陽木 仁 東 청색 간 쓸개
특징
어질고 인자함이 주로 작용함. 나서서 행하는 면이 있다. 남을 이기려는 경향.
강(태과): 고집이 세고 속이 좁고 욕심이 많다. 집요, 질투심 편굴 남을 이해하기 보다는 무시하는 기질 이러한 마음이 잘못되면 홀로 세상을 원망한다.
왕상 : 성격이 원만하며 포용력, 측은지심, 책임감있음, 약자편, 권선징악
약 : 자신감 결여. 추진력 없으며 끝을 맺는 면이 부족하다. 남에게 원조를 구한다. 의지가 약하고 성질을 부리고 마음에 부정, 인색
내용
甲己合 信義之合
갑과 기는 합하여 토가 되니 서로 극하지 않고, 甲은 己의 힘을 도와준다. 잘 구성되면 마음이 넓고 분수를 지키며 사람들과의 다툼을 화해로 이끈다.
잘못 구성되면 다음과 같은 특질이 있으나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甲己의 합이 일간으로 이루어지면 대인관계는 많아도 이성적인 문제보다는 대화나
만남이 많을 뿐이라. 이성적인 문제로 오해를 많이 받아도 실제로는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는 별로 없다. 하지만 의처증이나 의부증이 생기므로
상대배우자를 만남에 있어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 일간이 甲이며, 三合을 이루거나 대운이나 세운에서 만나고 일간의 기운이 너무 약하면 甲木의
기운이 빠지므로 신의는 있으나 신의로 인해 실속은 잃기 쉽다. 실속보다는 의리를 중시하여 이해득실에 약한 탓에 이해타산이 다소 느린 편.
1. 甲子日(갑자일): 갑은 木, 자는 水
갑목(甲木)이 쥐띠 자(子)날에 태어났다. 子는 음에서 양기를 잉태하는 기의 부호다. 즉 만물을 잉태하는 부호로서 자식을 의미하는 문자를 쓴 것이다.
그래서 자(子)는 여성의 생식기인 자궁에 해당하며 신장(腎臟) 기능을 의미한다. 만약 사주의 월과 시에 토끼띠(卯)나 닭띠(酉)가 있으면 성병에 걸리거나 생식기, 자궁, 유방에 병이 생기기 쉽다.
갑자(甲子)는 만물을 잉태시키는 기질이어서 늘 마음이 바쁘고 남의 일에 신경 쓰는 일도 많다. 그러나 어둠 속의 양기이기 때문에
속마음을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인정이 많은 듯하지만 계산이 분명할 뿐만 아니라 그 속은 냉정하다. 사주 지지에서 묘(卯)가
있으면 다재다능하고 예술적인 기질이 뛰어나다.
그런데 자(子)는 양기가 방금 싹터 나온 것이므로 몹시 인색하고, 급히 자라고 싶은 욕망에 우쭐대기 좋아하고, 재물욕도 강하다. 그래서 일찍 고향을 떠나 객지에서 동분서주하지만 과욕을 버리지 않으면 반드시 실패한다.
만약 사주에 수(水)나 목(木)이 둘이나 셋이 더 있다면 낭비가 심해서 허랑방탕해지고 이해타산에 따라서 사람을 사귀는 경향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타인을 심하게 미워하기도 한다. 하지만 자신의 결점을 잘 알고 적은 것에 만족하며 마음을 잘 다스리면 천부적인
복을 누릴 수 있는 운명이다.
사주에 축(丑)이나 미(未)가 있으면 북두칠성의 기와 연결된 복된 팔자이므로 재앙에서 구원받을 뿐 아니라 늘 귀인의 도움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이웃과 하늘에 겸손하고, 타인에게 덕을 베풀 때 자신은 물론 자손도 귀하게 된다.
결혼은 기(己)나 축(丑)운에 하거나 신(申), 진(辰)에 하기도 한다. 기축(己丑) 일주를 가진 사람을 만나면 해로하고
경오(庚午) 일주의 배우자를 만나면 이별하기 쉽다. 병(丙)이나 오(午)가 하나만 있으면 싸우면서도 헤어지지 않는다.
1 甲子(壬10 癸20)
浴 태극귀인(太極貴人) 효신(梟神) 나체도화(裸體桃花)
일지 장성(將星)으로 자기중심의 소견에 사로잡힌 고집이 대단하다. 子水의 상징은 인수(印綬)가 주가 되므로 지적
수준이 높은 편으로 보편적인 기준에서 지혜와 총명을 암시하는 길한 성분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중년의 학구열을 암시하기도 하며
상명(上命)은 교육계에서의 성공을 시사한다. 甲木은 제일선이니 주변의 성원에 힘입어 선두로 나서려는 기질이 강하다. “큰 나무
아래의 쥐”는 사람을 다스리는 지도자의 상을 의미한다.
