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아름다운 경매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부동산뉴스 스크랩 광주광역시 안내
집주름(김용길) 추천 0 조회 291 08.03.06 11:27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중북부에 위치한 광역시. 동쪽은 담양군, 서쪽은 함평군, 남쪽은 나주시, 화순군, 북쪽은 장성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6°38′∼ 127°, 북위 35°03′∼ 35°15′에 위치하며, 면적 501.42㎢, 인구 135만6612명(1999년 현재)이다. 5개 구 201개 동으로 되어 있으며, 시청 소재지는 동구 계림동이다.

자연환경

동쪽의 산간부와 서쪽 평야부의 경계지역에 위치하며, 동쪽에 진산인 무등산(無等山)이 그 지맥과 지봉인 장원봉(壯元峰)·양림산(楊林山)·성거산(聖巨山) 등과 함께 시가지를 둘러싸고, 그 가운데에 광주분지를 형성한다. 서쪽은 비교적 낮은 구릉에 의해 비옥한 전남평야와 연접하고 있다.

무등산 골짜기서 발원해 시가를 관류하는 광주천은 서북쪽으로 흐르다가 서부경계지대에서 극락강과 합류하고, 장성군에서 흘러내리는 황룡강과 만나 다시 영산강으로 흘러든다. 그 밖에도 동계천(東溪川)·서방천(瑞坊川)·용봉천(龍鳳川)·석곡천(石谷川) 등이 무등산에서 발원하여 시역을 흐른다.

화순과의 경계에는 너릿재·육판재·장불재 등 고개가 많다. 무등산은 대부분의 지역이 백악기의 중성화산암류로 이뤄져 있고, 무등산 정상부는 안산반암에 속해 수직절리와 수평절리의 발달이 현저하다.

황룡강과 극락강 유역의 낮은 지대에 비옥한 충적층이 나타나는데, 이는 신생대 제4기 충적세(沖積世)에 퇴적된 것으로 주로 홍수 때 범람해 퇴적했으며, 그 퇴적층은 그다지 두텁지 않다.

기후는 한반도의 남서부에 위치하므로 비교적 한서의 차가 작아 온화하다. 1990년 이후 연평균기온 13.6℃, 1월 평균기온 1.1℃, 8월 평균기온 26.1℃이며, 연강수량은 1,127mm이다. 1980년 중반의 통계치와 비교해 보면 1월 기온은 0.5℃ 상승, 8월 기온은 1.1℃ 상승, 연강수량은 약 100mm 가량 적게 내리고 있다. 기온이 쾌청일수 71일, 강수일 122일, 강설일수 29일로 겨울에 눈이 많이 내린다.

역사
〔고 대〕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의 유물·유적으로는 광산구 원산동에서 주거지가, 송암동과 운암동에서 주거지가, 우치동 용강마을 및 송암동 임정마을, 신용동과 용두동 등에서는 간돌칼·돌화살·그물추 등이 발견되었다.

고인돌군이 광산구 서창동·풍암동·압촌동·지석동·삼거동·와룡동과 충효동·효덕동·송하동 등지에서 발견되고, 광산구 신창동에서는 옹관묘군 및 돌도끼·돌화살촉이 발견되었다. 대체로 광주의 서북부지역인 극락강 주변에 선사유적이 널리 분포해 있다.

마한의 54국 중 임소반국(臨素半國)이나 신운신국(臣雲新國)을 광주 부근에 비정하는 견해도 있으나 확실한 것은 아니다. 삼국시대에는 근초고왕대 이후 백제의 영역에 포함되었으며, 웅진으로 천도한 다음부터 직접적인 지배를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당시에는 무진주(武珍州) 혹은 노지(奴只)라 불렀다고 하는데, 백제 동성왕 20년(498) 탐라 정벌 때 이 곳까지 왕이 행차한 기록이 보인다.

신라의 영역에 편입된 뒤 686년(신문왕 6)에 무진주라 했고, 757년(경덕왕 16)에 무주(武州)로 고쳐 현 전라남도지역의 중심치소로 삼았다. 892년(진성여왕 6)에 견훤(甄萱)이 이 곳을 근거로 스스로 왕을 칭하다가 전주로 옮겨가서 후백제를 세웠다.

〔고 려〕

940년(태조 23)에 광주로 이름을 고쳤고, 996년(성종 15)에 자사를 두었으며, 고려시대에는 나주의 영군(領郡)으로서 존재하였다. 그 뒤 해양현(海陽縣)으로 강등되었고, 1259년(고종 46)에는 권신 김인준(金仁俊)의 외향이라 하여 익주(翼州)로 올랐다가 다시 광주목으로 승격되었으나, 1310년(충선왕 2) 화평부(化平府)로 강등되었다.

1362년(공민왕 11)에는 2대 임금인 혜종의 이름 무(武)를 피해 무진부(茂珍府)로 고쳐졌다가 1374년에 광주목이 되는 등 숱한 변천을 겪었다. 몽고의 침입 때는 무등산에 몽고군이 주둔한 적이 있다. 고려 말 왜구의 침입이 빈번할 때는 6차에 걸쳐 침구를 당했으며, 이 때 정지(鄭地)가 왜구의 격퇴에 큰 공을 세웠다.

〔조 선〕

1430년(세종 12)에 이 곳 사람 노흥준(盧興俊)이 목사 신보안(辛保安)을 때린 일로 무진군(茂珍郡)으로 강등되었다가 1451년(문종 1)에 광주목으로 복구된 일이 있다. 그 뒤에도 비슷한 사유로 1481년(성종 12)에 광산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501년(연산군 7)에 복구되었다.

1624년(인조 2)에 현으로 되었다가 1634년에 복구되었다. 또한 1701년(숙종 27)에 강등되었다가 1707년에 복구되고, 1869년(고종 6)에 강등되었다가 1871년에 복구되는 등 강상죄와 연유해 강등당한 경우가 매우 많았다.

1592년 임진왜란 때는 고경명(高敬命김덕령(金德齡) 등의 의병장들이 이 지방 의병을 이끌고 크게 활약하였다. 임진왜란 중의 사실을 기록한 노인(魯認)의 〈금계일기 錦溪日記〉는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또한 정묘·병자호란 때는 이 고장 출신 전상의(全尙毅)의 순국과 정반(鄭槃)·고일립(高日立)·유박(柳璞) 등의 의병활동이 두드러진다.

1862년(철종 13)에는 수천 명의 민중이 지방관아를 습격하는 민란을 일으켰고, 1894년의 동학운동 때는 동학의 핵심인물 3인 중의 한 사람인 손화중(孫華仲)이 광주에서 봉기해 박성동(朴成東) 등 4,000여 명이 참여하는 등 한말의 저항운동이 아주 활발하였다.

〔근 대〕

1895년(고종 32)에 8도제를 폐지하고 전국을 23부로 나누었을 때 나주부에 속했다. 이듬 해 다시 13도제를 실시하면서 1등군이 되어 전라남도의 도청이 설치되고 나주를 대신해 현재와 같은 전라남도의 중심지로 등장하게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성내면·공수방·기례방·부동방을 광주면이라 칭했다. 1931년에 이를 광주읍으로 개칭하고 다시 1935년에 광주부로 개칭하면서 나머지 지역은 광산군이라 칭하게 되어 광주와 광산군이 분리되었다.

