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베어스사랑 다 모이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 펌글,기타알림방 스크랩 [필독] OB와 두산 bears의 모든 것
독불장군(윤대준) 추천 0 조회 5,705 09.07.24 20:23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두산 베어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두산 베어스
Doosan Bears
회사명 두산
설립연도 1982년
소속 리그
한국 야구 위원회
한국 프로 야구(KBO)
이전 구단명
OB 베어스 (1982년~1998년)
홈구장
서울 잠실야구장
수용 인원 26,986명 (최다 30,500명)
연고지 서울특별시
영구 결번
21 박철순, 54 김영신
역대 타이틀
한국시리즈 우승(3회)
1982년?1995년?2001년
성적(타이틀 이외)
한국시리즈 출장(7회)(굵은 글씨는 승리한 해)
3승 4패
1982?1995?2000?2001?2005?2007?2008
플레이오프(9회)(굵은 글씨는 승리한 해)
5승 4패
1986?1987?1999?2000?2001?2004?2005?2007?2008
준플레이오프(4회)(굵은 글씨는 승리한 해)
2승 2패
1993?1998?2001?2004
구단 조직
운영모체 두산 그룹
감독 김경문
유니폼
모자
좌완
상의
우완
하의
양말
홈경기
모자
좌완
상의
우완
하의
양말
원정경기
틀 보기  위키프로젝트 야구

두산 베어스(Doosan Bears)는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팀이다.

1982년 1월 15일 충청도(충청남도충청북도)를 연고로 'OB 베어스'라는 팀명으로 대한민국 최초의 프로 야구팀으로 창단되었다.[1]

초대 단장은 박영민, 초대 감독은 김영덕이었고 창단 첫 해 한국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1985년부터 연고지를 서울특별시로 이전했다. 하지만 이후 중하위권을 기록하다가, 1994년 김인식이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1995년, 2001년 한국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그리고 OB맥주벨기에의 주류기업인 인터브루에 매각되면서 1999년 1월 5일에 두산 베어스로 팀 이름을 바꾸었다.

2004년 시즌부터 김경문이 감독을 맡고 있다.

[편집] 역사

1981년 12월 초, 모기업인 두산은 팀 이름을 'OB 베어스'로, 감독에는 재일 한국인 출신의 김영덕을 내정하고,[2] 1982년 1월 15일, 대한민국 최초의 프로 야구단으로 창단했다.[1] 프로 야구 첫 해인 1982년, OB는 박철순의 22연승, 전후기 통합 7할의 승률로 정규 시즌 1위를 기록하며 포스트 시즌에 진출, 한국 시리즈 6차전에서 김유동이 9회 끝내기 만루홈런을 쳐내면서 MVP에 선정되어 4승 1무 1패로 우승을 차지했다.[3] 그러나 1983년 시즌에는 순위가 5위로 하락하면서 그해 10월 14일, 김영덕 감독이 팀 부진의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4] 1984년, 감독에 투수코치였던 김성근이 새로 부임했으며, 1984년 3위, 1985년부터 1987년까지 4위, 1988년에는 5위를 기록했다.

1988년부터 1990년 시즌 중까지 이광환이, 1990년 시즌 중부터 1991년 시즌 중까지 이재우가 각각 감독을 맡았으나 팀은 하위권을 기록했다. 1991년 시즌 중부터 윤동균이 감독으로 부임했으며, 1994년 시즌 중까지 감독을 맡았으나, 1994년 시즌 막바지 선수단 집단 이탈 사건이 터지면서 윤동균 감독이 자진 사퇴했다. 이 해 시즌 중 6경기는 최주억이 감독 대행을 맡았다.

이후 1995년부터 2003년까지 김인식이 감독을 맡았으며, 1995년, 2001년 각각 한국 시리즈 우승을 이뤄냈다. 하지만 그 이후 주축 선수들이 트레이드 되거나 FA로 다른 팀으로 이적하면서 하위권을 기록했고, 선동열을 감독으로 데려오려다가 김경문이 감독에 부임해 2004년부터 현재까지 2위를 3번, 3위를 1번 기록했다.