한편 효신(梟神)의 성분 또한 내재되어 있으므로, 인정이 많아 남 주기를 좋아하는 속성 이면에 편을 가르는 냉정함이 상존한다. 이해타산이 분명하며 자신의 속마음을 노출시키지 않는다. 이는 모친의 자애(慈愛)가 일찍이 유실되거나, 장년이 되어 모친으로 인한 근심걱정을 하게 됨을 암시한다. 여명(女命)의 효신(梟神)은 자식이 귀하니 자연유산이나 산후풍(産後風)을 조심해야 한다. 축월(丑月)이나 축시(丑時), 자시(子時)생이면 자녀를 두기 어렵다.
욕지궁(浴地宮)으로 부부 공히 멋과 풍류를 즐기며 사치하기 쉽고, 배우자의 가풍은 대개 좋은 편이나, 남자는 패지(敗地)의 흉조로 직업이 일정치 않고, 주색풍파가 염려된다. 처가의 도움을 받거나 처에게 의지하는 경향이 있되 모처불화(母妻不和)를 면키 어렵다. 여자는 특히 나체도화(裸體桃花)의 작용으로 부부궁이 부실해지기 쉽다. 팔자(八字)가 기박(奇薄)하게 흐른다면 자존심은 강하나 재물이 없으며, 이혼(離婚), 재가(再嫁)를 피하기 어렵게 된다. 부궁(夫宮)에 친정이 자리하면 대개 시가(媤家)와 불화(不和)한다. 두통(頭痛) 있다.
神殺 註:
태극귀인(太極貴人)
갑자(甲子), 갑오(甲午), 정묘(丁卯), 정유(丁酉), 무진(戊辰), 무술(戊戌), 기축(己丑), 기미(己未), 경인(庚寅), 신해(辛亥), 임신(壬申), 계사(癸巳) 일이 태극귀인에 해당되며, 태극은 시종(始終)을 의미하여 종래 성과를 거두는 기쁨을 암시한다.
☞ 원래 태극귀인은 생년(生年)을 위주로 보나, 일지(日支)에서도 보며 격국(格局)의 청순함을 요한다. 격국이 우수하면 입신양명(立身揚名)한다는 것이다.
효신(梟神)
효신은 일지에 편인을 보는 것인데, 동방불인지조(東方不仁之鳥)로 모조(母鳥)를 잡아먹는다는 올빼미에서 연유된 말이다. 유실자모(幼失慈母), 모외유모(母外有母), 모정유추(母情有愁)라 하여 모친의 덕이 부족하고, 성장해서는 모친에 대한 근심을 하는 일이 잦은 경우로 잘 나타난다.
나체도화(裸體桃花)
여명(女命)의 일시(日時)가 효신이면 무자(無子)하기 쉬우니 이는 자식을 의미하는 식상을 극하기 때문이다. 유산(遺産) 등의 산액을 경험하게 되고, 생리불순 등을 겪기 쉬우며 자손과 인연이 희박함을 시사한다.
필살기(必殺技)
1. 냉철하고 문장력이 좋으며 진신(進神)의 작용으로 자신이 하고 싶은 것만 하려고 한다.
2. 남자는 어머니와 처가 불화하여 마음이 편치 않다.
3. 여자는 유산(流産)이나 낙태(落胎)를 경험하게 되며 수족냉증에 시달린다.
타이밍(timing)
☞ 吉日時는 거래, 매매, 합의, 투자에 적합한 시간대로 활용하고, 凶日時는 투자나 매매 행위 일체는 피하고 가급적 휴식함이 좋지만, 원거리 이동, 운동, 노동 등의 힘의 소모로 대처함이 좋다.
☞ 甲辰, 乙巳, 壬寅, 丙申, 丁亥, 戊戌, 己丑, 庚辰, 辛巳, 壬申, 癸亥 日은 십악대패일(十惡大敗日)로 택일 상 적합지 않은 일진이다.
吉日 : 丑日, 辰日
吉時 : 01시 30분에서 03시 30분 사이
凶日 : 午日, 戌日
凶時 : 11시 30분에서 13시 30분 사이
결혼, 이사, 개업 擇日 : 甲寅일, 丙寅일, 壬寅일
성(性, sex)
남명(男命)은 호색가로 상대를 막론하고 파트너를 즐겁게 하는 수완과 기술이 있다. 욕지(浴地)에 임하여 색난(色難)을 겪을 우려가 있다.
