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하루 확진자 6만명 육박… 일상회복 괜찮을까?
올 초 수준 재유행... '신중한 대응' 필요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규제 추가 완화 움직임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26일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을 2급에서 4급으로 하향 조정하는 고시 개정안을 행정예고했다.
개정안이 확정되면 8월 중 2단계 방역 완화 조치가 시행된다.
코로나19는 독감(인플루엔자) 수준으로 관리되며 마스크 착용 의무는 사실상 완전히 해제된다.
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과 입소형 감염취약시설 등에 남아있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권고로 전환하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전문가 신속항원검사를 비롯한 감염검사 비용과 치료비도 대부분 비급여로 전환돼 개인이 부담하게 된다.
‘하루 6만 명’ 확진… 1월 유행 당시 회복
정부의 코로나19 일상 회복 정책은 앞서 계획된 수순을 밟고 있지만, 문제는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약해지는 여름에도 코로나19 재유행세가 거세지는 추세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7월 셋째 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5만 3800명 수준으로 전주 대비 35% 급증했다. 6월 말부터 4주 연속 가파르게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9일 하루 신규 확진자는 4만 7029명을 기록해 겨울 재유행 정점이었던 지난 1월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이후에도 일일 확진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 25일에는 하루 5만 814명(인구 10만 명당 98.78명)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고, 이튿날인 26일에는 하루 5만 7220명(인구 10만 명당 111.24명)을 기록해 6만 명 선에 바짝 다가갔다.
중증화율 역시 7월 1주차 0.10%에서 전주 0.30%로 올랐고, 60세 이상의 고령 확진자를 비롯해 위중증 환자, 사망자 모두 전주 대비 증가 추세에 있다.
최근 유행하는 코로나19 변이종은 오미크론 변이 XBB 1.5로 알려졌다. 앞선 겨울 유행 당시 널리 퍼졌던 오미크론 변이 XBB의 2세대 또는 3세대 종류로 기존의 백신이 막기 힘든 신종 변이다.
정부는 XBB 변이에도 예방 능력이 있는 새 백신을 오는 10월 중 도입할 계획이다.
여름감기 ‘멀티데믹’… 숨은 감염도 늘어나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정재훈 교수(대한감염학회 특임이사)는 “코로나19 일상 회복 단계에서 연간 2회의 정도의 유행은 예상되던 상황”이라면서도 “지금의 유행 규모가 보이는 것보다 클 수 있다”고 지적한다.
최근 연구들이 최초 확진 후 재감염되더라도 진단검사에서 추가로 확진을 받을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확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숨은 감염이 늘 수 있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이를 감안하면 실제 재감염률이 통계상의 20%를 넘을 수 있다”면서 “절대적 유행 규모에서 봤을 때 2022~2023년 겨울 당시의 유행 수준과 유사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미국 정부의 지원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자 변이를 추적하고 있는 유전자 검사 회사인 헬릭스는 6월 이후 샘플 검사 대비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30%에서 40%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이에 CNN헬스는 “이전에 비해 유행세가 약해졌다곤 해도, 올여름의 많은 징후가 코로나19 감염 급증을 가리키고 있다”고 평가했다.
국내 의료기관에서도 이와 유사한 지적이 이어진다. 올 초 대비 진단검사가 줄었음에도 양성 비율이 다시 높아지는 추세라는 이유에서다. 서울 역삼동에 소재한 하나이비인후과병원에선 이달 코로나19 전문가 신속항원검사의 양성 비율이 지난 1월 수준을 넘어섰다.
지난 1월 병원이 시행한 신속항원검사 건수는 950건으로 16.4%의 양성 비율을 기록했다. 이후 4월까진 6~8%의 비율을 보였지만, 5월부터 다시 1월 당시 수준을 회복하는 추세다.
지난 5월 당시 병원에선 1018건의 신속항원검사를 시행했고 양성비율은 전월 8.3%에서 14.2%로 뛰어올랐다. 특히 7월에는 758건의 신속항원검사를 시행했음에도 17.5%로 올해 가장 높은 수준의 양성비율을 기록했다.
‘차분한 대응’ 필요… 의료체계 정비·취약 계층 고려해야
이런 탓에 의료계는 정부의 추가 방역 완화 움직임에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의료계 일각에선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되더라도 실제론 검사를 안 받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기에 실제 확진자 규모가 현재의 2~3배 이상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31일 대한의원협회는 “일선에서 코로나19 환자와 독감 환자를 직접 대면하면서 매일 진료하는 의원급 입장에서 보면 너무나도 성급한 방역 정책 완화가 아닌지 매우 걱정스럽다”면서 정부가 결정을 재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해당 조치에 따라 향후 신속항원검사 비용을 환자가 부담하는 변화에 대한 우려가 컸다.
이에 대해 “신속항원검사를 비급여로 변경하면 검사를 받는 환자 수가 대폭 줄어들고 드러나지 않는 수만 명의 환자들로 인해 가을에 다시 대유행이 발생할까 심히 우려스럽다”면서 “국민 건강에 역행하는 졸속한 조치”라고 비판했다.
감염병 등급 하향에 따라 병원에서의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하는 방안에 대한 지적도 이어진다.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는 한 방송에서 “병원에선 지금 정도의 유행 수준만 되더라도 잠복기로 입원하신 환자나 면회객들로 인해서 원내 발생 환자가 많이 늘게 된다”면서 “병원들은 의무를 해제하더라도 계속해서 마스크 착용을 권고할 수밖에 없어 현장에선 민원 제기가 많아지고 마스크를 벗고 싶어 하는 분들과의 갈등 상황이 잦아져 혼란을 준다”고 말했다.
이재갑 교수는 이어 “의료기관에 대해선 환자 관리 측면에서 의료 체계가 버틸 수 있도록 코로나19 감염 환자의 병실 유입 등에 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며 “국민을 상대로는 멀티데믹 상황에서 코로나19와 독감이 감별이 안 되는 점을 고려해 격리 조치 등에 대한 추가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제도적으로 호흡기 증상 발현 시 격리를 위해 휴식을 보장하고 증상 개선 여부에 따라 격리 해제, 재택근무 여부 등을 체계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재훈 교수는 향후 정부와 국민의 “차분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는 “백신 접종과 감염으로 형성한 복합면역의 위중증 예방 효과는 여전히 강력하고 충분한 의료대응역량이 있기에 예전의 강력한 방역 정책이 필요한 정도는 아니지만, 아무리 일상을 회복하더라도 연간 2번의 유행이 몇 년간 이어질 수 있으며 이 정도의 감염 규모는 여전히 공중보건에 대한 위험”이라고 평가했다.
따라서 정 교수는 개인으로선 △호흡기 바이러스 예방 수칙을 잘 지켜 최대한 감염을 피하고, 정책적으론 △고위험군에 대한 보호 △취약한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원 △미래 감염병에 대한 투자 등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첫댓글 건강정보고맙습니다
조심이 최선의 방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