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문화재수리기술자 ( 보수,조경분야)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 스크랩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8)-지붕공사-
추풍사 추천 0 조회 111 09.10.30 22:07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8)-지붕공사-

 

0610. 일반사항

1. 적용범위

ㄱ. 이 시방은 문화재수리 및 이에 준하는 공사 중 지붕공사에 적용한다.

ㄴ. 지붕공사라 함은 기와이기, 초가이기, 너와이기 등 건물의 지붕을 덮는 공사를 말한다.

0620 기와지붕공사

1. 일반사항

ㄱ. 기와는 기존의 것을 최대한 재사용하고 파손, 풍화되어 사용이 불가한 것은 신재로 보충한다.

ㄴ. 보충 기와는 기존 기와와 같은 규격, 형태, 색상 등으로 제작한다.

ㄷ. 문화재수리용 기와의 품질(강도, 흡수율)은 KS기와에 따른다.

ㄹ. 기와의 원형고증이 불가한 경우에는 담당원과 협의하여 제작, 사용한다.

2. 쓰임말정리

ㄱ. 막새기와 : 지붕의 처마 끝에 붙이는 치장용 기와로 암.수막새가 있음

ㄴ. 절병통 : 모임지붕의 마루꼭대기에 모양을 내어 얹어놓은 장식물

ㄷ. 보토 : 지붕물매를 잡기 위하여 적심목 또는 산자 위에 채워 넣는 혼합재

ㄹ. 강회다짐 : 누수 방지와 기와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토 위에 시공하는 혼합재

ㅁ. 알매흑(새우흙) : 강회다짐 위에 암키와를 고정시키기 위해 까는 혼합재

ㅂ. 홍두깨흙 : 수키와를 고정시키기 위해 수키와 밑에 채워 넣은 혼합재

ㅅ. 와구토 : 처마 끝 수키와 마구리에 둥글게 바른 혼합재

ㅇ. 개판 : 서까래나 부연 위를 덮는 널

ㅈ. 지붕마루 : 각기 다른 지붕면이 서로 맞닿은 부분에 기와를 쌓아 올려서 꾸민 부분

  (1) 용마루 : 지붕면의 최상단에 설치한 지붕마루. 몸체의 지붕마루로 제일 높고 큰 마루

  (2) 내림마루 : 박공, 합각부분에 설치한 지붕마루

  (3) 추녀마루(귀마루) : 추녀부분에 설치한 지붕마루

ㅊ. 회첨 : 지붕면이 꺽이는 부분에 생기는 골

ㅋ. 너새 : 박공이나 합각부분에서 가로방향으로 이은 기와

 

3. 재료

3.1 기와

  3.1.1 기와의 종류

   1) 형태별 종류

    ㄱ. 평(바닥)기와 : 암키와, 수키와

    ㄴ. 막새기와 : 암막새, 수막새, 귀막새, 초가리기와 (면막기용 : 서까래초가리, 무연초가리,

        추녀초가리, 사래초가리)

    ㄷ. 장식기와 : 용두, 취두, 치미, 귀면, 잡상, 망와(곱새기와), 절병통 등

    ㄹ. 이형기와 : 모서리기와, 어새, 보습장, 착고기와

   2) 규격별 종류 : 특대와, 대와, 중와, 소와, 특소와, 특수기와

 

         

 

           

 

               

 

               

 

  3.1.2 규격.형태.색상

   ㄱ. 보충 기와의 제작은 기존 기와 중 원형으로 판단되는 기와와 유사한 규격, 형태, 색상 등

       으로 제작한다. 특히, 등무늬 문양은 마모되기 전의 문양을 초대한 살려 제작한다.

   ㄴ. 보충기와는 강도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ㄷ. 보충 기와의 색상은 기존 기와와 같은 색상으로 제작하되, 기존 색상의 판단이 불가한 경우

        에는 곤회색으로 제작한다.

   ㄹ. 기와의 제작은 설계도서에 따르되, 제작도를 제출하여 담당원의 확인을 받아 제작한다.