여명(女命)은 본능적이고 야성적인 성(性) 행위를 좋아하는 유형이다. 남녀 공히 유시(酉時) 생이면 귀문(鬼門)이 들어 변태적(變態的)인 경향이 보이기 쉽다.
질병(疾病)
甲子일주는 ‘겨울나무’의 상이라, 추위를 많이 타고 중풍, (수족)냉증, 간담(肝膽) 등의 질병을 조심해야 하며 특히 여자의 경우 자연유산이나 산후풍(産後風)을 조심해야 한다.
甲: 쓸개, 머리, 수염, 머리카락
子: 방광(膀胱), 음부(陰部), 요도(尿道), 귀(耳)
직업(職業)
인성(印星)과 장성(將星)의 조화는 군경, 예능계, 교육계, 언론계, 정계로 진출하는 경우가 많고, 사업 분야는 섬유업, 목재업, 유흥업, 문화기획, 첨단기술 계통에 적합하다. 여성은 간호사, 약사 등에서도 종종 보고, 예능 교사나 교육계에서 활동하는 이들이 많다.
甲木論
寅月 甲木 초봄에 寒氣가 남아 있으니 丙火를 얻고 癸水가 있으면 富貴兼全하며, 金이 剋함을 싫어한다. 卯月 甲木 庚金을 얻으면 양인가살이라 貴格..., 身旺하고 庚金이 투출하며 土가 있어 庚金을 보호하면 大貴格...,군무직. 庚金은 없고 丙火만 있을 경우 목화통명지상으로 貴를 이루나 소귀에 귀함이 적다. 辰月 甲木 청명초는 한기가 미진하므로 火를 用神으로 쓰며, 穀雨 後에는 먼저 庚金을 취하고 다음 壬水를 쓴다. 庚金과 壬水가 天干에 투출하면 국가 등용지재라 할 것임. 巳月 甲木 巳月 甲木은 氣가 물러가니 丙火가 사권하고 먼저 癸水를 後에 丁火를 쓴다. 癸水가 있어야 조후가 되므로 貴格을 이룬다. 庚金이 유할 때는 丁火가 있어서 庚金을 단련시켜 주어야 格이 貴해진다. 午月 甲木 절대 癸水가 있어야 貴格이다. 大運이 북방수지로 가야 부귀한다. 癸水가 없어 조후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貧賤하고 短命하기 쉽다.
未月 甲木 小暑 內에는 癸水가 用神이 되고 大暑 後에는 三伏에 한기가 생기니 선용 정화하고 후에 庚金을 사용한다. 土가 성하면 水木을 겸용한다. 木이 旺하면 庚金을 用하며, 火가 많아 조열하면 金水를 기쁘게 여긴다. 未月 末에 수왕과습하면 火土로서 희용을 삼는다. 申月 甲木 申月 甲木은 丁火로써 金氣를 억제하는 것이 좋다. 丁火가 없으면 壬水로 辛金의 강예함을 洩하여 甲木을 生하면 살인상생이 된다. 酉月 甲木 酉月 甲木은 庚金을 선용하고 丙火로 조후하고 丁火로 제살한다. 戌月 甲木 庚金으로 수삭하고 壬, 癸水로 자윤하여야 한다. 이는 戌月에 土가 旺한 까닭이다. 그리고 庚金을 쓰면 丁火로 제살하여야 한다. 亥月 甲木 亥月 甲木은 庚金을 쓰면 丁火로 제살하고 丙火로 조후한다. 그리고 戊土로 제수하여야 한다. 이는 亥月에 壬水가 강한 때문이다. 子月 甲木 子月 甲木은 庚金을 쓰고 丁火로 庚金을 제하며, 丙火로 조후하고 戊土로 제수하여야 한다. 丑月 甲木 丑月 甲木은 丁火가 많아야 하고 庚金이 있어야 하며 丙火가 있어야 조후된다.
木의 喜忌를 따지는 법
春木 한기가 남아 있으니 火로써 온난하게 해주면 좋으니, 이렇게 되면 반굴(盤屈)의 우려가 없게 된다. 그러면서 水로써 도우면 서창(舒暢)의 미(美)가 있다. 이른 봄에는 水가 왕성한 것이 마땅하지 않으니 습하면 뿌리가 상하고 가지가 상하는 결함이 있다. 그러나 水가 없으면 안되니 너무 양기만 왕성하다면 뿌리가 마르고 잎이 시들게 된다. 그러므로 반드시 水火가 잘 배합되어야 좋은 것이다. 土가 많으면 나무의 힘이 빠지고 土가 적으면 재물이 풍부하다. 꺼리는 것은 金이 중첩되는 것이니 나무를 극벌하여 다치게 만드는 까닭이다. 그러나 만약 木이 왕성하다면 金이 있어야 좋다.
