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성비’ 자체브랜드(PB) 매출 12% 늘었다... 소비재시장 성장세의 6배 ↑
- 대한상의, 6,500개 오프라인 소매점 매출데이터 조사결과 분석 - 전체 소비재시장은 1.9% 성장, PB 시장은 11.8% 성장... 가격민감도 높아지면서 가성비 선호 - 업태별 자체브랜드 매출 비중은 대형마트(8.7%)가 가장 높아... 성장률 1위는 편의점(19.3%) 경기침체와 고물가 영향으로 지난해 자체브랜드인 PB(Private Brand) 상품 매출이 크게 상승했다.
<그림1> PB 상품 성장률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14일 NIQ(닐슨아이큐,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가 조사한‘유통업체 자체브랜드(PB) 상품 매출’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분석결과에 따르면 최근 1년간(2022년 4분기~2023년 3분기) 국내 자체브랜드 상품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11.8% 성장했다. 전체 소비재 시장이 같은 기간 1.9% 성장에 그쳐 약 6배 높은 수치다.
자체브랜드(PB)는 유통업체가 제조업체와 협력해 생산한 뒤 자체 브랜드로 내놓은 상품으로 이마트 노브랜드, 롯데 온리프라이스, GS25 유어스 등이 있다. 마케팅 및 유통 비용을 줄이고 소비자 가격을 낮춰 고물가시대에 각광받고 있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지난해 소비자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가격에 민감해진 소비자들이 품질대비 저렴한 자체브랜드 상품 구입량을 늘렸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자체브랜드 시장 성장세는 비식품보다 식품 부문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지난해 비식품 부문 시장 성장률은 7.4%였던데 비해 식품은 12.4% 성장률을 기록하며 전체 자체브랜드 시장 성장을 견인했다. 소비심리가 위축된 소비자들이 필요하지 않은 비식품 지출은 줄이고, 음식료품 등 필수재 위주의 소비활동은 유지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림2> 업태별 PB 성장률 및 점유율
대형마트 자체브랜드 매출 비중(8.7%) 가장 높아, 성장률 1위는 편의점(19.3%) 전체 매출대비 자체브랜드 비중이 가장 높은 오프라인 업태는 대형마트였으며(8.7%), 그 뒤를 이어 기업형 슈퍼마켓 5.3%, 편의점 4.1% 순으로 나타났다.
자체브랜드 매출 성장률 면에서 가장 돋보인 업태는 편의점이었다. 주요 업태 모두 전체 소비재 시장대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가운데 편의점이 19.3%로 가장 높았고, 이어 대형마트 10.3%, 기업형 슈퍼마켓 5.7% 순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가격보다 편의성을 소구했던 편의점이 경기 불황기를 맞아 가성비 있는 PB 신제품을 연이어 출시하면서 주 이용객인 젊은층의 호응을 얻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반 제조사 브랜드보다 잘 팔리는 유통업체 자체브랜드... 즉석국·찌개류 분야에서 매출 추월
<그림3> 업태별 PB매출 점유율 Top 5 순위
유통사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 자체브랜드가 인기를 끌면서 대형마트, 슈퍼마켓, 편의점 3개 업태에서 모두 즉석국·탕·찌개의 자체 브랜드 상품의 매출이 일반 제조사 브랜드(National Brand)의 매출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색 수가 적은 편의점 경우 즉석국 자체브랜드 매출 비중이 82.2%에 이르렀고, 대형마트는 69.1%, 슈퍼마켓은 51.9%였다. 이 외에도 대형마트에서는 냉동양념육(58.3%)과 제습제(57.3%) 자체브랜드상품이 일반제조브랜드보다 많이 팔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 부문, 가정간편식(HMR) 인기에 힘입어 편의가공 자체브랜드 시장 19.1% 성장
식품 부문의 자체브랜드 매출 성장률을 카테고리별로 살펴보면, 편의가공이 전년대비 19.1%로 가장 많이 성장했다.
편의가공 식품에서도 ‘가성비’를 강조한 대용량 컵라면 판매 호조에 힘입어 라면 카테고리가 32.3% 성장했고, 유통사들이 일제히 구색을 강화한 즉석 국·탕·찌개류도 25.2% 성장하며, 편의가공 자체브랜드 시장 성장에 기여했다.
