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아래는 위의 원칙에 따라 작성한 표준에세이의 분야별 샘플입니다.아래 에세이는 각각의 지원하는 대학에서 합격된 학생의 것으로 해당 대학의 교수로 부터 에세이가 아주 잘됐다는 편지를 받은 에세이들입니다. (1)경영대학원 에세이 샘플 (전공선택 이유와 졸업후 계획) 1998년도 기준 연매출 8천만달러인 xxx Electronics Co.,Ltd. xx사업부에서 일한 2년 동안 나의 가장 큰 문제는 Finance와 Management에 대한 나의 지식 부족이었다. 회사측은 대학 졸업과 동시에 나를 회사의 기획관리팀에 배속시켰으나,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한 나로써는 기업현황 및 시장분석, 장,단기 마켓팅 계획수립 등의 경영에 관련된 업무는 사실 벅찬 일이었다. 특히1998년 2월부터 10개월에 걸쳐 진행된 "차세대 xxx Shaver 개발 및 판매전략 수립 project"에 참여하면서부터 나는 나의 경영자적 능력에 대해 회의를 느끼기 시작했다. 총 8명의 직원이 투입됐고, 회사의 사운이 걸린 이 프로젝트에 Assistant Manager에 임명된 나는 이 기간중 진정한 경영자가 갖추어야 할 자질이 무엇인가를 분명히 느낄 수 있었다. 경쟁제품인 필립스, 브라운 면도기의 기술적인 장점과 그들의 마켓팅전략을 분석할 때 나는 내가 Marketing Research, Strategy 등을 배워야 하는가를 깨달았고, 차세대 Unix Shaver의 판매 및 시장확대 전략을 수립할 때 나는 왜 Financial Management, Corporate Financial Policies 등의 학문이 내게 필수적인가를 체험했다. 이때의 경험이 나로 하여금 귀 대학의 MBA과정에 지원하도록 했다. 귀 대학을 졸업한 뒤 나는 우선 약 5년동안은 xxx Electronics Co.,Ltd의 경영진에 참여해 이 회사를 필립스에 버금가는 세계적인 면도기전문회사로 키우고 싶다. 이후 나의 long term goal은 xxx Electronics Co.,Ltd에서의 경험을 기반삼아 현대 등 한국 내 5대 종합상사의 CEO에 도전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능하다면 나는 MBA학위 외에도 경영대학원 재학중에 CFA certification에 도전할 계획이다. Armed with the CFA certification and Top School's international bent, strength in finance and management training, I will be ready to place that call to the trader in China, conduct the teleconference with 미쓰비시종합상사 in Tokyo, and visit the CFO in America. (과거 경력) 내가 귀 대학에서 특히 배우고 싶은 분야는 Corporate Finance and Financial Strategy이다. 나의 현재 입장에서 보면 Finance에 대한 확고한 지식 기반의 수립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 지식없이는 내가 결코 유능한 경영인이 될 수 없다는 것이 나의 솔직한 고백이다. 나는 이밖에 Entrepreneurship과 Marketing에 관련된 학문을 집중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나의 경영자적 자질을 완성시키기를 희망한다. 나는 다행히도 1998년 8월부터 10개월간 xxx연합회가 실시하는 "기업 Accounting and Finance 관리자과정"을 수료해 이 분야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쌓은데다가, 1999년 가을학기부터 University of xxx의 경영대학원에서 Finance과목을 수강하고 있어 귀 대학의 학과목을 따라가는 데는 큰 문제가 없다고 본다. (해당 대학 진학 사유) 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Stern School은 내가 1차로 선호하는 대학이다. 첫째는 Stern이 타 대학에 비해 Finance에서 가장 다양한 코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귀 대학에서 제공하는 Restructuring and Firms and Industries, Venture Capital Financing, Investment Strategy 등은 현재 재학중인 대학에서 들을 수 없는 코스들로 나는 꼭 귀 대학에 진학해 이런 분야들을 연구해 보고 싶다. Stern에 진학하는 두번째 이유는 말할 필요도 없이 귀 대학의 지리적 장점때문이다. 경영대학원 졸업후 xxx Electronics Co.,Ltd에 복직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내 입장에서 보면 세계적인 기업이 밀집된 뉴욕시에서 이들의 성장전략을 연구해 보고, 가능하면 우리의 경쟁 제품인 Sony,필립스에 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해 보고 싶다. 또 가능하다면 내가 경영대학원 졸업후 한국에 돌아가 추진하게 될 xxx Shaver의 미국내 직영딜러망 구축의 준비단계로서 사전에 미국시장과 소비자의 특성을 직접 경험해 보고 싶다. Thank you. (2)예술대학원 에세이 샘플 (전공선택 이유와 졸업후 계획) 97년 여름, 산 호세의 작은 공원에서 잠깐 쉴 때의 감동을 나는 아직도 기억하고 있다. 그 공간은 공원이라기 보다는 보행자를 위한, 작은 쉼터에 가까웠다. 벤치 몇 개와 모자이크로 예쁘게 짜여진 보도블럭, 그리고 분수 가의 공터는 사람을 당기는 힘이 있었다. 아이들이 움직일 때 마다 뿜어져 나오는 분수는 나의 눈길을 사로잡기에 충분했고, 햇빛을 받아 반짝이는 물은 감동적일만큼 아름다웠다. 