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초 채영석 풍수칼럼] 만석꾼 지지는 밀물과 썰물이 교차하는 바닷가 음택이다
전방에서 들어오는 조수(朝水)라면 왕성(旺)한 물인데 만약 용신(龍身)이 미약(微弱)하면 요절(夭折)이 두렵다. 작은 물(小水)이 대세(大勢)를 좇아 앞으로 나간다면(順) 패절(敗絶) 하는 것을 어찌 의심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착맥부(捉脉賦) 에서 당면(當面: 명당 앞)으로 큰 조수(朝水)가 들어온다면(朝入) 자식(子息)이 쓸쓸하고 가난하다(孤寒, 고한)고 하였다.
설천기(泄天機)에서 양조(洋潮: 바다의 밀물과 썰물)의 세(勢)가 태웅(太雄)하여 혈을 기만(欺)하는 모습이면 혈(穴)이 작은 것이 가장 흉(凶)하다. 이것은 조수(朝水)는 왕성(旺)하지만, 용신(龍身)이 미약(微)하기 때문이다.
만약 거수국(去水局)의 터에서 작은 물(小水)이 비록 나가도(去) 대세(大勢)가 역(逆)을 하는 형세라면 오히려 취할 수 있다.
만약 작은 물(小水)이 앞으로 나가는 형세인데 대세(大勢)마저 함께 나가는(順) 모습이라면 반드시 융결(融結) 함이 없어 패절(敗絶) 한다.
물이 전방에서 명당으로 들어오는 조수(朝水)의 터라면 혈(穴)이 높아야 한다. 혈이 높으면 물이 바짝 다가오는 수핍(水逼)도 싫어하지 않기 때문이다.
물이 앞으로 나가는 거수(去水)의 터라면 혈이 낮아야 하는데 낮으면 물이 흘러나가는 수류(水流)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이 전방의 조안산(朝案山) 등에서 들어오는 조수국(朝水局)의 터라면 반드시 앙고(仰高)나 빙고(憑高)와 같은 높은 혈을 일구어야 능히 물을 이길 수 있다.
그리고 전방으로 빠져나가는 거수국(去水局)의 터라면 반드시 혈이 낮은 지혈(地穴)을 일구어야 하는데 만약 혈이 높아 나가는 수류(水流)가 드러나면 퇴패(退敗) 한다.(예; 양평군 양서면 한음 이덕형 선생 묘소)
朝水旺而本身微。夭折可畏。小水去而大勢順。敗絕何疑。
捉脈賦。當面朝入子息孤寒。泄天機。欺是洋潮勢太雄。穴小最為凶。是皆言朝水旺而身微也。若去水局。小水雖去。大勢則逆。猶可取裁。若小水既去。大勢又順。決無融結。斷主敗絕
朝水之地。穴必高。高則不嫌水逼。去水之地。穴必下。下則不見水流。
凡朝水局。必作仰高。憑高之穴。方能勝水。去水局。必作地穴。若穴高。則見水流。斷主退敗
만약 외수(外水)가 명당으로 들어온다면(來朝) 내수(內水)가 이끌고 나가는 것을 꺼린다. 그러나 나가는 내수(內水)를 외수(外水)가 가로질러 막아주면(橫流水) 기쁨이 크다.
물이 특조(特朝: 명당으로 들어오는 朝來水)하면 반드시 물길을 막는 개사(蓋砂)가 있어야 한다. 만약 곧게 입당(入堂)하여 내수(內水)를 견인(牽引)하여 끌고 나가면 내기(內氣)가 설기(洩氣) 되어 도리어 불길(不吉)하다.
설심부(雪心賦)에서 역수(逆水)가 내조(來朝)하면 내당(內堂)의 설기(洩氣)를 불허(不許)한다고 하였다. 용과 배합을 이룬 물이 나가면 외수(外水)가 막아 끊어줘야 그 기(氣)를 더욱 모을 수 있다.
설심부(雪心賦)에서 물 밖의 바깥 물이 가로질러 막는다면 활처럼 둥글게 감싸야 한다.
단법(斷法)에서 내성(內城)의 유수(流水)를 외성(外城)이 막는다면 이름하여 나가는 것을 막는 보배와 같다 하여 진보산(進寶山)이라 하였다.
또 낭금(囊金)에서 혈전(穴前)으로 흘러나가는 물을 일러 내수(內水)가 나가 돌아오지 않는다고 하였으며 귀한 것은 굴곡(屈曲)으로 나가야 하고 외수(外水)가 막아서 역(逆)을 이루어야 한다.
장사 후에 처음은 흉(凶)했으나 나중에 발복 하였다면 필시 명당으로 빠져나가는 순류(順流)의 음택(宅)이다.
아침에 가난한 자가 저녁에 부자가 되는 조빈모부(朝貧暮富)의 터라면 필시 바다의 밀물과 썰물인 조수(潮水)가 주기적으로 들락거리는 양조(洋潮)의 고향(鄕)이라고 하였다.
물이 빠져나가는 거수(去水)의 터라면 옛사람들 대부분이 취하지 않았다. 그것은 혈(穴)이 비록 아름다워도 초년에 퇴패(退敗)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터는 반드시 산각(山脚)이 서로 사귀어 관쇄(關鎖)를 이루어야 비로소 발복 한다.