일제의 침입에 대항한 항일운동으로는 1906년 김원국(金元國), 1908년 양진여(梁鎭汝)·양상기(梁相基) 부자와 김태원(金泰元)·심남일(沈南一)·신덕균(申德均) 등의 항쟁을 들 수 있다.

1919년의 3·1운동 때는 김철(金鐵)·최흥종(崔興琮)·남궁 혁(南宮爀) 등이 주동해 대규모 시위를 전개하였다. 1929년 11월 3일에는 광주고등보통학교를 중심으로 광주학생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나 전국으로 파급되어 민족독립운동의 중요한 몫을 담당하였다. 한편, 1922년 7월에는 광주∼송정리간의 철도가 개통되었다.

〔현 대〕

1949년에 광주부가 광주시로 승격되어 시의회를 구성하였다. 1955년에는 광산군의 서방면·효지면·극락면과 석곡면의 일부 지역이 편입되었다. 1957년에는 광산군의 대촌면·지산면·서창면, 그리고 석곡면지역으로 담양군의 남면에 편입되었던 지역들을 회복하였다. 1960년 대촌면과 서창면은 다시 광산군에 환원되어 현재의 시역이 이때 갖추어졌다.

1973년부터 구제를 실시해 동·서·북구의 3구로 나누어 관할하였다. 1986년 11월 1일에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1988년 전라남도 송정시와 광산군이 직할시에 편입되면서 광산구가 설치되었다. 1995년 1월 1일 직할시의 명칭이 광역시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3월 1일에는 서구를 분구해 남구가 설치되면서 5개 구가 되었다.

유물·유적

광산구의 광주신창동유적(사적 375호)을 비롯해 선사유적과 독무덤군, 신룡동의 조개무지와 이 곳에서 출토된 민무늬토기·돌화살촉·반달돌칼 등이 있다. 남구 임암동에는 임암동·원산동선사주거지 및 석곽묘(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8호)가 있다. 그리고 명화동장고분(광주광역시 기념물 제22호), 월계동장고분(광주광역시 기념물 제20호), 동구의 운림동석실고분(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9호) 등이 있다.

고인돌은 광산구 삼거동고인돌(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9호), 북구 충효동·유촌동 등의 기반식 고인돌군을 비롯해 서구 서창동·용두동의 용두리지석묘(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호)·풍암동, 남구 칠석동·압촌동·지석동·송하동과 동구 산수동 등에 선사유적지와 고분이 분포되어 있다. 이 곳에서 발굴된 간돌화살촉·돌도끼 등의 석기와 토기·세형동검 등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유물들이 있으며, 북구의 금곡동철제유적(광주광역시 기념물 제21호)도 있다.

산성으로는 북구 두암동의 무진고성지(武珍古城址,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4호), 광산구 송정동의 고내상성지(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0호)를 비롯해 백제 또는 신라시대에 축성된 것으로 보이는 광주읍성지의 유적이 조금 남아 있다. 현존하는 사찰로는 증심사(證心寺,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호)·원효사(元曉寺)·약사암(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호) 등이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남구 구동에 광주서오층석탑(보물 제109호), 동구 지산동에 광주동오층석탑(보물 제110호), 운림동에 증심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131호)·증심사삼층석탑(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호)·증심사오층석탑·증심사석조보살입상(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호) 및 연화대좌·증심사칠층석탑·증심사오백전(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3호)가 있다.

또한 동구 운림동에 약사암의(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호)·약사암삼층석탑·광주약사암석조여래좌상(보물 제600호), 광산동의 재명석등(在銘石燈,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호), 서구 쌍촌동의 운천사마애여래좌상(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호), 유촌동석조여래좌상(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1호), 북구 금곡동에 원효사동부도(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호)·원효사출토유물(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호)이 있다.

임동에 있었던 십신사지석비(十信寺址石碑,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호)·십신사지석불(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호)은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에 있다. 그 밖에 광산구의 신룡리오층석탑(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2호)과 국립광주박물관에는 중흥산성쌍사자석등이 있고, 전남대학교박물관의 동종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서구 구동의 광주향교(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호)를 비롯해 광산구 월계동의 무양서원(武陽書院,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호), 동구 충효동에 충장사(忠壯祠), 북구 두암동에 장렬사(壯烈祠), 망월동에 경렬사(景烈祠), 서구 화정동의 화담사(花潭祠,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8호), 남구 원산동의 포충사(광주광역시 기념물 제7호)가 유명하다.

광산구 월계동의 무양서원(武陽書院), 왕동의 원당영각(元堂影閣)·용진정사(湧珍精舍,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7호), 송산동의 광산사(光山祠)·국재사, 대산동의 화암사(花巖祠), 서구 서창동의 학산사(鶴山祠), 벽진동의 의열사유허비, 광산구 금호동의 병천사(秉天祠,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호) 이 있다. 남구 양과동에는 지산재(芝山齋,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호), 광산구 명도동의 영사재, 광산동의 귀후재·두남재(斗南齋)가 있다.

그리고 양송천묘역(梁松川 墓域,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8호), 북구 충효동의 환벽당(環碧堂,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호), 광산구 광산동에는 기대승의 문집이 보관되어 있는 빙월당(氷月堂,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9호)이 있다.

그 밖의 유적으로는 동구 운림동의 허백련춘설원(광주광역시 기념물 제5호), 지산동에 오지호가옥(吳之湖家屋,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6호), 광산구 소촌동의 용아생가(龍兒生家,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3호), 남구 양림동의 우일선선교사사택(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5호)·이장우가옥(李章雨家屋, 광주광역시 민속자료 제1호)·최승효가옥(崔昇孝家屋, 광주광역시 민속자료 제2호), 압촌동의 광산고원희가옥(광주광역시 민속자료 제8호), 북구 매곡동의 김용학가옥(金容鶴家屋, 광주광역시 민속자료 제3호), 광산구 북산동의 이기손 생가, 송산동의 오성술(吳聖述) 생가, 남구 이장동의 고유후(高由厚) 고가 등이 있다.

동구 광산동의 전라남도청회의실(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호), 광산구 박호동의 양씨삼강문(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1호), 압촌동의 고씨삼강문(高氏三綱門,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2호) 등이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동구 충효동에 김덕령장군의복(중요민속자료 제111호), 광주광역시시립민속박물관에 장흥임씨의복(중요민속자료 제112호)·정지장군환삼(보물 제336호)·최희량임란첩보서목(崔希亮壬亂捷報書目, 보물 제660호), 동구 계림동에 금계일기(보물 제311호)·당포앞바다승첩지도 등이 있다.

그 밖의 유형문화재로는 광산구 소촌동의 눌재집목판각(訥齋集木版刻,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호)·사암집목판각(思庵集木版刻,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7호), 광산동의 고봉문집목판(高峰文集木版,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9호), 남구 원산동의 제봉문집목판(霽峰文集木版,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호)·포충사소장고경명문적(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1호)·기대승종손가소장문적(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2호), 이장동의 양과동정고문서(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9호), 서구 풍암동의 회재유집목판(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3호), 도촌동의 취병조형유허비(翠屛趙珩遺墟碑,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호) 등이 있다.

