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육대주(六大洲) ■■
⊙ 륙(六) : 여섯 륙 | 집 모습
⊙ 대(大) : 큰 대 | 큰 사람 모습
⊙ 주(洲) : 물가 주 | 물 수(氵) + [고을 주(州)]
● 풀이 : 6(六) 개의 큰(大) 섬(洲)
■ 설명 : 강 하구에 있는 삼각형 모양의 섬을 삼각주(三角洲)라고 합니다. 이때 주(洲)자는 '섬'이라는 뜻입니다.
육대주는 바다 위에 있는 6개의 큰 섬이란 뜻으로, 지구의 여섯 대륙(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오세아니아,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을 일컫는 말입 등니다. 여섯 대륙을 한자와 영어로는 다음과 같이 씁니다.
▶ 아세아(亞世亞) : 아시아(Asia). Asia는 이라크 북쪽의 고대 국가인 아시리아(Assyria)라는 이름에서 나왔습니다. 아시리아는 '해가 뜨는 땅'이라는 뜻으로, 옛날 유럽 사람들이 해가 뜨는 동양을 지칭하여 만든 이름입니다.
▶ 구라파(歐羅巴), 구주(歐洲) : 유럽(Europe). Europe은 그리스 신화에서 에우로페(Europe)가 황소로 변한 제우스에게 납치되어 서쪽으로 가서 지금의 유럽 땅에서 살았다고 하는 이야기에서, 에우로페의 이름을 따 만들었습니다.
▶호주(濠洲) : 오세아니아(Oceania). Oceania는 바다를 뜻하는 Ocean과 땅을 뜻하는 ~ia가 합쳐진 말로, 바다 중간에 있는 땅이란 뜻입니다.
▶ 남미주(南美洲) : 남아메리카(South America). America라는 이름은 이탈리아의 항해사인 아메리코 베스푸치(Amerigo Vespucci)가 지금의 베네수엘라를 여행 한 뒤, 그곳이 콜롬부스가 생각한 서인도가 아니라 새로운 대륙일지도 모른다는 이야기을 하였고, 나중에 신대륙임이 밝혀지자 ‘아메리코’를 기념하여, 땅을 뜻하는 ~a를 붙여 아메리카로 불렀습니다.
▶ 북미주(北美洲) : 북아메리카(North America)
▶ 아불리가(阿弗利加) : 아프리카(Africa). Africa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리비아라고 부른 지중해 남쪽 해안의 원주민이 사용한 이름에서 유래합니다.
☞ 참고 : 영어 단어 뒤에 ~ a 나 ~ia가 붙으면 땅이란 뜻이 됩니다. 그래서 나라나 지역의 이름에 ~ a 나 ~ia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은 그러한 예입니다.
~a로 끝나는 경우
코리아(Korea: Kore(고려) + a), 차이나(China: Chin(진) + a), 아메리카(America), 아프리카(Africa). 캐나다(Canada), 리비아(Libya)
~ia로 끝나는 경우
아시아(Asia), 오세아니아(Oceania). 아라비아(Arabia), 아시리아(Assyria), 불가리아(Bulgaria), 시리아(Syria), 인디아(India), 오스트리아 (Austria),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 버지니아(Virginia), 캘리포니아(California), 브라질리아(Brasilia: 브라질의 수도), 에디오피아(Ethiopia)
☞ 관련되는 단어 : 오대양(五大洋)
■■ 오대양(五大洋) ■■
⊙ 오(五) : 다섯 오 | 다섯을 나타내는 기호
⊙ 대(大) : 큰 대 | 큰 사람 모습
⊙ 양(洋) : 큰바다 양 | 물 수(氵) + [양 양(羊)]
● 풀이 : 다섯(五) 개의 큰(大) 바다(洋)
■ 설명 : 지구 위에 있는 5개의 큰 바다로, 다음과 같습니다.
