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진송씨(恩津宋氏)
氏族의 연원
시조 송대원(宋大原)의 자(字)는 천지(川至)로, 처음 이름은 견(堅)이었다고도 한다. 고려조에 판원사(判院事)를 지냈고,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졌다.
은진송씨(恩津宋氏)는 여산송씨(礪山宋氏)와 근원이 같아, 여산송씨의 시조 송유익(宋惟翊)의 아우가 송천익(宋天翊)으로 은진(恩津)에 세거하였다고 '여산송씨(礪山宋氏) 족보(族譜)'에 실려 있어 일반적으로 이렇게 알려져 있다.
그러나 '송씨문헌록(宋氏文獻錄)'을 보면, 달리 징빙삼을 만한 것이 없어서 상세히 알 수 없다고 하였다.
그리고 송천익(宋天翊) 이후의 世系(세계)를 失傳(실전), 소목(昭穆)을 밝힐 수 없어 후손 송대원(宋大原)을 시조로 하여 기세(起世)하고 본관을 은진(恩津)으로 하였다.
본관지 연혁
은진(恩津)은 충청남도 논산군(論山郡) 덕은(德恩)ㆍ시진(市津)을 합한 이름이다.
덕은군(德恩郡)은 본래 백제의 덕근군(德近郡)인데, 신라 경덕왕 때 덕은(德殷)으로, 고려 초에 덕은군(德恩郡)으로 개칭되었다.
시진현(市津縣)은 본래 백제의 가지내현(加知奈縣)인데, 신라 경덕왕이 시진(市津)이라 고쳐 덕은군(德恩郡)의 영현(領縣)으로 만들었다.
고려조 현종9년에 덕은(德恩)ㆍ시진(市津) 모두 공주(公州)의 속현으로 만들었다가 조선조 세종 1년 은진(恩津)으로 고쳤다.
1895년 군(郡)이 되었고, 1914년 논산군(論山郡)에 병합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주요 성씨로는 송(宋)ㆍ유(兪)ㆍ배(裵)ㆍ가(李)ㆍ김(金)ㆍ임(林)ㆍ장(張)씨 등이 있었다.
파명록
(3대 종파(三大 宗派))
목사공파(牧使公派), 정랑공파(正郞公派), 사직공파(司直公派)
(합파(合派))
안악공파(安岳公派), 선무랑공파(宣務郞公派), 참봉공파(參奉公派), 송담공파(宋潭公派), 승사랑공파(承仕郞公派), 습정공파(習靜公派), 수옹경헌공파(睡翁景獻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집의공파(執義公派)
(분파(分派))
삼가공파(三嘉公派), 충순위공파(忠順衛公派), 사우당효정공파(四友堂孝貞公派), 동춘당문정공파(同春堂文正公派), 판관공파(判官公派), 추파공파(秋坡公派), 우암문정공파(尤菴文正公派), 동파공파(東派公派)
주요 세거지
은진송씨(恩津宋氏)는 4세 송명의(宋明誼)가 고려 말, 지금은 충남 대덕(大德)에 속해 있는 회덕(懷德)에 터를 잡은 이래로 누대에 걸쳐 그곳에 세거하였다.
10세 송세적(宋世勣)의 대에 경남 합천(陜川)의 감가(三嘉)에 자손들이 살게 되었던 것을 비롯하여 일부 자손들이 충남 대전(大田), 금산(錦山), 충북 청원(淸原), 옥천(沃川) 등지로 산거(散居)해갔던 것으로 보인다.
8세 송요년(宋遙年)의 자손들은 대덕(大德)ㆍ대전(大田)ㆍ금산(錦山)ㆍ청주(淸州)ㆍ나주(羅州)ㆍ여주(驪州)ㆍ경산(慶山)ㆍ동래(東萊) 등지에 나뉘어 살았으며, 송순년(宋順年)의 자손들은 대덕(大德)ㆍ대전(大田)ㆍ안성(安城)ㆍ영동(永同)과 군위(軍威)ㆍ영천(永川)ㆍ선산(善山)ㆍ보은(報恩)ㆍ고창(高敞)ㆍ횡성(橫城)ㆍ거창(居昌) 등지에, 송미년(宋眉年)의 자손들은 청주(淸州)ㆍ대전(大田)ㆍ산청(山淸)에 많이 살았던 것 같다.
그리고 8세 송호년(宋胡年)의 자손들은 대덕(大德)과 청주(淸州)에 정착ㆍ세거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1930년 당시, 은진송씨(恩津宋氏)는 충남 대덕군(大德郡) 일원, 전남 진도군(珍島郡) 조도면(鳥島面), 경남 거제군(巨濟郡) 장목면(長木面), 남해군(南海郡) 남면(南面), 함양군(咸陽郡) 서하면(西下面), 합천군(陜川郡) 대정면(大井面), 평남 용강군(龍岡郡) 오신면(吾新面), 강원도 회양군(淮陽郡) 하북면(下北面), 함남 영흥군(永興郡) 순령면(順寧面)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었다.
오늘날 자손들이 모여 살고 있는 대표적 집성촌은 충남 대전시(大田市) 동구(東區) 회덕(懷德)2동(洞)이다.
이곳에 처음 뿌리를 내린 인물은 6세 송유(宋愉)다. 그는 조선조 초기에 왕자의 난(亂) 등으로 조정이 어지러워지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落鄕)하여 이곳에 터를 잡았던 것이다.
마을 전체 1백여 호 가운데 70여 호 4백여 명이 모두 그의 후손들이다.
씨족史
<주자학(朱子學)의 거유(巨儒)>, <도학(道學)정치의 대로(大老)>, <노론(老論)의 영수(領袖)>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에 대한 평가는 그를 일컫는 칭호만큼이나 각도를 달리한다. 그러나 어찌했든 그는 조선조 5백년 역사에 우뚝 선 거인(巨人)이다.
"조선조 왕조실록(王朝實錄)에 한 사람의 이름이 3천 번 이상 나오기는 오직 우암(尤庵) 뿐"이라는 사실과, 전국 42개 서원(書院)에 배향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그가 차지하는 역사적 비중을 가늠할 수 있다.
병자호란(丙子胡亂)의 치욕을 겪은 조선이 태조 이성계(李成桂)가 내건 반도소국가주의(半島小國家主義)의 비루한 국시를 3백년 만에 내던지고 북벌(北伐)-만주(滿洲) 옛터전 수복-대륙대국가주의(大陸大國家主義)의 이상을 되찾았던 감격의 효종 10년 통치를 지나, 방향을 잃은 민족 에너지가 자체분열의 당쟁(黨爭)으로 빠져들어 망국(亡國)으로 끝맺는 정체기에 들 때까지 우암(尤庵)은 이 나라 정치와 학계를 30여년간 한손으로 쥐고 흔든 인물이었다.
그러나 치열한 당쟁(黨爭)의 이전투구(泥田鬪狗)싸움에서 북벌(北伐) 이상의 국사(國師)였던 우암(尤庵)은 노론당파(老論黨派)의 영수로 떨쳐졌고, 사림(士林)의 종장(宗匠)으로 추앙되던 학문도 주자(朱子)의 해설(解說)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남기게 됐다.
더우기 야만 만주(滿洲)왕조에 대한 적개심이 숭명(崇明)의 사대모화(事大慕華)의식으로 나타나 만동묘(萬東廟)를 이룸에 이르러서는 그에 대한 평가는 또 한 번 굴절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역시 은진송씨(恩津宋氏)가 배출한 가장 큰 인물이다.