   ㅁ. 신축하는 건물과 문화재로 지정되지 아니한 건물에는 KS기와를 사용할 수 있다.

   ㅂ. 문화재수리에 사용되는 기와는 KS기와 품질 이상으로 하고 주변 건물과 조화되도록 제작한다.

  3.1.3 품질

   ㄱ. 기와는 균열, 모래구멍, 비틀림, 울퉁불퉁함이 없고, 소성온도를 1,000~1,100도 이상으로

       하여 구운 것을 사용한다.

   ㄴ. 기와의 휨강도는 280khf 이상으로 하고, 흡수율은 9% 이하로 한다.

   ㄷ. 기와의 표면 및 상.하 마구리면은 평활해야 하며, 옆면은 심한 요철이 없고 모서리가 파손

        되지 않아야 한다.

  3.1.4 검사방법

   1) 현장검사

    ㄱ. 보충 기와는 담당원의 힙회 하에 반입하고, 담당원은  보충 기와의 규격, 형태, 색상, 등

         늬 등이 원형에 맞게 제작되었는지 검사한다.(육안검사)

    ㄴ. 기와의 한쪽을 잡고 수직으로 하여 나무망치로 하단부를 가볍게 두들겨서 그 음색이

         청음이 나는 것은 합격품, 탁음이 나는 것은 불합격품으로 처리한다.(타음검사)

    ㄷ. 담당원은 육안검사와 타음검사를 하여 검사결과가 불확실한 경우에는 정밀검사(흡수율,

         휨강도, 동파)를 실시하여 합격품을 사용한다

   2) 흡수율검사

    ㄱ. 검사용 기와를 건조기 속에 넣고 약 110~120도 온도로 24시간 이상 충분히 건조되었을

         때의 중량을 건조시중량으로 한다.

    ㄴ. 건조된 기와를 수온 15~20도의 물에 담가 그 상면이 수면 밑 양100mm가 되도록 하고

         6시간 경과 후 꺼내서 각 면을 닦은 후 그 중량을 흡수시 중량으로 하여 다음 식에 의거하여

        산출한다.

                      

      ㄷ. 상기 흡수율 검사결과 9%를 초과하는 것은 불합격 처리한다. 

   3) 휨강도 검사 

    ㄱ. 기와의 휨강도검사는 암키와만 한다. 

    ㄴ. 검사용 기와를 받침대 위에 수평으로 놓는다. 기와 받침대의 중심부에 평행하게 가력봉을

      놓고 약 5kg/sec의 하중을 균일하게 증가시켜 검사한다. 받침대 간격을 기와의 폭 270mm미만

      일 때는 200mm, 270~330mm일 때는 230, 330mm  이상일 때는 250mm로 한다. 

   4) 동파검사 

    검사용 기와의 상면이 수면 약 100mm 위로 나오도록 하여 8시간 경과한 다음 -20+-3도 냉동고

    에 8시간 이상 동결시킨다. 다시 상온(18~20도)에서 융해하는 작업을 1회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3회 이상 반복 실시하여 동파현상의 발생여부를 검사한다. 

   5) 검사용 기와 선정방법 

    ㄱ. 흡수율, 휨 및 동파검사는 공사현장별로 암키와 3장, 수키와 3장의 표본을 채취한다. 단,

       한 장이라도 불합격한 경우에는 전부를 불합격으로 한다. 

    ㄴ. 시험용 시료 채취는 담당원과 현장대리인의 입회 하에 실시하고, 담당워은 시료체에 확인.

       서명을 한다. 

    ㄷ. 보충기와의 수량이 1.000매 미만일 경우, 담당원은 제조회사의 시험성적서를 제출하게 하여

      반입재료가 설계도서 상의 조건에 적합한지를 확인함으로써 재료시험을 생략할 수 있다. 

   6) 기와의 표지 

    ㄱ. 기와는 매장마다 제조연우러 및 제조업체명을 표시한다. 

