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代 瓷器의 도안 | |
중국 고대자기의 문식은 중국의 역사문화에서 기원하며, 중국의 전통문화예술을 대표한다. 그 구성에는 유가儒家와 불가佛家와 도가道家및 세속의 내용이 융합되어 있다. 감정가가 도안의 우의寓意에 대하여 설명하지 못하는 것은 유감이라 하겠다. 1.용봉정상龍鳳呈祥 : 용과 봉이 상서로움을 드러낸다. 용 한 마리와 봉 한 마리로 도안한다. 용의 전설은 아주 많으며, 기재된 문헌도 많지만, 용과 제왕을 연결시킨 것은 사마천의 《사기史記》<고조본기高祖本紀>이며, 봉황은 한漢 유안劉安의《회남자淮南子》에서 상서로운 새로 불리기 시작하였으며, 수컷을 봉鳳, 암컷을 황凰이라 하였다. 용과 봉은 모두 인간 마음속의 상서로운 동물로 이들의 출현은 천하태평과 오곡풍년의 상징이었다. 2. 이룡희주二龍戱珠 : 두 마리 운룡雲龍이 한 알의 화염주火焰珠(불구슬-여의주)를 희롱하는 도안 《통아通雅》에 "용의 구술은 턱에 있다"는 기록이 있다. 용의 구슬은 보배로운 구슬로 간주되어 물과 불을 피할 수 있다고 여겨졌다. 이룡희주 이외에 군룡희주群龍戱珠(여러 용과 구슬)와 운룡봉주雲龍奉珠(구름 속의 용과 구슬) 등이 있으며 모두 길상과 평안 및 장수를 축송하는 의미이다. 3.어룡변화魚龍變化 : 하늘에 한 마리 운룡이 있으며, 수중에 한 마리 잉어가 있는 도안. 또는 용머리에 잉어의 몸통이거나, 잉어 한 마리가 용문 위로 뛰어 오르는 모습. 잉어가 용으로 변해 출세한다는 의미. 고대에 잉어가 용문龍門에서 승천한다는 전설이 있었다. 잉어가 용문을 도약하여 올라가면 용으로 변화하지만, 용문을 뛰어넘지 못하면 이마에 점이 생겨나 되돌아간다고 하였으며, 황하의 잉어 가운데 이마에 홍색의 점이 있는 잉어가 많았는데, 모두 용문을 뛰어넘지 못한 잉어였다고 한다. 어약용문은 청운의 뜻을 이루어 비상한다는 의미이다. 4. 학수귀령鶴壽龜齡, 귀학동령龜鶴同齡 : 한 마리의 거북과 한 마리의 학 도안 《운회韻會》에 '거북은 갑충류의 우두머리이다. 거북이의 수명은 만년으로 장수의 상징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학은 신령스러운 새로써, 최표崔豹의 《고금주古今注》에 '학이 천년을 살면 푸르게 변하며, 또 이천 살이 되면 검게 변하니,이른바 현학玄鶴이다.'라고 기록하였다. 귀학동령은 바로 함께 장수를 누린다는 의미이다. 5. 송학연년松鶴延年 : 학과 소나무 도안 《자설字說》에 "소나무는 모든 나무의 우두머리이다."라고 기록하였으며,《예기禮記》<예기禮器>에서는 "소나무와 잣나무는 지조가 있어, 사계절을 통하여 잎을 바꾸지 않는다."라고 기록하였다. 소나무는 장수를 대표하는 이외에, 지조와 절개 있음의 상징이다. 그러므로 송학연년은 연년익수延年益壽 하면서, 고상한 지조가 있음을 의미한다. 6.학록동춘鶴鹿同春 : 학과 사슴과 소나무 도안 옛날 사람들은 사슴을 '신령스러운 짐승'으로 여겼다. 신화에 수성노인壽星老人이 매화꽃 무늬가 있는 사슴을 타고 다닌다는 이야기가 있다. 