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리지(연꽃못): 자인면 동부리, 평지지, 3만평, 포인트는 전역에 산재, 초여름 포인트는 제방 우측의 중하류 지역과 상류 갈대밭 지역이 된다. 이곳의 수심이 80Cm~1m20Cm 내외, 새우에 월척 확률 높다. 보릿가루를 섞은 떡밥에 굵은 씨알이 마리수로 낚임. 물이 맑고 어자원이 풍부, 수초가 많아 수초 틈새를 노려야 한다. 특히 새벽에 뛰어난 조황, 봄 낚시터, 2001년 4월7일 40.9Cm 배출.
교통편: 자인면 소재지에서 우회도로를 따라 약 2Km 정도 가다 좌회전, 논길을 따라 계남 2리 방향으로 약 500m 가면 도로 좌측에 위치해 있다.
골못(남촌못): 자인면 남촌리, 평지지, 4만평, 포인트는 제방 좌측에 산재한다. 초여름이면 제방 좌측 중류권이 인기다. 이곳은 씨알이 잘지만 마리수 조과가 보장된다. 지렁이와 떡밥 모두 효과가 있다. 긴대보다 짧은 대가 효과적이다. 초봄부터 여름까지 좋은 조황을 보인다. 못안에 솟는 샘이 있어 갈수기 영향을 덜 탄다. 바닥새우가 많아 새우낚시가 성행한다.
교통편: 자인면 소재지에서 진량방면의 985번 지방도로를 따라 약 1.2Km 정도 가면 길 좌측에 ‘OB주유소’가 나오며 맞은 편으로 진입하면 저수지가 나온다.
가화지: 자인면 단북리, 소류지, 8천평, 포인트는 제방 맞은편의 상류권과 제방 좌측의 중상류가 된다. 초여름엔 상류쪽 후미진 지역으로 꾼들이 몰린다. 이곳은 수심이 1m 안팎, 제방권은 수심이 5m 까지 나간다. 물이 깨끗하다. 붕어가 주 어종이며 잉어와 향어, 가물치도 서식한다. 저수지 내에 샘이 솟아 가뭄을 타지 않는다. 지렁이, 떡밥, 새우 모두 잘 먹는다.
교통편: 자인면 소재지에서 진량방면으로 약 2.5Km 정도 가다가 ‘대경전문대학교’ 진입표시를 확인하고 우회전, 1Km 가량 진입하면 저수지에 이른다.
고죽지: 용성면, 1만평, 포인트는 갈수때 수몰된 옛 저수지 둑에서 상류방향을 공략(월척포인트): 하류쪽 연안. 좌안은 갈수때도 진입불가.
교통편: 자인서 들어갈 때 용성면 사무소 소재지 직전 미산교를 건너기 전에 ‘쌍용주유소’를 끼고 좌회전, 1Km를 채 못가 삼거리에서 왼쪽으로 들어선다. 1.5Km 지점 고죽 1리 마을회관 있는 곳에서 뒤편 비포장길 500m 지점에 고죽지 제방.(마을을 거의 다 통과해 마지막 집 앞에서 우회전, 승용차가 겨우 들어갈 수 있는 길을 1Km 정도 오르면 5천평 규모의 안고죽지가 나옴. 알려지지 않은 대물터.)
교동소류지: 하양읍 교리, 미끼는 새우, 2002년 6월 20일 40.5, 38, 34Cm 배출.
교통편: 하양읍까지 간다. 하양읍에서 신령 방면으로 1.5Km 가면 왼쪽에 미래주유소가 나온다. 주유소 뒤로 좌회전해 1Km를 가면 삼거리와 함께 교동교회가 나온다. 여기서 왼쪽 길로 500m쯤 가면 왼쪽에 조그만 다리가 있는데, 다리를 건너 조금 가다가 우측의 외딴집을 끼고 우회전하면 저수지가 나온다.
금곡지: 남천면 금곡리, 계곡형, 인근에 고로곡지가 있음. 수질이 좋다.
교통편: 경산 시내에서 청도방면 국도를 타고 남천면 소재지에서 청도 방면과 남천면 금곡(장미농원) 방면 갈림길에서(다리를 건너지 말고) 좌회전하면 금곡리 입구다. 1.5Km 정도 가면 왼쪽에 ‘시골상회’가 나오는데, 맞은편으로 우회전 다리를 건너 다시 우회전 시멘트길을 따라 올라가면 금곡지 제방.
가야지: 자인면 가야리, 평지형, 포인트는 과수원 앞과 제방 맞은편 버드나무 일대. 미끼는 새우, 떡밥, 수심은 2~4m, 인근에 반월지가 있다. 떡밥에 잉어 새끼가 많이 낚인다.
교통편: 자인면 소재지에서 진량방면으로 약 2.5Km 정도 가면 우측에 ‘대경전문대학교’ 가는 길이 나온다. 계속 직진하여 2Km 정도 더 가면 압량과 대창가는 갈림길이 나오는데, 삼거리 바로 좌측에 가야지가 보인다.
가척지: 용성면 가척리, 계곡형, 소류지, 포인트는 상류 산자락과 길 옆 두충나무 주위. 미끼는 낮에는 지렁이 떡밥, 밤에는 새우, 콩(특효). 마름이 밀생한다. 초저녁에 씨알이 굵다. 흐리거나 비 오는날 준,월척 입질 활발, 2.0~2.5칸대 이용. 조황문의: 박조사(018-540-0771)
교통편: 경부 고속도로를 경산 I.C를 빠져나와 자인방면 69번 국도를 이용. 약 7Km 진입하면 자인사거리(대구에선 25번 국도를 이용, 경산을 경유, 987번 지방도로를 따라 약 9Km 직진) 이곳에서 용성, 운문방면 985번 지방도로로 6Km 들어서면 용성면 소재지. ‘용성, 당리’교차로가 나온다. 여기서 청도 운문방면으로 좌회전하여 10m 가면 나오는 삼거리에서 육동, 부제방면으로 다시 좌회전, 그러면 비오재를 지난 약 5Km 지점에 ‘가척리’ 이정표를 따라 1Km 진입하면 저수지가 나온다.