그 밖에 임진왜란 때 의병장 범기생비, 한말 의병장 심남일순절비, 권율비 등과 북구 망월동에 정지장군예장석묘(광주광역시 기념물 제2호), 화암동에 전상의장군예장석묘(광주광역시 기념물 제3호)가 있고, 북구 금곡동에 도요지인 광주충효동도요지(사적 제141호)가 있다.

남구에는 칠석동은행나무(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0호), 북구의 충효동왕버들(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6호), 남구의 양림동호랑가시나무(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7호), 동구의 학동느티나무(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9호)가 있다.

교육·문화

예로부터 호남지방의 교육·문화·행정의 중심지였던 광주에는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으로 광주향교가 있었다. 서구 구동의 광주향교는 1398년(태조 7) 서석산(瑞石山) 장원봉 아래 창건된 이후 동문 밖으로 이전했다가 1488년(성종 19) 현재의 구동으로 다시 옮겨 오늘에 이르고 있다.

무양서원은 이자겸의 난을 평정한 최사전(崔思全)을 제향하기 위해 1925년 후손과 유림이 건립하였다. 그 밖에 경렬사·장렬사·화담사·서강사(瑞岡祠)·지산사(芝山祠) 등이 설립되어 후진의 교화에 진력하였다.

근대교육의 발전은 1904년의 개신교 남장로교계 선교사들에 의해 시작되어 1907년 정식으로 수피아여학교와 숭일학교(崇一學校)의 설립 인가를 받았으나, 신사참배 거부사태로 1937년 폐교되는 비운을 맞기도 했다.

1906년에는 공립 광주보통학교가 설립되었으며, 1910년에는 서문 밖의 사립측량학교 부지에 도립 광주농림학교가 개설되었다. 1920년에는 지방유지의 성금으로 광주고등보통학교가 설립되었다가 1925년에 도립으로 바뀌었다. 1922년에는 3년제 도립사범학교가 개교되었고, 1923년에는 광주여자보통학교가 설치되었다. 특히, 1929년에 발생한 광주항일학생운동은 민족운동의 정신적 자산으로 면면히 이어져오고 있다.

1997년 현재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51개교, 중학교 40개교, 고등학교 45개교이다. 전문대학은 광주보건대학·기독간호대학·동강대학·서강정보대학·송원대학·조선간호대학·조선이공대학 등 7개교가 있다.

그리고 광신대학교·광주교육대학교·광주대학교·광주여자대학교·남부대학교·전남대학교·조선대학교·호남대학교·호남신학대학교 등 9개교가 있다. 특수학교로서 과학고등학교·국악고등학교·체육고등학교·남도예술학교 등이 있으며, 그리고 장애자특수학교 4개교 등이 있다.

공공도서관 3개소, 국립광주박물관을 비롯한 박물관 3개소, 공연장시설 21개소가 있다. 그리고 한국방송공사(KBS)·문화방송(MBC)·기독교방송(CBS)·광주방송·불교방송·평화방송 등의 방송사와 광주일보·무등일보·전남일보·전남매일·광주매일 등 8개 일간지가 있다. 한국문인협회 전남지부 등 각종 문예단체의 활동 또한 활발하다. 종교기관은 1998년 현재 불교사찰 126개, 유교교당 1개, 원불교교당 12개, 천주교성당 40개, 개신교교회 783개, 기타 20개가 있다.

민속
〔민속놀이〕

이 지방에는 농악·씨름·윷놀이·그네뛰기·연날리기 등의 일반적인 민속놀이가 행해지는데, 이 가운데 농악은 가장 대표적이다.

일명 ‘매구’ 또는 ‘굿’이라고도 불리는 이 농악은 주로 정초·단오·백중·추석과 같은 명절날에 행해지며, 모내기·김매기와 같이 힘든 농사일을 할 때도 행해진다.

사용되는 악기는 꽹과리·징·장구·북·소고 등이고, 악곡으로는 행진악·무용악·답중악(畓中樂)·축악·신악 등이 있다. 가락은 주로 자진모리를 쓴다. 대원은 농악기를 치는 악사와 농기 및 ‘영(令)’자 기를 든 기수·무동·대포수·말뚝이 등 10여 명인데 많으면 20명을 넘기도 한다.

대원의 차림새를 보면, 상쇠는 털뭉치를 길게 늘어뜨린 전립을 쓰며, 소고수는 종이 댕기를 단 전립을 쓰고, 농기나 영기를 든 사람들은 종이꽃으로 장식한 종이 고깔을 쓰는 것이 특징이다. 이 밖에도 대촌동 칠석마을의 고싸움놀이도 유명하다.

〔동 제〕

당산제와 별신제가 행해지는데, 풍향동의 웅진마을과 청룡마을의 당산제가 대표적이다. 당산제는 마을의 중앙이나 앞에 위치한 신목을 대상으로 행하며, 마을의 유력한 남자 중에서 부정이 없는 사람을 골라 제관으로 삼고, 정성껏 제물을 준비한다.

제사 지내는 절차는 다른 지방과 같다. 그러나 제사가 끝난 뒤에 희생물 머리를 흰 종이에 싸서 땅 속에 묻는 것과, 제의가 정월 상순의 상술일(上戌日) 한밤중에 행해진다는 점이 다르다. 제사 후에는 참석자들이 음복한다.

그러나 별신제의 제물은 음복하지 않고 모두 땅에 묻거나 물에 뿌리는 점이 당산제와 다르다. 이 밖에도 광주 사직공원에 있었던 사직단과 무등산 신사 및 무등산의 용추에서는 기우제가 행해지기도 했으며, 전염병이 유행할 때는 제액제도 지냈다고 한다.

설화·민요
〔설 화〕

이 지방에 전래되는 전설로 먼저 후백제를 세운 견훤의 탄생설화를 들 수 있다. 광주 북쪽 마을에 순실이라는 예쁘고 얌전한 처녀가 살고 있었는데, 밤이면 방안에 상서로운 기운이 감돌면서 푸른 옷을 입은 남자가 나타나 정을 통하고 사라지곤 했다.

이를 눈치챈 순실의 부모는 명주실을 꿴 바늘을 그 남자의 옷깃에 꽂아놓게 하고, 그 이튿날 이 명주실을 따라가보니, 담 밑 구멍에 커다란 지렁이 한 마리가 허리에 바늘이 꽂힌 채 죽어 있었다. 그 뒤 순실은 태기가 있어 옥동자를 낳았는데, 이 아이가 바로 견훤이라는 것이다.

지금은 없어져버린 경양지(景陽池)의 유래에 관한 전설은 다음과 같다. 어느 해 광주에 큰 흉년이 들어서 마을사람들이 모두 굶주리게 되었으나, 인색하기 짝이 없는 효천면 김부자는 창고에 곡식을 가득 쌓아두고도 모르는 척했다. 이에 효자 박경양은 홀어머니가 굶주리는 것을 보고만 있을 수 없어 김부자를 찾아가 도움을 청했으나 도리어 김부자에게 매를 맞아 죽고, 그 어머니 또한 울분을 안고 숨을 거두었다.

