화 때문에 대용량의 동화상메모리(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를 내장한 것이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편집은 오프라인 편집에서 결정된 편집 정보를 플로피 디스크로 받아 컴퓨터로 처리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너포커스
카메라의 줌렌즈를 이용해 핀트 조절(포커싱)을 하기 위해 렌즈 내부의 마스터 렌즈를 움직이는 방식으로 현재의 표준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이전의 렌즈에서 포커싱을 행할 때는 크고 무거운 앞의 렌즈를 오토포커스(AF)를 하기 위해 움직였지만 그만큼 구동력을 요하고 매크로영역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절환 스위치도 필요했다. 하지만 이너포커스 렌즈는 포커싱 시에 움직이는 렌즈가 작고 가볍기 때문에 구동계가 소형화 될 수 있게 됐다는 게 큰 장점이다. 또 동시에 AF가 민감하게 대응하고 매크로 영역까지 풀레인지 AF가 가능하게 됐다. 이에 따라 앞의 렌즈를 움직일 필요도 없어져 편향필터나 크로스필터가 부착, 각도를 고정해도 사용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다.

이미지너리 라인(Imaginary line)
 
두 개 이상의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에 피사체의 방향성을 혼돈시키지 않게 하기 위하여 설정한 의미적인 선을 말한다. 물론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라인은 커피숍이나 휴게실 등에서 상대방과 서로 대화를 하고 있는 장면 등을 촬영할 때 피사체간의 위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다. 시선적으로 무리 없는 촬영이라는 것은 바로 이러한 라인을 고려해야 부드러운 화면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이미지너리 라인을 넘어서 촬영을 한다든지 편집하는 경우에는 같은 인물이 좌측을 향해 있다가 갑자기 우측을 향하거나 상대방과의 시선이 맞지 않는 정반대의 방향을 서로 바라보게 한다면 부자연스러운 화면이 될 수밖에 없다. 드라마나 영화 등과 같은 장면이 자연스럽게 보여지는 것도 바로 이러한 기본적인 촬영법을 잘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뉴스나 다큐멘터리도 마찬가지이다. 연설하는 사람과 듣고 있는 관중을 촬영할 때도 서로의 방향을 고려해야 한다.  

인(IN)점/아웃(OUT)점
 
비디오 편집을 행할 때 편집의 개시 점과 종료점을 말한다. 즉 마스터 테이프로부터 필요한 부분을 더빙할 때의 첫 부분을 IN점, 더빙을 끝내는 부분을 OUT점이라 한다.  

인코더(Encorder)
 
인코드(부호화)란 일반적으로 문자나 메시지를 부호로 변환하는 것을 말하는데 미리 약속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문자, 메시지 또는 신호를 부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또한 연속신호인 정보원을 시간적으로 이산(여러 개별적인 부분을 이어지지 않게 분리)적인 신호로 변환해 그 표본식을 양자화함으로써 2진(01) 또는 이진 부호로 변환하는 조작을 말하며 그 장치를 인코더라 한다. 인코더는 코드변환기로 문자나 메시지, 영상 등을 어떤 부호체에 바로 표현하기 위한 변환기이다. 하드웨어적으로는 여러 개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갖춘 장치로 어느 한 개의 입력 단자에 신호가 가해질 때 그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출력 단자의 조합에 신호를 나타내는 것이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이 같은 기능을 부과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코드화 프로그램이라고도 한다.  

인포리튬 배터리
 
최근의 비디오 카메라용 배터리는 거의가 리튬이온 타입이긴 하지만 이 인포리튬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 내부에 마이콘을 내장해 연산처리나 데이터의 저장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배터리에 대응하는 캠코더 사용시 1분 단위의 배터리 잔량표시나 배터리의 수명표시 등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일본의 소니사가 독자적으로 개발해 사용해 왔으나 최근 한국의 배터리 생산업체인 대진스페셜 옵텍스에서도 개발에 성공, 소니사와의 분쟁도 발생하긴 했지만 모두 해결돼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어 더욱 값싸게 구입할 수 있게 됐다.

점프샷(Jump shot)
 
동일동작, 동일사이즈, 동일방향의 샷을 연결하면 동작 이미지의 연속성을 손상하고 만다. 이와 같이 연결된 샷을 점프샷이라 한다.

점프컷(Jump cut)  

포스트 프로덕션에서 영상이나 필름을 편집할 때 장면의 연속적인 줄거리 내에서 한 부분을 삭제하는 것을 말한다. 점프아웃은 테이프나 필름에서 프레임을 제거하는 것이다.  