내촌지: 용성면 내촌리, 계곡형, 2만 1천 평, 포인트는 제방 좌측의 미루나무 부근과 그 맞은편이 좋은 포인트. 저수지 중앙에는 마름, 물 수세미가 밀생, 가장자리는 땟장, 수련 등이 밀생한다. 수심은 1.5m~2m 이며 세칸대까지 주로 사용한다. 미끼는 삶은 콩이나 바닥새우를 주로 사용한다.
교통편: 자인에서 용성 방면 985번 지방도를 이용. 5Km 정도 진행하면 용성면 소재지 못 미쳐 ‘용성주유소’ 가 있다. 주유소 옆 골목으로 좌회전 후 2.5Km 가면 내촌리 지나 내촌지가 보인다.
냇못(천마지): 자인면 읍천리, 평지지 2만 5천평, 포인트는 제방 좌측의 상류에 집중된다. 초여름이면, 수심이 좋은 제방 우측이 포인트. 월척자원이 많다. 특히 밤 낚시가 잘 된다. 바닥새우가 많아 대물을 노리는 새우 낚시꾼들이 즐겨 찾는다. 삶은 콩도 잘 듣는다.
교통편: 자인면 소재지에서 대창방면으로 1Km 정도 진입하면 예비군 교장이 나온다. 교장바로 앞에 위치한다.
느블못(적재지): 자인면 옥천리, 평지형, 4만평, 포인트는 상류 수초대와 수심 깊은 제방 좌우측, 미끼는 새우, 콩, 지렁이. 인근에 솔지라는 방죽형 계곡지가 있다. 밤 10시부터 새벽 3시까지가 중점 입질 시간 대. 25Cm가 주종이지만 간혹 월척도 선보인다. 수질이 좋지 않다는 선입견이 있지만 생활하수나 공장폐수가 유입되지 않는다. 9월에서 11월 사이가 4짜나 월척에 도전해 볼 시기이다.
교통편: 경부고속도로 경산 I,C를 나와 985번 지방도로를 이용, 이 곳에서 7.8Km 지점 자인면을 경유, 용성방면 2Km 진입도로 변 좌측에 저수지 제방이 보인다. 식당 앞에 주차, 상류로 진입.
남매지: 계양동,
대동지: 와촌면, 준계곡형, 4천평, 포인트는 상류에 말풀이 듬성있는 지역, 미끼는 새우, 어자원이 풍부하다. 수초는 적지만 마리수 조황이 좋은데 떡밥이나 지렁이를 이용한 하루 낚시에 25Cm 급 10여수는 무난하다. 주차할 공간이 많고 자리도 편하다. 새우를 이용한 밤낚시에 대물이 자주 출현한다.
교통편: 대구시를 기점으로 4번 국도를 이용해 하양읍을 지나 영천 방면으로 약 1Km를 가면 우측에 SK 보일 주유소가 있다. 주유소 앞에서 좌회전해 와촌면 소재지를 지나 약 1.5Km를 가면 와촌교에 다리가 있고 좌회전해 약 2Km를 더 가면 대동교 다리에 이른다. 우회전해 농로따라 약 3Km를 가면 제방이 보인다.
대계지: 용성면 내촌리, 준 계곡형, 1만 2천평, 포인트는 최상류지역, 진입도로가 닿는 우안 몇 자리. 상류 오염없는 청정 낚시터.
교통편: ‘쌍용주유소’ 앞에서 좌회전,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계속 올라가면 ‘도덕교-외촌교’를 차례로 건너게 된다. 오른쪽 내촌리로 들어가면 마을 안쪽에 저수지.(우안도로를 따라 700m~800m 더 위쪽에 두 개의 방죽형 소류지 있음)
당산지: 자인면 동부리, 평지지, 1만평, 포인트는 제방 맞은 편 상류지역이 된다. 초여름엔 수초 형성이 좋은 상류지역. 이곳은 수심이 1m 안팎이다. 제방권도 좋은 포인트가 되는데 수심이 1.5m 안팎으로 특히 새우낚시를 이용한 밤 낚시 포인트로 유명하다. 바닥을 거의 다 드러내본 적이 없어 굵은 씨알의 어자원이 풍부하다.
교통편: 자인면 소재지에 있는 ‘자인여상’ 뒤편에 위치해 있다.
대학지: 하양읍 대학리, 소류형, 2천평, 포인트는 제방 좌측 중상류대. 미끼는 새우, 지렁이, 대물 낚시터.
교통편: 경산시 하양읍을 기점으로 청통방면 985번 지방도로로 약 3Km를 가면 좌측의 ‘하양여고’를 지나 약 50m 지점 좌측에 대학리 이정표가 나타난다. 좌회전해 콘크리트 포장길을 따라 약 2Km를 가다 콘크리트 포장이 끝나는 지점에서 비포장길로 약 200m를 더 들어가면 제방이 보임.
다문지: 진량면 다문리,
밀못: 남산면 우검리, 준계곡지, 2만평, 포인트는 상류권 수초지대, 제방 왼쪽 중류, 제방 오른쪽 중상류, 미끼는 낮에는 떡밥, 지렁이, 밤에는 새우, 삶은 콩 등이 잘 듣는다. 1급 수질터, 80년~90년대의 초대어산지, 94년대가 춘추시대(준척급 마리수 나옴). 평균 씨알은 20~28Cm가 주종. 최근에 조황이 살아 나고 있어 옛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 것 같다. 2001년 8월 31일 38, 37Cm외 10마리 월척. 2001.10.20 35Cm 배출. 2003년 5월 4일 새벽 1시 33Cm낚음. 6월 1일 새벽 1시 30분 30.8Cm 낚음. 6월 7일 밤9시 50분 30.5Cm 낚음. 6월 15일 새벽 2시 34Cm 낚음. 2003년 7월 18일 38Cm외 월척3마리 배출, 7월 19일 38Cm 배출.