▶ 태평양(太平洋) : 태평스러운 바다라는 뜻으로, 1520년 마젤란이 세계 일주 항해를 할 때 대서양을 건너, 남아메리카 끝의 해협(마젤란 해협)을 빠져 나오자 거친 바다가 씻은 듯이 조용해지고 평온한 바다가 나타나자 '평화로운 바다(Pacific Ocean)'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다시 중국 사람들이 한자로 옮기면서 태평스러운 바다라는 뜻으로 태평양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 대서양(大西洋) : 아시아와 유렵 대륙의 서(西) 쪽에 있는 큰(大) 바다(洋)라는 의미로 지은 이름입니다.
▶ 인도양(印度洋) : 인도(印度) 아래에 있는 바다라는 뜻입니다.
▶ 남극해(南極海) : 남극에 있는 바다로, 남쪽의 얼음 바다라는 뜻의 남빙양(南氷洋)이라고도 부릅니다.
▶ 북극해(北極海) : 북극에 있는 바다로, 북쪽의 얼음 바다라는 뜻의 북빙양(北氷洋)이라고도 부릅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육대주(六大洲)
■ 아시아 및 아프리카의 생활
▣ 경제가 성장하는 동부 아시아
■■ 계절풍(季節風) ■■
⊙ 계(季) : 철 계 | 아들 자(子) + 벼 화(禾)
⊙ 절(節) : 마디 절 | 대 죽(竹) + [곧 즉(卽)→절]
⊙ 풍(風) : 바람 풍 | 벌레 충(虫) + [무릇 범(凡)→풍]
● 풀이 : 계절(季節)에 따라 변하는 바람(風)
■ 설명 : 계절풍은 대륙과 해양의 온도차로 인해서 여름과 겨울에 따라 방향이 바뀌는 바람입니다.
보통 대륙과 해양 사이에서는 어디서나 바람이 불지만, 지역에 따른 차이가 크며, 우리나라가 있는 극동지역과 인도지방에서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한국에서는 겨울에 북서풍이 불고 여름에는 남동풍이 붑니다.
☞ 참고 : 몬순(monsoon)의 유래는?
계절풍을 영어로 몬순(monsoon)이라고 하는데, 이 말은 원래 아랍어의 '계절'을 뜻하는 '마우심(mausim)'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중세기에 아랍인들은 인도양의 계절풍을 이용하여 항해하였는데, 이때 이 말이 유럽에 전해졌습니다.
■■ 구릉(丘陵) ■■
⊙ 구(丘) : 언덕 구 | 어3II/진2급 一 5획 |
⊙ 릉(陵) : 언덕 릉 | 어3II/진2급 阜/阝 11획 | 언덕 부(阜/阝) + [넘을 릉(夌)]
● 풀이 : 언덕(丘陵)
■ 설명 : 구릉(丘陵)은 언덕의 한자어로, 땅이 비탈지고 조금 높은 곳입니다.
■■ 고원(高原) ■■
⊙ 고(高) : 높을 고 | 높은 건물 모습
⊙ 원(原) : 언덕/근원/벌판 원 | 기슭 엄(厂) + 샘 천(泉)
● 풀이 : 높은(高) 곳에 있는 벌판(原)
■ 설명 : 고원은 보통 해발 고도 600미터 이상에 있는 넓은 벌판을 말합니다.
▶ 개마고원(蓋馬高原) : '개마산(蓋馬山) 옆에 있는 고원(高原)'이란 뜻으로, 개마산은 백두산의 다른 이름입니다. 개마(蓋馬)는 해마리(奚摩離)에서 바뀐 이름으로, 해(奚)는 '희다'는 뜻이고, 마리(摩離)는 '머리'라는 뜻으로, 백두산(白頭山: 흰머리 산)의 한글식 이름입니다.
☞ 관련되는 단어 : 고위평탄면(高位平坦面),백두산(白頭山)
■■ 유목(遊牧) ■■
⊙ 유(遊) : 놀/떠돌 유 | 갈 착(辶) + [깃발 유(斿)]
⊙ 목(牧) : 칠/기를 목 | 소 우(牛) + [칠 복(攵)→목]
● 풀이 : 가축을 돌아다니면서(遊) 기름(牧)
■ 설명 : 유랑자(流浪者). 유랑인(流浪人), 유람(流覽) 등에 쓰이는 유(遊)자는 떠돌아다니거나 떠돌아 다니면서 논다는 의미입니다.