사후 오늘에 이르기까지도 보이지 않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역사의 인물임에 틀림없다.
선조 40년에 태어난 우암(尤庵)은 인조 11년 사마시(司馬試)에 장원, 벼슬길에 올라 인조ㆍ효종ㆍ현종ㆍ숙종의 네 임금을 섬기며 병자(丙子)ㆍ정묘(丁卯) 양 호란(胡亂)을 겪고 서(西)ㆍ남(南)ㆍ노(老)ㆍ소(少) 분당의 난세(亂世)를 살았다.
그 가장 득의의 시기는 효종의 10년 통치기간이다. 북벌(北伐)의 이상을 세운 효종이 우암(尤庵)을 오른팔로 삼아 나라 힘을 한데 모으면서 그는 정계의 제 1 인자가 됐다.
성균관(成均館) 문묘에는 역사상의 석유(碩儒) 18현(賢)이 배향되어 있다. 그중 한 집안에서 두 사람이 배향되기는 광산김씨(光山金氏)(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 부자)와 은진송씨(恩津宋氏)(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ㆍ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 뿐이다.
'송씨상계보(宋氏上系譜)'에는 우리나라 모든 송(宋)씨의 도시조(都始祖)가 당(唐)의 호부상서(戶部尙書)였던 송주은(宋柱殷)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가 언제 어떻게 우리나라에 귀화했는지는 분명치 않다. 그 후 고려 때 그의 후손 송자영(宋自英)이 유익(惟翊)(여산군(礪山君)). 천익(天翊)(은진군(恩津君)), 문익(文翊)(서산군(瑞山君)) 등 3형제를 두었는데 이들의 후손들이 번성, 우리나라 송씨(宋氏)의 3대 산맥을 이룬다.
은진송씨(恩津宋氏)는 이들 3형제 중 둘째 송천익(宋天翊)의 후손이다. 그러나 송천익 이후 세계(世系)가 실전되는 바람에, 고려조에 판원사(判院事)를 지내고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진 송대원(宋大原)을 시조로 받들고 있다.
<여산(礪山)><은진(恩津)><서산(瑞山)>등을 본관으로 하는 세 집안은 본관만 다를 뿐 그 뿌리는 같다는 것이 송씨(宋氏) 문중의 일반적 견해다. 때문에 송씨끼리는 본관이 달라도 통혼하지 않는다.
은진송씨(恩津宋氏)는 조선조에 문과급제 75명, 무과 80명, 정승 2명, 대제학 1명, 경연관 12명, 열사 21명, 효자 9명 등을 냈다.
그러나 은진송씨(恩津宋氏)는 벼슬보다는 학문을 중시한 유반(儒班)으로서 문집(文集) 등 저술을 남긴 사람만도 2백 31명이나 되었다.
조선 중종 때 성리학의 대가로 대사헌(大司憲)ㆍ이조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한 송인수(宋麟壽), 병자호란(丙子胡亂) 당시 강화성(江華城)이 포위되자 자결한 충신 송시영(宋時榮) 등은 조선 초기에 가문의 맥을 이어온 인물들이다.
송경창(宋慶昌), 송시승(宋時昇), 송유관(宋有觀)은 판관(判官) 송세웅(宋世雄)의 자손들로 한 집안에서 3대 효자정려(孝子旌閭)를 받음으로써 은진송씨(恩津宋氏)의 뚜렷한 효맥(孝脈)을 이루었다.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1606~1672)은 송시열(宋時烈)과 함께 당대를 대표했던 성리학자(性理學者)였다. 효종 때 집의(執義)로 기용되어 당시 권세를 잡고 있던 김자점(金自點)을 탄핵하여 청서파(淸西波)의 집권을 가져오게 했다. 한편 효종의 북벌계획을 적극 추진했으나 김자점이 청(淸)에 밀고함으로써 실패, 벼슬에서 물러났다. 후에 다시 기용되어 대사헌(大司憲), 병조(兵曹), 이조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남인(南人)>과 <서인(西人)>의 당쟁이 격화되자 곧 사퇴하고 낙향, 학문연구로 여생을 마쳤다. 그는 송시열과 함께 학문적 경향을 같이하는 성리학자로서 특히 예학(禮學)에 밝았으며 율곡(栗谷)의 학설을 지지했다.
송준길(宋浚吉)과 송시열(宋時烈)은 13촌 숙질간(송준길이 숙(叔))으로 두 사람 모두 사계(沙溪)문하에서 동문수학, 다 같이 학자로서 대성했을 뿐만 아니라 노론(老論)의 쌍벽으로 문묘에 함께 배향되는 영예를 누리기도 했다.
송규렴(宋奎濂)(숙종조ㆍ예조판서(禮曹判書))은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 등과 함께 <삼송(三宋)>으로 일컬어졌던 대문장. 그의 아들 송상기(宋相琦)도 송시열의 문인으로 숙종조에 대제학(大提學)ㆍ예조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내다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유배지에서 숨졌다.
송명흠(宋明欽)(영조조, 찬선(贊善)), 송문흠(宋文欽)(영조조, 형조좌랑(刑曹佐郞)) 등 형제도 유명하다. 이들 형제 중 아우 송문흠은 문장과 서예로 명성을 떨쳤는데, 이인상(李麟祥)과 함께 조선조의 대표적인 명필로 꼽힌다.
이밖에 송덕상(宋德相)(정조조, 이조판서(吏曹判書)), 송환기(宋煥箕)(정조조, 우찬성(右贊成)), 송근수(宋近洙)(고종조, 좌의정(左議政)) 등이 조선 후기에 돋보이는 인물들이다.
고종조에 대사헌(大司憲)을 지냈던 송병선(宋秉璿)은 을사(乙巳)조약이 체결되자 을사오적(乙巳五賊)을 참형에 처할 것을 상소했으나 실현되지 않자 울분을 참지 못하고 음독 자결했다.
그의 동생 송병순(宋秉珣) 또한 을사(乙巳)조약이 체결되자 <토왜(討倭)>의 격문을 지어 전국 8도(道)에 돌렸다. 1910년 한일합병이 되자 그는 일제(日帝)의 숱한 유혹과 협박을 물리치고 고고하게 절개를 지켰던 한 시대의 양심이었다.
씨족史
<주자학(朱子學)의 거유(巨儒)>, <도학(道學)정치의 대로(大老)>, <노론(老論)의 영수(領袖)>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에 대한 평가는 그를 일컫는 칭호만큼이나 각도를 달리한다. 그러나 어찌했든 그는 조선조 5백년 역사에 우뚝 선 거인(巨人)이다.
"조선조 왕조실록(王朝實錄)에 한 사람의 이름이 3천 번 이상 나오기는 오직 우암(尤庵) 뿐"이라는 사실과, 전국 42개 서원(書院)에 배향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그가 차지하는 역사적 비중을 가늠할 수 있다.
병자호란(丙子胡亂)의 치욕을 겪은 조선이 태조 이성계(李成桂)가 내건 반도소국가주의(半島小國家主義)의 비루한 국시를 3백년 만에 내던지고 북벌(北伐)-만주(滿洲) 옛터전 수복-대륙대국가주의(大陸大國家主義)의 이상을 되찾았던 감격의 효종 10년 통치를 지나, 방향을 잃은 민족 에너지가 자체분열의 당쟁(黨爭)으로 빠져들어 망국(亡國)으로 끝맺는 정체기에 들 때까지 우암(尤庵)은 이 나라 정치와 학계를 30여년간 한손으로 쥐고 흔든 인물이었다.