교통편: 대구에서 경산~자인을 지나 남산면 사무소 소재지로 들어간다. 면사무소 앞에서 동곡 방면으로 50m 진행하면 ‘경산 복숭아 창고’ 건물을 보고 우회전해 500m 거리에 우검마을이 있다. 마을에서 오른쪽으로 200m쯤 길 왼쪽에 저수지.
문천지: 진량면 문천리 양기리, 평지형, 46만평, 포인트는 문천리골과 평사리골 상류권으로 부들과 갈대 주변, 대구지역 최고의 가족낚시터, 주변경관이 뛰어나고과수원 등 위락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어 주말이면 가족단위 꾼들이 많이 몰린다. 5월부터 낮낚시 보다는 밤낚시 위주로 하는게 조황이 앞선다. 최근 생활하수 유입되는 수로를 정바햐여 수질 개선, 2월초순부터 물낚시 시작.
교통편: 경부고속도로 경산I.C에서 내려와 진량읍 방면으로 1Km 정도 가면 진량읍 공단사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계속 직진하여 약 300m 정도 가면 나오는 대창.문천리 이정표를 따라 좌회전하여 진입한다. 약 1Km 정도 가면 우측에 문천리 식당이 보이는 ‘ㅓ’ 자형 삼거리에 닿는다. 이곳에서 좌회전하여 약 200m를 가면 경부고속도로 지하도를 지나고 비포장도로를 따라 약 100m를 더가면 저수지 문천골 상류에 닿는다. 평사골은 문천리 식당에서 곧바로 직진하여 만나는 삼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약 1.5Km를 가면 유신실업 공장이 보인다. 이곳에서 좌회전하여 약 300m를 가면 평사리 마을회관에 닿는다. 이곳에서 마을 끼고 좌회전하여 약 300m 더 내려가면 평사리골 상류에 닿는다.
먼못(원지): 진량면 속초리, 평지지, 4만 8천평, 포인트는 중하류에 고르게 분포한다. 봄에는 제방 맞은편의 상류권에 집중, 초여름 포인트는 제실이 있는 제방 우측 산 아래 중류권. 평균 씨알이 7치 이상으로 굵은 편이며, 경산권 제일의 월척터, 바닥새우를 이용한 밤낚시에 4짜 소식도 잦다. 새벽낚시에도 좋은 조황을 보인다. 4월 밤낚시에 굵은 씨알
교통편: 자인면 소재지에서 대창방면으로 3Km정도 가다보면 도로 좌측에 저수지가 나타난다.
먼못(소똥못): 하양읍, 소류형, 2천평, 포인트는 상류 부들밭, 인근 저수지는 문천지가 있다. 미끼는 새우가 특효! 못의 절반 이상이 부들밭, 월척, 4짜, 새우의 평균 25Cm.
교통편: 대구에서 하양읍을 지나 진량쪽으로 우회전하여 1Km 쯤 가면 나오는 부기동 삼거리에서 좌회전하여 문천지를 지나 약 1Km를 가다 내리막길에서 우회전, 200m 쯤 가면 못에 이른다.
며느리못: 자인면 광석리, 평지형, 2만평, 포인트는 소나무 숲 일대와 부분적으로 수초가 제거되어 있는 곳, 미끼는 바닥새우와 삶은 콩, 저수지 가장자리에 뗏장과 마름, 갈대 등 수초가 밀생, 7~8 치급 주종, 2.5칸 전후의 낚싯대가 좋다. 평균 수심은 1.5~2m.
교통편: 경부 고속도로 경산 I,C에서 진량, 하양 방면으로 가다가 자인, 동곡방면 69번 도로로 우회전 해 약 3Km를 더 가면 ‘가야주유소’ 지나 가야 사거리에 이른다. 이곳에서 좌회전해 약 4.5Km를 더 가면 광석리에서 대창 방면도로와 만나는데 이곳에서 다시 좌회전해 약 1.3Km를 더 가면 도로 우측에 저수지가 보인다.
먹실못: 남산면 연화리, 계곡형, 2천평, 포인트는 제방 우측 새물 유입구, 미끼는 새우, 삶은 콩, 인근 저수지 밀못이 있다. 중점 입질 시간대는 새벽 1시 이후부터 동틀 무렵까지이다. 입질이 까다로워 챔질 타이밍을 최대한 늦게 잡아야 유리하다. 낮낚시는 전혀 안됨. 외지꾼들은 전혀 모름. 길이 험하므로 진입로는 승용차로 저수지 근처까지 갈 수 없으므로 진입로에 세워좋고 500m 쯤 도보로 가야함.
교통편: 남산면 소재지에서 우검리 마을로 들어가는 도로로 진입하여 1.5Km 쯤 가면 우측에 밀못 진입로가 나오면 그대로 직진하여 연화리 마을로 들어가는 길목에서 우회전, 1Km 가면 좌측에 진입로가 나온다.
반곡지: 남산면 반곡리, 평지지, 1만 5천평, 포인트는 제방 좌측 상류권, 제방 우측 상류권, 초여름 포인트는 제방 우측 산아래 중하류권, 이곳은 수심이 1m 안팎이며 짧은 대가 효과적이다. 미끼는 새우, 삶은 콩, 40Cm 급 붕어가 많이 배출된다. 가물치가 많이 서식. 2000년 5월 20일 새벽 1시 50분 34Cm 낚음. 2000년 6월 26일 호우주의보속 35Cm낚음.