    ㄴ. 암키와는 뒷면 중앙에 가로 100mm, 세로 50mm 미만의 크기, 수키와는 그 내면의 가로

        50mm, 세로 25mm 미만의 크기로 한다. 

            

 

3.2 산자

  3.2.1 산자

   ㄱ. 기존의 산자가 부식된 경우에는 담당원의 승인을 받야 양질의 것을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ㄴ. 재료는 쪼갠 나무, 잡목가지, 싸리나무, 쪼갠 대나무 등을 사용한다.

   ㄷ. 규격은 일반적으로 길이 900mm 이상, 지름 60mm 이하로 한다.

   ㄹ. 산자는 비닐 끈으로 묶거나 못을 박는 것을 금한다.

  3.2.2. 산자새끼

   ㄱ. 재료는 새끼, 삼, 칡넝쿨, 등나무넝쿨 등을 사용한다.

   ㄴ. 규격은 지름 7.5mm 내외로 한다.

3.3 적심목

  ㄱ. 지붕하중경감, 하부의 목부재 보호, 지붕물매잡기 등을 위하여 사용한다.

  ㄴ. 재료는 통나무 및 쪼갠 나무 등을 사용한다.

  ㄷ. 적심의 길이는 굵기의 10배 이상으로 한다.

  ㄹ. 대형건물인 경우 연목 및 부연의 뒤뿌리가 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누리개적심을 설계도서에 따라 설치한다.

3.4 보토

  보토는 진흙, 생석회, 마사토를 다음 표의 배합비율에 따라 물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3.5 강회다짐

  강회다짐은 생석회, 마사를 다음 표의 배합비율에 따라 물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3.6 알매흙

  알매흙은 진흙, 생석회, 마사를 다음 표의 배합비율에 따라 물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3.7 홍두깨 흙

  홍두깨흙은 진흙, 생석회, 마사를 다음 표의 배합비율에 따라 물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3.8 와구토

  ㄱ. 와구토는 생석회, 마사를 다음 표의 배합비율에 따라 물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ㄴ. 백시멘트는 강도 및 색상을 고려하여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4. 조사

4.1 사전조사

  ㄱ. 기와의 종류와 규격, 형태 등 조사

  ㄴ. 마루기와의 곡선, 쌓기기법, 길이 등 조사

  ㄷ. 지붕물매 조사

  ㄹ. 연암에서의 기와내밀기 조사

  ㅁ. 기존 기와의 문양 및 명문 조사(명문기와는 탑본 조사)

  ㅂ. 재질이 다른 기와의 사용여부조사

4.2 해체조사

  ㄱ. 보토.강회다짐의 두께와 기와이기기법

   1) 단면조사시 2개소 이상 위치를 선정하여 적심 위까지 해체

   2) 앙키와 1~2개의 폭으로 해체하며, 해체와 동시에 조사를 실시

  ㄴ. 적새 및 양성마루 설치기법

  ㄷ. 장식기와 및 막새 등의 설치기법

  ㄹ. 고정철물의 형태, 규격, 위치 및 수량

  ㅁ. 누리개 및 적심재의 재사용여부와 규격

  ㅂ. 개판의 재료와 규격 및 설치기법

  ㅅ. 산자의 재료와 설치기법

  ㅇ. 머거불(용마루 끝 마구리에 세워덴 숫기와) 설치기법

  ㅈ. 해체 기와 중 담당원이 지정하는 기와는 유형별로 규격을 실측조사

5. 해체

5.1 지붕해체

  5.1.1 기와

   ㄱ. 기와해체는 지붕하중이 분산되도록 전후좌우 균형있게 해체한다.

   ㄴ. 기와해체시 장식기와는 지붕의 아래에서부터 해체하고, 지붕마루는 용바루, 내림마루,

       추녀마루 순서로 해체하며, 바닥기와는 위에서 부터 아래로 해체한다.

   ㄷ. 해체 기와를 내릴 때는 인력으로 운반하여 보관장소로 이동한다.

   ㄹ. 기와를 해체할 대는 깨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재사용재와 불용재로 구분하여 보관한다.