[편집] 영구 결번


포수: 1985-1986
1986년 결번

투수: 1982-1996
2002년 결번

두산 베어스의 영구 결번은 54번, 21번이며, 54번은 성적 비관으로 인한 자살한 김영신의 배번으로, OB 베어스 측에서 애도하는 의미에서 영결식을 치르고, 대한민국 프로 야구 최초로 영구 결번했다.[5] 21번은 박철순의 번호로 2002년 4월 5일 시즌 개막전 경기 전 영구 결번식을 통해서 영구 결번되었다.[6]

[편집] 역대 선수단

[편집] 역대 감독

이름  ↓ 재임 기간  ↓ 승  ↓ 패  ↓ 무  ↓ 비고  ↓
김영덕 1982년 1월 15일 ~ 1983년 100 79 1
김성근 1983년 10월 14일 ~ 1988년 274 250 10
이광환 1988년 9월 9일 ~ 1990년 69 93 4
이재우 1990년 10월 17일 ~ 1991년 45 103 5
윤동균 1991년 9월 9일 ~ 1994년 198 210 11
김인식 1994년 9월 21일 ~ 2003년 579 556 33
김경문 2004년 ~ 현재 275 227 9 2008년까지 포함

[편집] 역대 주요 선수

이름  ↓ 국적  ↓ 포지션  ↓ 두산(OB)에서의 경력  ↓
김유동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외야수 1982-1983
김우열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외야수 1982-1985
유지훤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내야수 1982-1988
윤동균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외야수 1982-1989
조범현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포수 1982-1990
계형철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투수 1982-1991
신경식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내야수 1982-1990
김경문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포수 1982-1989, 1991
김광수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내야수 1982-1992
구천서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내야수 1982-1993
박철순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투수 1982-1996
장호연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투수 1983-1995
한대화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내야수 1983-1985
윤석환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투수 1984-1990
김광림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외야수 1984-1993
이종도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내야수 1985-1987
김형석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내야수 1985-1997
박현영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포수 1987-1996
이명수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내야수 1989-1997
임형석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내야수 1990-1996
김상진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투수 1990-1998
김상호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외야수 1990-1998
김태형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포수 1990-2001
강병규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투수 1991-1999
권명철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투수 1992-1998, 2003-2004
이광우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투수 1992-2001
안경현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내야수 1992-2008
장원진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내야수 1992-2008
김경원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투수 1993-1998
김민호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내야수 1993-2003
류택현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투수 1994-1998
심정수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외야수 1994-2003
이도형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포수 1994-2001
진필중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투수 1995-2002
정수근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외야수 1995-2003
최기문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포수 1996-1998
진갑용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포수 1997-1998
타이론 우즈 미국의 국기 미국 내야수 1998-2002
차명주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투수 1999-2003
홍성흔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포수 1999-2008
다니엘 리오스 미국의 국기 미국 투수 2005-2007
맷 랜들 미국의 국기 미국 투수 2005-2008

[편집] 역대 외국인 선수

2009년

미국의 국기 미국 맷 랜들 (시범 경기 중 퇴출)
미국의 국기 미국 맷 왓슨 (시즌 중 퇴출)
도미니카 공화국의 국기 도미니카공화국 후안 세데뇨
미국의 국기 미국 크리스 니코스키

2008년

미국의 국기 미국 맷 랜들
미국의 국기 미국 게리 레스 (시즌 중 퇴출)
미국의 국기 미국 저스틴 레이어 (시즌 중 퇴출)

2007년

미국의 국기 미국 맷 랜들
미국의 국기 미국 다니엘 리오스

2006년

미국의 국기 미국 맷 랜들
미국의 국기 미국 다니엘 리오스

2005년

미국의 국기 미국 맷 랜들
미국의 국기 미국 척 스미스 (시즌 중 퇴출)
미국의 국기 미국 다니엘 리오스

2004년

미국의 국기 미국 게리 레스
도미니카 공화국의 국기 도미니카공화국 이지 알칸트라 (시즌 중 퇴출)
미국의 국기 미국 마크 키퍼 (시즌 중 퇴출)