그 뒤 김부자는 온갖 재앙을 당하게 되는데, 그 재앙에서 벗어나려면 가뭄을 막을 수 있는 큰 연못을 만들어야 한다는 박경양 어머니의 계시를 받는다. 이 때 만든 연못이 바로 경양지로, 박경양의 넋을 기려 그렇게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신안동 태봉산(胎峰山)의 유래에 관한 전설이 있다. 이괄(李适)의 난을 피해 공주로 몽진한 인조가 피난지에서 왕자를 얻고 그 태를 계룡산에 묻었다. 그러나 계룡산이 사악한 땅이었기 때문에 왕자의 건강이 좋지 않았다. 이에 그 액을 없애기 위해 계룡산 노승의 계시에 따라 그 태를 무등산 아래의 태봉산으로 옮겨 묻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그 밖에도 증심사의 연기설화, 김덕령에 얽힌 이야기, 무등산과 법사 원광(圓光)의 이야기, 개미의 허리가 잘록하게 된 내력, 옥답 석섬지기의 내력 등이 전해진다.

〔민 요〕

광주는 모든 분야에서 전라남도 발전의 중추적 구실을 해왔으므로 이 지방 나름의 토속적인 전통민요를 찾아보기는 매우 힘들다. 다만, 현재의 광주가 역사적으로 광산구와 밀접한 관계를 가져왔기 때문에 광산구의 민요와 같았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고장에 구전되고 있는 민요는 일반적으로 노동요·내방요·정련요(情戀謠)·타령·동요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노동요에는 남성의 노동요인 〈농부가〉와 〈풍년가〉가 있고, 여성의 노동요인 〈물레노래〉가 있다. 내방요는 남편의 사랑을 받지 못한 아녀자의 한을 노래한 〈팔자노래〉와 시집살이의 고단함을 노래한 〈시집살이노래〉가 있다.

〈팔자노래〉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대추나무 반발통에/님의 빨래 담아 이고/청배나무 방망이에/은 또아래 받치오고/진주라 길가목에/앉기 좋은 청석돌에/어기동동 씻노라니/앉아 봐도 님이 가고/서서 봐도 님이 가네/둘러 가소 둘러 가소/님아 님아 둘러 가소/나 자는 방에/잠 한숨만 둘러 가소.”

정련요로는 임에 대한 짝사랑을 노래한 〈상사요〉와 〈치정요〉·〈주머니노래〉·〈정요 情謠〉 등이 불렸다. 다음은 〈정요〉의 일부이다. “원앙금침 잣물베개/샛별같은 놋요강을/발치 밑에 던져 놓고/다흥대던 한이불을/허리만치 걸쳐놓고/님도 눕고 나도 누워/저 불 끌 이 뉘 있는가/벽상 아래 지치파리/너나 가서 저 불 끄지.”

타령으로는 화초타령의 일종인 〈도라지타령〉을 비롯해 〈신고산타령〉·〈노랫가락〉·〈육자배기〉 등이 있다. 〈육자배기〉의 가사 일부는 다음과 같다. “떠들어 온다네 떠들어 오네/강상배 일 척이 떠들어 온다/강상에 둥둥 떴는 배/서성정봉의 밴줄로만 알았드니/자룡이 군사싣고 가는 병선이로구나/임잃고 임생각하니/주야장천에 꿈몽자요/생각 사 탄식 탄하니/베개 넘어 눈물 누라/앉았으니 임이 오며/누웠으니 잠이 올까/임도 잠도 다 아니오고/요내 심장만 썩는구나/우리도 언제나/수궁에 걸린 저 달을 따라/임의 창전에 비칠까나/연 걸렸고나 연이 걸렸고나/오가피 상나무에 연 걸렸고나/삼척에 동자들아 연 날려라.”

동요에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다음은 〈바람요〉이다. “바람이 부네 바람이 부네/준령태산에 바람 부네/바람아 바람아 불지 마라/불기 좋다고 불지 마라/우리 님이 놀기 좋다는/정자나무 잎이 다 떨어지네.”

산업·교통

호남지방의 행정·상업 및 교통의 중심지일 뿐 아니라 호남문화의 산실이기도 하다. 산업별 취업자 현황을 보면 농림어업이 5.6%, 광공업이 15%, 사회간접자본 및 서비스업이 79.4%이다(1995년). 농업은 농경지면적이 1만6082㏊(1996년 현재)로 논과 밭의 비율이 3 : 1이며 전농가의 53%가 전업농이다. 경제활동인구 중 농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약 5% 정도이다.

이들 지역의 농경지에는 평동저수지와 서창저수지 등이 관개농수를 공급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광복 전에는 주로 쌀·보리·콩·수수와 면화·대마 등이 생산되었으나, 광복 후 대도시로 성장함에 따라 도시생활에 필요한 각종 소채류를 생산하는 근교농업이 크게 발달하게 되었다.

광산구지역에서는 넓은 들에서 벼농사와 시설원예농업을 하는데 주로 고추·상추·쑥갓과 밭에서는 무·배추의 수확이 끝나면 수박·참외 등을 재배한다. 최근에는 화훼수요의 증가로 국화·백합 등을 재배해 대도시로 반출된다. 무등산에서는 수박과 춘설차도 생산된다.

공업은 시의 역사나 규모에 비해 발달하지 못했다. 조선시대에는 종이·가구·붓·먹·화살·활통·북 등 생활용품의 자료와 완제품들을 만들어내는 공장들이 있었다. 광주북·진다리붓·각궁(角弓) 등은 현재도 전통공업으로서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근대공업의 발달은 인근지역에서 생산되는 면화와 양잠을 원료로 하는 방직·제사업이 일어나면서 시작되었다. 광복 당시는 방직공업이 전체 공업의 3분의 2를 차지했는데, 이는 원료와 노동력을 착취하려는 일제의 식민지 공업정책의 결과였다.

1960년대를 지나면서 주업종이 기계·금속·섬유·화학공업 등으로 다양해졌다. 서구 광천동 일대에 1969년 43만5천여 평 규모의 광주공업단지가 조성되었으나 현재는 시가지의 확대로 공장이 시 외곽지역으로 이전하고 자동차 관련업종만 남아 있다.

“광주권 생산 도시화” 운동이 본격화된 1978년 이후 지역 상공인들이 자력으로 조성한 최초의 공단인 송암·본촌공단이 준공되었다. 송암공단은 1975년 광주시가 당시 도심에 산재해 있던 29개 연탄공장에서 생기는 공해를 없애고, 연탄 생산능력을 높여 수급의 안정을 기하기 위해 대단위 연탄공장을 설립함으로써 조성되었다. 1983년 12월에 준공된 송암공단은 11만9000평의 부지면적으로 조립금속·화학·금속·섬유 등 65개의 업체가 입주해 있다.

1983년 준공된 본촌공단은 28만3000평의 부지면적으로 104개의 입주업체가 있다. 1983년 5월 준공된 소촌공단은 5만7000평으로 금속·화학·식음료 등 65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1988년 12월 준공된 소촌농공단지는 9만8000평으로 40개 업체가 입주하고 있다.

