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시설랜드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³о♡공사관련 스크랩 목재수종
베리타스 추천 0 조회 338 18.10.16 06:31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목재수종  

   ★ 북 양 재
   
    1. 체리(Black cherry)
미국 동부쪽이 주산지이며 흉고직경이 60cm에 달하는 활엽수입니다. 내구성이 강하고 목리가 아름다워 주로 고급가구, 내장재, 악기등에 사용하며 최근 국내에서 인테리어 소재로 선호하는 목재입니다.

    2. 경단풍나무(Hard maple)
북미 온타리오, 퀘백주에 분포하며 직경 30~40cm의 활엽수입니다. 수축율은 보통이고 강도는 강한편 입니다. 가공성은 좋지 않으나 내수성,내구성은 양호한 편입니다. 볼링장의 마루판, 운동기구, 가구등에 사용하며 색상이 밝고 단단하여 국내에서 건구, 인테리어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3. 연단풍나무(Soft maple)
북미 오대호 근처와 플로리다에 분포하며 경단풍나무와 색상 나무결이 비슷하나 강도에서 약합니다. 마루판, 가구재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4. 적참나무(Red oak)
미국 중동부, 캐나다 몬타리오주에 분포하고 흉고 직경 30~80cm가 나오는 활엽수입니다. 건조가 좀 어렵고 할열이 심하나 내구력, 탄력성이 강합니다. 가구재, 건구재, 마루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5. 백 참나무(White oak)
미국 동부 지역에 분포하며 흉고직경 1~1.2m의 활엽수입니다. 내구성, 강도가 아주 강한편이나 건조가 어렵습니다. 가구재, 양주술통, 마루판, 건구재등 용도가 다양합니다.

    6. 호두나무(Black walnut)
미국 미조리, 인디아나 등이 주산지이며 직경 0.7~1.5m의 활엽수입니다. 무거운편의 나무이며 건조후 안정성이 좋고 가공성, 내구성, 도장성이 좋은 나무입니다. 장식용재, 고급가구재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7. 홍송(Douglas Fir)
북미 서부쪽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흉고 직경이 1~2M 되는 것이 많은 침엽수입니다. 건조성이 양호하며 재질의 강도도 양호합니다. 미국쪽에서는 대표적인 구조용재로 많이 사용되며 국내에서는 건구재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8. 햄록(Hamlock)
태평양 연안을 따라 알라스카에서 캘리포니아 북서부까지 분포하며 직경1.5M가 되는 침엽수입니다. 나무결이 치밀하고 가볍고 연한 나무입니다. 가공이 용이하고 강도는 보통입니다. 후로링,루바,펄프용재,건구재로 사용되며 국내에서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체리톤으로 착색을 하여 사용되기도 합니다.

    9.적삼목(Western red cedar)
미국 북서부 지방에서 생산되며 수고 50m, 흉고직경 3.5m에 달하는 대목이고 보통, 흉고 직경이 1-1.2M정도되는 목재입니다. 심재는 황색인데 시간의 경과에 따라 흑색에 가깝게 되며 향이 있습니다. 목리는 통직하고, 나무결은 균일하고 다소 거친 편입니다. 건조는 빠르지만 두꺼우면 건조가 일률적으로 잘되지 않는 점이 있습니다. 강도는 낮고 가공은 용이한 편입니다. 물에 잘 썩지 않아 외장재, 내장재, 사우나실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남 양 재
 
    1. 사구라(Nyatoh)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등 열대,아열대 지방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흉고 직경 80cm가  되는 목재입니다. 조직이 치밀한편이고 옹이,심폐등이 적은 특징이 있습니다. 실리카(silica)를  다소 함유하고 있어 약간 가공성이 좋지 않지만 대패,톱질 모두 양호한편입니다. 내구성,방부제  투입이 곤란하여 실외사용은 좋지 않고 실내용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색조가 좋아 건구,가구,악기재등에 사용되며 국내에서는 "사구라"로 통용되는 나무입니다.

