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지키스탄 마스티프 (Tajikistan Mastiff)
► 이 명 : 다크마르다 마스티프(Dakhmarda Mastiff), 타지키스탄 쉽독(Tajikistan Sheepdog), 사지 다마르다(Sagi Dahmarda), 다크마르다(Dakhmarda), 다마르다(Dahmarda), 세이지 추포니(Sage Chuponi), 타지크 추포니 도그(Tajik Chuponi Dog), 타지크 셰퍼드 도그(Tajik Shepherd Dog), 타지크 사지 다마르다(Tajik Sagi Dahmarda)
► 외 관 : 타지키스탄 마스티프의 크기는 체고의 범위가 61~81㎝ 이지만 대부분은 체고가 68.5 ㎝ 정도되는 대형견이다. 넓은 가슴과 네모난 체격, 근육질, 날씬한 체격으로 민첩하고 건강한 몰로스(Moloss)이다. 머리는 크고 강한 주둥이와 잘 발달된 턱을 가지고 있지만 센트럴 아시안 오브차카(Central Asian Ovcharka)의 일부 다른 품종들과 관련된 지나치게 마스티프와 같은 특징들은 없다. 꼬리는 도킹되어 있고, 귀는 보통 잘려져 있지만 그렇지 않은 개들도 있다. 비바람에도 거뜬하게 버틸 수 있는 두터운 겉털을 가지고 있고, 검은색 마스크가 있거나 없다. 모색은 다양한 단색의 밀색(Wheaten), 황갈색 그리고 엷은 황갈색(Fawn)의 음영(Shade)으로 되어 있으며, 초라슈마(Chorashma)의 흑색&백색(Black & White) 또는 흑색&갈색(Black & Tan) 색깔의 개들에도 가끔씩 흰색 표시(White markings)들이 있다. 비록 목, 가슴, 발에 있는 작은 흰색 표시는 용인되더라도 바람직하지는 않다.
► 설 명 : 타지키스탄 마스티프는 지능적이고 진지하며, 양치기개로서 일할 수 있는 든든한 동반자이다. 수상쩍거나 낯선 사람들을 매우 의심하고 경계하므로 이웃 사람들이나 주변의 개들에 대해서는 어릴 때부터 폭넓은 사회화가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낯선 사람과 다른 개들을 공격할 가능성이 있다. 대형견이기도 하지만 실내생활에 대한 적응력이 아주 떨어지므로 아파트나 빌라 등 공동주택에서는 쉽게 기를 수 없다. 한적한 시골의 단독주택이나 전원주택에서 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평균수명은 9 ~ 11년 정도이다. 한배에 낳는 새끼 수는 6~10마리 정도이지만 15마리까지도 낳은 사례가 있다.
► 주 의 : 특별히 알려진 유전적 질환은 없으며, 질병에 대한 내성도 강한 편이어서 잔병치레도 거의 하지않는다. 다른 마스티프 계열의 견종들과 마찬가지로 백내장 등 눈 관련 질병에는 비교적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 외에 체리아이와 위염전도 보고가 되고 있다. 초기 성장을 잘 관리하지 못해서 올 수도 있는 앞다리 구로병도 주의해야 한다. 구로병에 한번 걸릴 경우 완치를 시키기가 정말 힘든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회성도 떨어지고 성격도 거친 편이므로 어릴 때부터 강한 리더십으로 기본적인 훈련부터 사회성 훈련은 물론 복종훈련을 체계적으로 시켜야 한다. 가급적이면 훈련소에 보내는 것 보다는 경험이 어느 정도 있는 견주가 직접 훈련을 시켜야 쉽게 통제를 할 수가 있다. 훈련소에서 두세 달 정도 주인과 떨어져 있다가 다시 만날 경우에는 처음부터 다시 견주와 커무니케이션을 이루어야 관리가 가능 할 정도이다.
식탐이 아주 강해서 식사량의 조절이 중요하다. 물론 식사량의 조절은 성장이 완전히 이루어 진 다음부터 해야 한다. 대형견은 조기 성장이 아주 빠르기 때문에 성장기 때에는 충분한 영양 공급을 해 주어야 제대로 자랄 수 있다. 덩치에 비해서 활동량이 많은 편이므로 충분한 운동과 산책은 필수적이다. 산책 시에는 단순하게 걷기보다는 가볍게 달리게도 해 주어서 어느 정도 힘을 소진해 주는 것이 좋다. 매일 한 시간 정도의 운동과 산책은 꼭 시켜주어야 한다.
털이 이중모이고 밀도가 높게 자라므로 수시로 빗질을 해 주어야 한다. 목욕은 너무 자주 시키면 좋지 않으며, 목욕 후에는속 털까지 확실하게 건조를 시켜주는 것이 피부병 예방 등에도 좋다. 추위에도 잘 견디고 사막 등 악조건의 기후에서도 비교적 잘 견디는 강건한 견종이다.