하남공단은 180만4000평의 규모로 1983년에 1차단지가, 1989년에 2차단지가, 1991년에 3차단지의 조성공사가 완료되었다. 1차단지는 금속·화학·음식품 등 122개 업체가 있고, 2차단지는 조립금속·화학 등 124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3차단지는 조립금속·식품·화학 등 236개 업체가 가동 중에 있다.

평동공단 1차단지는 54만7000평에 1995년 조성공사를 완료해 39업체에 31만5000평을 분양했고, 평동외국인기업전용공단은 1995년 8월 27만3000평을 준공해 5개 업체에 3만400평을 분양하였다. 첨단산업단지는 총용지면적 240만 평 중 산업용지는 49만6000평으로 15개 업체에 32만3000평을 분양하였다.

광주의 경제활동인구는 53만4000명으로 이 중 취업자수는 농림업 2만7000명, 제조업 6만9000명, 사회간접자본 및 서비스업 42만3000명, 실업자수 1만5000명으로 실업률은 2.8%이다. 수출 현황은 약 18억5000만 달러로 전국구성비의 1.4%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수출품으로 전기·전자, 철강·기계, 섬유·고무 제품이 약 97%를 차지하며, 지역별로는 아시아, 유럽, 대양주·중남미, 미국 순이다. 1995년 현재 수입액은 11억9000만 달러이다.

광주시의 상업기능은 간선인 호남선과 떨어져 있을 뿐 아니라 일제가 자원을 반출하기 위해 광주 대신 항구도시인 목포의 개발에 치중함에 따라 광복 전까지는 전라남도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하지 못했다.

광복 후 도청 소재지로서 행정과 상업기능을 회복하고, 특히 1952년 상무동에 군장교 교육기관인 상무대(尙武臺)가 자리잡은 후 군인을 대상으로 한 소비경제가 늘어났다. 금융기관은 한국은행을 포함해 186개 지점이 있다. 현재도 제3차산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약 79%로 소비도시의 면모를 보이고 있다.

금남로를 중심으로 한 단핵의 도시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대도시보다 교통문제가 심각하다. 도로망은 관청·금융 등 중심업무기능을 담당하는 기관들이 집중된 금남로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나 도시화가 진전되면서 도심 외곽지역으로 시가지가 확대되고 새로운 주택단지가 건설되면서 도로망이 도시 외곽으로 뻗어가고 있다.

도로는 총연장 1,604㎞로 고속국도가 17㎞, 일반국도가 93㎞, 시도가 1,494㎞를 차지하고, 이 도로 중 99.9%가 포장되어 있다. 제1순환도로가 개통되어 교통체증을 많이 해소시켰고, 외곽에 제2순환도로가 일부 개통되고 현재 공사 중에 있다.

지하철 1호선 공사가 1996년에 착공되어 공사가 진행되고 있고 연이어 2·3호선 공사가 완공되면 광주시의 교통체계에서 지하철을 중심으로 한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다. 또한 호남고속국도가 광주시를 통과해 남해고속국도, 88올림픽고속국도와 연결된다. 그리고 광주를 기점으로 목포·순천·서울·대구 등지로 이어지는 국도와 광주의 주변지역으로 연결되는 지방도가 있다.

육상교통 중 도로교통은 도심에 분산되어 있던 고속버스터미널과 시외버스공용터미널을, 광천동의 광주공단이 주변공단으로 이전한 터에 광천동종합버스터미널로 통합·확장해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되었다.

철도교통은 호남선 철도가 1914년에 개통되었고, 송정역에서 광주를 잇는 철도가 1922년에, 1934년에 광주∼여수간 철도가, 광주∼담양간 철도가 개통되었으나 일제강점기의 태평양전쟁 시기에 철거되어 현재는 곳곳에 노반만이 남아 있다.

호남선 중에서 대전에서 송정역까지는 복선화가 이뤄졌고, 송정역에서 목포역까지는 복선화 공사가 진행 중이다. 도심의 발전에 많은 장애를 가져온 경전선의 도심 통과 부분 중 효천역에서 광주역까지 구간을 철거하고 경전선과 호남선을 연결하는 구간이 신설되었다.

현재 중흥동에 있는 광주역사는 1961년 1월에 도심의 대인동에 있던 구역사를 이전한 것으로 철도수송은 여객이 약 374만명, 화물이 166만t(1996년 현재) 정도이다. 항공교통은 광주공항을 통해 서울·제주·부산과 연결되고 해외로는 부정기적으로 운항되고 있다.

관광

오랜 역사를 배경으로 수려한 자연경관을 가진 광주광역시는 곳곳에 많은 관광명소가 있다. 여러 봉우리와 기암절벽이 어우러진 무등산·광주호·중외공원문화벨트·우치공원·포충사 등은 외지의 관광객이나 피서객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시의 동남쪽에 위치한 무등산은 불과 10㎞ 거리에 있는 천연관광지로서, 이 산에는 증심사·원효사·약사암·규봉암 등의 사찰이 있으며, 900여 종의 식물도 분포하고 있다. 또 증심사계곡·원효계곡 등은 물이 시원하고 수림이 울창해 광주시민이 즐겨 찾는 유원지이다.

특히 1990년 4월부터 출입이 개방된 무등산의 3대 절봉인 서석대·입석대와 규봉이 10여m 높이로 솟아 병풍처럼 장엄하게 둘러쳐져 장관을 이루고 있다. 광주시내에서 무등산장과 증심사 입구까지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숙박시설도 잘 되어 있으며, 음식으로는 영계백숙과 보리밥이 유명하다.

호남고속도로 서광주인터체인지 입구에 있는 중외공원문화벨트지역은 신안 앞바다에서 인양된 송·원대의 도자기 유물 등 남도의 각종 유물이 전시된 국립광주박물관, 어린이공원과 광주시립민속박물관이 있다.

또한 1995년부터 2년 간격으로 광주비엔날레가 어린이대공원 내의 전시관을 중심으로 중외공원과 광주문예회관에서 9월부터 11월까지 약 80일간 개최되어 국내외의 많은 관람객이 방문하고 있다.

무등산 자락의 광주호 주변의 환벽당·식영정·소쇄원 등이 가사문학권을 형성해 목적관광지로 인기가 높다. 또한 5·18기념제, 10월 중순에 개최되는 광주김치축제 등이 새로운 이벤트 관광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5·18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됨으로써 전남도청 앞 분수대 등 5·18과 관련된 장소들이 관광지로 개발되고 있다.

우치공원은 사직공원에 있던 동물원을 이전·확장하고 페밀리랜드라는 놀이시설을 갖추고 있다. 기타 관광지로는 수영장·리프트카 등의 시설이 있는 지산유원지와 포충사·충장사·광주향교, 1997년 11월 3일 새로 단장한 학생독립운동기념탑·광주공원·사직공원 등이 있다.