   ㅁ. 해체 기와는 유형별(암키와, 수키와, 암막새, 수막새, 이형기와 등)로 규격을 조사한다.

   ㅂ. 취두, 치미, 용두, 귀면(사래끝에 붙이는 귀신얼굴을 붙인 장식), 잡상, 토수 등 장식기와는

       그 위치를 표시하여 수리시 기존 위치에 설치한다.

  5.1.2 보토.강회다짐

   ㄱ. 단면조사시의 실측조사된 내용과 전반적으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며 해체한다.

   ㄴ. 해체시 먼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해체와 동시에 용기에 담아 내리도록 한다.

  5.1.3 적심재

   ㄱ. 고정용 철물(적심정)을 빼내고 한 켜씩 해체한다. 고정용 철물은 실측하여 보관한다.

   ㄴ. 적심재는 크기, 부식정도에 따라 구분하여 보관한다.

   ㄷ. 적심재 가운데 장여, 공포부재 등 보존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것은 담당원의 지시에 따라

        보관.처리한다.

   ㄹ. 적심재에 묵서명, 단청문양, 낙서 등의 흔적이 발견될 경우에는 담당원에게 즉시 보고한다.

  5.1.4 산자

   ㄱ. 해체 전 산자의 재료 및 규격, 산자새끼, 산자엮기기법 등을 조사한다

   ㄴ. 산자는 해체 전 앙토바르기를 먼저 제거한다.

   ㄷ. 산자는 구간별로 해체하여 내린다.

  5.1.5개판

   ㄱ. 개판은 해체하여 재사용재와 불용재로 구분하여 보관한다.

   ㄴ. 불용재는 담당원의 지시에 따라 장외로 반출한다.

   ㄷ. 해체시 박혀 있는 못을 먼저 빼내고 개판이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5.2 해체 부재의 보관

  5.2.1 기와

   ㄱ. 기와를 보관할 때는 눕히지 말고 세워서 보관한다.

   ㄴ. 취두, 용두, 잡상 등의 장식기와는 일반기와와 구분하여 별도로 보관한다.

   ㄷ. 재사용 가능한 기와는 별도 보관하고, 규격별로 수량을 파악하여 기록한다.

   ㄹ. 기존 기와 폐기시에는 담당원의 지시에 따른다.

  5.2.2. 적심재

   ㄱ. 재사용 가능한 적심재는 별도 보관한다.

   ㄴ. 적심재로 사용된 구부재 중 묵서명, 단청문양, 낙서 등의 흔적이 있는 것과 보존

        가치가 있는 것은 일반 적심재와 별도 보관한다.

   ㄷ. 해체 부재는 습기 등에 의하여 부식되지 않도록 보관한다.

6. 산자엮기.염암설치

6.1. 산자엮기

  ㄱ. 2줄의 산자새끼를 서까래 사이마다 평고대에서 적심도리까지 늘이고 새끼를 엇갈리레

       하여 평고대에서 적심도리까지 엮어 간다.

  ㄴ. 산자의 양끝 부분은 서까래 위에 걸쳐지도록 한다.

  ㄷ. 서까래 경사가 된물매(5치 물매 이상)일 경우에는 힘살을 90mm 이하의 각재로 서까래와

       직교하여 설치하고 철물로 고정한다.

  ㄹ. 평고대와 맞닿는 서까래 윗부분에는 앙토바르기 두께 이상의 산자받이재를 서까래 방향

       으로 90mm 이상 덧대어 앙토바르기 마감이 평고대와 수평을 이루게 한다.

               

 

6.2 연암설치

  ㄱ. 연암은 평고대면에 맞충더 양끝을 못으로 고정하여 휘어서 들뜨지 않도록 한다.

  ㄴ. 목기연이 없는 박공이나 합각박공에서는 박공 위에 직접 연암을 설치하되, 박공 안쪽에 연암

       두께 만큼 보강목을 덧댄다

  ㄷ. 연암의 이음 위치는 평고대의 이음 위치와 600mm이상 이격시킨다.