유목(遊牧)은 물과 풀밭을 찾아 떠돌아 다니면서 가축을 기른는 것입니다.
▶ 유목민(遊牧民) : 유목을 하는 사람
☞ 관련되는 단어 : 이목(移牧),방목(放牧)
■■ 습윤(濕潤) ■■
⊙ 습(濕) : 젖을 습 | 물 수(氵) + 날 일(日) + 실 사(絲)
⊙ 윤(潤) : 윤택할/젖을 윤 | 물 수(氵) + [윤달 윤(閏)]
● 풀이 : 습기(濕)가 많아 젖음(潤)
■ 설명 : 습윤(濕潤)은 공기 속에 습기가 많은 것을 말합니다.
■■ 환태평양(環太平洋) ■■
⊙ 환(環) : 고리 환 | 구슬 옥(玉/王) + [둥근 옥 환(睘)]
⊙ 태(太) : 클 태 | 큰 대(大) + 점 주(丶)
⊙ 평(平) : 평평할 평 | 좌우 대칭인 저울 모습
⊙ 양(洋) : 큰바다 양 | 물 수(氵) + [양 양(羊)]
● 풀이 : 태평양(太平洋) 주변을 둥근 고리(環)처럼 둘러싼 지역
■ 설명 : 환태평양(環太平洋)은 태평양을 둘러싸는 지대로, 일본, 대만, 필리핀, 뉴질랜드, 남극 대륙 주변부, 남북아메리카와 러시아의 태평양 연안 지대 등을 포함합니다. 이곳에서는 화산과 지진 활동이 많아 조산운동(造山運動)이 활발한 곳입니다.
▶ 환태평양지대(環太平洋地帶) : 환태평양(環太平洋)과 같은 말입니다.
▶ 환태평양화산대(太平洋火山帶) : 태평양을 둘러싸고 고리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는 화산대
▶ 환태평양지진대(太平洋地震帶) : 태평양을 둘러싸고 고리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는 지진대
▶ 환태평양조산대(太平洋造山帶) : 태평양을 둘러싸고 고리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는 조산대
☞ 관련되는 단어 : 화산대(火山帶),조산운동(造山運動)
■■ 조산대(造山帶) ■■
⊙ 조(造) : 지을 조 | 갈 착(辶) + [고할 고(告)→조]
⊙ 산(山) : 메 산 | 산 모습
⊙ 대(帶) : 띠 대 | 수건 건(巾) + 띠의 모습
● 풀이 : 산(山)이 만들어지는(造) 지대(帶)
■ 설명 : 조산대(造山帶)는 조산운동으로 주로 습곡(褶曲)산맥을 이루는 지대로, 일반적으로 좁고 긴 띠 모양을 이룹니다. 지진이 이어나는 지진대(地震帶) 및 화산이 많은 화산대(火山帶)와 거의 일치합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조산운동(造山運動),습곡(褶曲)
■■ 열대(熱帶) ■■
⊙ 열(熱) : 더울 열 | 불 화(灬) + [심을 예(埶)→열]
⊙ 대(帶) : 띠 대 | 수건 건(巾) + 띠의 모습
● 풀이 : 더운(熱) 지대(帶)
■ 설명 : 적도를 중심으로 남북 회귀선 사이에 있는 지대(地帶)를 열대라고 합니다. 연평균 기온이 20℃ 이상 또는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18℃ 이상인 지역으로, 연중 기온이 높고 강우량이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아열대(亞熱帶)
■■ 아열대(亞熱帶) ■■
⊙ 아(亞) : 버금 아 | 무덤 모습
⊙ 열(熱) : 더울 열 | 불 화(灬) + [심을 예(埶)→열]
⊙ 대(帶) : 띠 대 | 수건 건(巾) + 띠의 모습
● 풀이 : 열대(熱)에 버금(亞)가는 지대(帶)
■ 설명 : 버금은 으뜸 다음을 이르는 순수한 우리말입니다. 따라서 아열대는 열대 다음으로 더운 지대(地帶)라는 뜻으로, 열대와 온대의 중간 지대입니다.