2003년

일본의 국기 일본 이리키 사토시
미국의 국기 미국 마이크 쿨바 (시즌 중 퇴출)
미국의 국기 미국 마크 키퍼

2002년

미국의 국기 미국 타이론 우즈
미국의 국기 미국 게리 레스
빅터 콜

2001년

미국의 국기 미국 타이론 우즈
미국의 국기 미국 트로이 닐 (시즌 중 퇴출)
미국의 국기 미국 마이크 파머 (시즌 중 퇴출)
오스트레일리아의 국기 오스트레일리아 쉐인 베넷 (시즌 중 퇴출)
빅터 콜

2000년

미국의 국기 미국 타이론 우즈
미국의 국기 미국 마이크 파머

1999년

미국의 국기 미국 타이론 우즈
베네수엘라의 국기 베네수엘라 에드가 케세레스 (시즌 중 퇴출)

1998년

미국의 국기 미국 타이론 우즈
베네수엘라의 국기 베네수엘라 에드가 케세레스

[편집] 역대 신인 지명

  • 선수 이름은 지명 순서대로 나열되었다.
  • 이름에 가로줄이 그어진 것은 해당 선수에 대한 지명권을 포기했음을 의미한다.

[편집] 1차 지명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장호연
정선두
박종훈
이선웅(지명권 양도)
한대화
정구선(지명권 양도)
송일섭(지명권 양도)
한오종
장훈
김성호
윤석환
김남수
기세봉
김수남
홍희섭
사인상
김영하
이광국
배원영
오덕환
김광림
김명구
김진욱
김형석
김영신
이승희
윤수봉
김문수
이종융
천성호
이종원
박상석
김일중
권광운
탁재원
계동식
도이석
박노준
박형열
임채섭
이복근
조석신
김희식
김현찬
정광식
차재택
박상익
조재환
김경남
김태진
이석재
김원식
정삼룡
이진
김동현
김보선
임형석
김경원
황일권 손경수 추성건 류택현 송재용 최기문 이경필 김동주 홍성흔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문상호 황규택 이재영 노경은 김재호 김명제 남윤희 임태훈
이용찬
진야곱 성영훈

[편집] 2차 지명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없음 임재준 박기수 김강익
박칠성
임동구
박희종
진상봉
박병준
박상국
김용희
길홍규
김태형
정형진
구동우
이명수
김진규
곽연수
하득인
안종호
서준룡
조정수
김상진
한형탁
김만조
김익재
정효형
노춘섭
권영일
구교록
이병우
박천유
이상현
권명철
안경현
박철홍
장원진
허영철
한국일
박상근
김종성
김덕칠
김종신
염상엽
홍우태
김광현
한태균
윤기수
문희성
진필중
서석영
박성균
이보형
최윤승
장보성
강영수
정원석
박찬협
임봉수
이정주
박상언
강봉규
김규식
표성대
이기승
홍재호
김용혁
장건희
윤준호
진갑용
김영수
강규철
김도형
김환조
김도균
김원섭
윤태수
강신창
박수현
이용우
장인규
송원국
이혜천
김지훈
김주용
이영일
오세학
유석호
박세훈
조은진
유병목
이재우
구판진
정종수
장성진
이승준
이광오
정재훈
노기환
백대운
김성배
김호영
백승훈
김성균
박종윤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구자민
방승재
성민국
장원영
정재훈
홍마태
정진용
홍석균
맹진영
김상현
김태구
김용영
이대현
배광진
임창섭
이범석
손제민
최홍진
채태인
이수
고영민
박종섭
이경환
황덕균
이민택
이승엽
박훈범
최종군
오주헌
이상원
하정인
김명효
전병두
나주환
김만윤
김영준
김승회
김영진
허도환
최영주
오재원
이원희
이경민
윤석민
남찬섭
구명환
김수훈
오현근
용덕한
김무학
서동환
조현근
이호성
금민철
윤형관
박정배
이윤호
김용성
민병헌
박성남
송영찬
유상우
최주환
홍병오
양의지
박진원
이원재
이두환
권영준
김강률
이정민
이용호
조영민
장동우
문준용
김재환
고창성
홍상삼
김용의
윤요한
윤도경
박민석
허경민
박건우
조승수
배상현
정수빈
유희관
김진형
민정후