사슴 '녹鹿(lu)'은 벼슬 '녹祿(lu)'과 음이 같으며 '학鶴(he)'은 합할 '합合(he)'과 음이 비슷하므로, 또한 '육합六合(천,지,동,서,남,북 - 곧 온 세상)이 봄이라는 의미와 부귀장수라는 설명이 있게 되었다. 7.세한삼우歲寒三友 : 송죽매 또는 송죽과 바위 도안 소나무 : 사계절을 통하여 줄기와 잎을 바꾸지 않음(貫四時而不改柯易葉). 대나무 : 고고하게 지조가 있음(淸高而有節). 매화 : 북풍한설을 두려워 하지 않음(不懼風雪嚴寒). 소동파는 대나무를 좋아함이 병이 되어 '반찬에 고기가 없을지언정, 집 주위에 대나무가 없어서는 않된다(寧可食無肉,不可居無竹)'고 하였으며, '매화는 추위를 이기고 피어나며, 대나무는 수척하지만 장수하며, 바위는 못생겼지만 의젓하니, 세가지 이로운 벗이로다(梅寒而秀,竹瘦而壽,石醜而文,是三益之友.)'라는 글을 짓기도 하였다. 송죽매는 세한삼우로 불리며, 사람됨이 덕이 있고 지조가 있음을 비유한다. 8.희상미초喜上眉梢 : 매화가지 위에 두 마리 까치가 앉아 있는 도안. 옛사람들은 까치가 신령하여 기쁜 소식을 알려준다고 생각하여 '희작喜鵲'이라고 불렀다. 두 마리 까치는 바로 겹으로 기쁜 소식이 있음을 의미. 매梅(mei)는 눈썹 '미眉(mei)'와 음이 같으므로, 까치가 매화가지 위에 올라 앉는 것은 기쁜 소식이 바로 눈 앞에 있음을 비유. - 한 마리 까치와 한 마리 표범 도안 : 보희도報喜圖(Baoxi-기쁜 소식을 전하는 그림). 본래 표범이나 조선후기에는 호랑이로 변화됨. - 거미줄에 거미 한 마리가 있는 도안 : 희종천강喜從天降(기쁜 소식이 하늘에서 들려 옴). 중국인의 풍습에 거미를 희주喜蛛(기쁨을 알리는 거미)라고 부르기 때문이다. - 한 마리 너구리와 한 마리 까치 도안 : '환천희지歡天喜地(미치고 펄쩍 뛰게 좋음)'라고 한다. 두 마리 너구리가 서로 노는 모습은 '환희도歡喜圖'라고 한다. 동자 둘이 웃는 얼굴로 서로 마주하고 있는 것은 '희상봉喜相逢'이라고 한다. 네명의 동자가 서로 손과 발을 잇대고 있는 모습은 '사희도四喜圖'라고 한다. 9.희보삼원喜報三元 : 까치 세 마리, 계수나무 세 그루, 원보元寶 세 개가 있는 도안. 고대의 과거제도에서 향시鄕試와 회시會試와 전시殿試의 1등은 해원解元과 회원會元과 장원狀元으로 합하여 '삼원三元'이라고 한다. 명대의 과거에서 정시廷試의 1,2,3등은 '삼원三元'이라 하며, 바로 장원狀元과 방안榜眼과 탐화探花이다. "삼원三元"은 고대에 문인이 꿈에 그리던 일로, 까치는 기쁜 소식을 전하는 길조이며, 세 그루의 계수나무나 세 개의 원보는 삼원을 의미하며, 희망과 의지를 표시하는 도안이다. 이 밖에 삼원급제나 장원급제나 연중삼원連中三元(세 번 연이어 장원에 급제함)이나 오자등과五子登科(다섯 아들이 모두 과거에 합격함) 등의 도안이 있다. 10. 상록수희相祿壽喜 : 박쥐와 사슴과 복숭아와 '희喜'자 도안 고대에 사람들은 박쥐(BianFu)의 'Fu'를 행복의 '복福(Fu)'자로 간주하였으며, 사슴 녹鹿과 벼슬 녹祿의 음이 같음을 빌리고, 복숭아는 장수를 의미하며, 여기에 '희喜'자를 더하여 행복과 부귀와 장수와 경사에 대한 바람을 표시하였다. 11. 