〔광산구 光山區〕

시의 서부에 위치한 구. 면적 222.88㎢, 인구 24만7487명(1999년 현재). 구청 소재지는 송정동이다. 1931년 광주면이 광주읍으로 개칭되었다가 1935년에 부로 승격됨에 따라 광주군을 광산군으로 부르게 되면서 오늘날의 광산군이 광주와 분리되었다. 1937년에는 송정면이 송정읍으로 승격되고, 1949년 나주군 관할이던 평동면·삼도면·본량면의 3개 면을 편입하였다.

1955년에는 효지·석곡·극락·서방의 4개 면을 광주시로 이관하고, 1957년에는 지산·대촌·서창면을 광주로 이관시킴으로써 1읍 7면으로 크게 위축되었다. 1962년에 광주로 이관되었던 대촌면과 서창면이 다시 환원됨으로써, 1읍 9면의 행정구역을 가지게 되었다. 1986년 송정읍이 시로 승격되고, 1988년 읍·면이 광주직할시 광산구로 편입되었다.

서북부지역에는 용진산(349m)을 비롯해 망산(270m)과 석문산(227m)이 있고, 서남부에는 복룡산(227m)이 장성군·함평군과 경계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지역이 낮은 구릉지대와 평야지대이다. 특히, 동쪽지역은 영산강의 지류인 극락강이 흐르고 낮은 평야가 전개되며 높이 30∼50m의 구릉이 많다. 서쪽지역은 황룡강이 흐르고 연안에 비옥한 평야가 넓게 전개된다.

소촌공단, 하남공단, 평동공단, 첨단산업단지의 공업단지가 있어 광주의 생산도시적인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1983년 5월 준공된 소촌공단은 5만7000평으로 65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하남공단은 180만4000평 규모로 1983년에 1차, 1989년에 2차, 1991년에 단지 조성공사가 완료되었다. 1차단지는 금속·화학·음식품 등 122개 업체가, 2차단지는 조립금속·화학 등 124개 업체가, 3차단지는 조립금속·식품·화학 등 236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평동공단 1차단지 54만7000평이 1995년 조성되어 1997년 현재 39업체에 31만5천평이 분양되었고, 평동외국인기업전용공단은 1995년 8월에 27만3000평이 준공되었다. 첨단산업단지 총용지면적 240만 평 중 산업용지는 49만6000평이다.

교통은 호남선이 구의 서쪽을 남북으로 달리며, 송정리에서 광주선이 분리되어 순천에 이른다. 도로는 호남고속도로가 구의 북부와 연결되고, 국도와 지방도를 통해 나주·영광·장성으로 이어진다. 광주공항을 통해 서울·제주·부산과 연결되고 해외로는 부정기적으로 운항되고 있다.

문화유적은 신룡동에 오층석탑, 양림사지부도, 양송천의 묘역, 빙월당, 고씨삼강문, 월봉서원, 대치서원(大峙書院)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1999년 현재 초등학교 21개교, 중학교 11개교, 고등학교 10개교, 특수학교 2개교, 광주보건대학과 광주여자대학교가 있다.

송정(松汀)·도산(道山)·황룡(黃龍)·신촌(新村)·도호(道湖)·선암(仙巖)·운수(雲水)·서봉(西峯)·박호(博湖)·소촌(素村)·우산(牛山)·월곡(月谷)·산정(山亭)·비아(飛鴉)·도천(道泉)·수완(水莞)·월계(月桂)·쌍암(雙巖)·월산(月山신창(新昌)·신가(新佳)·운남(雲南)·하남(河南)·진곡(眞谷)·오선(鰲仙)·장덕(長德)·흑석(黑石)·신룡(新龍)·두정(斗亭)·광산(光山)·오산(烏山)·사호(沙湖)·하산(下山)·유계(柳溪)·본덕(本德)·용봉(龍峰)·효기(堯基)·복룡(伏龍)·송대(松大)·()·월전(月田)·장록(長錄)·송촌(松村)·지죽(芝竹)·용(龍)·용곡(龍谷)·지정(池亭)·명화(明花)·동산(東山)·연산(蓮山)·도덕(道德)·송산(松山)·지평(芝坪)·오운(五雲)·삼거(三巨)·양(良)·내산(內山)·대산(大山)·송학(松鶴)·신(新)·삼도(三道)·남산(南山)·송치(松峙)·산수(山水)·선(仙)·지산(池山)·왕(旺)·북산(北山)·명도(明道)·동호(東湖)·덕림(德林)·양산(良山)·동림(東林) 등 79개 동이 있다.

〔남구 南區〕

시의 남부에 위치한 구. 면적 61.07㎢, 인구는 23만7138명(1999년 현재). 구청 소재지는 봉선동이다. 1995년 서구에서 분구되어 19개 동으로 신설되었다. 1995년 광산구 대촌출장소를 편입해 대촌동으로 했고, 전체가 20개 동이 되었다.

동쪽은 무등산 남쪽 사면을 따라 이어지는 분적산(412m), 남쪽에는 정광산(353m)으로 이어지는 낮은 산지가 연속되고 서쪽과 북쪽은 저평지를 이루고 있다. 하천의 발달은 미약한데 남쪽에 대촌천이 영산강으로 연결된다.

남구는 전형적인 주택지구로서 1980년대 말부터 형성된 봉선동·진월동 등 신흥주택지가 발달해 아파트 건축이 많고, 기존의 백운동·월산동 등은 단독주택지가 많다. 남쪽의 대촌동은 농업적 토지이용이 활발해 남구는 도·농의 이중적 토지이용을 보여주고 있다. 남구는 아파트의 비율이 54.2%를 차지하고 있다.

송암공단은 중심부에서 서남쪽으로 약 6km 지점에 입지한다. 1975년 광주시가 당시 도심에 산재해 있던 29개 연탄공장에서 생기는 공해를 없애고, 연탄 생산능력을 높여 수급의 안정을 기하기 위해 대단위 연탄공장을 설립함으로써 조성되었다. 그 뒤 11만9000평의 부지면적에 자동차 정비업체 65개가 입주해 있다. 주요 업종은 조립금속·화학·금속·섬유이다.

광주천 연변의 구릉에는 광주공원과 사직공원이 있는데, 시가 중앙부에 위치한 언덕 전체를 공원화한 것으로, 광복 전에 일본인들이 여기에 광주신사를 만들어놓은 바 있다. 광복 후 신사를 불태우고 그 자리에 현충탑을 세웠다. 중앙광장 북쪽에 시민회관이 있으며, 남쪽에 무진회관이 있다. 주위에 숲이 울창해 사계절 많은 시민이 찾는 휴식공간이다.

사직공원은 과거에 사직단이 있었던 곳이다. 양림산이 북쪽으로 뻗어내려간 구릉 전체를 공원화했으며, 벚나무가 많아 상춘객이 많이 모인다. 산 정상에 팔각정이 있고, 여기에서 광주시가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

한편 구동에는 수용인원 4,000명 규모의 실내체육관과 각종 경기단체의 사무실이 있는 체육회관이 있다. 문화유적은 양림동에 이장우가옥·최승효가옥, 원산동에 포충사, 구동의 광주향교·광주서오층석탑, 양과동의 지산재·무양서원, 그리고 무형문화재인 고싸움놀이와 진다리붓 등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1999년 현재 초등학교 18개교, 중학교 13개교, 고등학교 16개교, 특수학교 1개교, 기독간호대학과 광주대학교·호남신학대학교가 있다.