► 기 원 : 타지키스탄 마스티프(Tajikistan Mastiff)는 구소련의 붕괴 후 독립한 중앙 아시아의 공화국인 타지키스탄이 원산지이다. 이 고대의 다크마르다 마스티프(Dakhmarda Mastiff)는 타지키스탄에서 발견되는 중앙아시아 몰로셔 종(Central Asian Molossers) 그룹에 속한다. 가축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투 임무에도 사용되는 강력하고 탄력있는 사역견이다.
중앙아시아 오브차카(Central Asian Ovcharka)의 변종으로 보이는 다크마르다(Dakhmarda)는 다른 종류와 비슷하지만, 외모와 털의 색깔에서 여전히 투르크메니스탄(Turkmenistan)의 알라바이(Alabai)나 러시아의 군견들과 쉽게 구별할 수 있으며, 이는도 캉갈 도그(Kangal Dog)의 영향력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많은 애호가들은 체고가 69㎝를 넘는 다크마르다(Dakhmarda) 개체군 내의 개들이 처음에는 타지크의 개(Tajik dog)들이 터키 품종의 조상들 중 하나였다는 것이 거의 확실함에도 불구하고 터키(Turkey)에서 온 개들과 이종교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믿고 있다. 타지키스탄 마스티프(Tajikistan Mastiff)는 자국 이외의 지역에서도 발견될 수 있지만 대개는 진짜 조상과 원산지를 무시한 채 엷은 황갈색(Fawn)의 센트럴 아시안 셰퍼드 도그(Central Asian Shepherd Dog)로 표현된다.
초라슈마(Chorashma) 지역에서는 이 품종의 하위 유형도 있으며, 털의 색이 흑색&갈색(Black & Tan) 또는 흑색&백색(Black & White)의 개들이었고, 그 외에는 약간 더 풍성한 코트를 갖는 것 외에 신체적, 기질적 특성면에서 엷은 황갈색(Fawn)을 가진 품종과 거의 동일하다. 주목해야 할 것은 비록 대부분이 분명히 그 영향력을 보여주지만, CAO 혈통(Bloodline)에 다른 품종을 도입한 결과로서 러시아나 서양 품종의 개들 중에는 모든 타지크 개(Tajik dog)들과 전혀 인연이 없는 개들도 있다는 점이다. 타지키스탄 외곽에는 강력한 다크마르다의 알려진 사육자들이 없다.
► 비 고 ; 타지키스탄 마스티프는 현재까지 FCI(세계 애견연맹)에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며, 세계 유수의 켄넬 클럽 및 각종 애견 단체에 대부분 견종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 견종 표준
► 외형 : 타지키스탄 마스티프의 크기는 체고 61~81㎝, 체중 40~65kg 정도되는 대형견으로 센트럴 아시안 쉽도그보다도 조금 더 큰 편이며, 수컷이 암컷보다는 많이 더 큰 편이다. 일반적인 몰이 견이라기보다는 가축을 지키는 경비견으로 주로 길러져 왔다. 외모는 넓은 가슴과 네모난 체격, 근육질이고 날씬한 체격으로 민첩하고 건강한 몰로셔르 견종이다. 체구가 크고 용감하며, 기갑이 두드러지고 머리도 큰 편이다. 미들아시안 오브차카 처럼 생후 3년이 지나야 완전한 성견으로 성숙한다.
► 머리 : 머리는 크고, 강한 주둥이와 잘 발달된 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센트럴 아시안 오브차카의 일부 다른 견종에 비해 지나치게 마스티프와 같은 특징들은 적은 편이다. 머리는 전체적인 체형과 균형을 이루고 있고, 머리의 형태는 위에서 내려다보거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에 가깝다. 두개골은 세로길이(깊이)가 길며, 이마는 납작하고, 머리 윗부분도 납작하고 길어 보인다. 뒷머리는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지만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어서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안와(눈구멍) 위쪽에 뼈가 적당히 튀어나와 있고, 스톱은 적당히 드러나 있다.
• 코 : 코는 큼직하게 잘 발달된 편이나 주둥이 전체 크기에 비해 지나치게 크지 않으며, 코의 색은 검은색이다.
• 입 : 주둥이는 끝이 뭉툭하고, 길이는 중간 정도이고 형태는 직사각형에 가까우며, 코로 갈수록 아주 살짝 폭이 좁아진다. 주둥이는 전체적으로 두툼하고 깊어서 면적을 넓게 차지하고 있는 편이다. 콧등은 넓적하고 일자로 뻗어 있으며, 턱은 잘 발달되어 있다. 입술은 두툼하고, 입을 다물고 있을 때 윗입술이 아랫입술을 덮으면서 단단히 밀착되어 있다. 턱은 단단하고 넓적하며, 이빨은 큼직하고 흰색이면서 서로 촘촘하게 배열되어 있다. 협상교합과 절단교합 모두가 허용된다. 볼은 광대뼈가 길고 잘 발달되어 있으며, 직사각형의 머리 형태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 눈 : 눈의 크기는 중간 정도이고 타원형이며, 미간이 넓다. 시선은 똑바로 정면을 향하고 있으며, 두 눈은 적당히 깊이 자리하고 있다. 눈의 색은 진한 갈색이나 녹갈색 계통이며, 색이 짙을수록 좋다. 눈꺼풀은 두툼하고, 아랫부분이 심하게 늘어지지 않아야 바람직하다. 눈의 순막이 보이지 않아야 하며, 눈 가장자리 전체에 색이 발현되는 것이 좋다.