    2. 티크(Teak)
인도,미얀마,타이,라오스등에 분포하며 흉고직경 60~80cm인 대목(大木)입니다. 나무결이 정교하고 조밀하며 실리카(silica)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내구력,기계적 성질,충해에도 강한 고급나무입니다. 고급가구,장식재,내장재로 사용되며 약재로도 사용되는 나무입니다.

    3. 부켈라(Burckella)
PNG,솔로몬에 분포하며 Nyatoh 대용품으로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는데 무게가 약간 더 무겁습니다. 가구재,내장재,건구재로 사용됩니다.

    4. 아가티스(Agathis)
인도네시아,PNG,말레이시아등에 분포되고 수간은 원통형에 가깝고 최대직경 2m에 달하는 것도 있으며 목질은 담황색이며 목리는 통직하고 나무결은 세밀한 편이다. 목재는 가벼운 것이 보통이나 꽤 강한편이며 내구성이 약간 떨어진다. 가볍고 연하므로 가구재,펄프재,조선재,모형재, 단판 등으로 사용하며 비교적 고가의 원목이다.
     
    5. 다오(Dao)
필리핀에서 수입된 것은 "다오", PNG.에서 수입된 것은 "PNG. Walnut"로 알려져 있고 일본시장에서는 "다오"로 알려져 있다.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PNG., 피지등에 분포되어있으며 변재부분이 원목재질의 45%를 점하지만 가장 재질이 좋은 것으로 통용되고 있다. 직경은 약 80cm,큰 것은 2m에 달하는 것도 있다. 담갈색이며 단단하고 무거운 편이며 나무결은 정교하다. 아름다운 무늬木을 이용하여 고급 가구재, 무늬木을 이용한 장식적 가치가 있는 곳에 사용하며 색조가 없는 변재 부위는  일반 건축내장재, 성냥개비 등에 사용하고 있다.

    6. 젤루통(Jelutong)
우리나라에서는 일명"마디카"란 이름으로 알려지고 사용되어 왔으며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에서생육하며 직경 2m이상으로 상당히 크게 자라며 목질은 가볍고 연하여 조직이 치밀하고 목리가 통직하다. 변재와 심재의 구별은 잘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백색에 가깝다. 가공이 용이하고 판재를 얻기 쉽고 무늬가 없어서 주로 몰딩재로 사용하며 목재를 공기 중에 방치하면 청변균이 낀다. 목재에서 수액(LATEX)을 채취하여 츄잉껌의 원료로 쓴다. 북 보르네오에서는 이 나무의 보호를 위해서법률로서 벌채를 금지하고 있다.

    7. 레드 세라야(Red seraya)
우리나라에서는 "적라왕"으로 지칭되며 인도네시아(Red meranti),말레이시아(Light red meranti, Red Meranti) 필리핀(White Lauan)에서 생육하나 말레이시아 Sabah 전역에 분포하고 적색, 백갈색을 띄며 재면이 곱고 가공이 용이하며 나무결은 약간 거칠은 편이나 균일하고 건조는 양호하다.  일반 건축 내장재, 구조용재, 가구류재, 광택재등 용도는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 아 프 리 카 재

    1. 부빙가(Bubinga)
카메룬에서 자이레까지 적도 아프리카에 분포하며 흉고 직경이 80~150cm가 되는 나무입니다. 나무결이 정교하고 압축강, 곡강도가 크고 횡인장 강도가 강해 잘 쪼개지지 않고 충해도 잘받지 않는 무거운 나무입니다. 국내에서는 80년대 이후 고급목재로 자리잡은 나무이고 고급가구,장식재,조각용재,건구재로 사용됩니다.

    2. 웬지(Wenge)
콩고,자이레,카메룬,가봉이 주산지이며 흉고직경이 1m에 달하는 나무입니다. 건조에 시간이 많이 걸리며 나무결은 거친편 입니다. 충해성, 탄성, 내구성이 좋으며 습한 조건에서도 부후하지 않습니다. 가구,선반,액자 등에 사용됩니다.