그러나 치열한 당쟁(黨爭)의 이전투구(泥田鬪狗)싸움에서 북벌(北伐) 이상의 국사(國師)였던 우암(尤庵)은 노론당파(老論黨派)의 영수로 떨쳐졌고, 사림(士林)의 종장(宗匠)으로 추앙되던 학문도 주자(朱子)의 해설(解說)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남기게 됐다.
더우기 야만 만주(滿洲)왕조에 대한 적개심이 숭명(崇明)의 사대모화(事大慕華)의식으로 나타나 만동묘(萬東廟)를 이룸에 이르러서는 그에 대한 평가는 또 한 번 굴절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역시 은진송씨(恩津宋氏)가 배출한 가장 큰 인물이다.
사후 오늘에 이르기까지도 보이지 않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역사의 인물임에 틀림없다.
선조 40년에 태어난 우암(尤庵)은 인조 11년 사마시(司馬試)에 장원, 벼슬길에 올라 인조ㆍ효종ㆍ현종ㆍ숙종의 네 임금을 섬기며 병자(丙子)ㆍ정묘(丁卯) 양 호란(胡亂)을 겪고 서(西)ㆍ남(南)ㆍ노(老)ㆍ소(少) 분당의 난세(亂世)를 살았다.
그 가장 득의의 시기는 효종의 10년 통치기간이다. 북벌(北伐)의 이상을 세운 효종이 우암(尤庵)을 오른팔로 삼아 나라 힘을 한데 모으면서 그는 정계의 제 1 인자가 됐다.
성균관(成均館) 문묘에는 역사상의 석유(碩儒) 18현(賢)이 배향되어 있다. 그중 한 집안에서 두 사람이 배향되기는 광산김씨(光山金氏)(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 부자)와 은진송씨(恩津宋氏)(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ㆍ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 뿐이다.
'송씨상계보(宋氏上系譜)'에는 우리나라 모든 송(宋)씨의 도시조(都始祖)가 당(唐)의 호부상서(戶部尙書)였던 송주은(宋柱殷)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가 언제 어떻게 우리나라에 귀화했는지는 분명치 않다. 그 후 고려 때 그의 후손 송자영(宋自英)이 유익(惟翊)(여산군(礪山君)). 천익(天翊)(은진군(恩津君)), 문익(文翊)(서산군(瑞山君)) 등 3형제를 두었는데 이들의 후손들이 번성, 우리나라 송씨(宋氏)의 3대 산맥을 이룬다.
은진송씨(恩津宋氏)는 이들 3형제 중 둘째 송천익(宋天翊)의 후손이다. 그러나 송천익 이후 세계(世系)가 실전되는 바람에, 고려조에 판원사(判院事)를 지내고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진 송대원(宋大原)을 시조로 받들고 있다.
<여산(礪山)><은진(恩津)><서산(瑞山)>등을 본관으로 하는 세 집안은 본관만 다를 뿐 그 뿌리는 같다는 것이 송씨(宋氏) 문중의 일반적 견해다. 때문에 송씨끼리는 본관이 달라도 통혼하지 않는다.
은진송씨(恩津宋氏)는 조선조에 문과급제 75명, 무과 80명, 정승 2명, 대제학 1명, 경연관 12명, 열사 21명, 효자 9명 등을 냈다.
그러나 은진송씨(恩津宋氏)는 벼슬보다는 학문을 중시한 유반(儒班)으로서 문집(文集) 등 저술을 남긴 사람만도 2백 31명이나 되었다.
조선 중종 때 성리학의 대가로 대사헌(大司憲)ㆍ이조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한 송인수(宋麟壽), 병자호란(丙子胡亂) 당시 강화성(江華城)이 포위되자 자결한 충신 송시영(宋時榮) 등은 조선 초기에 가문의 맥을 이어온 인물들이다.
송경창(宋慶昌), 송시승(宋時昇), 송유관(宋有觀)은 판관(判官) 송세웅(宋世雄)의 자손들로 한 집안에서 3대 효자정려(孝子旌閭)를 받음으로써 은진송씨(恩津宋氏)의 뚜렷한 효맥(孝脈)을 이루었다.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1606~1672)은 송시열(宋時烈)과 함께 당대를 대표했던 성리학자(性理學者)였다. 효종 때 집의(執義)로 기용되어 당시 권세를 잡고 있던 김자점(金自點)을 탄핵하여 청서파(淸西波)의 집권을 가져오게 했다. 한편 효종의 북벌계획을 적극 추진했으나 김자점이 청(淸)에 밀고함으로써 실패, 벼슬에서 물러났다. 후에 다시 기용되어 대사헌(大司憲), 병조(兵曹), 이조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남인(南人)>과 <서인(西人)>의 당쟁이 격화되자 곧 사퇴하고 낙향, 학문연구로 여생을 마쳤다. 그는 송시열과 함께 학문적 경향을 같이하는 성리학자로서 특히 예학(禮學)에 밝았으며 율곡(栗谷)의 학설을 지지했다.
송준길(宋浚吉)과 송시열(宋時烈)은 13촌 숙질간(송준길이 숙(叔))으로 두 사람 모두 사계(沙溪)문하에서 동문수학, 다 같이 학자로서 대성했을 뿐만 아니라 노론(老論)의 쌍벽으로 문묘에 함께 배향되는 영예를 누리기도 했다.
송규렴(宋奎濂)(숙종조ㆍ예조판서(禮曹判書))은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 등과 함께 <삼송(三宋)>으로 일컬어졌던 대문장. 그의 아들 송상기(宋相琦)도 송시열의 문인으로 숙종조에 대제학(大提學)ㆍ예조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내다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유배지에서 숨졌다.
송명흠(宋明欽)(영조조, 찬선(贊善)), 송문흠(宋文欽)(영조조, 형조좌랑(刑曹佐郞)) 등 형제도 유명하다. 이들 형제 중 아우 송문흠은 문장과 서예로 명성을 떨쳤는데, 이인상(李麟祥)과 함께 조선조의 대표적인 명필로 꼽힌다.
이밖에 송덕상(宋德相)(정조조, 이조판서(吏曹判書)), 송환기(宋煥箕)(정조조, 우찬성(右贊成)), 송근수(宋近洙)(고종조, 좌의정(左議政)) 등이 조선 후기에 돋보이는 인물들이다.
고종조에 대사헌(大司憲)을 지냈던 송병선(宋秉璿)은 을사(乙巳)조약이 체결되자 을사오적(乙巳五賊)을 참형에 처할 것을 상소했으나 실현되지 않자 울분을 참지 못하고 음독 자결했다.
그의 동생 송병순(宋秉珣) 또한 을사(乙巳)조약이 체결되자 <토왜(討倭)>의 격문을 지어 전국 8도(道)에 돌렸다. 1910년 한일합병이 되자 그는 일제(日帝)의 숱한 유혹과 협박을 물리치고 고고하게 절개를 지켰던 한 시대의 양심이었다.