• 귀 : 귀의 크기는 중간 정도이고 삼각형이며, 두껍다. 귀는 두개골에서 낮은 곳에 위치하며,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다. 전통적으로 귀를 절단(단이)한다.
► 목 : 목의 길이는 중간 정도로 매우 튼튼하게 보이고, 횡단면은 타원형이며,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다. 목을 낮게 내리고 있는 모습이다. 목에 살이 늘어진 것이 미들아시안 오브차카처럼등 이러한 유형의 견종들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 몸통 : 등선은 비율이 잘 맞고 탄탄하며, 전형적인 등선의 형태가 계속 유지되는 모습이다. 기갑이 뚜렷하게 드러나며, 등과 연결되는 부분이 분명하게 구분이 된다. 등은 일직선으로 뻗어 있고 넓적하며,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다. 허리는 짧고 넓적하며, 근육질이면서 약간 아치형이다. 엉덩이는 적당히 길고 넓적하며,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다. 가슴은 깊고 길며, 널찍한 편이다. 흉곽은 뒤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고, 가 늑골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앞가슴은 어깨뼈와 앞다리 상부가 만나는 관절 부위가 약간 더 넓으며, 복부 윤곽과 복부는 적당히 홀쭉한 편이다.
► 꼬리 : 꼬리는 굵고, 꼬리 뿌리가 엉덩이에서 상당히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원래 형태대로 두면 꼬리는 낫처럼 휘어져 있거나 꼬리뼈 끝의 3분의 1 지점을 큼직하게 고리 모양으로 말고 있다. 긴장하면 꼬리를 등선 높이 또는 그보다 약간 더 높이 들어 올리며, 쉬고 있을 때는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다. 전통적으로 꼬리를 절단(단미)하며, 미들아시안 오브차카와 마찬가지로 원산지를 비롯해 꼬리 절단이 법으로 금지되지 않은 국가에서는 아직 그와 같은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타고난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꼬리도 절단된 꼬리와 동일한 가치가 부여된다. 하지만 대부분 지금도 꼬리는 도킹되어 있다.
► 사지 : 앞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곧게 뻗어 있고, 뼈가 튼튼하며, 정면에서 보면 두 다리는 평행하고 측면에서 보면 전완 부위가 일직선으로 이어져 있니다. 어깨는 어깨뼈가 길고, 뒤로 충분히 젖혀져 있으며, 앞다리 상부는 비스듬하게 자리하고 있고 길면서도 튼튼하다. 무릎은 방향이 안쪽으로나 바깥쪽으로 치우치지 않아야 바람직하다. 전완은 일자로 뻗어 있고, 뼈가 매우 튼튼하고 길며, 횡단면은 타원형이다. 발목은 적당히 길면서 넓고 튼튼하며, 바닥과 수직을 이루고 있다. 앞발은 큼직하고 둥글며, 발가락은 위로 볼록하다. 발바닥의 패드는 두툼하고, 큼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뒷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뒤에서 보면 일직선으로 곧게 뻗어 있고, 두 다리는 평행하며, 두 다리의 간격은 앞다리보다 약간 더 넓은 편이다. 허벅지는 넓적하고 적당히 길며, 근육이 탄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무릎은 방향이 안쪽으로나 바깥쪽으로 치우치지 않았으며, 적당한 각도로 굽어 있다. 허벅지 하부는 허벅지 상부와 길이가 거의 같고, 비절은 적당히 굽어 있다. 발목 길이는 적당한 수준으로 매우 튼튼하고, 윗부분과 직각을 이루고 있다. 며느리발톱이 없어야 한다. 뒷발은 큼직하고 둥글며, 발가락은 위로 볼록하다. 발바닥의 패드는 두툼하고 큼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 털과 색 : 피부는 두껍고 상당히 유연하며, 처진 편이다. 이 같은 특징으로 인해 미들아시안 오브차카와 마찬가지로 포식동물의 공격을 받아도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털은 이중모 구조로 비바람에도 거뜬하게 버틸 수 있는 두터운 겉 털을 가지고 있다. 속털은 부드럽고 밀생되어 있어서 강한 추위에도 쉽게 견딘다.
모색은 검은색 마스크가 있거나 없든지 간에 다양한 단색의 밀색(Wheaten), 황갈색(Tan), 그리고 엷은 황갈색(Fawn)의 음영으로 되어있다. 목, 가슴, 발에 있는 작은 흰색 표시는 용인되더라도 바람직하지는 않다.
► 걸음걸이 : 걸음걸이와 움직임은 균형이 잘 맞고 유연하며, 속보로 걸을 때 앞다리를 자연스럽게 앞으로 내딛고 뒷다리에서 강력한 추진력을 얻어서 이동한다. 등선은 이동할 때도 일정한 형태로 유지되고, 다리의 모든 관절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구부리면서 걷는다. 뒷다리 각 부분이 이루는 각도가 서 있을 때보다 움직일 때 더욱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