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의 혼(婚)은 장가든다는 뜻·이고 인(姻)은 시집간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장가들고(婚) 시집간다(姻)"는 말이 됩니다.
장가든다는 뜻의 글자가 "혼(婚)"이 된 까닭은 저녁때(昏)에 여인(女)을 만나는 것이 장가드는 것이고,
시집간다는 뜻의 글자가 "인(姻)"인 까닭은 여자의 집에서 신랑감을 구하는 데는 반드시 중신하는
부인인 매씨(妹氏)에 의해야 했으므로 여자 (女)매씨로 인(因)해 남자를 만나는 것이
시집가는 것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중매(中媒)라는 말도 여기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혼인은 음과 양이 합하여 삼라만상이 창조하는 대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는 것이며
대자연의 섭리에 따라 자연스럽게 짝을 찾는 순수한 인정(人情)에 합하는 일이기 때문에
혼인은 신성한 이치이며 순수한 인정인 것입니다.
그러나 오늘날을 돌아보면 그토록 심오한 뜻을 담고 있는 혼인이라는 말 대신
결혼(結婚)이라는 말이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혼인이라는 말이 결혼이라는 말로 대치되어 쓰이는 것은 전통혼인절차에 대한 명칭들이
낱말로 쓰여진 것으로 보입니다.
결혼과 화혼의 차이
그러나 우리나라 헌법이나 민법 등 모든 법률에는 결혼이란 말이 쓰여지질 않고 혼인이라고
쓰고 있습니다.
당연히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남자와 여자가 부부가 되는 일은 '결혼'이라고 하면, 남자가 장가드는데 여자는 곁 붙여서
따라가는 것이 되고 '혼인'이라고 하면 남자는 장가들고 여자는 당당히 시집가는 것이 되어
어휘에서부터 명실상부한 남녀평등이 내포되어 있다 하겠습니다.
이런 의미를 모르고 오늘날 남녀평등을 주장하는 여성들도 '결혼'이란 말을 서슴없이 사용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점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렇게 본다면 오늘날의 '결혼예식장'은 '혼인예식장' 해야 하며 혼인예식 때 보내는 축하금 봉투도
원래는 '축 혼인(祝 婚姻)'이라고 써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신부의 집에 축하금을 보낼 때 '축 결혼(祝 結婚), 축 화혼(祝 華婚)'이라고 쓴 다면
시집가는 신부에게 장가드는 것을 축하하는 것이 되어 잘못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바로 결혼이 아니고 혼인이어야만 정확하게 장가들고 시집가서 부부가 되는 것입니다
참고로, '축 결혼(祝 結婚)에 비하여, 축 화혼(祝 華婚)은 화려한 결혼, 즐거운 결혼을
강조하는 의미라고 할 수 있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