역대 주요 인물
▲고려조
송대원(宋大原)(자(字) : 천지(川至)·은진군(恩津君)·판원사(判院事))
송득수(宋得壽)(군사(郡事))
송춘경(宋春卿)(보성군사(寶城郡事))
송사민(宋斯敏)(평산도호부사(平山都護府使))
송명훤(자(字) : 의지(宜之)·호(號) : 건재(乾齋)·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
▲조선조
송유(宋愉)(호(號) : 쌍청당(雙淸堂)·부사정(副司正))
송계사(宋繼祀)(상주판관(尙州判官))
송계중(宋繼中)(사직(司直))
송요년(宋遙年)(홍주목사(洪州牧使))
송순년(宋順年)(예조정랑(禮曹正郞))
송여림(宋汝霖)(양근군수(楊根郡守))
송여해(宋汝諧)(안동도호부사(安東都護府使))
송세훈(宋世勛)(안악군수(安岳郡守))
송세욱(첨사(僉使))
송세경(宋世勁)(청풍군수(淸風郡守))
송세협(宋世協)(자산군수(慈山郡守))
송남수(호(號) : 송담(松潭)·임천군수(林川郡守))
송기수(宋麒壽)(호(號) : 추파(秋坡)·좌참찬(左參贊))
송인수(宋麟壽)(호(號) : 규암(圭庵)·이조판서(吏曹判書))
송귀수(宋龜壽)(호(號) : 서부(西阜)·효행(孝行))
송용수(宋龍壽)(호(號) : 삼기당(三杞堂)·첨추(僉樞))
송봉수(宋鳳壽)
송의수(宋義壽)(호(號) : 호암(浩菴)·호군(護軍)·임란순절(壬亂殉節))
송기(宋琦)(임란창의(壬亂倡義))
송선(宋璿)(정선군수(旌善郡守))
송응상(宋應祥)(호(號) : 쌍계당(雙溪堂)·학행(學行))
송응서(宋應瑞)(임천군수(林川郡守))
송응생(宋應生)(첨추(僉樞))
송응수(宋應秀)(흥해군수(興海郡守))
송희진(宋希進)(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송희명(宋希命)(호(號) : 취옹당(醉翁堂)·동추(同樞))
송몽인(宋夢寅)(호(號) : 금암(琴巖)·시인(詩人))
송사창(宋嗣昌)(장악원정(掌樂院正))
송희갑(宋希甲)(시인(詩人))
송이창(宋爾昌)(영천군수(榮川郡守))
송경창(宋慶昌)(선교랑(宣敎郞))
승응개(宋應漑)(호(號) : 삼락재(三樂齋)·대사간(大司諫))
송응동(宋應洞)(황주목사(黃州牧使))
송응순(宋應洵)(홍문관대제학(弘文館大提學))
송응기(宋應期)(의빈부도사(儀賓府都事))
송국중(宋國重)(부호군(副護軍))
송국헌(宋國憲)(호(號) : 안소당(安素堂)·학행(學行))
송국시(宋國蓍)(호(號) : 백류헌(百柳軒)·집의(執義))
송국귀(宋國龜)(호(號) : 애련당(愛蓮堂)·창평군수(昌平郡守))
송국준(宋國準)(호(號) : 풍계(風溪)·상의원정(尙衣院正))
송희순(宋希醇)(호(號) : 매당(梅堂)·주부(主簿))
송희철(宋希哲)(호(號) : 경모재(敬慕齋)·임란순절(壬亂殉節))
송노원(宋盧遠)(사재감첨정(司宰監僉正))
송수록(宋綏祿)(호(號) : 송창(松窓)·학행(學行))
송국택(宋國澤)(호(號) : 사우당(四友堂)·시호(諡號) : 효정(孝貞)·병조참의(兵曹參議))
송준길(宋浚吉)(호(號) : 동춘당(同春堂)·시호(諡號) : 문정(文正)·좌참찬(左參贊)) 송영조(宋榮祚)(진산군수(珍山郡守))
송유조(宋裕祚)(안성군수(安城郡守))
송방조(宋邦祚)(호(號) : 습정(習靜)·평사(平事))
송갑조(宋甲祚)(호(號) : 수옹(睡翁)·시호(諡號) : 경헌(景獻)
송희조(宋熙祚)(전첨(典籤))
송연조(宋演祚)(호(號) : 우송당(友松堂)·부호군(副護軍))
송규연(宋奎淵)(연안부사(延安府使))
송규렴(宋奎濂)(호(號) : 제월당(霽月堂)·시호(諡號) : 문희(文僖)·예조판서(禮曹判書))
송규욱(宋奎煜)(호(號) : 영경당(永慶堂)·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송규현(宋奎炫)(공주목사(公州牧使))
송정렴(宋挺濂)(호(號) : 존양재(存養齋)·집의(執義))
송정필(宋挺弼)(부호군(副護軍))
송광촌(宋光村)(희천군수(熙川郡守))
송광식(공조정랑(工曹正郞))
송시승(宋時昇)(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송석윤(宋錫胤)(호(號) : 졸휴당(拙休堂)·상의원정(尙衣院正))
송석범(宋錫範)(호(號) : 졸암(拙菴)·예조참판(禮曹參判))
송시영(宋時榮)(시호(諡號) : 충현(忠顯)·주부(主簿)·병자호란(丙子胡亂) 순절(殉節))
송시묵(진산군수(珍山郡守))
송시열(宋時烈)(호(號) : 우암(尤菴)·시호(諡號) : 문정(文正)·좌의정(左議政))
송시도(宋時燾)(제용감정(濟用監正))
송시걸(宋時杰)(무주부사(茂朱府使))
송시영(宋時瑩)
송시단(宋時端)
송시증(宋時曾)(안성군수(安城郡守))
송상철(宋相哲)(여산부사(礪山府使))
송상기(宋相琦)(호(號) : 옥오재(玉吾齋)·시호(諡號) : 문정(文貞)·대제학(大提學))
송상유(宋相維)(호(號) : 안졸헌(安拙軒)·순흥부사(順興府使))
송상억(宋相億)(호(號) : 영안재(永安齋)·첨추(僉樞))
송상윤(宋相允)(호(號) : 위와(葦窩)·학자(學者))
송하시(宋夏時)(부총관(副摠管))
송정필(宋鼎弼)(부호군(副護軍))
송지희(宋之禧)(부호군(副護軍))
송필신(宋必新)(첨추(僉樞))
송태신(宋泰新)(선전관(宣傳官))
송병하(宋炳夏)(장악원정(掌樂院正))
송병원(宋炳遠)(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송병익(宋炳翼)(상주목사(尙州牧使))
송기후(宋基厚)(호(號) : 문도재(聞道齋)·학자(學者))
송기학(宋基學)(호(號) : 군열(君悅)·부호군(副護軍))
송기태(宋基泰)(돈녕도정(敦寧都正))
송상민(宋尙敏)(호(號) : 석곡(石谷)·학자(學者))
송필훈(宋必勳)(첨추(僉樞))
송필환(宋必煥)(호(號) : 자곡(自谷)·황주목사(黃州牧使))
송필혼
송필건(宋必健)(학행(學行))
송필명(宋必明)(선전관(宣傳官)
송필항(宋必恒)(호(號) : 보만헌(保晩軒)·집의(執義))
송요경(宋堯卿)(동돈녕부사(同敦寧府事))
송요화(宋堯和)(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송요좌(宋堯佐)(호(號) : 묵옹·금산군수(錦山郡守))
송도창(宋道昌)(안산군수(安山郡守))
송인식(宋仁植)(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송주석(宋疇錫)(호(號) : 봉곡(鳳谷)·시호(諡號) : 정간(貞簡)·교리(校理))