사람이 움직일 때마다 쏟아져 나오는 분수는 'Interactive Architecture' 개념을 생각나게 하였다. 인간과 함께 변하는 물기둥은 인간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면서 인간의 생각을 그대로 반영한, 새로운 환경을 만들어 주었다. 환경을 디자인하는 것은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하지만 무엇보다 나를 사로잡았던 것은 '분위기'였다. 인간과 자연 그리고 환경이 하나가 되는 분위기, 나도 이러한 공간을 만들고 싶다. 그 동안 실내 디자이너들은 많은 실외적 요소들을 내부로 끌어들이려는 노력을 해 왔고 '생태주의'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은 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자연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가치, 체계를 밝혀내고 인간이 필요로 하는 가치 및 체계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생태적 접근으로 인간의 환경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관점을 나는 적극적으로 지지한다. 그래서 나는 좀 더 자연에 가까운 학문에 도전해 보고 싶고, 인간과 자연환경, 그리고 인공환경의 관계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연구해 보고 싶다. 회사 재직동안에는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한 인테리어 디자인을 주로 해왔고, 대학원 수업 중에는 오픈 스페이스나 보행자 가로 공간을 디자인 하면서 Need of User와 Element of Design을 중점으로 연구해 왔다. 하지만 외부환경디자인 요소 중 가장 중요한 Natural Environment에 관한 이해가 부족함을 항상 느껴왔다. 나는 LANDSCAPE ARCHITECTURE를 공부함으로 해서 이러한 나의 부족함을 메우고 더욱 폭 넓은 공간디자인, 환경디자인을 배우고 싶다. 아직 LANDSCAPE ARCHITECTURE의 개념이 확립되지 않은 우리나라에서는 공학적 지식(Knowledge of Science), 설계적 지식(Knowledge of Planning), 표현기법적 지식(Knowledge of Presentation), 생태학적 지식(Knowledge of Ecology) 등을 포괄하는 디자이너가 부족한 상태이다. 나는 내가 아주 적합한 사람이 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으며, 그러한 기회가 곧 나에게 주어질 것이라는 자신감도 있다. 이것이 내가 LANDSCAPE ARCHITECTURE를 지원하는 이유이다. (과거 학력과 경력) 산업디자인 전공으로 대학에 진학한 뒤, 나는 디자인이란 작업이 내 생각만큼 간단하고 멋있는 일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았고, 그 깊이를 알기도 전에 인테리어 디자이너로서 사회생활을 시작하였다. 사회생활은 내가 꿈꾸어 왔던 것처럼 멋진 것 만은 아니었고, 영원히 그 자리에 그렇게 머무를 것 만 같았다. 나는 발전을 원했고, 디자인에 관한 이론적 체계를 가지고 싶었다. 그래서 xxx Womans University School of Design에 진학했으며 대학원에서의 생활은 나에게 많은 것을 배우게 했다. 대학원에서 나는 디자인은 단순히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인간과 환경 사이에 작용하는 현상을 파악하고, 과학적으로 분석함으로서 얻어지는 결과를 환경에 적절히 반영시키는 것이 진정한 디자인이라는 점을 배웠다. 대학원에서의 수업은ENVIRONMENT, BEHAVIOR and DESIGN의 관계에 관한 전반적인 디자인 이론, STUDIO OF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그리고 STUDIO OF EXTERIOR ENVIRONMENTAL DESIGN 이었는 데,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를 공부할수록 STUDIO OF EXTERIOR ENVIRONMENTAL DESIGN 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제 공간에서 INTERIOR SPACE와 EXTERIOR SPACE의 개념은 애매해져 가고 있으며, 사람들은 실내에서 자연을 느끼고 싶어하고, 실외에서는 실내 같은 편안함을 느끼고 싶어한다. 나는 이 두 가지를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을 하고 싶으며, 두 영역의 경계를 없애고, 두 공간이 서로 Interactive 한 작용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다. (해당 대학 진학사유가 없는 경우의 결론) 나는 현재 나의 인생의 절반만이 완성되었다고 믿는다. 철들고 나서 줄곧 디자인이라는 작업을 해 왔지만 그 끝은 보이지 않는다. 아니 영원히 끝나지 않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나는 현재에 만족하는 디자이너란 과거에 있는 것과 다르지 않다라고 생각하며, 다양한 문화와 학문, 그리고 경험을 바탕으로 나를 계속 발전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나는 아직 남을 내 인생의 절반을 위해 귀 대학에서 새로운 출발을 하려고 한다. (3)공과대학원 에세이샘플 (전공선택 이유와 졸업후 계획) 무에서 유를 창조해 내었을 때, 도면속의 구조물이 현실속에서 3차원적 형상으로 태어 났을 때,그 모습을 보는 기분은 "가슴 뿌뜻함", 바로 그것이다. 