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善한 모습을 보는 사람이 천사(天使) 악한 점만 꼬집는 사람은 명분이 아무리 좋아도 좋은 사람이 아니라는 생각이었다. 엄상익(변호사)
<좋은 사람의 기준을 깨달았다> 삼십년 전 대도의 항소심 마지막 공판 광경이 떠오른다. 내가 신청한 증인들이 마지못해 법정에 나왔다. 첫번째로 그 십오년 전 대도를 체포했던 홍 형사가 증언석에 앉았다. 내가 물었다. “형사로서 보았던 대도는 어땠습니까?” “강한 체력과 순간적인 판단력으로 대담한 범행을 하는 도둑이었죠. 부잣집만 노린 철저한 단독 범행이죠.” “범행 수법상 십오년이 지난 지금 다시 그렇게 할 수 있다고 보십니까?”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만 한창 체력이 좋을 때의 방식으로 다시 하기는 힘들 걸요.” “형사로서 그를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일단 잡히면 순순히 자백했습니다. 이 자리에 저 사람이 있지만 저는 저 사람에게 별 감정 없습니다. 도둑이기는 하지만 정직하고 기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검사가 자리에서 일어나면서 반박했다. “범죄 수법에서 강인한 체력을 요구하는 부분이 어디 있어요? 남의 집 방에서 보석을 들고 나오는데 강인한 체력이 어디 필요하냐구요?” 증인으로 나온 형사가 순간 머쓱한 표정이 됐다. 그가 검사의 눈치를 보면서 대답했다. “그렇습죠. 뭐 강한 체력이 필요 없죠.” 나는 대도가 부자집 높은 담에서 내려와 지붕들을 뛰어 달리고 엄청난 무게의 금고를 들고 나온 체력을 왜 말해주지 않는지 답답했다. 다음은 대도의 친구가 증언석에 올랐다. 재판장이 물었다. “증인은 피고인과 어떤 관계죠?” “다섯 살 때 서울역 앞 염천교에서 만났어요. 우린 둘 다 거지였죠. 둘 다 고아고. 깡통 들고 밥 얻어먹으면서 자랐습니다.” “친구인 피고인이 어떻게 도둑질을 시작했죠?” “당시 우리 염천교 아래 거지들은 너나 없이 다 도둑질을 하고 살았어요. 죄의식이고 뭐고 없었죠.” 그 말을 들은 검사가 증인에게 물었다. “당시 거지 친구들 모두가 지금 도둑은 아니죠? 어때요? 오십대 중반인 지금까지 도둑은 몇이나 있어요?” 그가 잠시 생각하는 표정으로 있다가 대답했다. “그러네요. 대부분은 도둑이 아니네요.” 검사의 얼굴에 승리감이 비쳤다. 다음은 김신웅 장로가 증언석으로 올랐다. 내가 물었다. “증인은 청송교도소에서 교도관을 제외하고 지난 십오년간 피고인을 만난 유일한 분 아닌가요?” “생각해 보니까 그러네요” “증인이 본 피고인은 어떤 사람입니까?” “한번은 감방 안에 있는 한 재소자가 발작을 하면서 똥을 싸 자기 몸은 물론이고 감방 바닥과 벽에 온통 쳐바른 적이 있었습니다. 교도관들도 진저리를 치고 그냥 놔 뒀죠. 그때 피고인이 자청해서 그 방에 들어갔습니다. 그리고 물과 걸레로 똥을 치우고 그 사람 몸까지 닦아준 일이 있었습니다. 험하고 거친 마음을 가졌다면 그렇게 할 수 없었겠죠.” 유일하게 대도의 좋은 점을 말해주는 사람이었다. “증인이 본 피고인의 인품은 어떻습니까?” “한번은 제가 피고인에게 영치금을 넣어 준 적이 있습니다. 며칠 후 보니까 돈이 한 푼도 남아 있지 않은 겁니다. 저는 돈을 낭비하는 사람으로 알았습니다. 그런데 나중에 보니까 그게 아니었죠. 그 돈을 주변 사람들 물건 사는데 몽땅 써 버린 거에요. 한겨울에 자기는 구멍 난 양말을 신고 있으면서도 다른 사람에게는 면 양말을 사 주는 사람입니다. 교도관들도 많은 감명을 받았죠.” “피고인이 이 재판을 받는 걸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엎드려서 양재기에 든 밥을 개 같이 먹으면서도 버텨 살아남아 이 재판을 받고 있습니다. 성령의 역사라고 생각합니다.” 증언을 하고 나가는 그의 등 뒤에 대고 대도가 양손을 맞대고 기도하는 모습으로 작게 말했다. “정말 감사합니다. 장로님.” 겨울바람같이 차디찬 세상에서도 당시 벌거벗은 그를 도와주는 사람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 무렵 어느 날 오전 열한시경 전화가 걸려왔다. “저는 실리콘 밸리에 사는 다니엘 김이라고 합니다. 우연히 이곳으로 온 시사 잡지를 보고 대도 사건과 변호사님을 알게 됐습니다. 저도 어려서 고생을 많이 했습니다. 얼마 되지는 않지만 돕고 싶습니다. 먼저 서울에 있는 친구를 통해서 사무실로 백만 원을 보냅니다. 받아주십쇼.” 얼어붙었던 마음에 따뜻한 바람이 부는 것 같았다. 미국인과 결혼해서 이민간 한 여성은 기사를 보고 채소를 가꾸어 판 돈이라고 하면서 백 불을 보냈다. 나의 고등학교 시절 선생님이 십만 원을 보내주었다. 반독재 투쟁을 하면서 감옥생활을 오래 했던 고영근 목사가 나의 사무실을 찾아와 격려해 주기도 했다. 생업이 없어서 감옥에 계속 두어야 한다는 대도의 일심 판결 이유를 신문에서 봤다면서 여러 곳에서 만약 석방이 되면 일자리를 주겠다고 전해 왔다. 호주의 교민회에서도 국회의원들도 탄원서를 써주겠다고 했다. 하나님이 천사들을 보내주는 것 같았다. 나는 대도 사건을 변론하면서 선한 사람과 악한 사람을 구분하는 나름대로 하나의 기준을 발견했다. 사람들은 대부분 남의 잘못이나 결점을 보는 눈은 날카롭다. 그러나 다른 사람의 좋은 점이나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사람은 소수다. 냉철하게 남을 비판하는 사람을 보면서 과연 그의 속을 흐르는 피가 따뜻할까? 하는 의문을 가졌다. 천사는 하얀 날개를 달고 있지 않았다. 악마도 뿔이나 흉칙한 꼬리가 없었다. 그냥 보통 사람들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다만 남의 선한 면을 보는 사람은 천사였다. 악한 점만 꼬집는 사람은 명분이 아무리 좋아도 좋은 사람이 아니라는 생각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