대체로 남북 위도 각각 20~30도 사이의 지대로 건조 지역이 많습니다.
= 난대(暖帶)
☞ 관련되는 단어 : 열대(熱帶),온대(溫帶),난대(暖帶)
■■ 온대(溫帶) ■■
⊙ 온(溫) : 따뜻할 온 | 물 수(氵) + [따뜻할 온(昷)]
⊙ 대(帶) : 띠 대 | 수건 건(巾) + 띠의 모습
● 풀이 : 따뜻한(溫) 지대(帶)
■ 설명 : 아열대와 냉대 사이의 지대를 온대라고 합니다. 위도상으로는 남북 회귀선인 23.5도 위의 지역이며, 연평균 기온이 0~20℃ 또는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영하 18~3℃의 지역입니다. 우리나라도 온대에 속합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아열대(亞熱帶),냉대(冷帶)
■■ 냉대(冷帶) ■■
⊙ 냉,랭(冷) : 찰 랭 | 어5/진4II급 冫 7획 | 얼음 빙(冫) + [하여금 령(令)→랭]
⊙ 대(帶) : 띠 대 | 어4II/진3급 巾 11획 | 수건 건(巾) + 띠의 모습
● 풀이 : 차가운(冷) 지대(帶)
■ 설명 : 냉대는 온대와 한대의 중간으로 위도 50~70도 사이에 있는 지역입니다. 겨울은 길고 추우며 여름은 짧고 비교적 고온입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온대(溫帶),한대(寒帶)
■■ 한대(寒帶) ■■
⊙ 한(寒) : 찰 한 | 집 면(宀) + 볏집 + 사람 인(人) + 얼음 빙(冫)
⊙ 대(帶) : 띠 대 | 수건 건(巾) + 띠의 모습
● 풀이 : 차가운(寒) 지역(帶)
■ 설명 : 한대는 남북 위도가 각각 66도 33분인 곳에서 남극, 북극에 이르는 지대로, 1년 내내 눈이나 얼음으로 덮혀 있는 영구 동토 지역과 여름에 녹이 잠깐 녹아 이끼가 자라는 툰드라 지역입니다. 남극과 북극, 시베리아, 알래스카, 그린란드, 캐나다 북부, 스칸디나비아 반도 북부가 한대 지역입니다.
☞ 관련되는 단어 : 냉대(冷帶),동토(凍土)
■■ 고산기후(高山氣候) ■■
⊙ 고(高) : 높을 고 | 높은 건물 모습
⊙ 산(山) : 메 산 | 산 모습
⊙ 기(氣) : 기운 기 | 쌀 미(米) + [기운 기(气)]
⊙ 후(候) : 기후 후 | 사람 인(亻) + [제후 후(侯)]
● 풀이 : 높은(高) 산(山)의 기후(氣候)
■ 설명 : 고산기후는 나무가 살수 없는 없는 높은 산지의 기후입니다. 기온의 일변화와 연변화가 작고, 수증기량은 적으나 상대습도가 커서 구름, 안개가 잘 생기고 바람과 햇볕이 강합니다. 온대 지방에서는 해발 2,000미터 이상에서 나타납니다.
위도에 따라 온대 고산 기후와 열대 고산 기후로 나눕니다.
☞ 관련되는 단어 : 고산(高山)
■■ 해양성기후(海洋性氣候) ■■
⊙ 해(海) : 바다 해 | 물 수(氵) + [매양 매(每)→해]
⊙ 양(洋) : 큰바다 양 | 물 수(氵) + [양 양(羊)]
⊙ 성(性) : 성품 성 | 마음 심(忄) + [날 생(生)→성]
⊙ 기(氣) : 기운 기 | 쌀 미(米) + [기운 기(气)]
⊙ 후(候) : 기후 후 | 사람 인(亻) + [제후 후(侯)]
● 풀이 : 바다(海洋) 지역의 성질(性)을 가진 기후(氣候)
■ 설명 : 해양성기후는 바다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기후입니다. 바다에서 많은 물이 증발되기 때문에 구름과 강수량이 많으며 습도가 높고, 바다가 천천히 더워지고 천천히 식어지기 때문에 기온의 일교차 및 연교차가 적습니다.
