辛金
1. 자의(字意)
새롭다는 뜻으로 결실이 된 열매가 익어 씨앗이 되니 다시 새로워진다는 의미입니다.
2. 성정(性情)
이미 사물이 완성되어 이루어진 상태로 자신에 대해 지나치리만큼 완벽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민하고 섬세하며 타인을 의식하여 행동하니 유행에 민감하고 멋을 추구합니다.
매사에 정확성을 요구하며 냉정하고 까다롭습니다.
3. 음양적(陰陽的) 관점
경금(庚金)이 숙살(肅殺) 기운이 외양(外樣)으로 드러나는 반면 신금(辛金)은 포양(包陽)의 작용이 외양(外樣)으로 두드러지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이미 완숙한 열매가 본체에서 분리되어 개체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러한 작용을 배경에 깔고 있기 때문에 신금(辛金)은 깔끔한 모양을 갖추려 하고 개별적 성향이 강하게 됩니다.
분명하고 정확한 것을 좋아하는 것도 이러한 기본적 성향에 의해 생기는 것입니다.
4. 오행적(五行的) 관점
신금(辛金)은 개별적 성향이 존중되어야 아름다운 명(命)이 되는데 토(土)가 많은 것을 제일 꺼리는 것은 이러한 성향이 묻히기 때문입니다.
지지(地支)에 유금(酉金)이 있거나 임수(壬水)만 있어도 신약(身弱)을 논(論)하지 않습니다.
병화(丙火)를 보면 자신의 성향을 밖으로 드러내어 능력을 발휘하게 되는데 임수(壬水)의 도움이 없으면 재능을 갖추기 어렵습니다.
5. 계절적(季節的) 관점
1) 춘절(春節)
목왕절(木旺節)은 신금(辛金) 일간이 부담스러운 시기입니다.
신금(辛金)은 본래 어느계절이라도 목(木)을 다스리는데 목적(目的)을 세우게 되면 파란을 벗어나기 어렵습니다.
임수(壬水)로 신금(辛金)의 재능(才能)을 갖추고 병화(丙火)로 목(木)의 기운을 이끌어 자신의 모습을 갖추어야 합니다.
2) 하절(夏節)
임수(壬水)의 작용이 적극적이어야 하며 갑목(甲木)으로 토왕(土旺)해지는 것을 조절해야 합니다.
궁핍해져도 토(土)의 사용은 꺼리게 됩니다.
3) 추절(秋節)
병화(丙火)로 모습을 만들고 임수(壬水)로 재능을 만듭니다.
목(木)의 작용은 간접적으로 토(土)를 조절하고 수(水)의 흐름을 만드는 것으로 족할 것입니다.
4) 동절(冬節)
병화(丙火)를 쓰고 임수(壬水)를 사용하는데 목(木)으로 수(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어야 순조로운 명(命)이 됩니다.
6. 물상(物象)
연금(軟金), 폐(肺), 상(霜), 검도(劍刀), 주옥(珠玉), 관(冠), 장식, 파이프, 술잔, 트로피, 시계, 거울, 화장품, 수입품, 미국, 전화기, 카메라, 소형자동차, 면도칼, 술병, 커피 잔, 금은방, 목탁, 백금, 주정(酒精), 작은정, 귀금속, 의료기구, X-RAY, 유리그릇, 가위 액세사리, 통닭, 전자제품, 마이크, 수입품코너, 인쇄기
7. 희기(喜忌)
신금(辛金)은 이미 완성된 상태로 또 다른 인공적인 작업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정화(丁火)를 싫어하며 임수(壬水)를 보아야 자신의 뜻을 이룰 수 있습니다.
토(土)가 많으면 매금(埋金)되어 자신을 드러내기 어려우며 병화(丙火)를 보면 주변의 도움을 크게 받을 수 있습니다.
8. 천간(天干)과의 관계
辛 + 甲 :매금(埋金)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나 木을 직접 다루는 것은 본신(本身)을 어렵게 만든다.
辛 + 乙 :오래가지 못하며 사치하기 쉽다. 상대를 쉽게 생각하니 인덕(人德)을 얻기 어렵다.
辛 + 丙 :귀(貴)를 얻을 수 있으며 자신의 능력을 드러내 뜻을 펼친다.
辛 + 丁 :완성된 형(形)을 망가트린다. 쓸모없는 짓 엉뚱한 짓을 하기 쉽다.
辛 + 戊 :매금(埋金)되기 쉬우니 印星 도움보다 피해가 염려된다. 갑목(甲木)의 소토가 필요하다.
辛 + 己 :본신(本身)의 모습이 가려지고 임수(壬水)를 흐리게 하니 표현(表現)이 왜곡(歪曲)되기 쉽다.
辛 + 庚 :병화(丙火)의 작용이 있으면 비교우위라 생각하니 교만(驕慢)하고 자기중심적이기 쉽다.
辛 + 辛 :경쟁(競爭), 투쟁(鬪爭)이 강(强)하여 잘난 척 한다. 재주는 좋으나 기회를 놓치기 쉽다.
辛 + 壬 :깔끔하다. 자신의 재능을 갖추는 것이 된다. 병화의 도움이 있어야 인정받는다.
辛 + 癸 :겉치레만 심하고 실속이 없다. 임기응변은 뛰어나나 일관성이 부족하다.
9. 신금(辛金)의 통변(通辯)
신금(辛金)은 예민하고 정확한 것을 좋아하며 잘 포장하여 자신을 드러내기를 원하니 임수(壬水)로 세척(洗滌)하고 병화(丙火)로 비추어야 신금(辛金)의 특성을 제대로 살릴 수 있습니다.
임수(壬水)와 갑목(甲木)만 있게 되면 부(富)를 얻을 수 있으나 귀(貴)를 논하기는 어렵고 정화(丁火)만 있으면 형(形)이 망가지게 되니 뜻을 이루기 어렵습니다.
무토(戊土)를 보면 신세를 한탄하게 되고 기토(己土)는 신약한 경우 도움을 얻을 수 있으나 본신의 평안일 뿐입니다.
을목(乙木)을 보면 사치로 흐르게 되고 갑목(甲木)이 있으면 감당하기 어려운 재물이 들어오고, 갑목(甲木)이 무토(戊土)를 조절하여 매금(埋金)을 막으면 기이(奇異)한 명(命)이 됩니다.
춘철(春節)의 신금(辛金)은 부모의 속을 썩이게 되고 묘월(卯月) 신금(辛金)은 특히 조심해서 관찰해야 합니다. 여름철 신금(辛金)은 오직 임수(壬水)의 도움이 필요하며 기토(己土)나 계수(癸水)가 작용하게 되면 화(禍)를 자초할 것입니다.
미월(未月) 신금(辛金)이 임수(壬水)와 을목(乙木)을 보면 미인지명(美人之命)이나 실속이 부족합니다.
정화(丁火)가 임수(壬水)와 합거(合去)하면 편법을 사용하게 되니 결국 자신을 속이게 됩니다.
겨울에 난 신금(辛金)이라도 임수(壬水)가 있고 병화(丙火)가 있어야 하며 계수(癸水)나 토(土)가 투간(透干)하면 능력을 갖추기 어렵습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辛일주에 甲이 있으면 甲+己 합하여, 甲 극 土하여, 戊 己로 부터 辛의 매립을 막아준다..
카 아~~ 감사 합니다. ㅎ
공부합니다~~
한번 한번 읽어 봅니다.~~
신금 공부 잘 하고 갑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