[편집] 고졸 우선 지명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김선우(보스턴 입단)
박명환
한명윤
최성훈
김성환
김덕용
이경수
유재웅
윤상무
구자운

[편집] 유니폼

[편집] 응원

타자마다 응원하는 방법이 서로 다르며, 두산 주자가 1루, 혹은 2루에 있을 때 상대 투수가 견제를 하면 팬들은 일제히 "에이~~"를 외치면서 야유를 한다. 7회초와 9회초 사이에서는 봄여름가을겨울의 노래 Bravo, My Life!에 맞춰 응원단장이 관중들에게 불꽃 응원을 이끌기도 한다.

두산 베어스에는 여러가지 응원가 및 구호가 있고, 이 중 제일 많이 사용되는 응원 구호가 "짝짝, 짝짝짝, 짝짝짝짝, 두산!"이다. 게임 분위기가 유리해지면 "어~ 어~ 두산! 어~ 어~ 두산! 라~라~라~라~라~라~라~라~ 베~~어스~~"를 반복해서 부르기도 한다.

[편집] 타자 응원가

두산~ 손~ 시헌 오~오~ 오~~ 오~오~
날려라 이~종~욱~ 이~종~욱~ 이~종~욱~~ 날려 버려~~ 두산의 이종욱이다~ 날려라 이~종~욱~ 이~종~욱~ 이~종~욱~~ 날려 버려~~ 두산 이종욱~~
오! 재원 안타~ 날려버려~ 오! 재원 안타~ 날려버려~ 오! 재원 안타~ 날려버려~ 예! 예!
빠~바~ 빠바밤~ 빠바밤~ 빠바밤~ 빠~바~ 빠바밤~ 김! 현! 수!
  • 김동주 (원곡: 동요 '종이 비행기')
동~~ 주~~ 동~ 주~ 김~ 동~ 주~ 헤이! 김~ 동~ 주~ 헤이! 김~ 동~ 주~ 헤이! 동~~ 주~~ 동~ 주~ 김~ 동~ 주~ 헤이! 홈~ 런~ 김~ 동~ 주~!
  • 고영민 (배경 음악: 컴퓨터 형사 가제트의 테마송)
(테마송의 첫 구절 다음에 고~~제트! 두 번째 구절 다음에 안~ 타~! 세 번째 구절과 네 번째 구절은 첫 번째와 두 번째 구절과 동일하다.)
날려라~ 준~! 날려라~ 석~! 날려라~ 최~준~석~! 홈런! 날려라~ 준~! 날려라~ 석~! 날려라~ 최~준~석~! 홈런!
재호 재호~~재호 재호~~재호 재호~~재호 재호~~ 안타~ 한번~ 날려줘요~~
안~타~ 정수빈~ 안타안타 정수빈~ 날려라~ 날려라~ 안타안타 정수빈~
용덕한 용덕한 용덕한 안타! 랄라랄라랄라랄라 용덕한!
날려라~ 두산의 이원석 날려라~ 두산의 이원석 날려라~ 두산의 이원석 날려~ 어어어어~~

[편집] 투수 응원가

투수들에게 응원가는 별도로 없으나, 삼진이나 병살, 도루를 잡거나 견제사로 아웃카운트를 잡으면 박현빈의 노래 샤방샤방의 맨 마지막 부분 "아주 그냥 끝내줘요~~"가 잠실 야구장에 울려 퍼진다

[편집] 행사

[편집] 베어스 데이

베어스 데이는 2004년 7월 24일부터 시작된 프로모션 용 이벤트로, 매월 마지막 일요일 홈 경기에 행사가 열린다[7](2004년~2007년에는 토요일). 베어스 데이는 홈페이지 여론 조사를 실시를 통해서 기획되었다.[7]

두산 베어스는 특히 베어스데이 성적이 저조하여 팬들은 이를 베어스데이의 저주라 한다.