오직 혈 앞이 긴밀(緊密)하게 짜여 물이 앞으로 나가는 것이 보이지 않거나 혹은 평탄하여 물이 흐르는 것이 보이지 않는다면 초년에도 이롭다.
그리고 바닷물이 들고 나는 조수(潮水: 밀물과 썰물)를 바라보는 묘가 발복이 가장 빠르다.
결(訣)에서 이르기를 물길을 막는 역사(逆砂)가 일척(一尺, 한 자)이라면 치부(致富)할 수 있고, 바닷물인 조수(潮水)가 일작(一勺, 한 잔)만 있어도 능히 가난을 구원한다 하였다.
또 이르기를 큰물이 대면(對面)하듯 흘러오면 당대(當代)에 관료(官僚)가 나온다고 하였다.
발사경(撥砂經)에서 바닷물인 조수(潮水)는 복(福)이 빨라 이미 출생한 사람도 재물복(財物福)을 받는다고 하였다.
원신(元辰: 吉辰)과 원기(元氣: 精氣)가 앞에서 멈추어 달아나지 않고 외수(外水)의 윤기(潤氣: 반들거리는 기운)가 또 장대(長大)하게 응취(凝聚)하면 산기(山氣)가 항상 윤택하고 자연히 역량(力量)이 넉넉한데 유골(遺骨)이 그것을 타면 신령(神靈)스럽고 기이(奇異)한 효험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外水來朝。切忌內水之牽去。內水既出。尤喜外水之橫攔。凡水特朝。必有蓋砂遮攔。若直入堂。牽引內水而去。則內氣已洩。反為不吉。
雪心賦。逆水來朝。不許內堂之洩氣。凡配龍之水出口。又得外水攔截。則其氣愈聚。
雪心賦。水外水橫攔。弓員弩滿。斷法。內城流水外城攔。此地名為進寶山。
又。囊金云。穴前流去者。謂之內水有出無入。所貴屈曲轉摺出。與外水相逆。後發初凶。必是順流之宅。朝貧暮富。必是洋潮之鄉。
去水之地古人多不取。穴雖美亦主初年退敗。必行至山脚交關之處始發。惟穴前緊夾不見水去。或平坦不見水流。初年亦利。若潮水則發福最速。訣云。逆砂一尺可致富。潮水一勺能救貧。又曰。大水洋洋對面潮。當代出官僚。撥砂經。潮水福快是已生之人。致財而受福也。元辰元氣止于前。滀而不耗。外水之潤氣又長大而凝聚。則山氣常潤。力量自裕。枯骨乘之。靈異立效
만약 길지(吉地)의 대명당이라면 조수(潮)가 두렵지만, 하지(下地)의 터라면 조수(潮)가 기쁘다. 조수가 큰 대조(大潮)이면 옆으로 빗겨서 받아야 하고 소조(小潮)이면 높은 곳에서 받아야 하는 것으로 소상(消詳)히 살펴 정해야 한다.
발사경(撥砂經)에서 터가 길지(吉地)라면 조(潮)가 두려운 것은 마치 사람이 음식을 과도(過度)하게 먹으면 도리어 몸을 상(傷)하게 하는 이치와 같다. 하지(下地)의 터라면 조(潮)가 기쁜 것은 마치 굶주린 사람이 통절하게 느끼면서 마시고자 하는 이치이다.
바닷물인 조(潮)란 유정(有情)한 것에 있으며 원대(遠大: 크고 먼)한 것에 있지 않다. 물(水)의 귀(貴)함이란 머물러 모이는 듯(融貯水)하고, 기울어 빗겨서 오는 것(斜來水)은 귀하지 않다.
또 이르기를 당면(當面: 穴前)에서 내조(來潮)하는 바닷물이라면 살(殺)이 두려우므로 응당 피(避)해야 한다. 만약 조수(潮水)가 혈 앞으로 곧장 이르는데 혈전(穴前)에서 막아주거나 지탱할 수 있는 사격이 없다면 곧 퇴패(退敗)한다.
또 조수(潮水)가 작으면(潮小) 높은 곳에서 받고(高受), 조수가 크면(潮大) 한쪽으로 비껴서 받아야(斜受) 한다. 그래서 옛말에 앞에서 들어오는 조수(潮水)를 절대 사양하란 뜻으로 양조(讓潮)라고 하였다.
吉地畏潮。下地喜潮。更有區別。大潮斜受。小潮高受。尢宜消詳。
撥砂經。吉地畏潮。如人之飲食過度。而反傷也。下地喜潮。如人之飢渴。切身而欲飲也。潮在有情。不在遠大。水貴停滀。不貴傾來。又曰。當面來潮之水有殺。當避。若直至穴前。更無支持。立見退敗。所以潮小高受。潮大斜受。古謂之讓潮。
대한민국풍수지리연합회장 석초 채영석
첫댓글 요즈음 밀물과 썰물이 만나는 갯벌이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썰물이 되면 1km 이상 넓게 펼쳐지는 갯벌, 전국에서 사람들이 모여들고 있습니다. 무의도 하나개해수욕장 갯벌, 연구해볼만한 대상지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