송의석(宋懿錫)(도정(都正))
송조석(宋肇錫)(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송재악(宋載岳)(황해수군절도사(黃海水軍節度使))
송재희(宋載禧)(호(號) : 취백정(翠白亭)·대사헌(大司憲))
송재경(宋載經)(호(號) : 기기와(棄棄窩)·시호(諡號) : 경헌(景獻)·이조판서(吏曹判書))
송재학(宋載學)(부호군(副護軍))
송재서(宋載瑞)(장흥부사(長興府使))
송명흠(宋明欽)(호(號) : 역천·시호(諡號) : 문원(文元)·찬선(贊善))
송문흠(宋文欽)(호(號) : 한정당(閑靜堂)·선서(善書))
송진흠(宋晋欽)(밀양부사(密陽府使))
송민흠(宋敏欽)(영성첨사(寧城僉使))
송희함(宋熙咸)(중추부사(中樞府事))
송유룡(宋儒龍)(동부승지(同副承旨))
송일원(宋一源)(호(號) : 불호당(不護堂)·사부(師傅))
송영원(宋永源)(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성원(宋性源)(서흥부사(瑞興府事))
송윤원(宋綸源)(곤양군수(昆陽郡守))
송익정(宋益鼎)(호(號) : 우와(迂窩)·재령군수(載寧郡守))
송기정(宋基鼎)(성주목사(星州牧使))
송기서(宋麒瑞)(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송부연(宋傅淵)(간성군수(杆城郡守))
송시연(宋時淵)(성주목사(星州牧使))
송수연(宋守淵)(경주부윤(慶州府尹))
송지연(宋志淵)(홍문관응교(弘文館應敎))
송후연(宋厚淵)(호(號) : 율수재(聿修齋)·선산도호부사(善山都護府使))
송우연(宋友淵)(고부군수(古阜郡守))
송문상(宋文相)(선공감부정(繕工監副正))
송징상(宋徵相)(형조좌랑(刑曹佐郞))
송능상(宋能相)(호(號) : 운평(雲坪)·학자(學者))
송영상(宋英相)(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송두상(宋斗相)(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송덕상(宋德想)(호(號) : 과암(果庵)·이조판서(吏曹判書))
송일형(宋一衡)(고성군수(高城郡守))
송일성(宋一成)(순흥부사(順興府使))
송일준(宋一儁)(합천군수(陜川郡守))
송일찬(宋一讚)(호(號) : 위포(韋圃)·동돈녕(同敦寧))
송환장(宋煥章)(선공감부정(繕工監副正))
송환기(宋煥箕)(호(號) : 심재우성담(心齋又性潭)·경연관우참찬겸좨주(經筵官右參贊兼祭酒)·시(諡) : 문산(文散))
송환철(宋煥喆)(대사간(大司諫))
송환구(宋煥九)(신천군수(信川郡守))
송환억(宋煥億)(이조참의(吏曹參議))
송환익(宋煥翼)(원주판관(原州判官))
송환겸(宋煥謙)(호(號) : 육졸재(六拙齋)·공릉참봉(恭陵參奉))
송계래(宋啓來)(양근군수(楊根郡守))
송계간(宋啓幹)(호(號) : 추양(秋陽)·대사헌겸경연관좨주(大司憲兼經筵官祭酒))
송계백(宋啓栢)(진주목사(晉州牧使))
송계영(宋啓榮)(공조정랑(工曹正郞))
송계근(宋啓根)(전생서판관(典牲暑判官))
송계수(宋啓洙)(진주목사(晉州牧使))
송달인(宋達仁)(집의(執義))
송택규(宋宅圭)(남원부사(南原府使))
송처인(宋處仁)(돈녕도정(敦寧都正))
송택인(宋宅仁)(동지중추(同知中樞))
송치규(宋穉圭)(호(號) : 강재(剛齋)·형조판서경연관(刑曹判書經筵官))
송태희(宋泰熙)(공조참판(工曹參判))
송정희(宋正熙)(공조참판(工曹參判))
송대희(宋大熙)(형조정랑(刑曹正郞))
송태희(宋太熙)(정랑(正郞))
송돈희(宋惇熙)(사직서령(社稷署令))
송응규(宋應圭)(호(號) : 지헌(遲軒)·교리(校理))
송내희(宋來熙)(호(號) : 금곡(錦谷)·경연관(經筵官)0
송헌면(宋憲冕)(호(號) : 둔재(遯齋)·안동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
송인식(宋仁植)(동돈녕(同敦寧))
송명식(宋明植)(동돈녕(同敦寧))
송석로(宋錫老)(괴산군수(槐山郡守))
송각로(宋恪老)(진산군수(珍山郡守))
송익로(宋益老)(대흥군수(大興郡守))
송영로(宋永老)(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송기로(宋綺老)(진주목사(晉州牧使))
송은로(宋殷老)(금산군수(金山郡守))
송명로(宋明老)(진산군수(珍山郡守))
송면로(宋勉老)(대흥군수(大興郡守))
송전(宋銓)(우참찬(右參贊))
송영(宋鍈)(형조판서(刑曹判書))
송흠석(宋欽奭)(시강원문학(侍講院文學))
송흠익(宋欽翼)(병조참판(兵曹參判))
송흠서(宋欽書)(거창부사(居昌府使))
송흠시(宋欽詩)(고성군수(高城郡守))
송흠천(宋欽天)(정선군수(旌善郡守))
송흠성(宋欽成)(안성군수(安城郡守))
송흠대(宋欽大)(영천군수(榮川郡守))
송헌기(宋憲琪)(군수(郡守))
송헌규(宋憲珪)(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송헌필(宋憲弼)(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송헌문(宋憲文)(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송흠정(宋欽鼎)(주서(注書))
송태로(宋泰老)(돈녕도정(敦寧都正))
송휘로(宋徽老)(사천군수(泗川郡守))
송창로(宋昌老)(익위사좌익위(翊衛司左翊衛))
송관화(宋觀和)(태안군수(泰安郡守))
송지렴(宋知濂)(도승지(都承旨))
송종수(宋宗洙)(공조판서(工曹判書))
송근수(宋近洙)(호(號) : 입재(立齋)·좌의정(左議政)·시(諡) : 문헌(文獻))
송달수(宋達洙)(경연관(經筵官) 동부승지(同副承旨))
송관수(宋觀洙)(면천군수(沔川郡守))
송응수(宋應洙)(도사(都事)) 송능수(宋能洙)(도정(都正))
송겸수(宋謙洙)(병조참판(兵曹參判))
송면수(宋冕洙)(돈녕도정(敦寧都正))
송현수(宋顯洙)(지평(持平))
송익수(宋翼洙)(학자(學者))
송희렴(宋喜濂)(중추의관(中樞議官))
송관용(宋觀用)(시종원부경(侍從院副卿))
송상렴(宋祥濂)(도승지(都承旨))
송병화(宋炳華)(학자(學者))
송병관(宋炳瓘)(학자(學者))
송병규(宋炳奎)(성균교수(成均敎授))
송종오(宋鍾五)(이조참의(吏曹參議))
송종휘(宋鍾徽)(음성군수(陰城郡守))
송종현(宋鍾現)(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송종면(宋鍾冕)(비서원승(秘書院丞))