교통편: 자인면 소재지에서 남산방면으로 난 987번 지방도로를 따라 약 3.4Km 가면 ‘경산 상대온천’ 으로 진입하는 갈림길에 이른다. 온천쪽으로 우회전해 2Km 가량 진입하면 다시 갈림길이 나오며 이곳에서 다시 좌회전, 약 2Km 진입하면 저수지에 이른다.
부제지(가은지): 용성면 부제리, 평지형, 포인트는 산자락 아래 상류권, 미끼는 밤에는 새우, 낮에는 떡밥, 수심은 1.5m~4m이다. 인근 저수지로는 미륵지와 사양지가 있다.
교통편: 자인 사거리에서 용성. 운문방면 985번 지방도로로 6Km 들어서면 용성면 소재지 ‘용성. 당리 교차로’가 나온다. 여기서 청도. 운문방면으로 좌회전하여 10m 가면 나오는 삼거리에서 육동. 부제방면으로 다시 좌회전하여 비오재 가기전에 도로 오른쪽에 저수지가 보인다. 조황문의: 박조사(018-540-0771)
부제지(제2부제지): 자인면 단북리, 5천평, 50년이 넘은 고지, 포인트는 상류권 좌우측 수초대, 미끼는 새우, 콩(대물), 낮에 떡밥에 마리수, 메주콩에 8~9치급.
교통편: 경산시 자인면 소재지에서 진량읍 방면으로 2Km를 가다 보면 우측에 대경대학 이정표가 있는 점멸 신호등이 있는 삼거리가 있다. 우회전해서 왼쪽 첫 번째 저수지는 야창지이고 300m를 직진 하면 대학교 정문 왼쪽에 저수지.
비안골못: 용성면 외촌리, 7천평, 포인트는 좌안과 상류일대, 월척터, 우안은 경사가 극심해 낚시가 불가하다. 수초가 있으면서도 수심이 깊은 편이다.
교통편: ‘쌍용주유소’ 앞에서 좌회전,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계속 올라가면 ‘도덕교-외촌교’를 차례로 건너게 된다. 오른쪽에 내촌리 들어가는 입구가 나오면 계속 직진하여 1Km를 채 못가 길 왼쪽에 외촌마을이 있다. 직진 방향의 길 끝에는 3만평 규모의 외촌지가 있다. 좌회전해서 마을 안쪽으로 들어가 좁은 길을 조심조심 올라가 보면 논자락 위에 저수지가 보인다.
반월지: 압량면 의송리, 평지형, 4만 5천평, 포인트는 전 지역, 석축 때문에 정수수초 드물고 침수수초인 말풀이 가득하다. 상류 수심은 1m이고, 미끼는 초봄에는 지렁이, 떡밥이 잘 먹힌다. 낙동강 물을 끌어올려 수량을 유지한다.
교통편: 경산시에서 압량면 소재지를 지나 압량교를 건넌다. 여기서 곧바로 나오는 갈림길에서 신촌리 방면으로 우회전하여 약 3.5Km 진입하여 좌측에 반월지가 나타난다.
봉제지: 진량읍 봉제리, 평지형, 5천평, 지령미상, 포인트는 제방 좌우측 상류 갈대와 부들 지역, 제방 우측 중류권 연밭 지역, 미끼는 초봄에는 지렁이, 3월 이후에는 콩이 위력을 발휘, 해마다 초봄에 가장 먼저 입질이 시작, 주위에 아파트가 있으나 수질은 깨끗한 편, 대물이 자주 낚여 고정꾼들이 많다.
교통편: 경부고속도로 경산I.C에서 나와 진량방면으로 약 600m 가면 삼거리가 있다. 직진해 1Km를 더 가다가 외환은행이 있는 사거리에서 우회전해 2Km를 더 가면 황제아파트가 있고 저수지가 보인다.
상동지(자라지): 압량면, 소류형, 2천평, 포인트는 상류 부들밭, 미끼는 새우, 콩, 옥수수, 상류는 부들, 하류권은 가시연과 마름, 뗏장수초가 무성하다. 7월초부터 준.월척 다수 낚임, 비가 와도 쉽게 흙탕물이 되지 않는다. 2002년 9월 13일 35Cm 배출, 가을철 피크는 10월 중순, 콩 미끼에 대물 입질.
교통편: 경부고속도로 경산IC로 나와 자인 방면으로 우회전, 3Km를 가면 좌측에 삼성라이온즈 연습장이 나오고 삼거리에 이른다. 우회전하여 1Km 정도 가면 좌측에 저수지가 있고 제방 위로 길이 이어진다. 이 길로 가다가 제방 중간쯤에서 우회전, 50m 정도 가서 우측 가게가 있는 곳에서 좌측 시멘트 길로 진입하면 상동지 제방에 이른다.
소월지: 와촌면 소월리, 평지형, 4천평, 인근에 먼못이 있다. 포인트는 주로 연안 가까이 형성되어 있는 상류 뗏장수초 사이와 과수원 근처, 미끼는 새우, 콩, 먼못에 가려 다소 소외된 느낌이지만 오히려 입질은 더 많이 받을 수 있다. 중치급으로 고른 씨알이 특징. 앉을 자리가 적다는 것이 단점이지만 아직 마른적이 없고 어자원이 풍부하다. 2002년 4월 20일 10마리 월척, 4월 27일 5마리 월척, 4월 28일 3마리 월척 배출. 봄 월척산지,
교통편: 대구시를 기점으로 4번국도를 이용해 하양읍을 지나 영천방면으로 약 1Km를 더 가면 우측에 SK 보일주유소가 있다. 주유소 앞에서 좌회전해 와촌면 소재지를 지나 갓바위 방면으로 다시 좌회전해 1Km를 가면 좌측에 소월리 버스정류장이 보인다(복숭아 농장 푯말을 끼고). 좌회전해 800m를 가면 우측에 저수지가 보인다.
