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으로 검색해 봐도 은행 친구에게 물어봐도 답이 없네요.
회원 여러 분께 여쭈어 봅니다.
SWIFT Message Type Reference
Category 1 Messages: Customer Payments and Cheques
Category 7 Messages: Documentary Credits and Guarantees
이며 MT199/MT799 모두 Free Format Messages 입니다.
주로 셀러들이 MT199/MT799에 원하는 양식을 실어서 자금 증명을 요청합니다.
이 경우에,
1. MT199/MT799의 차이를 어떻게 이해하면 되는지요?
2. 자금 증명의 형식(POF/BCL/RWA)과 위 MT199/MT799 전문 양식 조합에 의해서
자금 블락이 되고 안 되고가 결정되는지요?
예를 들자면 RWA를 MT199로 보냈을 때와 MT799로 보냈을 때 무엇이 다른지요
우문이지만 현답 부탁 드리겠습니다.
첫댓글 셀러측에서 바이어측의 자금능력성 확인하는 중요한 절차이므로~
둘다 특별한 차이가 없습니다.긴급을 요할경우 MT799대신 MT199로 보낼수가 있습니다. 또한 은행에 보증을 하는것이 아닙니다. 보증형태라면 MT760로 해야 하구요.MT199나 MT799로 자금이 block되지 않습니다. 자금을 block 할경우에는 MT 760과 MT103을 통해서 하게 됩니다.
한국의 경우는 위 2개 모두 자금이 있어야 가능합니다...참고 하세요...
MT199:BCL/POF/RWA를 의미하며 MT799:Pre-Advice L/C 이고 MT760은 보증서(BG/SBLC) 발행을 의미합니다. 통상적으로 셀러혹은 그의 브로커가 POF를 요구합니다. 진짜라면 MT799를 받겠죠~ 즉 MT760을 발행할수있는지를 보는게 더 중요하니까... 오일 거래에 있어서 이 큰 금액의 예금을 잔고로 두고 있는 회사가 과연 얼마나 될까요? 결국 여신한도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는게 더 중요하겠죠. 결국 MT199도 필요없고 MT799를 보내겠다는(보낼수있는) 바이어가 있다면 능력이 되는 바이어라 보면 됩니다. 왜냐면 은행에서 여신한도를 공여받아야 가능한 일이니 까요~~
답변들 감사 드립니다.
저도 궁금한 사항이었는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RWA는 무었의 약자입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