오복봉수五福捧壽 : 다섯 마리 박쥐와 중앙의 '수壽'자 한자 《서경書經》<홍범편洪范篇>에서"오복五福의 첫째는 장수, 둘째는 부귀, 셋째는 강녕함, 넷째는 덕을 닦음,다섯째는 편안히 천수를 다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12. 다복다수多福多壽 : 복숭아 가지와 여러 마리 박쥐 도안 13. 복수무변福壽無邊 : 박쥐와 복숭아와 반장결盤長結(팔길상의 천 매듭) 14.신속제미神速齊眉 : 박쥐와 복숭아와 여뀌와 매화 15.복수쌍전福壽雙全 : 박쥐 한 마리와 복숭아 한 개와 옛날 돈 두개의 도안 이들 도안은 모두 고대인의 마음속의 행복과 부귀와 장수에 대한 희망을 표시 16.복수삼다福壽三多 : 박쥐 한 마리와 복숭아 한 개와 석류 하나 또는 연밥(蓮子) 하나의 도안. 석류는 자식이 많음을 의미하며, '蓮子(lianzi)'는 바로 '連子'(lianzi - 연이어 낳은 자식을 낳음)의 의미 17.삼다구여三多九如 : 박쥐(福)나 불수감과 복숭아(壽)와 석류(자손) 및 9개의 여의如意 도안. '삼다'는 다복多福, 다부多富 ,다자손多子孫을 말하며 여의는 구여九如를 의미. 구여는 如山, 如阜, 如陵, 如?, 如川之方至, 如月之恒, 如日之升, 如松柏之蔭, 如南山之壽를 말하여 송축하는 의미이다. 18.복재안전福在眼前 : 박쥐와 옛날 돈 하나 옛날 돈은 둥근 모양에 사각의 구멍이 뚫려 있으므로, 구멍으로 눈(眼)을 삼고, 돈 錢(qian)과 앞 전前(qian)은 음이 같으므로, '眼前在福(눈 앞에 복이 있다)'이라고도 한다. 19.복지심령福至心靈 : 박쥐와 복숭아와 영지의 도안 복숭아는 장수를 상징하고 그 모양은 심장과 비슷하며, 영지靈芝의 '영靈'자는 행복이 도래하여 사람이 더욱 총명하게 됨을 표시한다. 20.수비남산壽比南山 : 산수와 소나무 혹은 해수청산海水靑山의 도안 "복은 동해로 흐르는 강물처럼 길고, 수명은 앞산의 늙지 않는 소나무와 비교 된다(福如東海長流水, 壽比南山不老松).'라는 내용은 자주 보이는 대련이다. 이 도안은 '수산복해壽山福海'라고도 한다. 21.삼성고조三星高照 : 세 명의 늙은 신선 도안 고대에 복록수福祿壽 세명의 신선을 '삼성三星'이라 하였으며, 전설에 따르면 복성福星은 화복禍福을 다스리고, 녹성祿星은 부귀빈천을 다스리며, 수성壽星은 생사를 다스린다고 한다. 삼성고조三星高照는 행복과 부유함과 장수를 상징한다. 수성노인과 한 마리 사슴과 날고 있는 박쥐 한 마리의 도안도 복록수福祿壽라고 부른다. 22.유운백복流雲百福 : 구름과 박쥐 도안 구름은 형태가 여의와 비슷하며, 끊임없이 이어짐을 나타낸다. 유운백복流雲百福은 바로 백복百福이 끊이지 않는다는 의미. 23.평안여의平安如意 : 병 하나와 메추리와 여의 도안 병(甁-Ping)으로 平(Ping-평탄함)을 의미하고, 메추리(anchun)는 安(안락)을 의미하며, 여의를 하나 더하여 '평안여의平安如意'라고 한다. 24.일로평안一路平安 : 해오라기와 병과 메추리 도안. 따로 해오라기와 태평전太平錢으로 된 도안이 있으며 '일로태평一路太平'이라고 한다. 鷺(해오라기-lu)로 路(길-lu)을 비유하며, 甁(ping)은 平(ping-평탄),메추리(anchun)는 安(an-안전)을 의미하여, 앞 길이 안전하고 순조롭기를 축원하는 의미 25.