송내지(조곡지): 남산면 송내리, 계곡지, 7만 9천평, 포인트는 제방 좌우측 중류권이 포인트, 도로를 끼고 있는 제방 우측은 릴 낚시가 성행한다. 초여름이면 제방 좌측이 포인트, 이 곳은 수심이 1m 50Cm~2m 내외로 세칸대 이상의 긴대가 유리, 붕어 이외의 잉어와 향어 자원도 많다. 대낚시 외에도 릴꾼들이 많이 찾는다.
교통편: 자인면 소재지에서 남산방면으로 난 987번 지방도로를 따라 3.4Km 가량 진입하면 나오는 갈림길에서 우회전, 조곡리 쪽으로 약 2Km 정도 진입하면 저수지에 이른다.
삼정지(세못): 자인면 서부리, 평지지, 3만 3천평, 포인트는 가운데 제방을 기준으로 좌측 지역은 맞은편의 또 다른 제방이 포인트가 되며, 우측지역은 전역이 포인트, 초여름 포인트는 주택가가 있는 가운데 제방 맞은편, 미끼는 지렁이, 떡밥, 새우 고루 잘 듣는다. 바닥새우 많지 않음. 제방을 사이에 두고 저수지가 양면으로 나누어져 있는 특이한 형태. 교통이 좋고 앉을 자리가 많아 단체낚시 하기에 편리하다. 밤 낚시가 잘됨. 정화시설이 들어서 수질이 많이 좋아짐.
교통편: 자인면 소재지에서 경산 방면으로 난 987번 지방도로를 따라 1Km 정도 가면 도로 좌측에 위치해 있다.
상신지, 하신지(작은새못, 큰새못): 용성면 낭리, 평지지, 1만평, 포인트는 상류 갈대 포인트(새벽에서 아침 포인트), 좌대 우측 1.5m~2m 수심대, 큰 못은 도로 반대편 긴 제방과 가장 자리가 포인트, 미끼는 지렁이, 새우, 봄철시즌 전개가 다른곳보다 빠르다.
교통편: 경부고속도로 상의 경산 I,C에서 진량방면으로 진입한 후 자인방면으로 우회전, 약 20Km 가량 가면 자인사거리에 이른다. 이 곳에서 용성방면으로 우회전 해 용성까지 간 뒤 운문댐 방면으로 우회전해 1Km 가면 도로 양쪽으로 저수지가 나타남.
신관지(안골못): 자인면 신관리, 소류지, 3천평, 저수지 전역이 포인트로 제방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낚시가 고루 잘 된다. 제방 좌측의 상류 산과 밭 지역이 최고의 포인트, 이 곳은 수심이 앝은 편으로 새우와 삶은 콩으로 대물을 기대해도 좋다. 매년 다량의 월척을 배출하는 곳, 주변의 오염원이 없어 수질이 맑다. 바닥새우가 서식한다. 지렁이와 떡밥도 효과적이다. 자연경관도 뛰어나 피서 낚시터로도 좋다. 붕어와 가물치가 주어종이다. 1999년 7월 24일(새벽 1시 58분) 36.5Cm 낚음. 2000년 8월 24일 32Cm 2수외 준척3마리 낚음. 8월 26일 33Cm 1수외 준척 2수 낚음. 2001년 9월 22일 저녁 8시~12시 사이 35Cm1수, 32Cm2수 낚음. 9월 29일 새벽 1시 40분 신관 윗못 32Cm1수 낚음. 2002년 9월 14일 11시 45분 35.5Cm외 준척 마리수 낚음. 2003년 8월 9일 33Cm외 준척 2수 낚음.
교통편: ‘자인초등학교’에서 대창 방면으로 50m 가다가 ‘자인경로회관’을 끼고 우회전, 신관리 방면으로 약 2Km 정도 진입하면 신관리 마을회관 좌측으로 저수지.
신제지: 진량읍 신제리, 계곡형, 3만 6천평, 포인트는 제방 우측 상류 말풀 지역, 미끼는 떡밥을 이용한 낮낚시에 마리수로 낚이며, 참붕어 미끼에도 대형급을 기대할 수 있다. 밤 낚시에는 새우, 삶은 콩이 잘 듣는다. 월척급보다는 꾸준한 조황이 보장되는 곳이다. 전역에 앉을 자리가 많다. 2001년 4월 11일 41Cm 배출. 이른 봄부터 월척 배출.
교통편: 경산 I,C에서 진량, 하양 방면으로 가다가 자인, 동곡 방면 69번 도로로 우회전해 약 3Km를 더 가면 ‘가야주유소’ 지나 가야사거리가 나온다. 이 곳에서 좌회전 해 약 3Km를 가다보면 좌측의 ‘(주)대양공장’에서 좌회전해 우측길로 끝까지 가면 저수지에 이른다.
설못: 자인면 신관리, 계곡형, 5천평, 포인트는 제방 맞은편 상류권, 제방 우측 산아래 중상류권, 제방 좌측 중상류대. 미끼는 새우, 삶은 콩이 특효. 초봄에는 지렁이로 마리수 조과를 올릴 수 있다. 터가 세기로 유명 하지만 한번 터지면 소나기 입질을 받을 수 있는게 특징.
교통편; ‘자인초교’에서 대창 방면으로 50m 가다가 ‘자인경로회관’을 끼고 우회전, 신관리 방면으로 약 2Km 정도 진입하면 신관리 마을회관 우측으로 1Km 가량 진입하면 저수지. 우중 일때는 언덕이 미끄럽기 때문에 제방권으로 진입하면 된다. 2000년 5월 10일 오후 비온 후 30.5Cm 2수 낚음.
신사지: 용성면 신사리, 평지형, 1만 5천평, 미끼는 떡밥, 지렁이, 새우가 잘 든다. 수심은 1m~1.5m이다. 장마때 빛을 바란다. 마리수터이다. 20~25Cm 급 마리수 뿐만 아니라 준, 월척도 쏠쏠히 낚인다. 2.5~3.5 칸대가 주로 쓰인다.