    3. 모아비(Moabi)
나이제리아에서 적도기니까지 적도 밀림에 분포하며 흉고 직경이 3m에 달하는 고목도 있으나 평균 70~90cm인 나무입니다. 탄성, 충격성은 좋으나 압축, 곡강도는 약한편이고 실리카(silica)를 �유하고 있어 칼날을 마모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람에 따라 목분(木粉)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단단하고 색이 균일해 가구재,장식용재로 사용됩니다.최근 국내에서 "아프리카 체리"라고도 불려집니다.

    4. 샤벨(Sapele)코트디브와르에서 우간다의 빅토리아호 근처까지 분포하며 그 양이 풍부합니다. 수고 45m, 흉고직경 2.5m에 달하는 것도 있는 대목이고 향이 있습니다. 무게는 무거우며 강도는 중간정도입니다. 가공성은 약간 좋지 않은 편이지만 내구성이 극히 우수하고 사용시 안정성에서는 아주 좋습니다. 제재시에는 생장응력에 의한 변형을 피해야 하기 때문에 제재시 주의해야 합니다. 건조는 장시간을 요하며 건조시 할열의 위험성이 적다. 건물내외의 고급 건구재, 계단 등으로 사용되며 마호가니 대용으로도 사용됩니다.

 



  목재제품
  
 

▣ 집성목
  

 원목만으로는 넓은 판재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고주파를 이용하여서 목재를 붙여서 넓게 만든 것이 집성목입니다. 집성목은 미송, 참나무, 고무나무, 단풍나무 등 다양합니다. 판재가 넓어서 가공하기도 좋고 원하는 치수와 모양을 쉽게 만드는 장점이 있습니다. 만들기 전에 목재 고유의 결점인 옹이등을 제거했기 때문에 가구 제작이 쉽습니다. 다만 목재의 결합부분이 떨어질 수 있고 나무를 이어붙였기 때문에 무늬가 일정치 않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DIY작업에는 특히 미송집성목을 많이 사용합니다. 규격은 여러 가지이지만 두께 18mm짜리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집성목은 소품가구에 많이 사용합니다. 학생용 가구, 식탁, 의자, 서랍재 등으로 사용합니다.

   ▣ MDF(중밀도섬유판, medium density fiberboard)

목재의 섬유를 화학 처리한 뒤 접착제를 발라 만든 것입니다. 합판이나 목재 대용으로 많이 쓰인다.가격이 저렴해서 가구용 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제작과정에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인체에 유해한 것입니다. 또한 습기가 많은 곳에서는 쉽게 휘고 나사가 헐거워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MDF는 도장을 제대로 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규격은 1200*2400mm가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두께는 3,4,5,6,9,12,15,18,20,22,25,30,35m/m등이 있으며 White, Light, Regular. 등으로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이 있습니다.

   ▣ 파티클보드(PB:paticle board)

파티클 보드는 목재, 대나무, 아마, 사탕수수 등의 리그노 셀룰로오스 성분을 재료로 기계적으로 분쇄하여 파티클로 만든 다음 건조시키고 접착제를 혼합하여 성형시킨 후 열압하여 만든 판을 말합니다. 가격이 저렴해서 가구용 부자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1960년대 초에 최초로 도입되어 초기에는 인정받지 못했으나 지금은 가구용재로 많이 쓰이고 있으며 두께는 9,12,15,18,20,22,25,30,35m/m 등이 있고 일반적으로 12,15,18m/m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합판(plywood)

합판이란 목재를 얇은 판, 즉 단판으로 만들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인접하는 층의 단판의 섬유방향에 서로 직교하도록 홀수로 적층하여 접착시킨 판을 말합니다. 갈라지거나 휘는 등의 목재의 단점을 보완하여 가구의 부자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합판의 규격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구제작에는 4x8(1200x2400mm)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두께는 3, 6, 9, 12, 15, 18mm 등이 있는데 3mm 합판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 OSB(oriented strand Board)

경제성이 뛰어난 구조용 합판 대체재이며 strand 라는 손가락 두 개 정도의 크기의 목편들을 방수성수지와 함께 강하게 압착,성형하여 향상된 구조적 성능을 지니고 plywood와 함께 주택용 상업용 건축 및 각종 인테리어 자재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두께는 6.4, 7.9, 11.1, 15.1, 18.3 mm 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 강화목재

집성목재와 유사한 것으로 합판의 단판에 페놀수지 등을 침투시켜 140~150‘C에서 200~300kg/cm2의 압력으로 붙여 댄 것이다.