夏木 뿌리가 마르고 가지가 시들게 되니 왕성한 水로써 도와주면 윤택하게 된다. 절대로 火가 왕성한 것을 꺼리니, 木은 火가 지나치게 왕성하게 되면 나무가 타게 되는 까닭이다. 土는 적게 있어야 하니 土가 많으면 재앙이 있게 된다. 金이 많으면 안되는데, 그렇다고 없어서도 아니 된다. 金이 있어야 가지를 쳐줄 수가 있기 때문이다. 木이 많아 중첩되면 숲을 이루어 볼만한 듯해도 끝내는 아무 결실도 맺지 못한다.
秋木 가을은 木이 점차 시드는 계절이다. 이른 가을엔 火氣가 아직 남아 있으니 水土로 돕는 것이 좋다. 中秋에는 과일이 이미 익었으니 강금(剛金)의 수삭(修削)이 필요하다. 상강(霜降)이 지난 후에는 水가 왕성해지면 좋지 않으니, 그렇게 되면 木이 표류하게 된다. 한로(寒露) 후에는 火의 열기가 필요하니 火의 열기가 있으면 木이 실(實)하게 된다. 가을에는 木이 왕성하면 재목이 많아져 좋은데 土가 많으면 재를 감당하지 못한다.
冬木 반굴(盤屈)의 우려가 있으니 土가 많아 배양해야 한다. 水가 왕성하면 많으면 고유한 형체를 잃게 되고 金이 많으면 극을 당하니 해롭고 火가 중첩되면 따듯하게 하는 공이 있고, 지지에 통근하면 편안하게 된다. 사절(死絶)이 되면 나쁘고 생왕(生旺)하면 좋다.
월별 갑목론(甲木論)
1) 정월(正月)
寅月은 한기가 도는 때라 丙火가 보온해줌을 원하고 다시 癸水는 암장(暗藏)되어 목근(木根)을 자양하면 귀격이 된다. 그러나 寅月은 아직 어린 싹과 같아 金이 극래(剋來)함을 꺼린다. 우수(雨水) 후는 木의 기(氣)가 섰으매 金이 있으면 귀(貴)하고(成材함에), 火가 있으면 木火 통명(通明)이 되어 부(富)를 누린다. 木을 논함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은 木은 土에 착근됨을 요한다는 것이다. 이는 나무가 흙을 떠나 살 수 없는 때문이다. 수왕(水旺)하면 흙이 풀리고 나무가 뜨니 불길하다.
2) 2월
卯月은 양인(羊刃)이라 목왕(木旺)하다. 庚金이 있으면 양인 합살격(合殺格)으로 귀히 되며 庚金이 아직 어리므로 土가 있어 생금(生金)하면 귀격이다. 丙火가 있으면 木火 통명(通明)이요, 丁火만 있을 때는 寅巳午가 있어 근(根)을 이뤄야 안전할 것이다. 火가 너무 많으면 조열(燥熱)하여 신약(身弱)이 되니 水로써 조후(調候)됨을 요한다.
3) 3월
辰月은 토왕절(土旺節)인데다 목기(木氣)가 유여(有餘)하고 한기가 아직 남아 있는 때라 火가 있으면 귀할 것이다. 곡우(穀雨) 후는 庚金이 있으면 丁火로 단련해야 길하다. 丁이 없고 壬水가 있어 살인상생(殺印相生)하여도 길하다. 토중(土重)하면 甲木으로 소토(疎土)하고 水로써 목근(木根)을 이루면 길하리라.
4) 4월
巳月은 열기(熱氣)가 성하는 때이니 癸水가 조후함을 요하고, 국(局)이 습한데 庚金이 있으면 丁火가 있어서 칼(庚金)을 예리하게 단련하여 木을 곱게 다듬고 수기(水氣) 또한 제해 주어야 귀할 것이다. 만약 토중(土重)하면 甲木으로 소토하고 癸水로 木의 근원을 이루어야 한다.
5) 5월
午月은 열하(熱夏)라 비가 오지 않으면 고갈되어 죽으니 癸水가 조후하여 줌을 요한다. 다시 금기(金氣)가 지(支)에 장(藏)되면 묘(妙)하며 壬水라도 가용(可用)한다. 水도 없고 金도 없으며 대운(大運)에서도 金水를 만나지 못하면 하격(下格)이다. 木이 성하면 庚을 쓰고 金이 많으면 丁火를 쓴다. 또 支에 辰土가 있으면 길하고 丑土는 다음으로 길하다. 火가 조열한데 다시 목화지(木火地)로 행하면 빈(貧)하고 다병(多病)할 것이다.