  ㄹ. 이음은 엇빗이음으로 하며, 전면에서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7. 적심설치

ㄱ. 적심재를 설치하기 전에 부연 뒤뿌리와 서까래 뒤뿌리에는 산자엮기 후 누리개를 설치하고

    철물로 고정한다.

ㄴ. 지붕의 물매가 된물매(5치 물매 이상)일 경우에는 고정용 적심을 900mm정도의 간격으로

     서까래와 직교하여 설치하고 철물로 고정한다.

ㄷ. 적심은 이동되거나 내려앉지 않도록 한다.

ㄹ. 적심재 중 부식이 심한 것은 사용하지 아니한다.

8. 보토 . 강회다짐

ㄱ. 보토 및 강회다짐은 설계도서에 제시한 두께로 다짐한다.

ㄴ. 보토짐의 윗면은 지붕물매 곡선으로 하고 평탄하게 다진다.

ㄷ. 강회다짐은 보토 위에 다지고, 누수가 되지 않도록 밀실하게 펴 다진다.

ㄹ. 보토 및 강회다짐은 7일 이상 충분히 양생한 후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 다음 공저에 착수한다.

ㅁ. 보토 및 강회다짐은 양생시 급속히 건조하여 갈라지지 않도록 보양한다.

ㅂ. 보토 및 강회다짐은 4도 이하일 경우 보온하여 시공 후 동결되지 않도록 보양한다.

9. 기와이기

9.1 일반사항

  ㄱ. 기와는 불균형 하중이 발샹하지 않도록 분산하여 지붕 위에 올려 놓는다.

  ㄴ. 망와, 토수 등 장식기와는 기존 위치에 설치한다.

  ㄷ. 기와이기는 다음 순서에 의한다

    기준실치기 -> 기와나누기 -> 알매흙채우기 -> 받침장놓기 ->

    암막새이기 -> 암키와이기 -> 홍두깨흙채우기 -> 수막새이기 ->

    수키와이기 -> 너새이기 -> 마루기와이기 -> (장식기와설치 및 양성바르기) ->청소

    * 너새 : 박공이나 합각부분에서 가로방향으로 이은 기와

9.2 기와나누기

  ㄱ. 기와나누기는 용마루선의 중심에서 평고대에 수직으로  중심선을 내리고 좌우대칭이 되도록

     평행선을 그어 기와골의 수를 정한다. 이때, 기와골은 사용기와의 폭으로 하여 나누되, 기와의

     이격거리는 15mm 이하로 한다.

  ㄴ. 기와나누기를 할 때 내림마루기와의 적새는 수키와 열의 중심에 놓는다

  ㄷ. 기와나누기를 할 때 전후면의 수키와 열이 어긋나지 않도록 한다.

  ㄹ. 추녀마루의 좌우 수키와 열이 서로 대칭되게 한다.

  ㅁ. 기와나누기는 연암을 치목할 때 미리 기와나누기를 계산하여 처마 양끝에서 반쪽기와이기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9.3 바닥기와이기

  9.3.1 알매흙채우기

   ㄱ. 앍매흙은 건조되지 않도록 보양하고, 건조되었을 경우에는 적당량의 물을 붓고 다시 이겨

       사용한다.

   ㄴ. 강회다짐 바닥면을 청소하고, 갈램이 있는 곳에는 생석회혼합물을 메운 후 알매흙을 채워

       넣는다.

  9.3.2 암키와이기

   ㄱ. 처마 끝에 놓여지는 받침장은 연암에서 기와 길이의 1/3 이하로 내민다.

   ㄴ. 받침장의 밑면은 면바르고 연암과 암막새에 밀착되는 것을 사용한다.

   ㄷ. 암키와는 바닥와 양옆에 알매흙을 가득 채워 고정시키고, 처마에서 마루까지 골의 줄을

        바르게 이기한다.