송종억(宋鍾億)(장악원소경(掌樂院少卿))
송종민(宋鍾民)(자(字) : 순초(順初)·비서원승(秘書院丞))
송종국(宋鍾國)(시제원시종(시제원시종(侍諸院侍從) 상례원상례(相禮院相禮))
송종규(宋鍾奎)(우부승지(右副承旨))
송병서(宋秉瑞)(형조판서(刑曹判書))
송병일(宋秉一)(장악원정(掌樂院正))
송병선(宋秉璿)(성균좨주(成均祭酒) 대사헌(大司憲)·시(諡) : 문충(文忠))
송병학(宋秉學)(부교리(副敎理))
송병종(宋秉琮)(청도군수(淸道郡守))
송병순(宋秉珣)(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송병옥(宋秉玉)(대사성(大司成))
송병일(宋秉一)(장악원정(掌樂院正))
송병직(宋秉稷)(공조판서(工曹判書))
송병필(宋秉弼)(단양군수(丹陽郡守))
송병긍(宋秉兢)(비서랑(秘書郞)) 송병찬(宋秉瓚)(참판(參判))
송서화(宋瑞和)(진주목사(晉州牧使))
송정화(宋廷和)(홍문관제학(弘文館提學) 이조판서(吏曹判書))
송도순(宋道淳)(장악원정(掌樂院正) 시강원(侍講院) 검교(檢校) 보덕(輔德))
송세헌(宋世憲)(공조판서(工曹判書))
송희정(宋熙正)(이조참판(吏曹參判))
송희성(宋熙成)(이조참판(吏曹參判))
송희완(宋熙完)(충북관찰사(忠北觀察使))
송희직(宋熙直)(승지(承旨))
송희승(宋熙昇)(순천영장겸토포사(順川營將兼討捕使))
송태헌(宋台憲)(교리(校理))
송규복(宋圭復)(음성군수(陰城郡守))
송규진(宋圭晋)(청하군수)(淸河郡守))
송규원(宋圭元)(응교안변부사(應敎安邊府使))
송규선(宋圭善)(경성참서관겸관찰사(鏡城參書官兼觀察使))
[등과(登科)·음사인명(蔭仕人名)]
▲고려조
문과(文科)
송명의(宋明誼)(공민왕조)
▲조선조
문과(文科)
송요년(宋遙年)(감정(監正)) 송순년(宋順年)(정랑(正郞))
송여해(宋汝諧)(부사(府使)) 송세충(宋世忠)(군수(郡守))
송기수(宋麒壽)(이판(吏判)) 송인수(宋麟壽)(대헌(大憲))
송희원(宋希遠)(학유(學諭)) 송희진(宋希進)(장령(掌令))
송응개(宋應漑)(대간(大諫)) 송응형(宋應泂)(목사(牧使))
송응순(宋應洵)(부학(副學)) 송몽석(宋夢錫)(한림(翰林))
송국준(宋國準)(부사(府使)) 송국택(宋國澤)(승지(承旨))
송영조(宋榮祚)(군수(郡守)) 송석조(宋碩祚)(판결(判決))
송방조(宋邦祚)(좌랑(佐郞)) 송규렴(宋奎濂)(참찬(參贊))
송정렴(宋挺濂)(부사(府使)) 송석윤(宋錫胤)(장령(掌令))
송석범(宋錫範)(대헌(大憲)) 송상기(宋相琦)(이판(吏判))
송택상(宋宅相)(장령(掌令)) 송일체(宋日替)(예좌(禮佐))
송필항(宋必恒)(사간(司諫)) 송주석(宋疇錫)(교리(校理))
송재희(宋載禧)(대헌(大憲)) 송재경(宋載經)(이판(吏判))
송유룡(宋儒龍)(승지(承旨)) 송양정(宋養鼎)(정자(正字))
송덕기(宋德基)(정언(正言)) 송지연(宋志淵)(응교(應敎))
송취행(宋聚行)(정언(正言)) 송환철(宋煥喆)(대간(大諫))
송환억(宋煥億)(이의(吏議)) 송환덕(宋煥德)(정언(正言))
송성룡(宋成龍)(현감(縣監)) 송휘인(宋彙仁)(병참(兵參))
송달인(宋達仁)(집의(執義)) 송능규(宋能圭)(승지(承旨))
송응규(宋應圭)(교리(校理)) 송헌경(宋憲卿)(응교(應敎))
송영(宋鍈)(형판(刑判)) 송전(宋銓)(참찬(參贊))
송흠석(宋欽奭)(문학(文學)) 송흠익(宋欽翼)(병참(兵參))
송흠정(宋欽鼎)(주서(注書)) 송종규(宋鍾奎)(부승지(副承旨))
송종오(宋鍾五)(이의(吏議)) 송종면(宋鍾冕)(비서승(秘書丞))
송종억(宋鍾億)(승지(承旨)) 송종민(宋鍾民)(비서승(秘書丞))
송상렴(宋祥濂)(승지(承旨)) 송지렴(宋知濂)(승지(承旨))
송근수(宋近洙)(좌상(左相)) 송현수(宋顯洙)(지평(持平))
송겸수(宋謙洙)(병참(兵參)) 송민수(宋敏洙)(정언(正言))
송도순(宋道淳)(보덕(輔德)) 송정화(宋廷和)(판서(判書))
송병주(宋秉宙)(교리(校理)) 송병관(宋秉瓘)(교리(校理))
송병학(宋秉學)(승지(承旨)) 송병위(宋秉瑋)(정자(正字))
송병찬(宋秉瓚)(참판(參判)) 송병서(宋秉瑞)(판서(判書))
송병옥(宋秉玉)(대사성(大司成))
송병긍(宋秉兢)(비서랑(秘書郞)) 송희정(宋熙正)(참판(參判))
송세헌(宋世憲)(판서(判書)) 송준헌(宋準憲)(비서승(秘書丞))
송태헌(宋台憲)(비서승(秘書丞)) 송규헌(宋奎憲)(직각(直閣))
송관헌(宋觀憲)(비서승(秘書丞)) 송규원(宋圭元)(응교(應敎))
송세현(宋世鉉)(주서(注書))
[음사인명(蔭仕人名)]
송대원(宋大原)(판원사(判院事)) 송득주(宋得珠)(군사(郡事))
송춘경(宋春卿)(군사(郡事)) 송극기(宋克己)(진사(進士))
송유(宋愉)(부사정(副司正)) 송계사(宋繼祀)(판관(判官))
송여림(宋汝霖)(군수(郡守)) 송세훈(宋世勛)(군수(郡守))
송세경(宋世勁)(군수(郡守)) 송남수(군수(郡守))
송봉수(宋鳳壽)(사의(司議)) 송선(宋璿)(군수(郡守))
송응서(宋應瑞)(군수(郡守)) 송응생(宋應生)(첨추(僉樞))
송응수(宋應秀)(군수(郡守)) 송희명(宋希命)(동추(同樞))
송사창(宋嗣昌)(장악원정(掌樂院正))
송이창(宋爾昌)(군수(郡守)) 송응기(宋應期)(도사(都事))
송국저(宋國著)(집의(執議)) 송노원(宋盧遠)(첨정(僉正))
송준길(宋浚吉)(참찬(參贊)) 송계록(宋啓祿)(현령(縣令))
송유조(宋裕祚)(군수(郡守)) 송규연(宋奎淵)(부사(府使))
송규현(宋奎炫)(목사(牧使)) 송정필(宋挺弼)(부호군(副護軍))
송광재(宋光材)(군수(郡守)) 송시묵(군수(郡守))
송시열(宋時烈)(좌의정(左議政)) 송시걸(宋時杰)(부사(府使))
송시도(宋時燾)(정(正)) 송시단(宋時端)(검추(檢樞))
송상증(宋相曾)(군수(郡守)) 송상철(宋相哲)(부사(府使))
송상유(宋相維)(부사(府使)) 송하시(宋夏時)(부총관(副摠管))
송병하(宋炳夏)(정(正)) 송병익(宋炳翼)(목사(牧使))
송기학(宋基學)(부호군(副護軍)) 송필환(宋必煥)(목사(牧使))
송요경(宋堯卿)(동돈녕(同敦寧))
송요화(宋堯和)(지중추(知中樞)) 송요좌(宋堯佐)(군수(郡守))
송요보(宋堯輔)(서윤(庶尹)) 송도흥(宋道興)(군수(郡守))
송도창(宋道昌)(군수(郡守)) 송조석(宋肇錫)(첨추(僉樞))
송재악(宋載岳)(절도사(節度使))
송재학(宋載學)(부호군(副護軍)) 송재서(宋載瑞)(부사(府使))
송명흠(宋明欽)(찬선(贊善)) 송진흠(宋晉欽)(부사(府使))