 ▣ 코펜하겐 리브

벽,천장재로서 보통 두께 5cm,너비 10cm 정도로 긴판이다. 표면을 자유 곡면으로 깎아 수직 평행선이 되게 리브(rib)를 만든 것이다. 면적이 넓은 강당, 극장 등의 안벽에 붙이면 음향조절효과와 장식효과가 있다.

 ▣ 코르크판

코르크는 코르크나무 껍질에서 채취한다. 알갱이 모양으로 만들어 도료에 섞어 천장 또는 벽면에 마무리용으로 쓰이기도 하나 대개는 톱밥,삼,접착제 등을 혼합 열압하여 만든 코르크판을 쓴다. 증기로 가열하느냐 또는 화력으로 하느냐에 따라 증기 코르크판과 탄화코르크판으로 분류된다.  

  ▣ 플로링 블록

    재료:참나무,미송,나왕,아비통,벗나무
    너비 6cm이상의 좁은 판자를 3~5장씩 옆으로 붙여 대어서 넓이 30cm각 정도로 만든 것이다. 목조 바닥용으로 제혀쪽매로 가공하여 못으로 붙여 댄다. 콘크리트 바닥용은 뒷면에 아스팔트로 방부처리를 하여 고정철물을 붙여 대어서 콘크리트 바닥 위에 모르타르로 접착되게 한 것이다.

 ▣ 원목

일반적으로 가구에 쓰이는 세계 4대목은 참나무(Oak), Teak, 장미목(Rose), 단풍나무(Maple)가 있으며 주방가구에서는 Teak와 장미목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밖에도 호두나무(Walnut), 너도 밤나무(Beech), 오리나무(Alder), 자작나무(Birch), 벚나무(Cherry), 물푸레나무(Ash), 포플러나무(Poplar), 참피나무(Basswood)등이 있습니다.

 

 

 

목재의 종류  

 목재의 종류

    1)심재:목재의 수심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담색 부분으로서 그 세포들은 거의 죽어서 원형질이 파괴되고 광물질만 고착되어 목질부가 단단하고 함수율도 적다.

    2)변재:목재의 표피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암갈색 부분으로서 그 세포가 살아 있으므로 원형질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목질부가 무르고 함수율이 높으므로 건조가 느리다.

    3)곧은 결재(마사메):중심을 향하여 켠 것으로 나무결이 세로로 평행하여 완성면이 아름답다. 또, 건조하여도 변형이 적어 가장 이상적인 가구재료로 사용되나 폭이 넓은 판재가 많이 나오지 않아 버리는 부분이 많으므로 가격이 다소 비싼 단점이 있다.

    4)무늬결 판자(이다메):중심을 향하여 직각으로 켠 것으로 나무결이 물질모양 같이 곡선으로 나타난다. 곧은결 판자에 비하여 변형되기 쉬우며 제재하기 쉽고 버리는 부분이 적어서 가격이 싸다.소비자들은특히 이런 면에 유의하여 나무의 무늬를 보고 구매하면 훨씬 질이 좋은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재료로서의 종류

    1.목재분류
목재는 침엽수재(softwood)와 활엽수재(hardwood)로 구분된다.침엽수재는 비중에 비하여 강도가 크기 때문에 주로 건축재로 쓰이나, 활엽수재는 공작재로 쓰인다.(가구재가 이에 해당된다.)

    2.수목생장
수피 내부 쪽에 있는 형성층은 연륜을 형성한다. 수목이 성장함에 따라 심재가 형성되고, 심재와 변재간에 투과성과 재색등 성질이 상이하다.