이 날에는 다음과 같은 혜택이 주어진다.[7]

  • 어린이 팬은 무료로 입장.
  • 일반 팬은 전 좌석 입장권의 50% 할인.
  • 승리시, 해당일의 입장권을 매표소에 내면 당일 입장권을 받아 경기장 입장 가능.(2007년까지만 실시됨)
  • 팬 사인회
  • 제휴사를 통한 경품행사.

[편집] 퀸스 데이

퀸스 데이는 2009년 시즌 부터 매달 특정 목요일을 지정해 열리는 행사로 여성 팬에 대한 보답과 동시에 여성 관중 확대를 겨냥해 기획된 행사이다. 행사 당일에는 감독, 코칭 스태프를 비롯한 모든 선수단이 '퀸스데이' 용 유니폼과 모자를 착용하고 경기에 나선다.[8]

이날에는 다음과 같은 혜택이 주어진다.[8]

  • 여성 팬에게 일반석 2000원 할인.
  • 'VIPS'의 샐러드바 무료 식사권(3인 이상 식사시 사용 가능)을 증정.
  • 전-후반기 종료 후 응모권 추천을 통해 뉴칼레도니아 항공권 제공.
  • 포토타임 실시.

[편집] 플레이어스 데이

[편집] 연고지 이전에 대한 논란

한국야구위원회 창설 당시 6개 구단의 연고지는 구단주의 고향을 중심으로 정하기로 했다. 두산그룹 일가는 서울 토박이로, 두산그룹의 모태가 됐던 '박승직 상점'의 뿌리가 서울 종로의 배오개시장(현 광장시장)에서 출발했다. 그래서 애초에 두산그룹의 자회사인 OB가 서울을 연고지로 삼기로 했었다. 그러나 KBO 창설 과정에서 일본프로야구의 최고 인기를 자랑하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예를 들어, MBC언론통폐합 이전까지 자회사였던 경향신문와 함께 언론사로서 야구 붐을 조성할 수 있다는 판단 아래 MBC 청룡이 서울을 연고로 했고, OB는 대전.충청지역을 연고로 한 제7구단가 창단되기 전 까지 대전.충청지역을 연고로 삼았다. 그리고 1985년 제7구단인 빙그레 이글스가 창단되자 OB는 서울로 이전하여 1년간 서울구장(동대문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다 1986년부터 지금의 홈구장인 잠실구장으로 옮기게 된다.