송일원(宋一源)(사부(師傅)) 송영원(宋永源)(동추(同樞))
송영원(宋永源)(동추(同樞)) 송윤원(宋綸源)(군수(郡守))
송성원(宋性源)(부사(府使)) 송익정(宋益鼎)(군수(郡守))
송기서(宋麒瑞)(첨추(僉樞)) 송기정(宋基鼎)(목사(牧使))
송부연(宋溥淵)(군수(郡守)) 송시연(宋時淵)(목사(牧使))
송수연(宋守淵)(부윤(府尹)) 송원연(宋原淵)(부사(府使))
송우연(宋友淵)(군수(郡守)) 송문상(宋文相)(부정(副正))
송능상(宋能相)(좨주(祭酒)) 송영상(宋英相)(첨추(僉樞))
송일형(宋一衡)(군수(郡守)) 송일성(宋一成)(부사(府使))
송일준(宋一儁)(군수(郡守)) 송일찬(宋一讚)(동돈녕(同敦寧))
송환장(宋煥章)(부정(副正)) 송환기(宋煥箕)(좨주(祭酒))
송환구(宋煥九)(군수(郡守)) 송계래(宋啓來)(군수(郡守))
송계간(宋啓幹)(좨주(祭酒)) 송계백(宋啓栢)(목사(牧使))
송계수(宋啓洙)(목사(牧使)) 송택규(宋宅圭)(부사(府使))
송택인(宋宅仁)(동추(同樞)) 송치규(宋穉圭)(좨주(祭酒))
송태희(宋泰熙)(참판(參判)) 송돈희(宋燉熙)(서령(署令))
송돈희(宋惇熙)(서령(署令)) 송내희(宋來熙)(좨주(祭酒))
송헌면(宋憲冕)(부사(府使)) 송인식(宋仁植)(동돈녕(同敦寧))
송명식(宋明植)(동돈녕(同敦寧)) 송각로(宋恪老)(군수(郡守))
송익로(宋益老)(군수(郡守)) 송영로(宋永老)(동돈녕(同敦寧))
송기로(宋綺老)(목사(牧使)) 송면로(宋勉老)(군수(郡守))
송흠서(宋欽書)(부사(府使)) 송흠천(宋欽天)(군수(郡守))
송흠시(宋欽詩)(군수(郡守)) 송흠성(宋欽成)(군수(郡守))
송흠대(宋欽大)(군수(郡守)) 송휘로(宋徽老)(군수(郡守))
송관화(宋觀和)(군수(郡守)) 송종수(宋宗洙)(판서(判書))
송달수(宋達洙)(동부승지(同副承旨))
송관수(宋觀洙)(군수(郡守)) 송종오(宋鍾五)(참의(參議))
송종휘(宋鍾徽)(군수(郡守)) 송병서(宋秉瑞)(판서(判書))
송병일(宋秉一)(정(正)) 송병선(宋秉璿)(좨주(祭酒))
송병옥(宋秉玉)(대사성(大司成)) 송병직(宋秉稷)(판서(判書))
송병필(宋秉弼)(군수(郡守)) 송병찬(宋秉讚)(참판(參判))
송서화(宋瑞和)(목사(牧使)) 송희성(宋熙成)(참판(參判))
송희완(宋熙完)(관찰사(觀察使)) 송희직(宋熙直)(승지(承旨))
송규복(宋圭復)(군수(郡守)) 송규진(宋圭鎭)(군수(郡守))
송규원(宋圭元)(부사(府使)) 송규선(宋圭善)(관찰사(觀察使))
[조선조 급제자 정록]
순년(順年)(예종(睿宗) 1년·추장(秋場)·병과(丙科))
요년(遙年)(성종(成宗) 10년·별시(別試)·병과(丙科))
여해(汝諧)(성종(成宗) 25년·별시(別試)·을과(乙科))
세충(世忠)(중종(中宗) 8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인수(麟壽)(중종(中宗) 16년·별시(別試)·병과(丙科))
기수(麒壽)(중종(中宗) 29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응개(應漑)(명종(明宗) 19년·식년시(式年試)·을과(乙科))
응형(應泂)(선조(宣祖) 5년·별시(別試)·병과(丙科))
응순(應洵)(선조(宣祖) 29년·정시(庭試)·을과(乙科))
석범(錫範)(선조(宣祖) 30년·별시(別試)·병과(丙科))
석조(碩祚)(선조(宣祖) 34년·식년시(式年試)·을과(乙科))
방조(邦祚)(선조(宣祖) 39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영조(榮祚)(광해(光海) 13년·별시(別試)·병과(丙科))
희원(希遠)(인조(仁祖) 1년·개시(改試)·병과(丙科))
석윤(錫胤)(인조(仁祖) 2년·식년시(式年試)·을과(乙科))
국택(國澤)(인조(仁祖) 2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국준(國準)(인조(仁祖) 5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희진(希進)(인조(仁祖) 9년·별시(別試)·병과(丙科))
몽석(夢錫)(인조(仁祖) 11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규렴(奎濂)(효종(孝宗) 5년·식년시(式年試)·을과(乙科))
정렴(挺濂)(효종(孝宗) 5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유룡(儒龍)(숙종(肅宗) 7년·식년시(式年試)·을과(乙科))
주석(疇錫)(숙종(肅宗) 9년·증광시(增廣試)·을과(乙科))
상기(相琦)(숙종(肅宗) 10년·정시(庭試)·병과(丙科))
택상(宅相)(숙종(肅宗) 24년·알성시(謁聖試)·을과(乙科))
필항(必恒)(숙종(肅宗) 40년·증광시(增廣試)·갑과(甲科))
일찬(日贊)(영조(英祖) 3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취행(聚行)(영조(英祖) 22년·별시(別試)·병과(丙科))
덕기(德基)(영조(英祖) 26년·식년시(式年試)·을과(乙科))
영(鍈)(영조(英祖) 29년·정시(庭試)·병과(丙科))
지연(志淵)(영조(英祖) 39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재경(載經)(영조(英祖) 40년·정시(庭試)·병과(丙科))
환철(煥喆)(영조(英祖) 44년·식년시(式年試)·갑과(甲科))
환억(煥億)(영조(英祖) 47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양정(養鼎)(영조(英祖) 47년·정시(庭試)·병과(丙科))
재희(載禧)(영조(英祖) 48년·기로정시(耆老庭試)·을과(乙科))
전(銓)(영조(英祖) 50년·식년시(式年試)·을과(乙科))
재희(載禧)(영조(英祖) 50년·등준시(登俊試)·병과(丙科))
징일(徵一)(영조(英祖) 51년·정시(庭試)·병과(丙科))
환덕(煥德)(정조(正祖) 4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상렴(祥濂)(정조(正祖) 8년·정시(庭試)·병과(丙科))
지렴(知濂)(정조(正祖) 14년·증광시(增廣試)·을과(乙科))
응규(應圭)(정조(正祖) 19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지렴(知濂)(정조(正祖) 20년·중시(重試)·병과(丙科))