사사여의事事如意 : 감과 여의 도안 《이아익爾雅·翼》에 "감에는 일곱 가지의 뛰어난 점이 있으니, 하나는 장수함이고, 둘은 그늘이 많음이며, 셋은 새둥지가 없음이며, 넷은 벌레가 먹지 않으며, 다섯은 서리 맞은 잎이 감상할 만하며, 여섯은 열매가 맛 있어 먹을 만하며, 일곱은 낙엽은 두껍고 커서 글씨를 쓸 수 있음이다.(枾有七絶,一壽,二多陰,三無鳥巢,四無蟲蠢,五霜葉可玩,六佳實可啖,七落葉肥 大可以臨書)"라 하였다. 일 사事(shi)는 감 시枾(shi)와 음이 같으며, 여기에 여의如意를 보태서 사사여의事事如意나 백사여의百事如意, 만사여의萬事如意라는 의미를 표시한다. 26.제사수심諸事遂心 : 몇 개의 감과 복숭아 도안 몇 개의 감은 모든 일(諸事)를 의미하고, 복숭아는 씨가 심장과 비슷하므로 모든 일이 뜻대로 마음에 맞기를 표시한다. 27.필정여의必定如意 : 붓과 은정銀錠(은 돈)과 여의如意 도안 筆(bi)과 必(bi)은 유사한 음이며, 錠(ding)과 定(ding)은 음이 같으며, 여기에 여의如意를 더하여 필정여의必定如意(반드시 마음먹은 대로 정해짐)를 의미. 28.세세평안歲歲平安 : 이삭과 병과 메추리 歲(Sui-이삭 수穗), 平(甁-Ping), 安(메추리-anchun)의 유사음을 이용하여 평화를 기원하는 희망을 표시. 29.연년유여年年有餘 : 두 마리 메기 메기 염(魚+念 =nian) 자와 '年(nian)', 魚(yu)와 餘(yu)는 같은 음으로, 해마다 넘치고 남아 생활이 부유하기를 표시. 두 마리 메기의 머리와 꼬리가 서로 연결된 도안이나 동자가 연꽃과 메기를 안고 있는 도안은 모두 '연년유여年年有餘'라고 부른다. 하나의 경磬(qing-경쇠)과 한 마리 물고기 또는 하나의 경쇠와 두마리 물고기 또는 한 어린애가 경쇠를 치고 다른 어린애는 물고기를 가지고 있는 도안은 모두 길경유여吉慶有餘라고 부른다. 한 여인이 손에 물고기를 들고 있는 것은 부귀유여富貴有餘라고 한다. <경쇠 磬(qing)은 경사 慶(qing)>, <여인 婦(fu)는 부귀 富(fu)> 30.마상봉후馬上封侯 : 말 위에 벌 한마리와 원숭이 한마리가 있는 도안 馬上(즉시)封侯(제후에 봉해짐)로 빨리 승진하고 싶은 바람을 표시. 큰 원숭이 등에 작은 원숭이가 있는 도안은 '배배후輩輩侯'라고 하며, 단풍나무 한 그루와 인장 하나와 원숭이 한마리, 또는 한 마리 벌과 원숭이가 인장을 안고 있는 도안은 '봉후괘인封侯掛印', '괘인봉후掛印封侯'라 한다. 벌 蜂(feng)은 봉할 封(feng), 원숭이(hou)는 제후 侯. 31.태사소사太獅少獅 : 한 마리 큰 사자와 작은 사자 한마리 도안 태사太師는 관직명으로 주대周代에 삼공三公의 벼슬을 설치하였으니, 태사太師와 태부太傅와 태보太保로서, 태사太師는 삼공 가운데 가장 높은 벼슬이다. 소사少師는 관직명으로 주례춘관周禮春官에 속하며 악사樂師이다. 사자 獅(shi)는 스승 사師(shi)와 음이 같으므로 큰 사자와 작은 사자는 태사太師와 소사少師를 의미하며, 대대로 고관이 되고픈 바람을 표시한다. 