6) 6월
未月은 염하(炎夏)에 土가 마르니 소서(小暑)절은 癸水가 요망되고 다시 금기(金氣)가 있음을 요한다. 대서(大暑) 후는 토중(土重)하니 水木을 병용한다. 목국(木局)을 이루어 木이 많으면 庚金을 요하고, 火가 많으면 金水를 병용한다. 국(局)이 조열한데 金水가 부족하면 신상에 흠이 있다. 대서 말에 생하여 金水가 성하면 여름에 서리를 만난 격이니 뿌리가 병들고 잎이 죽을 것이로되 이때에는 丙火가 약이 된다.
7) 7월
申月은 목기(木氣)가 쇠한 추절(秋節)이라 마른 가지를 잘라내고 원목(原木)을 보양해야 하니 간(干)에 丙火가 있으면 하늘이 온난하고 지(地)가 따뜻하고 윤택하여 갱생함을 얻어 부귀를 함께 누릴 것이다. 추목(秋木)은 간(干)에 庚金이 있고 丁火가 있으면 귀하고 癸水가 투출하면 살인상생(殺印相生)하여 귀하나 온기가 미흡하므로 재물이 부족할 것이다. 戊己土는 꺼리니 화기(火氣)를 설(洩)하고 수기(水氣)도 멸(滅)하며 금기(金氣)만 도우니 빈천요수(貧賤夭壽)됨을 면치 못할 것이다.
8) 8월
酉月은 금왕절(金旺節)이라 목(木)이 다치기 쉬우므로 丁火로 金을 제하는 것이 가장 좋고 丙火로 조후함은 다음으로 길하다. 癸水가 있으면 스스로 복을 멀리하니 癸水가 丁火를 멸하고 丙火(태양)를 비가 가리우는 연고이다.
9) 9월
戌月은 火가 입묘(入墓)하여 이미 단풍이 들었으니 목기(木氣)가 휴사(休死)한다. 토중(土重)하면 甲木으로 소토(疎土)하고 癸水가 있으면 편안하다. 목왕(木旺)하면 庚金이 있어야 하고 또 이때에는 丁火가 있어야 길하니 무딘 칼을 연금하여 강하고 예리하게 하여야 예쁘게 다듬을 수 있는 이치이다.
10) 10월
亥月은 甲木이 장생지(長生地)라도 한습(寒濕)하니 화기(火氣)로 조후함을 요한다. 목국(木局)을 이루면 庚金으로 제해야 하니 이때에도 庚金을 丁火로 연금함을 병용한다. 토중(土重)할 때 木으로 소토하고 癸水로 목기(木氣)의 근원을 이루어야 편안할 것이다. 수왕(水旺)할 때는 오직 戊土로 수기(水氣)를 제해야 부(富)하리라. 己土가 있을 때에는 巳, 午, 未, 戌 등의 근기가 요망된다.
11) 11월
子月은 한기(寒氣)가 극에 달해 丙火로 조후함을 원한다. 또 戊土가 있어 수기(水氣)를 제해주면 부귀할 것이다. 丙丁의 화기(火氣)가 없으면 겨울에 땔감이 없고 발붙일 곳을 잃은 사람이니 처량함을 말로 다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丙丁이 투출하지 않았더라도 지(支)에 巳, 午, 寅, 未, 戌 등이 있다면 동목(凍木)은 아니니 소길(小吉)하여 안락하고, 火土가 없다면 평인(平人) 밖에 못되리라. 동지(冬至) 후는 일양시생(一陽始生)이라 木火土가 있고 庚金이 있는데 丁火가 있다면 겨울에 벽갑인화(劈甲引火)하여 火를 일으켰으니 대부대귀(大富大貴)할 것이다.
12) 12월
丑月은 한기(寒氣)가 성왕(盛旺)하나 이양지기(二陽之氣)가 있으므로 목기(木氣)가 점진하여 庚이 있고 丁火가 있다면 부귀하며 토중(土重)한 즉 소토해야 한다. 丁만 있고 庚이 없다면 성냥은 있으나 도끼가 없으니 불피우기에 고생이 있을 것이요, 庚金만 있고 丁火가 없다면 도끼는 있으나 불붙힐 성냥이 없으니 또한 미련하고 분주할 뿐이다.
첫댓글 좋은 자료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공부잘하였습니다 복습하여공부하갰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