↔ 대륙성기후(大陸性氣候)
☞ 관련되는 단어 : 대륙성기후(大陸性氣候),서안기후(西岸氣候)
■■ 중국(中國) ■■
⊙ 중(中) : 가운데 중 | 북 모습
⊙ 국(國) : 나라 국 | 둘러싸일 위(囗) + 혹 혹(或)
● 풀이 : 가운데(中) 있는 나라(國)
■ 설명 : 예로부터 중국은 자신들이 세상의 중심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래서 나라 이름을 '세상의 가운데 있는 나라'라는 의미로 중국(中國)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 참고 : 중국의 동쪽에 우리나라가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동국(東國)이라고 불렀습니다. 또, 중국의 '바다(우리나라의 서해) 동쪽에 있는 나라'라는 의미로, 해동(海東)이라고도 불렀습니다.
■■ 자치주(自治州) ■■
⊙ 자(自) : 스스로 자 | 코 모습
⊙ 치(治) : 다스릴 치 | 물 수(氵) + [기쁠 이(台)→치]
⊙ 주(州) : 고을 주 | 내 천(川) + 점 주(丶) + 점 주(丶) + [점 주(丶)]
● 풀이 : 스스로(自) 다스리는(治) 고을(州)
■ 설명 : 자치주(自治州)는 자치권(自治權)을 가진 주(州)입니다.
▶ 조선족자치주(朝鮮族自治州) : 중국 길림성(吉林省, 지린성) 동부에 있는 자치주로, 조선 말기부터 한국인이 이주하여 개척한 곳으로 이전에는 북간도(北間島)라고 불렀습니다.
■■ 일본(日本) ■■
⊙ 일(日) : 날/해 일 | 해 모습
⊙ 본(本) : 근본 본 | 나무 목(木) + 한 일(一)
● 풀이 : 해(日)가 뜨는 근원(本)
■ 설명 : 일본(日本)의 '일(日)'은 '해'를 뜻합니다. '본(本)'은 '근원'이라는 뜻이므로 일본을 풀이하면 '해가 뜨는 곳'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일본 국기를 보면 흰 바탕에 붉은 원이 하나 있는데 이것은 '해'를 상징합니다.
일본이란 나라 이름은 663년 일본의 천지왕(天智王)이 만들었다고 합니다. 일설에는 이 천지왕이 백제나 고구려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우리나라 사람의 후손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보면 일본이 동쪽에 있으니까 해가 뜨는 곳이지만, 일본에 있는 사람은 일본에서 해가 뜬다고 생각하지 않겠지요?
■■ 어장(漁場) ■■
⊙ 어(漁) : 고기잡을 어 | 물 수(氵) + [물고기 어(魚)]
⊙ 장(場) : 마당 장 | 흙 토(土) + [빛날 양(昜)→장]
● 풀이 : 고기가 많이 잡히는(漁) 장소(場)
■ 설명 : 어장(漁場)은 고기가 많이 잡히는 장소로, 주로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곳에 있습니다.
난류와 한류가 만나는 곳은 수온이 알맞아서 물고기의 먹이가 되는 플랑크톤이 많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조경수역(潮境水域)
■■ 이기작(二期作) ■■
⊙ 이(二) : 두 이 | 둘을 나타내는 기호
⊙ 기(期) : 기약할 기 | 달 월(月) + [그 기(其)]
⊙ 작(作) : 지을 작 | 사람 인(亻) + [지을 작(乍)]
● 풀이 : 일년이 두(二) 번의 기간(期) 동안 농사를 지음(作)
■ 설명 : 이기작(二期作)은 같은 땅에서 1년에 두 번 곡물을 재배하여 수확하는 토지 이용법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여름에 벼, 가을에 보리나 밀을 심습니다.