교통편: 대구를 기점으로 경산 I,C에서 내려 자인면을 거쳐 용성까지 간다. 용성면 소재지에서 송림방면으로 약 1.5Km를 가면 도전리에 이르고, 좌측에 ‘오운가든’ 입간판이 보인다. 가든 방면 길로 약 700m를 가면 제방이 보인다.
속초지: 진량면 속초리, 계곡형, 8천평, 포인트는 상류 갈대밭과 말풀밭의 경계를 이루는 곳이다. 미끼는 새우, 삶은콩이 잘 듣는다. 매년 4짜를 배출하는 곳이다. 터가 세다. 99년 4월 12일 40.5Cm를 비롯 5마리 월척, 2000년 11월 3일과 4일 사이에 40Cm 급 5마리 배출함. 주차공간 넉넉하다. 산길을 넘으면 길이 험하니 소형차는 조심하기 바람.
교통편: 경산시 자인면 사무소 소재지에서 원지, 대창방면으로 나가 ‘마곡예비군 훈련장’ 앞을 지난 직후 왼쪽 ‘미성식당’ 이 있다. 식당을 끼고 좌회전, 계속 들어가면 도로 오른쪽에 낚시터 상류가 나타난다.(속초리 마을 쪽으로 들어오는 길도 있음)
새미골못: 와촌면 상암리, 평지형, 8천평, 포인트는 최상류보다 중하류권, 미끼는 새우, 98년 제방 수리로 물을 거의 뺏지만 뻘층이 깊어 큰고기 살아 남음. 99년부터 4짜 배출,
교통편: 대구에서 영천방면으로 가다가 금호읍 입구를 지나면 신호등과 함께 청통.대창방면 사거리가 나온다. 청통방면으로 좌회전하면 사일못 제방이 보인다. 제방 바로밑에서 시멘트길로 좌회전해 마을을 지나 1Km 정도가면 오른쪽에 ‘공병대’ 표지판이 있다. 표지판을 따라 우회전하면 길가에 저수지가 나타난다.
상천이지: 와촌면 계전리, 계곡형, 1천3백평, 포인트는 상류권, 미끼는 새우, 지렁이, 1945년 축조, 대물이 우글거리는 곳, 상류 오염원이 없어 수질이 좋다. 전수면에 말풀이 가득, 주차 공간이 넉넉, 경치가 워낙 좋아 여름철 피서낚시, 저수지 입구에 샘이골지가 있다.
교통편: 사일지 제방 입구에서 좌회전해 약 1Km 더가면 공병부대 푯말이 있다. 우회전해 샘이골지를 지나 ‘유니테크’ 공장을 지나면 상천이지 제방.
심성지: 진량면 평사리, 준계곡형, 3천5백평, 1919년 축조, 인근에 신곡지가 있다. 2001년 4월 21일 3~4시 사이 4짜 마리수 배출, 포인트는 우측연안이 일급 포인트, 상류 야산밑 곶부리와 건너편 상류, 미끼는 콩, 옥수수, 새우(바닥새우 크다), 야산에 숨어있는 못, 인근에 문천지, 석곡지, 신지가 있다.
교통편: 대구-진량공단-평사리, 평사리 마을 통과해 야산을 타고 한참 올라 중턱에 오르니 주변에 보리밭이 나타났고 좌측으로 저수지 상류, 우측으로 경부고속도로가 바로 내려다 보인다.(차는 보리밭가에 주차하고 걸어 저수지까지 내려감), 문천지에서 평사리쪽으로 오다보면 덕원섬유 못미처 좌회전해 들어가면 석곡지, 계속 직진하여 평사리 마을 입구에 공장을 보고 좌회전하여 들어가면 보리밭 못미처 좌측으로 신지가 위치해 있고 더들어가면 심성지다.
신방지: 남천면 신방리, 미끼는 새우, 2001년 8월 23일 밤10시 43Cm배출.
교통편: 경산 시가지를 빠져나와 남천을 지나 금곡초교 못미쳐 좌회전 신방까지 간다. 신방에서 5분거리 도로변 우측에 있는 이어지 상류에서 골프장 표지판을 따라 좌회전하면 신방지 제방. 제방 오른쪽으로 나있는 길에서 왼쪽 갈림길에 주차.
소고당지: 진량면 현내리, 평지형, 4천평, 아직 단한번도 물이 마른적이 없는 초대형 서식터, 인적이 드문 저수지, 늦가을~초봄, 깊은 뻘층, 부들, 말풀, 마름등이 발달, 2001.9.18 49, 43Cm 배출, 9.20일 37.5, 37, 36Cm 배출.
교통편: 경부고속도로 경산I.C를 빠져나와 자인방면으로 간다. 삼성야구 연습장을 지나 직진하면 오른쪽에 가야숯불갈비, 왼쪽에 가야못이 있다. 경산I.C에서 3.5Km 지점이다. 가야지 옆길로 좌회전해 3Km 가면 삼거리, 여기서 우회전 100m후 ‘현지숯불갈비’란 붉은 간판에서 좌회전, 50m 가다가 첫비포장길로 좌회전하면 제방에 닿는다.
삼천지: 계양동, 평지형, 2만5천평, 1948년 축조, 포인트는 상류 연밭사이, 미끼는 낮에는 짝밥, 밤에는 새우에 대물이 붙는다. 전역에 연과 부들 발달, 현재 영남대 소유지만 낚시 가능, 매년 4월15일 전후해 대물 밤낚시 시작, 소음에 취약해 극도의 정숙 요구, 평균 1m 수심.
교통편: 경부고속도로 경산I.C에서 나와 경산방면으로 우회전, 약 3Km를 가면 영남대학교가 나온다. 정문 앞에서 좌회전 800m를 가면 우측에 저수지가 보인다.