   ㄹ. 암키와는 중앙부에서 곡을 잡아 양측면으로 깔고, 물매를 고려하여 설계도서에 따라 3겹

        이기로 한다. 단 건물의 지붕물매를 고려하여 2~3겹 이기로 할 수 있다.

   ㅁ. 암키와는 옆장과 서로 맞닿을 정도로 깔되, 그 사이는 15mm 이하로 한다.

  9.3.3 홍두깨흙채우기

   ㄱ. 홍두깨흙은 암키와를 맞댄 사이에 물리도록 올려놓고, 수키와 속에 가득 채운다.

   ㄴ. 홍두깨흙은 이와 옆에서 볼 대 흙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ㄷ. 홍두깨흙은 둥근 형태로 뭉쳐 밀려나오지 않도록 하고, 바닥기와와 밀착되도록 한다.

  9.3.4 수키와이기

   ㄱ. 처마 끝에 막새를 쓰지 않을 경우 수키와의 첫 단은 와구토 공간을 감안하여 들여서 인다.

   ㄴ. 수키와는 언강이 달린 쪽을 위로 가도록 인다.

   ㄷ. 수키와는 암키와에 밀착되도록 눌러인다.

   ㄹ. 수막새는 미구에 미리 못구멀을 내어 만들고 반드시 와정 또는 결속선(동선) 등으로

        고정한다.

   ㅁ. 막새가 없는 경우 수키와를 이고 와구토를 정교하게 바른다.

9.4 회첨골이기

  ㄱ. 회첨골의 골 수 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ㄴ. 회첨부분에는 평고대 바깥쪽에 고삽을 대어 지붕골의 암키와를 받치게 한다.

  ㄷ. 회첨기와는 고삽머리 끝에 연암을 설치하고, 그 중간에서 마루기와까지 회첨골의 각도에

       맞추어(보통 45도 각도) 실을 띄우고 회첨기와를 인다.

  ㄹ. 회첨바닥기와는 지붕바다기와보다 한 단 낮게 깔고, 바닥기와에 회첨암키와 폭의 1/3

       이상이 겹쳐지도록 한다.

  ㅁ. 회첨골에 접속되는 바닥기와는 어새로 인다. 어새는 회첨골에 접하는 각도에 맞추어 절단

      하여 사용한다.

  ㅂ. 회첨골기와이기시 암키와 밑에 동판을 깔아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ㅅ. 어새와 회첨바닥기와의 사이에는 알매흙을 채워 넣는다.

 

9.5 너새이기(박공 옆에 직각으로 대는 암키와)

  ㄱ. 너새기와는 바닥이와의 직각방향 또는 약간 경사지게 인다.

  ㄴ. 너새기와의 암키와는 바닥기와의 암키와와 끝을 맞닿게 한다.

  ㄷ. 너새기와는 뒤끝이 약간 들리도록 인다.

9.6 마루기와이기

  마루기와이기시 수키와 골 사이의 막음은 기와당골막이 또는 착고막이로 하고 부고, 적새,

  숫마루장의 순서로 인다.

  9.6.1 착고

   ㄱ. 착고기와는 양 옆을 둥글게 도려내어 수키와 등에 밀착시키고 상단은 서로 맞대어 이어

        지게 한다.

   ㄴ. 착고기와는 수키와 높이에 맞춰 비스듬히 세워 대고 내부에는 알매흙을 빈틈없이 채워

        다진다.

   ㄷ. 착고기와는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 수키와 등의 곡선에 맞추어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9.6.2 내림마루 마감

   ㄱ. 내림마루 끝은 수키와를 옆으로 눕혀 머거불로 마감한다.

   ㄴ. 민가건물에는 지역에 다라 머거불로 수키와를 세워 마감하는 곳도 있으므로 기존의

        양식으로 한다. (머거불 : 용마루 끝 마구리에 옆세워 댄 수키와)

  9.6.3 부고

   ㄱ. 부고는 착고 위에 안으로 비스듬히 옆세워 대고 이음부분은 착고와 엇갈리게 한다.

   ㄴ. 부고의 사이에는 알매흙으로 속채움을 한 다음 윗면을 평탄하게 고른다.