[편집] 통산 기록

연도 팀 이름 경기수 타율 승률 득점 안타 홈런 출루율 장타율 도루 기타
1982 OB 80 0.283 56 24 0 0.700 399 778 57 0.351 0.412 106 전기 1위, 후기 2위
한국 시리즈 우승
1983 100 0.259 44 55 1 0.444 418 863 50 0.326 0.362 60 전기 6위, 후기 5위
1984 100 0.256 58 41 1 0.586 382 816 53 0.336 0.359 111 전기, 후기 2위
1985 110 0.260 51 57 2 0.472 473 954 67 0.334 0.370 107 전기 2위, 후기 5위
1986 108 0.249 56 48 4 0.538 369 880 38 0.319 0.331 78 전기 5위, 후기 1위,
플레이오프 진출
1987 108 0.261 55 52 1 0.514 415 927 30 0.328 0.340 73 전기 2위, 후기 4위
1988 108 0.258 54 52 2 0.509 418 923 44 0.321 0.349 87 전기 3위, 후기 5위
1989 120 0.247 54 63 3 0.463 447 970 42 0.319 0.335 135 정규 시즌 5위
1990 120 0.231 35 80 5 0.313 404 901 62 0.309 0.329 83 정규 시즌 7위
1991 126 0.250 51 73 2 0.413 501 1054 59 0.321 0.350 136 정규 시즌 8위
1992 126 0.259 56 66 4 0.460 547 1096 110 0.332 0.393 96 정규 시즌 5위
1993 126 0.258 66 55 5 0.544 473 1066 59 0.328 0.360 86 정규시즌 3위
1994 126 0.246 53 72 1 0.425 477 1013 75 0.313 0.348 81 정규 시즌 7위
1995 126 0.266 74 47 5 0.607 629 1154 106 0.326 0.399 121 정규 시즌 1위,
한국시리즈 우승
1996 126 0.242 47 73 6 0.397 446 1008 82 0.304 0.355 78 정규 시즌 8위
1997 126 0.254 57 64 5 0.472 511 1070 84 0.324 0.361 143 정규 시즌 5위
1998 126 0.256 61 62 3 0.496 520 1080 102 0.317 0.383 123 정규 시즌 4위
1999 두산 132 0.284 76 51 5 0.598 721 1305 141 0.355 0.438 136 드림 리그 1위,
플레이오프 진출
2000 133 0.289 76 57 0 0.571 694 1325 150 0.359 0.441 115 드림 리그 2위,
한국시리즈 준우승
2001 133 0.276 65 63 5 0.508 732 1266 130 0.359 0.421 132 정규 시즌 3위,
한국시리즈 우승
2002 133 0.261 66 65 2 0.504 587 1173 130 0.331 0.396 106 정규 시즌 5위
2003 133 0.276 57 74 2 0.435 563 1251 90 0.346 0.390 58 정규 시즌 7위
2004 133 0.268 70 62 1 0.530 606 1200 89 0.342 0.381 71 정규 시즌 3위
2005 126 0.270 72 51 3 0.585 596 1147 63 0.351 0.365 103 정규 시즌 2위
2006 126 0.258 63 60 3 0.512 455 1068 55 0.328 0.347 132 리그 5위
2007 126 0.263 70 54 2 0.565 578 1103 78 0.343 0.383 161 정규 시즌 2위,
한국시리즈 준우승
2008 126 0.276 70 56 0 0.556 647 1198 68 0.354 0.378 189 정규 시즌 2위,
한국시리즈 준우승

[편집] 참조

  1. 네이버 디지털 뉴스 아카이브 “OB베어스 창단식 프로야구 첫출범”, 《동아일보》, 1982년 1월 16일 작성, pp. 8면. 2009년 5월 20일 확인.
  2. 네이버 디지털 뉴스 아카이브 “프로야구 구단들, 감독·팀명칭 결정”, 《경향신문》, 1981년 12월 11일 작성, pp. 8면. 2009년 5월 20일 확인.
  3. 네이버 디지털 뉴스 아카이브 “환상적 아치에 삼섬 넋잃고… OB 감격의 만세”, 《동아일보》, 1982년 10월 13일 작성, pp. 8면. 2009년 5월 31일 확인.
  4. 네이버 디지털 뉴스 아카이브 “김영덕감독 사임 OB 부진등으로”, 《매일경제》, 1982년 10월 15일 작성, pp. 12면. 2009년 5월 21일 확인.
  5. 홍윤표. “홍윤표의 휘뚜루 마뚜루 - 등번호가 뭐길래 ①선동렬이 18번을 달게된 사연”, 《OSEN》, 2006년 12월 4일 작성. 2009년 5월 31일 확인.
  6. 정수익. “[프로야구 개막전 표정] 김종훈 첫 병살타… 박정환 실책 불명예”, 《국민일보》, 2002년 4월 5일 작성. 2009년 5월 31일 확인.
  7. 구경백. “<구경백의 프로야구 산책>할인·이벤트로 관중 불러라”, 《문화일보》, 2004년 7월 28일 작성. 2009년 5월 26일 확인.
  8. 이정호. “두산, 2009시즌 여성팬 위한 '퀸스데이' 이벤트 실시”, 《마이데일리》, 2009년 2월 27일 작성. 2009년 5월 29일 확인.

[편집] 외부 링크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