    3.춘재와 추재
춘재는 담색이고 비교적 연한 편이며, 추재는 농색이고 치밀하다.

    4.목재의 세포구조
목재는 도관과 목섬유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세포는 세포내강과 세포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 크기의 균일 여부에 따라 크기가 거의 같은 조직을 가진 균일조직 목재와 다소 차이가 큰 조직을 가진 불균일조직 목재등으로 나눈다.

    5.목재의 특성
목재 세포의 배열과 방향이 재면에 나타난 상태를 의미하는 목리는 재면에 평행한 통직수리와 그렇지 않은 교직수리가 있다. 목재가 하중을 받을 때는 목리선을 따라 쪼개지기 쉽다. 목리 경사가 작을수록 목재강도가 커진다. 따라서 가공시 목리방향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6.가용성
목재는 쉽게 획득할 수 있고 가공하기 쉽기 때문에 공작과 건축재료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즉,목재는자연 재료 중에서 유일한 재생산 가능한 재료이나, 기타 재료는 유한하고 한정된 양이 존재할 뿐이다.

    7.접합용이
목재는 간단한 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접착제 또는 맞춤과 금구등의 여러 방법으로 쉽게 접합사용할 수 있다.

    8.치수안정
목재는 가느다란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흡습하면 이완하고 방습하면 수축한다. 때문에 목리방향보다횡단방향으로 더 많이 수축하거나 팽창한다. 따라서 목재의 폭은 길이보다 불안정하다.

    9.영구성
목재는 병충과 수분으로부터 보호되는 이상적인 조건에서 수천년간 지속 될 수 있다. 목재의 내구성을  갖는 큰 이유 중의 하나는 목재성이다. 다른 금속 재료와는 달리 목재는 쉽게 산화되지 않는다.목재가대기중에 노출될 때 표면은 50년마다 3.2mm정도로 매우 느린 속도로 분산화된다.

    10.내화성
목재는 연료로 쓰고 있지만 목재 온도가 약 288도에 도달될 때부터 시간당 0.76mm정도의 느린 속도로 분해되기 시작한다.

    11.열전도율
목재의 열전도율은 함수율과 비중이 증가할수록 커진다.비중이 0.45이고 함수율이 12%일 때 횡단방향 열전도율은 3x10cal/cmCS이고 섬유방향 열전도율은 7.5x10cal/cmCS로서 다른 금속재료에 비해서 매우 적다.

    12.동적강도
목재의 구조물은 순간적인 충격하중에 견디어 내는 능력이 크다. 목재의 충격,휨 시험에서 충격흡수에너지보다 큰 목재를(tough wood)강근목재,작은 목재를(brittle wood)탈약목재라고 부른다.

    13.생태적 장점
목재는 생태적 장점을 갖는다.목재가 생성되는 데는 태양에너지 외에 다른 에너지는 소요되지 않는다.그러나 콘크리트나 강철 등 다른 재료는 다량의 열에너지에 의해 만들어진다.또한 목재는 자연현상에의해 분해되어 토양으로 되돌아간다.

     재종
   
우리나라의 재종은 두께,폭과 형상에 의하여 판재류와 각재류로 구분된다.제재의 재종구분은 다음과 같다.

    1.판재류(두께가 7.5cm 미만이고 폭이 두께의 4배 이상인 것)
     ①소폭판재(두께가 3cm 미만이고 폭이 12cm미만인 것)
     ②판재(두께가 3cm 미만이고 폭이 12cm이상인 것)
     ③후판재(두께가 3cm 이상인 것)

    2.각재류(두께가 7.5cm 미만이고 폭이 두께의 4배 미만인 것, 또는 두께와 폭이 7.5cm이상인 것)
     ①소각재(두께가 7.5cm 미만이고 폭이 두께의 4배 미만인 것)
       -.정소각재(횡단면이 정방형인 것)
       -.평소각재(횡단면이 장방형인 것)
     ②각재(두께와 폭이 7.5cm 이상인 것)
       -.정각재(횡단면이 정방형인 것)
       -.평각재(횡단면이 장방형인 것)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