큰 용 한 마리와 작은 용 한 마리로 된 도안은 교자성룡敎子成龍(자식을 가르켜 용처럼 훌륭한 인물을 만든다), 망자성룡望子成龍(자식이 용이 되기를 바란다)이라 한다. 32.팔보연춘八寶聯春 : 8가지 보물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도안 팔보八寶는 두 종류로 나뉜다 : 불가佛家의 팔보에는 법륜法輪, 법라法螺, 보산寶傘, 백개白蓋, 연화蓮花, 보관寶罐, 금어金魚, 반장盤長이 있으며, "윤라산개輪螺傘蓋, 화관어장花罐魚長"이라고도 한다. 선가仙家의 팔보는 팔선八仙의 호신법보護身法寶로서 어고漁鼓, 보검寶劍, 꽃바구니, 조리, 호리병, 부채, 음양판陰陽板, 횡적橫笛(피리)이다. 33.팔선과해八仙過海 : 팔선인八仙人이 모두 보물을 들고 있으며, 그 아래에는 대해에서 파도가 치는 도안 고대의 신화전설 가운데의 팔선에는 철괴리鐵拐李, 한종리漢鍾離, 장과로張果老, 하선고何仙姑, 여동빈呂洞賓, 남채화藍采和, 한상자韓湘子, 조국구曹國舅가 있다. 팔선에 관한 이야기는 당唐, 송宋, 원元, 명明의 문인文人의 기록에 많이 보인다. "팔선경수八仙慶壽", "팔선과해八仙過海"의 이야기는 가장 유행하였으며, 전설에 따르면 팔선이 왕모낭랑王母娘娘(서왕모)의 생신 축하연에 참석하고 돌아가는 도중에 대해를 건너게 되자, 각자 자신의 호신보물로 배를 삼아 다투어 바다를 건너 신통력을 드러냈다고 한다. 34.마고헌수麻姑獻壽 : 마고선녀麻姑仙女가 손에 천도복숭아를 들고 있는 도안 마고麻姑는 고대古代의 신화 속의 선녀이다. 갈홍葛洪의 《신선전神仙傳》에 따르면, 마고는 건창建昌사람이며, 모주牟州의 동남 쪽에 있는 고여산姑餘山에서 수도修道하였다. 동한의 환제桓帝 때에 왕방평王方平의 초빙에 응하여, 채경蔡經의 집에 강림하였는데, 나이는 십 팔구세로 쌀알을 던져 구슬을 만들 수가 있었다. 스스로 말하기를, 이미 동해가 세 번이나 변하여 뽕나무 밭이 된 것을 보았으며, 봉래蓬萊의 물도 잦아질 때가 있어, 아마도 또 평지로 변할지도 모른다고 하였다. 후세에 마침내 '창해상전滄海桑田'으로 세상사의 급격한 변화를 비유하게 되었다. 그녀의 손가락은 새의 발톱 같아서, 채경이 이를 보고 '등이 아주 가려울 때에 등을 긁으면 아주 좋겠다.'고 생각하였다고 한다. 또 전설에 따르면 3월3일 서왕모의 생신에 마고가 강주絳珠의 강가에서 영지靈芝로 술을 빚어 서왕모의 장수를 축원하였다고 한다. 그러므로 옛날에 여인의 장수를 축원하는 사람은 마고헌수도麻姑獻壽圖가 그려 있는 기물을 예물로 삼았다. 35.군성축수群星祝壽 : 여러 신선이 각기 예물을 들고 있는 도안 전설에 따르면 3월3일 왕모낭랑의 생신날에, 각 지역의 신선이 와서 축하를 한다고 하며, 여기에서 상서로움과 경사로움의 의미를 차용하였다. 36.만상승평萬象升平 : 코끼리 몸 위에 '만卍'자의 무늬가 있고 병 하나를 지고 있는 도안. '만卍'자는 범문梵文으로 "실리말차室利靺蹉"라고 하며 상서로움이 모였다는 의미이다. 불가佛家에서 석가모니의 가슴에 나타나는 상서로운 상(瑞相)은 만 가지 덕이 상서롭다는 표지로 사용한다. 당唐 무측천武則天 장수長壽2년(693년)에 '만卍'자를 '만萬'으로 읽도록 제정하였다. 