아마도 이런 성취감 때문에 그 동안 "힘들었던 engineer로서의 길을 계속 걸어왔는지도 모른다. 완공 후 내가 지은 도로, 지하철 등에서 차가, 사람들이 편안하게 다니는 모습을 보면, 그 동안 힘들었던 시간을 보상하고도 남을만한 보람이 있었다. 그 보람과 더불어 최고의 construction manager가 되어 한국 건설업계에 큰 인물이 되겠다는 것이 나의 꿈이다. 내가 construction management??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1994년 11월, 대학졸업후 입사한 xxx construction Co.,Ltd의 아파트, 지하철 공사현장 경험을 통해서이다. 연매출 6억달러의 대규모 건설회사인 xxx construction Co.,Ltd의 아파트 현장에서 나는 주로 측량, 철근 concrete 구조물 공사, 단지내 water tank공사, 포장공사 등의 관리 감독, 설계변경(design revision) 작업, 전체 공사에 대한 품질 관리(Quality management) 등의 업무를 보았다. 공사를 시행하면서 설계팀과의 협력관계가 원만히 이루어지지 않아 도면 수정 등의 작업이 지연되면서 공사후반부에 time management에 큰 지장을 초래하였고, 공사 기일을 맞추기 위한 야간작업은 공사의 quality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설계단계(design phase)에서의 constructability 검토의 미흡이 공사 전반에 큰 누를 끼친 실례이다. 공사의 관리력이 기술력만큼이나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은 나는 1997년 10월에 배치된 지하철 공사 현장에서 preparation of progress payment reports를 포함한 원가관리(cost management), time management to make the construction schedule reports, 근로자의 안전교육과 monthly 안전 reports를 작성하기 위한 safety management,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quality management 등 전반적인 project management 업무를 보고 있다. 그러나 CM에 대한 전문적인 기술력에 한계를 느꼈고, 건설활동의 복잡한 공정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에 대한 유기적인 통합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상 건설제품의 질적 개선과 건설 경영 혁신은 기대할 수 없음을 절감했다. 지금 한국은 건설 사업이 getting specialized and complicated 함에 따라 고도의 management technique을 사용하는 CM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고, 개방화된 시대에 대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핵심과제로 부각되고 있으나 CM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자를 공급할 수 있는 전문 교육 과정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CM이 가장 먼저 시작됐으며, CM에 관한 전문 교육이 대학원의 전공 과정으로 이미 활성화 되어 있는 미국으로의 유학을 결심하게 되었고, 이론과 실무에 모두 능한 교수진을 갖고 있으며, 훌륭한 교과 과정을 제공하는 귀 교에서 산 지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귀 교에서 나에게 기회를 준다면 졸업 후 나는 한국에서 지하철, 댐, 고속철도 등과 같은 대형 project 의 경제적, 기술적 feasibility analysis, project로부터 발생할 현금흐름 cashflow을 분석할 수 있는 construction management의 전문 기술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것이고, 더 나아가서는 건설산업의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을 구축한 전문 CM회사를 설립하여 침체된 한국 건설업계의 부흥을 위해서 일조하고 싶다. (과거 학력과 경력) 어린 시절의 나는 유난히 모형 조립 만들기를 좋아했다. 설명서를 펴 놓고, 나의 손 끝에서 완성되어 가는 자동차, 비행기등의 모습을 보면서 왠지 모를 희열때문에 밤을 지새우기 일쑤였다. 의사였던 아버지는 내가 자신의 뒤를 이어 의료계로 진출하기를 희망했으나, 엔지니어가 되겠다는 나의 결정은 중학교때 이미 굳어 있었고, 대학 진학시에는 당연히 공대를 지원했다. 대학 1학년 때 들은 영어 수업에서 만족치 못한 학점을 받은 나는 전공도 중요하지만 국제사회에서 반드시 필요한 영어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2학년 때부터 xxx University English Newspaper Association에 가입하여 기사작성 및 편집업무를 보았으며 3학년 여름방학 때는 유럽 여행을 통해 선진 건축물들을 직접 보고 문화를 몸소 체험하는 기회를 가졌다. 3학년 겨울방학 때는 학교 전공수업에서 배운 이론이 건설 현장에서 적용되는 것을 직접 경험하고 싶은 열망 때문에 아파트 현장과 터널현장에서 단순노동에서부터 측량, 서류작성 등의 작업을 하며 아르바이트를 했다. 또 4학년 여름방학 때는 xxx Engineering이라는 설계사무실에서 2달간 인턴사원으로 일하면서 설계 도면이 그려지는 과정을 체험했다. 나의 학점이 우수하진 않지만 4년간의 대학 생활동안의 많은 경험들이 나에게 넓은 시야를 갖게 해 줬음을 확신한다. | |
2002년 03월 09일 14시 49분 25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