신한지: 와촌면 신한리,
연지: 진량면 선화동, 평지형, 6만평, 미끼는 흐린날에 특히 콩이 잘 듣는다. 70년대와 80년대의 대구꾼들의 신병훈련소와 같은 곳으로 월척 많은 곳이 연지 만한 곳이 없을정도로 자원이 풍부하다. 지금은 주변이 개발되어 수질이 나빠지고 경관이 많이 훼손되었음.
교통편: 경부 고속도로 경산I,C에서 빠져나와 경산시 방면으로 50m 정도만 가면 도로 왼쪽 논과 논 사이에 제방이 있다.
입지: 진량읍, 평지형, 3만평, 포인트는 수심1m 전역이 포인트, 미끼는 전형적 콩낚시터, 부들과 연, 마름이 무성하다, 바닥은 두터운 뻘층, 갈수기에는 제방권이 포인트.
교통편: 대구시에서 25번 국도를 이용해 경산시에 들어서자마자 염대교에서 그대로 직진하면 진량방면 987번 지방도로다. 약 5Km를 가면 우측에 현흥초교가 있고 우회전해 2Km 가면 도로 좌측에 큰저수지(연지)가 있는 맞은편의 소로로 진입해 1Km 더가면 입지다.
연지(작은): 진량면 일언리, 1만5천평, 포인트는 제방 우측 상류권(수심 1.5m) 포인트 앞쪽으로 갈대가 듬성 있는데 긴대로 부들까지 붙이면 대물 확률이 높다. 제방 맞은편 상류권은 발앞쪽으로 뗏장밀생(수심 1~1.5m), 제방 좌측 상류권은 갈대가 듬성 있는데 수심은 1m 이내로 밤낚시에 대물 출현이 잦다. 미끼는 새우(대물), 지렁이, 야산으로 둘러 싸여있다. 어종은 붕어, 잉어, 가물치, 주변에 오염원이 없어 물이 맑다. 주차공간이 부족하고 진입로가 좋지않다. 비오는날에 승용차로 진입이 불가능한게 흠이다. 자원이 잘보존.
교통편: 대구를 기점으로 4번 국도를 이용해 반야월을 지나 하양읍까지 간다. 경산방면으로 우회전해 진량가지 진입, 진량삼거리에서 자인방면으로 우회전해 대구컨트리클럽, 삼성야구연습장을 지나 약 3Km를 가면 일언리 푯말이 나온다. 좌회전해 약 1Km를 가면 제방이 보인다.
용산지(용곡지): 계곡형, 1만 5천평, 포인트는 제방 좌측 중 상류대, 인근에 회곡지가 있다. 마을 뒤편 골자기 1Km 지점에 두 개의 특급 소류지가 숨어있다.
교통편: 용성서 남쪽 운문댐 가는 길로 3Km 지점, 곡란리 마을을 지난 직후 ‘용산관광농원’ 푯말이 있는 곳에서 우회전, 마을 입구에서 다시 산쪽으로 좌회전해서 올라가면 제방
외촌지: 용성면 외촌리, 계곡형, 3만평, 포인트는 제방 좌측 중류에서 상류쪽 잡풀이 군데군데 자라있는 곳(대물꾼 많이 찾는 포인트), 제방 좌측 중상류는 자리가 세네자리 정도 밖에 여유가 없어 주말 출조시에는 빨리 서두르는 것이 좋다. 미끼는 새우, 콩, 지렁이, 떡밥, 낚시대 길이는 2칸대~3.5칸대, 자정부터 오전 7시까지가 가장 많은 입질을 받을 수 있는 시간대, 주어종은 붕어, 잉어, 가물치, 하루동안 올린 조과는 월척 3수와 준척 10여수.
교통편: 경부고속도로 경산 나들목을 나와 자인 방면으로 진행, 자인면 소재지에서 용성방면 으로 간다. 용성면 소재지 입구 쌍용주유소 지점에서 외촌리 간판을 보고 좌회전, 외촌교를 지나 1Km 정도 더 직진하면 외촌리가 나온다. 외촌리를 통과해 500m 정도 가면 외촌지 제방이 보인다.
의송지: 856-5898
용정지: 하양읍 대학리, 평지형, 1천평, 미끼는 새우, 50년이 넘은 고지, 어자원이 풍부, 언제 가도 꽝이 없는 곳.
안촌지: 진량면, 평지형, 8천평, 포인트는 상류 부들사이(60~80Cm), 미끼는 콩과 새우, 전역에 부들과 말풀이 가득, 상류 좌우측 연안에 부들이 형성, 중류엔 뗏장과 말풀 형성, 마을이나 축사가 없어 수질이 좋다. 붕어 자원이 풍부, 중치에서 대형 월척.
교통편: 경부고속도로 경산I.C에서 빠져나와 진량 방면으로 1Km 가면 삼거리, 오른쪽 자인방면으로 우회전, 4Km 거리에 다시 삼거리가 있다. 왼쪽 가야못을 끼고 좌회전 하면 2Km 후 오른쪽에 ‘안촌마을’ 푯말이 나온다. 푯말을 따라 우회전해 1.2Km 들어가면 또다시 삼거리가 나온다. 오른쪽으로 접어들어 마을까지 진입 마을 뒷길(비포장)로 야산을 넘어가면 제방이다.
자라지: 준계곡형, 1만 4백평, 포인트는 최상류 부들주변과 제방 우측 포도밭 앞 연안, 그중 최상류 부들밭 부근 개인좌대가 놓여있는 곳 주변, 제방 우측 상류 줄풀과 말즘이 잘 깔린곳(세칸 이하의 짧은대). 미끼는 밤낚시에는 새우나 메주콩을 사용하고 낮낚시에는 지렁이가 주 미끼.