〔동구 東區〕

시의 동남부에 위치한 구. 면적 48.87㎢, 인구 12만8038명(1999년 현재). 구청 소재지는 서석동이다. 1973년 구제(區制)를 실시하면서, 중부출장소의 동명·계림·산수·지산 등 11개 동과 동부출장소의 남금·서석·양림·학 등 14개 동 및 석곡출장소의 7개 동을 합해 동구가 되었다.

1979년 산수·중흥·지산 등 3개 동을 분동하였다. 1980년에는 석곡출장소 8개 동과 중흥1·2동을 북구에, 양림동과 방림1·2동을 서구에 편입시켰다. 1985년 서석1·2동이 서석동으로 통합되고 1986년 광주직할시 동구로, 1988년 구로 승격되었다. 1994년 3월 청사를 서석동으로 이전하고, 1994년 북구 두암1동 일부와 풍향1동 일부를 산수3동에, 산수3동 일부를 북구 두암1동에 각각 편입시켰다.

무등산 서쪽 사면에서 광주천 동안(東岸)에 이르는 지역으로 동남쪽에는 무등산이 둘러싸고, 그 지붕인 서인봉(曙印峰, 608m)·지장산(地藏山)과 갈미봉·매봉·운소봉·마집봉 등 200∼400m의 구릉들이 산재해 있다. 서쪽에는 무등산에서 발원해 북서쪽으로 흐르는 광주천이 있다.

동구는 광주시의 중핵지역을 포함하고 동쪽으로는 주택지가 전개된다. 구의 중심지는 기업·행정관리기능 및 금융·투자기관이 밀집된 금남로, 대규모 백화점과 서비스업소 및 유흥업소가 밀집된 충장로이다. 충장로1가에서 3가에 이르는 지역은 조선 말기의 행정청인 동헌과 광주성이 있던 곳이다.

도심부 외측은 도심상가와 주택가의 점이적 성격을 나타낸다. 금남로5가는 가구점과 가전제품 대리점이 많고, 대인동은 농약·종묘·한약재 및 가전제품점이, 충장로5가는 직물도매업, 수기동은 자동차 및 기계부품점이 모여 있다.

동남부에 위치한 남금·대의·삼성동 등도 핵심부의 도시기능이 연장되어 나타나며, 도심과 근접해 일찍부터 주택지화한 동명·계림·서석동은 인구가 조밀하고, 무등산 산기슭에 위치해 쾌적한 주거환경을 갖춘 산수·학·지산동 등에는 일급주택지가 형성되어 있다.

동명동은 도심과 가까워 광복 전부터 알려진 고급주택지이다. 서석동은 무등산 서남 산기슭에 위치해 녹지환경이 잘 조성되었고 각급 학교가 많이 있는 지역이다. 그 밖에 학처럼 생긴 산이 있는 학동, 산수가 수려하다는 산수동 등도 무등산 산기슭의 쾌적한 주거환경을 갖춘 좋은 주거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동구의 가로명 중 충장로(忠壯路)·금남로(錦南路)·제봉로(霽峰路)·의재로(毅齋路) 등은 이 지역 출신의 유명한 인물의 호를 빌려 명명된 것이다. 서쪽에 화순으로 통하는 국도가 종단한다.

증심사 계곡의 유원지와 지산동에 있는 지산유원지는 시민의 휴식처이다. 문화유적은 지산동에 동오층석탑, 운림동의 증심사에는 철조비로자나불좌상과 약사암에는 석조여래좌상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1999년 현재 초등학교 11개교, 중학교 8개교, 고등학교 6개교, 조선간호대학·조선이공대학과 조선대학교 및 전남대학교 의과대학이 있다.

대인(大仁)·금남로1가(錦南路1街)·금남로2가·금남로3가·금남로4가·금남로5가·충장로1가(忠壯路1街)·충장로2가·충장로3가·충장로4가·충장로5가·수기(須奇)·대의(大義)·궁(弓)·장(壯)·동명(東明)·계림(鷄林)·산수(山水)·지산(芝山)·남(南)·금(錦)·광산(光山)·호남(湖南)·황금(黃金)·불로(不老)·서석(瑞石)·학(鶴)·운림(雲林)·소태(所台)·용연(龍淵)·월남(月南)·선교(仙橋)·내남(內南)·용산(龍山) 등 34개 동이 있다.

〔북구 北區〕

시의 북부에 위치한 구. 면적 121.83㎢, 인구 47만6833명(1999년 현재). 구청 소재지는 용봉동이다. 1980년 동구의 중흥1·2동 및 석곡출장소의 우산·풍향1·풍향2·문화·서산·충효·청옥·장옥의 8개 동, 서구의 유동·누문·북·임·태봉 등 6개 동, 지산출장소의 본촌·유치·삼소의 3개 동을 합해 북구를 신설해 41개 동을 관할하였다.

1982년 중흥2동과 동운동을 각각 분동하고, 1983년 신안동을 신안·용봉동으로, 1985년 문화동을 문화·두암동으로, 1989년 두암동을 두암1·2동으로, 1993년 동운1동을 동운1·3동으로, 1994년 서산동을 서산동과 오치동으로, 1995년 문화동을 문화동과 문흥동으로, 두암1동을 두암1·3동으로 분동하였다.

동부는 무등산 지맥이 뻗어 덕봉산(400m)·월각산(274m) 등의 저산성 산지가 연속된다. 서부는 100m 내외의 구릉지가 산재한다. 서부를 흐르는 극락강은 광산군과 경계를 이루고, 그 유역에는 넓은 평야가 전개된다. 남부는 50m 이하의 저지대가 대부분이다.

북구는 소비도시의 기능이 강한 광주광역시에서 생산도시로서 기능을 하는 구이다. 1979년 지방공업개방 장려지구로 지정된 전국에서 유일한 민간 자력공단으로 1983년 12월에 준공된 본촌공단은 28만 3000평의 부지에 음식품·금속·섬유·목재·화학 등 104개의 입주업체가 있다. 임동공업지구는 광주의 특화공업인 섬유공장이 집중해 있는데, 1935년 가네보(鐘紡) 전남공장이 설립된 이래 호남지방 면방직공업의 중심이 되어왔다.

구 중에서 개발이 늦게 시작되었으나 요즈음 관공서의 이전과 도로 정비에 힘입어 북동부와 북서부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주택지 개발이 활발하다. 신흥주택지역으로는 동운·중흥·우산·문화·일곡지구 등이 포함되며, 단독주택과 아파트 등이 많이 세워졌다. 북구 내에서 중흥동과 풍향동은 주택지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나, 재개발을 요하는 불량주택지구도 곳곳에 남아 있다.

중남부지역인 북·누문·유동은 도심지에 연접한 곳으로 상업활동이 집중되어 있다. 누문동은 금남로5가와 연결된 지역으로 가구점이 많고, 북동은 기계부속품·자동차부품, 유동은 자동차부품점이 특화되어 있다.