성룡(成龍)(순조(純祖) 12년·정시(庭試)·병과(丙科))
능규(能圭)(순조(純祖) 16년·정시(庭試)·병과(丙科))
흠석(欽奭)(순조(純祖) 16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흠정(欽鼎)(순조(純祖) 28년·식년시(式年試)·을과(乙科))
현수(顯洙)(순조(純祖) 34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달인(達仁)(헌종(憲宗) 3년·식년시(式年試)·을과(乙科))
흠익(欽翼)(헌종(憲宗) 9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겸수(謙洙)(헌종(憲宗) 11년·정시(庭試)·병과(丙科))
정화(廷和)(헌종(憲宗) 11년·정시(庭試)·병과(丙科))
근수(近洙)(헌종(憲宗) 14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병관(秉觀)(철종(哲宗) 6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흠익(欽翼)(철종(哲宗) 7년·중시(重試)·갑과(甲科))
희정(熙正)(철종(哲宗) 9년·정시(庭試)·병과(丙科))
휘인(彙仁)(고종(高宗) 2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세헌(世憲)(고종(高宗) 11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도순(道淳)(고종(高宗) 11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규원(圭元)(고종(高宗) 12년·별시(別試)·병과(丙科))
병주(秉宙)(고종(高宗) 16년·정시(庭試)·병과(丙科))
병서(秉瑞)(고종(高宗) 16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병위(秉瑋)(고종(高宗) 17년·증광시(增廣試)·갑과(甲科))
세현(世鉉)(고종(高宗) 19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민수(敏洙)(고종(高宗) 22년·식년시(式年試)·갑과(甲科))
종억(鍾億)(고종(高宗) 22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태헌(台憲)(고종(高宗) 22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병학(秉學)(고종(高宗) 23년·정시(庭試)·병과(丙科))
헌경(憲卿)(고종(高宗) 24년·정시(庭試)·병과(丙科))
종오(鍾五)(고종(高宗) 25년·별시(別試)·갑과(甲科))
종면(鍾冕)(고종(高宗) 26년·알성시(謁聖試)·병과(丙科))
병찬(秉瓚)(고종(高宗) 28년·증광시(增廣試)·갑과(甲科))
관헌(觀憲)(고종(高宗) 2년·별시(別試)·병과(丙科))
규헌(奎憲)(고종(高宗) 29년·별시(別試)·병과(丙科))
병긍(秉兢)(고종(高宗) 29년·별시(別試)·병과(丙科))
종규(鍾奎)(고종(高宗) 29년·별시(別試)·병과(丙科))
병옥(秉玉)(고종(高宗) 29년·별시(別試)·병과(丙科))
준헌(準憲)(고종(高宗) 29년·알성시(謁聖試)·병과(丙科))
[벌열(閥閱)]
●공신(功臣)
: 송기수(宋麒壽)(명종조·위사3등공신(衛社3等功臣))
●문형(文衡)
: 송상기(宋相琦)(숙종조)
●경연(經筵)
: 송시열(宋時烈)(인조조) 송준길(宋浚吉)(인조조·참찬(參贊))
송기후(宋基厚)(숙종조) 송명흠(宋明欽)(영조조·이판(吏判)) 송능상(宋能相)(영조조·집의(集義)) 송덕상(宋德相)(정조조·이판(吏判)) 송환기(宋煥箕)(정조조·이판(吏判)) 송치규(宋穉圭)(정조조·형판(刑判)) 송계간(宋啓幹)(순조조·이판(吏判)) 송달수(宋達洙)(헌종조·경연관동부승지(經筵官同副承旨)) 송내희(宋來熙)(헌종조·참판(參判)) 송병선(宋秉璿)(고종조·좨주(祭酒))
●청백리(淸白吏)
: 송남수(宋楠壽)(중종조) 송기수(宋麒壽)(중종조) 송인수(宋麟壽)(중종조) 송세형(宋世珩)(중종조) 송시영(宋時榮)(선조조) 송갑조(宋甲祚)(인조조) 송준길(宋浚吉)(인조조) 송시열(宋時烈)(인조조) 송주석(宋疇錫)(현종조) 송상기(宋相琦)(숙종조) 송명흠(宋明欽)(숙종조) 송문흠(宋文欽)(영조조)
●절의(節義)
: 송여해(宋汝諧)(광해조 귀양) 외 14인 송병선(宋秉璿)(항일순절제인(抗日殉節諸人) 을사보호조약(乙巳保護條約))
●명륜(明倫)
: (효행(孝行) 송계문(宋啓文)(증감찰(贈監察)) 외 10인
●문집(文集)
: 수옹일기(睡翁日記)(송갑조(宋甲祚)) 사우당집(四友堂集)(송국택(宋國澤)) 제월당집(霽月堂集)(송규렴(宋奎濂)) 송담집(松潭集)(송남수) 금곡집(錦谷集)(송내희(宋來熙)) 종재집(宗齋集)(송달수(宋達洙)) 역천집(송명흠(宋明欽)) 역천소말조진(逆天疏末條陳)(송명흠(宋明欽)) 금암집(琴巖集)(송몽인(宋夢寅)) 한정당집(閒靜堂集)(송문흠(宋文欽)) 습정집(習靜集)(송방조(宋邦祚)) 옥오재집(玉吾齋集)(송상기(宋相琦)) 과치집(果痴集)(송상렴(宋祥濂)) 석곡봉사(石谷封事)(송상민(宋尙敏)) 규암집(圭庵集)(송인수(宋麟壽))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송시열(宋時烈)) 이정서분류(二程書分類)(송시열(宋時烈)) 어류소분(語類小分)(송시열(宋時烈)) 논맹문의통고(論孟問義通攷)(송시열(宋時烈)) 심경석의(心經釋義)(송시열(宋時烈)) 우암문집(尤庵文集)(송시열(宋時烈)) 구화사실(송주석(宋疇錫)) 동춘당집(同春堂集)(송준길(宋浚吉)) 어록해(語錄解)(송준길(宋浚吉)) 강재집(剛齋集)(송치규(宋稚圭)) 성담집(性潭集)(송환기(宋煥箕))
行列字(항렬자)
人口數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恩津宋氏(은진송씨)는
1985年에는 摠 42,972家口 179,261名,
2000年에는 摠 64,590家口 208,816名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출처 중앙일보 성씨의 고향
[출처] 은진송씨(恩津宋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