교통편: 경산을 기점으로 한다. 경산에서 자인. 용성 방면으로 6Km 정도 가면 길 우측에 상대온천 이정표가 있다. 이정표를 확인하고 우회전, 온천쪽으로 1Km 정도 가면 우측 포도밭 너머로 제방이 보인다. 농로를 따라 제방 아래까지 승용차의 진입이 가능하지만 주위 포도밭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주의 해야한다.
짐못: 경산시 산천동, 평지형, 2만5천평, 포인트는 제방 우측권, 미끼는 떡밥, 지렁이, 2002년3월말에 4짜 무더기 낚임, 90년대초 유료터, 초어 대량 번식했으나 지금은 초어를 거의 잡아내고 난뒤 상류에 수초대 알맞게 형성.
교통편: 대구에서 25번 국도를 타고 경산을 경유하여 자인방면으로 가다 미래대학 입구를 지나쳐 약 2Km 정도 가면 좌측에 저수지가 보인다.
진곡지: 하양읍, 소류형, 3천 5백평. 포인트는 상류의 새물유입구와 과수원 밑(특대물자리, 4짜 확률 높다.), 제방 좌측의 마름이 퍼져있는 곳, 미끼는 새우, 떡밥, 준공이후 한번도 마른적이 없음. 외지에 전혀 알려지지 않아 어자원이 풍부하다. 월척 뿐만 아니라 특대형도 많다. 물이 깨끗하고 산 속에 위치하고 있어 한 여름에도 시원하게 낚시 할 수 있는 피서 낚시터. 수심이 그리 깊지 않아 낮 낚시보다 밤 낚시가 좋다.
교통편: 대구시를 기점으로 영천, 포항 방면 4번 국도를 이용해 하양읍을 지나자 마자 좌측에 ‘쌍용주유소’ 가 있다. 좌회전하면 곧 삼거리가 있는데 청통방면으로 우회전해 약 4Km 지점의 와촌교에서 좌회전해 2Km를 더 가면 대동마을이 있다. 대동교에서 우회전해 약 3Km 지점의 ‘대동지’ 좌측 중류쯤에 있는 비포장길을 따라가면 진곡지
적제지: 진량읍 당곡리, 7천평, 미끼는 콩, 새우, 주변에 내노라는 큰기업이 자리, 주변이 야트막한 야산으로 둘러처져 있어 아담한 경치, 낮낚시는 거의 안됨, 대물터, 한때 잉어 가두리가 저수지라 가끔 대형 잉어 속출, 논이 없어 배수기 낚시에 적당, 전체적으로 부들과 줄풀, 하류에도 연밭이 형성되어 있어 붕어집이 좋다. 가을이 깊어 갈수록 조황이 살아남.
교통편: 경산I.C에서 진량방면으로 좌회전하면 곧바로 편도 4차선 도로와 만난다. 약 1Km를 가다가 신호등이 있는 삼거리에서 대경대학 방면으로 우회전해 1Km쯤 가다보면 우측에 놀부곰탕집 삼거리가 보인다. 금성산업 쪽으로 좌회전해 400m를 가다가 첫 번째 농로 사거리가 있다. 좌회전해 300m를 더가면 저수지가 있다.
침법지: 압량면 침법리,
호명지: 남산면 남곡리, 평지형, 3만평, 포인트는 상류 과수원 사이, 소나무 숲밑의 뗏장 수초대, 미끼는 새우, 콩, 연안 여건이 좋아 단체 출조지로 유망, 봄부터 가을까지 조황이 꾸준, 대형붕어 자주 출몰, 향어와 잉어도 자주 낚인다.
교통편: 자인을 거쳐 용성.동곡 네거리로로 향한다. 직진해서 동곡으로 3Km 남짓한 지점 남곡마을 표지판을 따라 좌회전해서 마을 방면으로 450m 들어가면 삼거리, 오른쪽으로 400m 정도 위에 저수지가 있다.
현내지: 자인면 현내리, 준 계곡형, 포인트는 상류 갈대밭.
교통편: 자인에서 대창 쪽으로 가다 먼못을 지나서 1Km 가량 가면 우측 ‘현내리’ 입간판을 보고 우회전하여 약 500m 가면 우측에 두 번째 수로다리가 나타나는데, 흰 색 간판이 서 있음. 그것을 보고 좌회전하여 농로를 따라 1Km 가량 더 들어가면 제방이 보인다.
황룡지: 진량읍 봉제리, 평지형, 6천평, 포인트는 제방 우측의 부들과 우측 상류 과수원밑 갈대밭, 미끼는 지렁이와 떡밥, 4월이후에는 새우에 대물 입질, 도로변에 위치해 소란, 해마다 초봄에 대물이 자주 낚임, 인근의 골프장에서 농약 살포로 수질이 다소 탁한게 흠.
교통편: 경부고속도로 경산I.C에서 나와 진량방면으로 좌회전, 진량공단쪽으로 가다가 자인면으로 우회전한다. 약 2Km를 가면 삼성야구장을 지나자마자 좌측 도로변에 저수지가 보인다.
하대지: 남산면 하대리, 준계곡형, 1만평, 포인트는 좌안 상류, 미끼는 새우, 콩, 참붕어, 지렁이, 2002년 7월 1일 40Cm 배출(새벽 5시, 지렁이), 94년 준설했으나 붕어자원 살아 남아, 매년 4짜 배출, 중류부터 상류까지 수초 밀생해 수초제거 작업 필요.
교통편: 자인면소재지를 지나 경산 방면으로 가면 상대온천 안내판이 나온다. 상대온천쪽으로 가다가 조그만 다리를 두 개 지나면 인흥수퍼가 있다. 수퍼 맞은편 길로 우회전, 마을 좌측으로 500m 가다가 좌측 포도밭 사이길로 진입해 가다보면 하대지 제방이 보인다.
하도지: 남천면 하도리,
학성지: 하양읍 대학리, 계곡형, 2천평, 30년 된 고지, 1999년 4짜 무더기 배출, 밤낚시에 대물 확률 높지만 규모가 작아 소음에 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