<그림4> 식품 부문 카테고리별 PB 성장률
자체브랜드 성장률이 두 번째로 높았던 카테고리는 제과(16.6%)류였다. 제과류 중에서 양산빵이 24%로 성장폭이 가장 컸고, 뒤를 이어 비스킷&케익 21.2%, 스낵 21% 성장률을 기록했다. 특히 스낵 안에서도 팝콘이 매출 기준 1~3위를 차지했는데,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아직 NB 상품이 장악하지 못한 카테고리를 공략한 전략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세 번째로 높은 성장세를 보여준 신선가공 식품(13.6%) 안에서는 햄·소시지·베이컨 성장률이 14.3%로 가장 높았다. 한편, 유가공품 일반 제조 브랜드 시장은 전년대비 0.5% 역신장이라는 부진한 성과를 기록했다.
비식품 부문, 성장률 1위는 구강용품(25.7%)... 매출 점유율은 주방용품(8.8%) 가장 높아
비식품 부문에서 자체브랜드 매출 성장률이 가장 높은 품목은 구강용품이며(25.7%), 뒤를 이어 퍼스널케어(21.5%), 바디케어(20.2%), 제지류(11.6%)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다양한 자체브랜드 신제품들이 연이어 출시되면서 브랜드 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구매주기가 짧은 카테고리 위주로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비식품 전체 매출에서 자체브랜드 상품 점유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주방용품(8.8%)이며, 뒤를 이어 제지류(8.7%), 비식품기타(7.4%), 가정용품(4.2%), 청소용품(3.1%) 순이었다.
<그림5> 비식품 부문 카테고리별 PB 성장률
우리나라 자체브랜드 매출 점유율 4%, 추가 성장여지 높아
한편, 우리나라 전체 소비재시장에서 자체브랜드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로 식품과 비식품이 각각 3.9%, 4.6%인 것으로 조사됐다. 2023년 3분기 기준, 글로벌 전체 소비재시장의 자체브랜드 매출 점유율은 21%로, 우리나라는 유럽(32.4%)은 물론 홍콩(13%), 싱가포르(6%)에 비해서도 낮았다.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 장근무 원장은“유럽의 경우 경제 저성장기에 실속소비 패턴이 정착하면서 자체브랜드 시장이 크게 성장했는데 우리나라도 최근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글로벌 유통업계 평균 자체브랜드 점유율이 21%인 점을 감안할 때 국내 시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므로 유통사들은 자체브랜드 라인업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조사 개요> □ 조사시기 : 2022년 4분기 ~ 2023년 3분기(2022년 10월~2023년 9월) □ 조사대상 : 전국 약 6,500개 오프라인 소매매장(대형마트, SSM, 편의점) 대상 □ 조사품목 : FMCG(Fast Moving Consumer Goods, 소비재) 207개 식품/비식품 카테고리 □ 조사방법 : 유통매장 POS 데이터 기반 분석
□ 주요 카테고리 분류 <식품> - 신선가공 : 김치, 두부, 어묵, 콩나물, 햄, 다진마늘 외 - 편의가공 : 즉석 국·탕·찌개, 라면, 생면, 레토르트, 분말짜장·카레 외 - 냉동가공 : 냉동 국·탕·찌개, 냉동피자·핫도그, 냉동까스, 냉동면, 냉동양념육 외 - 일반가공 : 김, 건미역, 캔류, 통조림, 건면, 파스타 외 - 유가공 : 우유, 치즈, 요구르트, 분유, 이유식 외 - 음료 : 각종 과일 음료, 에너지 음료, 두유, 식혜, 탄산수, 무알콜 맥주 외 - 제과류 : 스낵, 비스킷, 아이스크림, 양상빵, 초콜릿, 추잉껌 외 - 커피,차 : 커피믹스, 프리머, 캔커피, 차류, 핫초코 외
<비식품> - 제지류 : 두루마리 화장지, 페이셜 티슈, 물티슈 외 - 세제류 : 세탁세제, 주방세제, 표백제, 섬유유연제 외 - 주방용품 : 쿡웨어, 압력솥, 밀폐용기, 주방용 칼가위 외 - 청소용품 : 막대걸레, 욕실 세척제, 다용도 세척제 외 - 가정용품 : 살충제, 제습제, 공기청향제 외 - 퍼스널케어 : 면도기, 데오도란트, 여성용 페이셜 보습제 외 - 구강용품 : 치약, 치솔, 구강청정제, 치실 외 - 바디케어 : 비누, 클린징, 핸드로션, 바디로션 외 - 비식품기타 : 애완견 푸드, 수유용품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