   ㄷ. 부고용 수키와는 언강이 있는 것을 사용한다.

9.7 장식기와이기

  9.7.1 잡상

   ㄱ. 잡상은 내림마루와 추녀마루의 윗부분에 배치순서에 따라 줄을 맞추어 설치한다.

   ㄴ. 잡상의 설치와 배치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ㄷ. 잡상은 적새 상부에 긴결 철물 등으로 고정하고, 강회모르타르로 마감한다.

            

  9.7.2 토수

   ㄱ. 토수는 사래 마구리면에 끼워 맞추고, 좌우에 토수박이못을 박는다.

   ㄴ. 토수는 사래와 일직선으로 한다.

   ㄷ. 토수를 끼우는 사래 마구리부분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래볼철(동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ㄹ. 토수는 토수 끝 부분이 처지지 않도록 설치한다.

  9.7.3 절병통

   ㄱ. 절병통은 설치 전에 절병통 받침대를 설치하고 그 위에 절병통을 올려 놓는다.

   ㄴ. 마루기와가 만나는 꼬지점에서 대좌의 끝 선에 착고를 끼우고, 부고를 올린다음 내부

        에서 보토를 채워 넣는다.

   ㄷ. 부고 설치 후 평면은 지붕형태에 따라 각을 이루되, 각 변의 길이는 같게 한다.

   ㄹ. 부고 내부에는 알매흙을 채워 받침대의 바탕을 만들고, 암막새와 수막새를 원형으로

        번갈아 놓아 받침대를 설치한다.

   ㅁ. 절병통은 찰주를 세워 지지한다.

  9.7.4 취두 . 취미 . 용두

   ㄱ. 수리시 용마루 또는 마루기와 끝에 설치된 취두, 치미, 용두는 기존의 것을 재사용하며,

       변형, 파손되어 재사용이 불가한 경우에는 기존의 형태 및 재질과 같은 것으로 제작 .

      사용한다.

   ㄴ. 해체시 용마루 또는 양성에 박힌 고정철심 등을 조심스럽게 수습하여 녹막이처리를 한다.

   ㄷ. 설치는 적새에 미리 만들어 놓은 구멍에 고정용 철심을 세우고 취두, 치미를 안정되게

      고정한다.

10. 합각벽설치

10.1 일반사항

  ㄱ. 합각벽은 용마루 지붕 밑에 삼각혀으로 합각을 이루는 부분에 설치한다.

  ㄴ. 대형건물의 합각벽에는 설계도서에 따라 환기구 등을 설치할 수 있다.

10.2 재료

  ㄱ. 합각벽은 회벽바르기, 전벽돌쌓기, 나무판벽 등으로 구분된다.

  ㄴ. 장식용 합각벽은 전돌 또는 기와를 쌓고 도안이나 문자 등으로 장식한다.

10.3 합각벽설치

  ㄱ. 합각벽은 지붕 속의 서까래 뒤뿌리를 보강하는 누리개적심 위에 설치하므로 누리개

      적심을 견고하게 설치한 후에 합각벽을 설치한다.

  ㄴ. 합각벽은 우수에 노출되므로 견실하게 시공한다.

  ㄷ. 문양 등이 있는 경우 건물성격에 맞게 도안하여 시공한다.

  ㄹ. 회벽바르기 시방은 '0800 미장공사'에 준한다.

11. 양성바르기

ㄱ. 지붕마루기와이기를 한 위에 생석회반죽을 밀실하게 올려 균열.탈락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ㄴ. 생석회반죽바르기는 요철 없이 평활하게 바른다.

ㄷ. 피뢰침이나 관리용 철물 등으로 인하여 미장면에 녹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12. 마감 및 청소

ㄱ. 기와이기가 끝난 다음에는 기와바닥을 물청소하여 마무리한다.

ㄴ. 기와바닥을 청소할 경우에는 깨진 기와나 이완된 기와의 여부를 확인하고 불량할 경우

     교체.보완한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