만수승평萬壽升平은 백성들이 국태민안國泰民安하며 모든 일이 발전하여나라는 부강해지고 백성은 강력해지는 태평한 세상을 축원함을 표시한다. "태평경상太平景象", "경상승평景象升平" 등의 도안도 있다. 37.평승삼급平升三級 : 병에 삼지창이 꽂혀 있는 도안 甁(ping)과 平(ping)은 음이 같으며, 창 극戟(ji)은 등급(級 - ji)을 의미. 평승삼급平升三級은 관운이 형통하여 연이어 세 번 진급하기를 축원한다는 의미 38.천녀산화天女散花 : 선녀가 꽃바구니를 들고 꽃을 뿌리고 있는 도안 불경佛經의 《유마경維摩經·관중생품觀衆生品》의 기록에, 유마실維摩室 가운데에서 천녀天女가 천화天花(하늘의 꽃)를 뿌리는데, 꽃이 여러 보살에게 닿자 모두 땅으로 떨어졌지만, 대제자大弟子의 몸에 닿자 바로 몸에 붙어서 땅으로 떨어지지 않았다. 천녀는 '맺힌 미련을 다 버리지 못하여 꽃이 몸에 붙었느니라.'라고 말하였다. 천녀가 꽃을 뿌리는 것을 이용하여 보살과 성문제자聲聞弟子의 도행道行을 시험하였음을 말하는 것이다. 당나라 송지문宋之問의 《설재탄불문設齋嘆佛文》에 "천녀天女가 꽃을 뿌려 산림의 초목에 꽃이 활짝(天女散花,綴山林之草樹)"이라는 말이 있다. 그러므로 "봄이 인간세상에 가득하다(春滿人間)"의 의미로 사용한다. 39.항아분월嫦娥奔月 : 선녀가 월궁月宮으로 날아가는 형상의 도안 항아嫦娥는 신화 속의 후예의 아내. 후예가 서왕모의 처소에서 불사약을 얻었는데, 항아가 훔쳐 먹은 뒤에 달로 도망가 버렸다. 40.사해승평四海升平 : 네 명의 소녀가 병 하나를 들고 있는 도안 네 명의 어린아이<孩(hai)는 海(hai)>가 병(平) 하나를 들고(升)있는 도안으로 사해승평四海升平을 표시하며, 백성들의 전쟁을 혐오하고 평화를 바라는 희망을 의미. 41.복종천강福從天降 : 한 어린 소녀가 손을 펴고 있고 박쥐 한 마리가 날고 있는 도안 하늘에 날고 있는 박쥐가 손 안으로 떨어지려고 하는 형상으로 '복이 하늘에서 내려온다', '복이 하늘에서 온다', '하늘이 큰 복을 내려준다'는 등의 내용을 비유. 이 밖에 '오복임문五福臨門', '인복입당引福入堂', '천관사복天官賜福' 등의 도안도 있다. 42.장명부귀長命富貴 : 장닭이 목을 빼고 길게 울고 있으며, 모란꽃 한 가지가 있는 도안 장닭이 목을 길게(長) 빼어 울고<鳴(ming) - 命(ming)> 있으며,모란은 부귀를 상징하는 꽃이다. 또 장닭이 목을 길게 빼어 울고 있는 옆에 벼 이삭이 약간 있는 도안으로 '장명백세長命百歲'를 표시 43.유전백자流傳百子 : 입을 벌린 석류 또는 포도 도안 고대의 전설에 주나라의 문왕文王에게는 백명의 자식이 있었다고 한다. "유개백자榴開百子"는 자식이 많음을 표시한다. "자손호로子孫葫蘆", "백자도百子圖", "기린송자麒麟送子", "연생귀자蓮生貴子" 등의 도안이 있으며 자손만대子孫萬代를 바라는 희망을 표시 44.교자성명敎子成名 : 장닭이 목을 길게 빼어 울고 있는 옆에 다섯 마리의 병아리가 있는 도안. 장닭이 병아리(子)를 가르치며(敎) 울고<鳴(ming) - 名(ming)>있는 도안으로 "교자성명敎子成名(자식을 가르쳐 명성이 있게 되도록 함)"을 비유. "오자등과五子登科", "일품당조一品當朝" 등의 도안은 자손이 성공하기를 바라는 간절한 원망을 표시 45.