한편, 북구는 광주시의 관문 구실을 하는데, 대전∼순천간 고속도로가 통과하고, 광주∼장성간·광주∼담양간 국도가 통과한다. 중흥동에는 광주역이 있다. 주요 도로는 경양로(景陽路)·용봉로(龍鳳路)·태봉로가 있다.

문화유적은 충효동에 도요지와 환벽당, 임동에 십신사지석불과 석비, 화암동에 전상의의 예장석묘 등이 있다. 공원으로는 무등산도립공원과 어린이대공원이 있다. 또한 매곡동의 국립광주박물관에는 신안 앞바다에서 인양된 송·원대의 도자기를 비롯해 백제∼통일신라시대의 각종 유물과 남도의 대표적인 회화 등 900여 점의 유물이 전시·보관되어 있다.

1995년부터 중외공원문화벨트에서는 격년으로 광주비엔날레가 개최되고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1999년 현재 초등학교 35개교, 중학교 25개교, 고등학교 20개교, 특수학교 1개교, 동강대학·서강정보대학과 광신대학교·전남대학교·광주교육대학교가 있다.

중흥(中興)·유(柳)·누문(樓門)·북(北)·임(林)·신안(新安)·용봉(龍鳳)·운암(雲巖)·동림(東林)·우산(牛山)·풍향(豊鄕)·각화(角化)·문흥(文興)·두암(斗巖)·삼각(三角)·매곡(梅谷)·일곡(日谷)·오치(梧峙)·덕의(德義)·충효(忠孝)·금곡(金谷)·망월(望月)·청풍(淸風)·화암(花巖)·장등(長燈)·운정(雲亭)·본촌(本村)·양산(陽山)·연제(蓮堤)·신룡(臣龍)·용두(龍頭)·지야(芝野)·태령(台嶺)·수곡(水谷)·효령(孝嶺)·용전(龍田)·용강(龍江)·생룡(生龍)·월출(月出)·대촌(大村)·오룡(五龍) 등 41개 동이 있다.

〔서구 西區〕

시의 중앙에 위치한 구. 면적 46.77㎢, 인구 26만7116명(1999년 현재). 구청 소재지는 농성동이다. 1973년 남부출장소의 구사·양·월산·농성·백운 등 14개 동, 서부출장소의 유루·북·임·상무 등 15개 동, 지산출장소의 본촌·우치·삼소 등 16개 동을 합해 광주시의 서쪽에 있다 하여 서구라 칭하고 45개 동을 관할하였다.

1979년 임동의 구청사에서 농성동 현 청사로 이전하였다. 1980년에는 지산출장소 3개 동과 유·누문·북·동운·태봉동을 북구에 편입시키고, 동구의 양림·방림1·2동을 서구로 편입하였다. 1983년에는 농성동을 농성1·2동으로, 화내동을 화정1·2동으로 분동하였고, 1985년에는 월산4동을 월산4·5동으로, 백운동을 백운1·2동으로, 주월동을 주월1·2동으로 분동하였다.

1986년 주월2동 일부가 화정2동으로 편입되었고, 1986년 광주직할시 서구로 승격하였다. 1990년 방림2동을 방림2동과 봉선동으로, 화정2동을 화정2·3동으로 분동하였다. 1993년 쌍촌동 일부를 상무1·2동으로, 1994년 화정3동을 화정3·4동으로 분동하였다. 1995년 관할구역 변경으로 서구 관할 18개 동을 남구에 편입시키고 광산구 서창동이 편입되었다.

광주분지를 남동에서 북서 방향으로 관류하는 광주천 남쪽에 위치하며, 남동부의 금당산을 제외하면 대부분 평지이다. 북부는 광주천을 중심으로 평지가 넓게 분포하고, 서쪽의 극락강과 합류하는 지점은 넓은 범람원으로 자연제방이 길게 발달해 있다.

서구는 광주의 공업지구 및 주택지구로 발전해왔다. 광천공단은 1961년 자동차의 국산화계획이 입안되고, 아세아자동차공장 건설을 위한 기초조사가 착수되면서 조성되었다. 1973년 지방공업개방 장려지구로 지정되었고, 총입주업체의 반 이상이 조립금속업체로서 자동차부품과 관련된 기계류를 생산하는 업체가 많다. 그러나 계속적인 도시화로 주택지가 팽창해 광천공단이 시가지에 인접하게 됨으로써 공해업소를 다른 곳으로 이주시키고 있다.

서구의 발전은 광주천을 따라 길게 발전하다가 점차 서부로 확장되고 있는데, 광주천 부근은 주거지역으로 비교적 일찍부터 개발되어 주거환경이 불량하다. 광주천에서 2㎞ 정도 떨어진 근래 개발된 지역은 신흥주택지 및 아파트지구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농성동은 관공서들이 대거 이전함으로써 급속히 고급주택지화했다.

화정동은 아파트지구를 이루며, 최근에 금호동과 풍암동 일대에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조성되고 있어 많은 인구의 유입이 예상되고 있다. 군 장교 교육기관이던 상무대가 이전한 장소에 광주의 새로운 중심지를 만드는 계획이 수립되어 관공서를 비롯한 중심업무지구와 주거기능이 결합된 지역으로 개발되고 있다.

현재 광주 제일의 상설시장인 양동시장은 아직도 정기시장의 특성이 남아 있다. 광천동에는 도심에 분산되어 있던 고속버스터미널과 시외버스터미널을 통합한 광주종합버스터미널이 들어서 버스교통의 중심지가 되었다.

농촌진흥원에서 상무대 앞을 지나 송정역에 이르는 상무로(尙武路)가 있고, 살타공원에서 백운동광장을 지나 남광주역에 이르는 대남로(臺南路)는 순환도로의 일부로서, 1968년 광주시와 자매도시를 결연한 타이완의 대남시에서 거리 이름을 지어주었다. 문화유적은 쌍촌동에 운천사마애여래좌상, 화정동에 화담사 등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1999년 현재 초등학교 19개교, 중학교 12개교, 고등학교 6개교, 특수학교 1개교, 송원대학과 호남대학교가 있다. 양(良)·농성(農城)·광천(光川)·유촌(柳村)·덕흥(德興)·치평(治平)·내방(內防)·쌍촌(雙村)·화정(花亭)·세하(細荷)·용두(龍頭)·서창(西倉)·벽진(碧津)·마륵(馬勒)·금호(金湖)·풍암(楓巖)·매월(梅月) 등 17개 동이 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高麗史, 世宗實錄地理志, 新增東國輿地勝覽, 增補文獻備考, 湖南邑誌, 全南考古學地名表(崔夢龍, 1975), 文化遺蹟總覽(文化財管理局, 1977), 韓國民謠集(任東權編, 1981), 내고장전통가꾸기(광주시, 1982), 광주의 얼(광주시, 1982), 全羅南道誌(道誌編纂委員會, 1984), 光州經濟現況(光州商工會議所, 1985), 韓國地誌-地方篇 Ⅳ-(建設部國立地理院, 1986), 全南地方樓亭調査報告(金東洙, 湖南文化硏究 14, 1985), 내고장의미찾기(한국이동통신, 1994), 光州市史(광주광역시, 1995), 地方行政區域要覽(行政自治部, 2000).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