주사선
텔레비전의 화면은 수평방향으로 뿌려지는 수많은 라인(전자빔으로 구성)에 의해 구성돼 있으며 이 1라인 1라인을 주사선이라 부른다. 주사의 구성은 가로로 기록된 책을 읽을 때의 시선의 예를 들면 이해하기 쉽다. 좌로부터 우로, 그리고 위에서부터 밑으로의 순으로 읽어나가 결국 우측의 제일 밑에서 1페이지가 끝나는 것과 같이 TV의 주사선도 같은 식의 움직임으로 1장의 화면을 만든다. 전자의 주사를 「수평주사」라하며 후자를 「수직주사」라고 부른다. NTSC방식에서는 이 수평주사의 주사선수를 525라인으로 정하고 있지만 화면의 아른아른하는 현상을 줄이기 위해 기수번호(기수필드)와 우수번호(우수필드)로 나눠 각기 따로 주사하고 있다(비월주사). 1필드의 시간, 즉 1회의 수직주사에 걸리는 시간은 1/60초이기 때문에 매초 30프레임의 화면이 만들어진다. 북한이나 중국 등에서 채택하고 있는 PAL방식이나 유럽 등에서 많이 채택하고 있는 SECAM방식의 주사선수는 625라인의 25프레임(초당)이고 고선명(HD)TV는 1125라인이다.  

지상파

BS나 CS와 같이 우주에 떠있는 위성을 중계기지로 하는 전송방식에 비해 일반적인 텔레비전이나 라디오방송과 같이 지상에서 전파에 의해 전송을 행하는 기존의 방식을 총칭해서 지상방송이라고 하고 그 전파를 지상파라고 부른다. 일반적인 TV의 VHF나 UHF 등도 지상파이다. 방송국으로부터의 전파는 안테나에서 수신하지만 전송방식상 아파트, 높은 건물, 산 등의 반사에 의해 고스트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지역에 따라서는 수신이 잘 안되는 난시청 등 어느 정도의 문제는 피할 수 없다. 유선방송이나 케이블TV를 시청하면 전파가 아닌 유선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전파 장애에 관한 문제는 극복할 수 있다.

지터(Jitter)
 
텔레비전 화면상에서 화상이 수평방향으로 불안정하게 흔들리는 현상을 말한다. 특히 VTR은 테이프의 주행계통이 불안정할 때 일어나기 쉽다. 또 회전 계통의 진동에 의해서도 발생하는 수가 있다. 보통 동기불량으로 일어나는 현상을 의미하는데 VTR에서는 신호처리상의 오류 등으로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TBC가 해결하고 있다. 오디오 테이프 리코더에서는 회전이 고르지 못한 것의 영향이 음성 주파수의 변화로 나타나며 모터의 회전속도나 테이프 주행속도의 변동을 와우 플러터로 표현한다.  

카세트 메모리
 
DV테이프의 카세트 하프에 내장된 메모리를 말하는 것으로 규격상 옵션 설정이어서 메모리가 붙은 것과 안붙은 테이프가 있다. 구분방법은 카세트 정면에서 오른쪽 밑부분의 금속접점여부로 판단하며 메모리가 붙은 테이프 내부에는 IC메모리가 들어 있어 이에 대응하는 기기에서만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다. 메모리 용량은 테이프의 길이에 관계없이 가정용 테이프에서는 4KB, 업무용 DVCAM 테이프의 경우에는 4배인 16KB로 돼있다. 이 IC메모리의 사용방법은 옵션설정에 정해져 있지 않고 어떻게 활용하는가는 편집자나 카메라맨에 달려 있다. 소니의 경우 타이틀 기능이나 촬영정보 등의 기록에 사용되고 있다. 실제로 IC메모리의 기능을 채택하고 있는 것은 지금까지 소니사의 기종밖에 없다. 메모리가 붙은 테이프를 상품 라인업에 갖추고 있는 것도 소니가 유일하다. 국내에서 테이프를 살 때 꼭 알아둘 것은 메모리를 내장한 것만으로도 테이프의 값에 상당한 차이가 있으므로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굳이 메모리가 붙은 것을 살 필요는 없다. DVCAM과 같은 경우 5000원이상 차이가 나지만 화질에는 전혀 차이가 없다.

화소

기록되는 영상의 가로의 세로의 선으로 그물눈과 같이 세분화된 하나의 미세한 면적(점)을 칭한다. 예를 들어 신문에 실린 사진을 확대해 보면 무수한 점들로 이루어 진 것을 볼 수 있는데 그 각각의 점을 화소라 보면 된다

휘도 (Brightness) 
CRT 모니터에서는 볼 수 없는 몇 가지 특성들이 LCD 스펙에 등장하는데, 그 이유는 LCD라는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해하기 위해 약 100년간 우리의 눈을 즐겁게 해온 구관(舊官)과 비교하기 위함이다. 즉, 주요 특성들이 CRT의 수준에 비해 어느 정도의 위치인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요즘 출시되고 있는 LCD 모니터의 경우 보통 150 ~ 200cd/㎡ 정도의 휘도를 보여주고 있어 CRT의 100 ~ 120cd(칸델라) 보다 높은 휘도를 보여주고 있다. 물론 LCD는 백라이트(Back Light)의 빛을 투과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자체 발광형인 CRT의 휘도와 같이 비교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휘도가 높을수록 좋은 화질을 기대할 수 있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