관상가관官上加官 : 장닭과 맨드라미(鷄冠花) 도안 닭의 벼슬(官)에 맨드라미의 벼슬(官)을 더하여 승진을 표시 46.옥당부귀玉堂富貴 : 목련꽃, 해당화, 모란 도안. 부귀에 대한 희망 표시 47.오세동당五世同堂 : 다섯 개의 감과 해당화로 된 도안 해당화海棠花의 棠(tang)으로 堂(tang)을 표시. 다섯 개의 감(五枾-wushi)으로 五世(wushi)를 표시하여 오대가 한 집에서 모여 살고 싶은 희망을 비유. 48.어옹득리漁翁得利 : 황새와 조개가 서로 다투는 곁에 어부가 서 있는 도안 쌍방이 서로 양보하지 않아 제3자가 이익을 얻음을 비유 49.영우투지英雄鬪智 : 한 마리 독수리와 곰 한 마리가 싸우는 형상의 도안 鷹(ying)과 英(ying), 熊(xiong)과 雄(xiong)은 음이 같다. 맹금과 흉포한 짐승이 서로 싸우면 지혜 있는 자가 승리하게 된다. 소나무 위에 독수리 한 마리가 앉아있고 지상에는 곰 한 마리가 있어 서로 노려보고 싸울 듯한 형상의 도안도 영웅의 용맹함과 지혜를 비유한다. 50.팔준도八駿圖 : 자태가 각기 다른 여덟 필의 말이 있는 도안 전설에 따르면, 주나라 목왕穆王에게 여덟 필의 준마가 있었다고 하며, 이름과 설이 여러가지 이다. 《목천자전穆天子傳》권일卷一에 "천자天子의 준마駿馬는 적기赤驥, 도려盜驪, 백의白義, 유륜逾輪, 산자山子, 거황渠黃, 화류華馬留, 녹이綠耳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사기史記·조세가趙世家》에도 기록이 있으며, 후세의 전설은 모두 여기에서 파생되어 나왔다. 북경 공항 입국대의 뒤편에 당 태종 소릉昭陵의 팔준도가 모각되어 있다. 51.박고도博古圖 : 정鼎, 이彛, 종鍾, 경磬, 도자기 병, 옥제품, 서화, 분경盆景 등의 각종 기물조형의 도안으로 종류가 아주 많다. 각양각식의 박고도는 사람에게 고색창연함과 옛 향기를 느끼게 한다. 52.천마도天馬圖 : 양 날개가 난 말이 날으는 도안 천마天馬라는 단어는 최초로 《초사楚辭·이소離騷》와《사기史記·대완열전大宛列傳》과《회남자淮南子》 등의 서적에 나타난다. 장건張騫이 서역에 사신으로 가 오손烏孫의 명마를 얻어 천마天馬라고 이름 붙였다. 후에 대완의 한혈마汗血馬를 구했는데 오손의 말보다 강건하므로, 오손의 말을 서극西極이라고 개명하고 대완의 말을 천마天馬라고 불렀다. 역사서에 한나라 무제 때 "한혈마를 구하자, 서극천마가西極天馬歌를 지었으며", 원수元狩3년(B.C.119년) 이후에 천마는 "용의 친구(龍之友)"와 "용의 중매자(龍之媒)"의 지위까지 발전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신화전설 가운데의 "천마행공天馬行空","독래독왕獨來獨往" 등은 사람들에게 '말에 양 날개가 돋아나 있다'고 상상토록 하여, 점차로 용마龍馬로 불리우게 되었다.《서유기西游記》에 백용마白龍馬가 있는 것이 한 예이다. 천마는 말인 듯하면서 날개가 있고, 공중을 날아다니는 것은 용과 흡사하며, 이러한 동물의 도안은 고대의 자기와 양탄자 등에 자주 나타난다. 53.