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기재배와 촉성재배 기술
보통 자연 상태에서 두릅 순의 수확은 4월 하순부터 5월 상순에 이뤄지지만
조기재배와 촉성재배로 두릅 순 생산을 앞당길 수 있다.
조기재배법은 보통 정아에 비닐봉투 등을 씌워서 보통의 순보다 일주일 정도 앞당겨 두릅 순을 생산하는 방법이다.
봄철에 해동이 완전히 끝나지 않은 2월 중순부터 3월 상순쯤 폭 6cm, 길이 20cm 정도의 봉투를
정아가 신장할 때에 정아 밑 나무 부분에 감아 씌워주면 두릅 싹이 길게 자라고 연화된다.
그러나 두릅나무는 줄기에 가시가 있고 전정을 해도 줄기가 일정하게 자라지 않아서
과수처럼 봉지 씌우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필자는 수년 전 경기도 안양에서 두릅나무에 반투명한 플라스틱 막걸리병을 씌워서 조기재배하는 것을 보았는데
좋은 방법이 될 수 있겠다.
어느 정도 빛이 투과되는 플라스틱 용기를 대량으로 씌울 수 있다면 조기재배에 매우 좋은 방법이 될 것으로 보인다.
두릅나무의 촉성재배는 겨울철에 두릅 순의 조기 출하를 위해 두릅의 가지를 잘라
비닐하우스 내에서 온도와 습도를 맞추어 주어 싹을 틔운 후 수확하는 방법이다.
이 재배법은 12월부터 이듬해 4월 초까지 농한기의 유휴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유망한 재배법이다.
국내에서 두릅나무의 촉성재배는 경기도 가평군에서 주로 실시되고 있고
이곳에서 겨울철에 생산되는 두릅 순이 전국 생산량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방법은 가을철에 낙엽이 진 다음 약 1개월이 경과된 무렵 11월 하순부터 두릅나무를 길이 50cm 정도로 잘라
하우스 내에 빽빽하게 세워두고 낮에는 20~25℃, 밤에는 10~15℃로 온도를 유지하며
물을 뿌려주어 싹을 틔워 새순을 수확하는 방법이다.
가평군의 두릅순 촉성재배는 50년 이상의 전통을 자랑한다.
촉성재배용 두릅나무 대목은 전량 중국에서 수입해 사용하고 있다.
한때 1,000만 개 이상의 두릅나무 대목을 수입해 50여 농가에서 재배했으나
현재는 물량이 3분의 1 정도로 줄어들었고 재배 농가도 10여 농가에 불과한 상태다.
매년 대목 수입에 어려움이 따르고 원산지 표기로 인해 생산된 두릅 순이 중국산으로
판매되어 수요가 줄어드는 상황이다.
따라서 두릅나무의 촉성재배는 경기도 가평 이외 다른 지역에서는 장려할 방법은 못 되는 상태다.
|
일본 야마나시(山梨)현 종합농업시험장에 따르면
이 병의 병원균은 조균류라는 곰팡이의 종류임이 밝혀져 ‘두릅나무의 입고역병’이라 명명됐다.
병원균은 파이토프토라 캑토룸(Phytophthora cactorum)의 근연의 일종으로 동정됐다.
입고역병의 증상은 새싹이 생기를 잃은 것처럼 보이면서 수일 이내에 잎이 시들어 떨어진다.
그리고 나무의 그루터기 부분과 뿌리 부분의 조직이 물러지며 흑갈색으로 부패된다.
부패는 처음에는 형성층에서 시작해 점차 목질부까지 이른다.
입고역병은 지온이 15~27℃로 다습일 때 발생하기 쉽고,
특히 다비(多肥)나 밀식(密植)의 경우에 쉽게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며
포지의 제초 작업 시 뿌리의 절단은 이병을 촉진시킨다.
입고역병은 발생하면 가까운 시일 내에 밭 전체로 퍼져 나무가 전멸하기 때문에
우선 발생하지 않도록 종합적인 방제 체계를 갖춰야 한다.
몇 가지 방제법으로는,
1) 뿌리삽수(종근)는 반드시 병이 없는 나무에서 채취하여 종근의 선별과 소독을 철저히 한다.
2) 질소시비를 적게 한다.
3) 여름철에는 되도록 두릅나무 밭에 들어가지 않는다.
4) 밭의 이랑을 높게 설치하여 배수가 잘 되도록 한다.
5) 발병하면 나무를 신속하게 잘라내 소각하고 그 밭에서는 번식용 뿌리를 채취하지 않는다 등이다.
한편 더뎅이병은 주로 장마철을 전후하여 많이 발생하는 병으로 잎과 줄기에 치명적인 피해를 준다.
이 병은 강원도 농업기술원에서 분류 동정하여 Elsinoe araliae인 것으로 밝혀져 두릅의 더뎅이병으로 명명했다.
병징의 초기에는 잎에 갈색의 반점이 생기며 병반이 엽맥을 따라 진전해 융합되고 심하면 잎 전체가 뒤틀리고 고사한다. 가지와 줄기는 병반이 반원형으로 융합되어 전형적인 더뎅이 증상을 나타낸다.
이 병해의 대책으로서는 휴면기에 석회유황합제 20배 액을 그루터기 전체에 살포하고 생육기에 발병이 보이면
톱지 M수화제 1,500배 액이나, 벤레이트 수화제 2,000배 액을 2회 정도 살포하면 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두릅 순은 무공해 산채로 인기가 있는 만큼 재배지에서 이러한 병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친환경적인 재배가 되도록 우선 노력해야 한다.
두릅나무 재배는 어렵지 않다.
양지바르고 배수가 잘 되는 곳을 택하면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재배할 수 있다.
뿌리삽목(근삽)으로 번식이 매우 잘 되어 단기간에 다량의 묘목을 만들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식재 후 2~3년부터 두릅 순 생산이 가능하여 단기 소득 수종으로 적합하다.
두릅 순은 산채로 판매가 되므로 최대한 신선한 상태로 수요자에게 공급돼야 한다.
산지에서 가까운 곳의 대형마트나 전통시장으로의 출하,
인터넷을 이용한 직거래, 지역특산물이나 민속놀이 등과 연계한 판매 전략, 기타 장아찌, 김치 등의 식재료로서
개발이 필요하다. 두릅나무의 번식기술 및 생장 특성을 익혀 농산촌의 소득 수종으로 크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출처 : 산림
글·사진 문흥규 |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공학과
첫댓글 정보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유익하고 알찬 하루되세요
찾고있는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페트병 잘라 씌워야겠습니다.
잘보았습니다.
고맙습니다
유익한 시간되세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함께해서 좋아요
밭에다 땅드릅 심으려고 묘종 불렀는데 거름같은건 안 넣고 심어도 되는거죠? 글 읽어봐도 완전 초보라 이해가 잘 안되요
거름주세요.ㅎ.ㅎ.
어떤거름을 말씀 하시는지요 . 물어보는 제가 챙피하네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