기린도麒麟圖 : 머리에 외 뿔이 났으며, 사자의 얼굴에 소의 몸뚱이로, 꼬리에는 비늘조각이 붙어 있고, 다리 아래에서 불을 일으키고, 형태는 사슴과 비슷한 동물의 도안 기린麒麟은 전설의 동물로, 고대에는 '인수仁獸(인자한 짐승)'이라고 부르며, 상서로움의 상징으로 삼았다. 한대漢代 화상전의 기린도안은 말과 사슴의 모습과 비슷하며, 한나라 이후에 점차로 기린의 형상이 완성되었다. 기린은 상서로운 동물이므로, 항상 걸출한 사람에 비유되었으며, 기린송자麒麟送子, 인토옥서麟吐玉書 등의 도안은 모두 걸출한 인사가 태어난다는 비유이다. 54.사예도四藝圖 : 금琴, 기棋, 서書, 화畵의 도안 금기서화는 중국 고대의 문인들의 일상생활에서 필수불가결한 요소로서, 학식을 증진시키고 흥을 돋구었다. 55.답설심매踏雪尋梅 : 눈보라 속에서 한 노인이 머리에 호연건浩然巾(겨울에 쓰는 두건)을 쓰고 손에 매화가지를 든 채 나귀를 타고 다리를 지나가는 도안 답설심매踏雪尋梅는 당대唐代의 시인詩人 맹호연孟浩然의 고사에 근거하고 있다. 맹호연孟浩然(689-약740年)은 양주襄州의 양양襄陽(현재 호북湖北에 속함)사람으로, 젊어서 학문을 좋아하였으며, 매화를 너무 좋아하여 일찍이 녹문산鹿門山에 은거하였다. 40세에 장안으로 유람가 진사進士시험에 낙방하고 양양으로 돌아왔다. 맹호연孟浩然이 머리에 호연건浩然巾을 쓰고 눈보라 속에 나귀를 타고 패교를 건너 눈을 헤치고 매화를 찾는 이야기는 중국 고대의 멋진 이야기 가운데 하나이다. 이 도안은 고대의 자기와 양탄자에 자주 나타난다. 56.백아솔금伯牙(手+率)琴 : 한 사람이 거문고를 들고 무덤을 마주하고 있으며, 곁에 노인 하나가 서 있는 도안. 백아白牙와 종자기鍾子期의 우정어린 고사에서 유래. 춘추전국시대에 거문고를 잘 연주하는 유백아兪伯牙가 하루는 배를 타고 가다가 한양강漢陽江 어귀에 이르러서, 시동에게 명하여 향을 사르고 거문고를 가져다가 현을 조율하여 연주하는데, 한 곡이 끝나지 못하고 거문고 줄이 끊어져 버렸다. 다른 사람이 연주를 들었을까 의심하여 좌우에게 명하여 수색토록 하니, 종자기鍾子期라는 나무꾼을 만나게 되어, 두 사람이 함께 배에 올라 무릎을 맞대고 이야기를 나누어 본 바, 의기투합하고 음악을 잘 이해하여 형제의 의를 맺고, 내년에 강가에서 만나기로 약속하였다. 유백아가 약속기한이 되어 강가에 와보니 종자기는 이미 병들어 죽었다. 백아가 듣고는 샘물처럼 눈물을 흘리며, 종자기의 무덤으로 가서 제사를 지내고, 거문고의 줄을 끊어버리고 두 손으로 거문고를 들어 제단 위를 향해 던져 버리자, 옥구슬이 구르듯 부서지며 금빛이 어지러이 날렸다. 노인이 놀라서 '선생은 왜 이 거문고를 부숴버렸습니까?'하고 묻자 백아는 "옥으로 장식한 거문고를 부수니 봉황의 꼬리가 차갑고, 종자기가 없으니 뉘를 위해 연주할까? 만면에 웃음이 가득한 이들은 모두가 벗이라 하건만, 참된 지기를 찾기 어렵고도 어려워라! (솔破瑤琴鳳尾寒, 子期不在對誰彈, 春風滿面皆朋友, 欲覓知音難上難)"라고 대답하였다. 여기서 유백아가 거문고를 던져 지기知己와 이별하였다는 이야기가 생겨났다. 고대의 자기와 양탄자에 이러한 도안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