= 이모작(二毛作)
☞ 관련되는 단어 : 이모작(二毛作)
■■ 경제특구(經濟特區) ■■
⊙ 경(經) : 날실/지날/글 경 | 실 사(糸) + [물줄기 경(巠)]
⊙ 제(濟) : 건널 제 | 물 수(氵) + [가지런할 제(齊)]
⊙ 특(特) : 특별할 특 | 소 우(牛) + 절 사(寺)
⊙ 구(區) : 나눌 구 | 감출 혜(匸) + 물건 품(品)
● 풀이 : 경제(經濟)를 발전 시키기 위한 특별한(特) 구역(區)
■ 설명 : 경제특구는 일반 지역과는 달리 경제면에서 특별 우대 정책이 적용되는 지역을 말합니다. 주로 관세나 세금을 면제해주거나, 회사 등을 쉽게 설립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몽고(蒙古) ■■
⊙ 몽(蒙) : 어릴/어리석을 몽 | 풀 초(艹) + [덮어쓸 몽(冡)]
⊙ 고(古) : 예 고 | 입 구(口) + 열 십(十)
● 풀이 : 어리석고(蒙), 새롭지 못한 옛(古) 나라
■ 설명 : 몽고는 중앙아시에 있는 나라로, 원래 이름은 '용감하다'는 뜻의 몽골입니다. 몽고(蒙古)라는 이름은, 중국이 몽골을 북쪽의 오랑캐로 업신여기며 지은 이름입니다.
▣ 문화가 다양한 동남 및 남부 아시아
■■ 인도차이나(印度支那) ■■
⊙ 인(印) : 도장 인 | 고슴도치머리 계(彐) + 병부 절(卩)
⊙ 도(度) : 법도/정도 도 | 또 우(又) + [여러 서(庶)→도]
⊙ 지(支) : 지탱할 지 | 나무 가지를 든 손 모습
⊙ 나(那) : 어찌 나 | 고을 읍(邑/阝)
● 풀이 : 인도(印度)와 지나(支那)의 중간 지역
■ 설명 : 지나(支那)는 차이나(China)의 한자식 표기입니다. 차이나(China)는 중국의 진(秦)나라의 영어식 표기인 'chin'과 땅을 의미하는 '~a'가 합쳐진 글자입니다.(아래 참조)
인도차이나(Indochina) 혹은 인도지나(印度支那)는 인도와 중국의 중간에 있는 지역, 즉 베트남, 라오스, 말레이시아 등이 있는 동남아시아 지역을 가르킵니다.
☞ 참고 : 영어 단어 뒤에 ~a,~ia 가 붙는 단어가 많은데, 이런 것은 모두 땅이나 나라라는 뜻이 됩니다. 다음이 그러한 예입니다.
- 코리아(Korea) = Kore(고려) + a
- 아라비아(Arabia) = Arab(아랍) + ia
- 콜롬비아(Colombia) = Columbus(콜럼부스) + ia
■■ 충적평야(沖積平野) ■■
⊙ 충(沖) : 빌 충 | 물 수(氵) + 가운데 중(中)
⊙ 적(積) : 쌓을 적 | 벼 화(禾) + [꾸짖을 책(責)→적]
⊙ 평(平) : 평평할 평 | 좌우 대칭인 저울 모습
⊙ 야(野) : 들 야 | 마을 리(里) + [나 여(予)→야]
● 풀이 : 흙이나 모래가 물에 부딪쳐(沖) 밀려와 쌓인 퇴적물(積)로 만들어진 평야(平野)
■ 설명 : 상류에서 흙이나 모래가 물에 의해 운반되어 쌓인 퇴적물로 만들어진 평야입니다.
= 퇴적평야
☞ 관련되는 단어 : 충적세(沖積世),퇴적(堆積)
■■ 반도(半島) ■■
⊙ 반(半) : 절반 반 | 여덟 팔(八) + 소 우(牛)
⊙ 도(島) : 섬 도 | 메 산(山) + [새 조(鳥)→도]
● 풀이 : 절반(半)이 섬(島)인 지역
■ 설명 : 반도는, 4면이 모두 바다로 둘러싸이면 섬인데, 한쪽이 육지와 이어져 반쯤 섬이 되다가 말았다는 뜻입니다.
■■ 공용어(公用語) ■■
⊙ 공(公) : 공평할 공 | 여덟 팔(八) + 나 사(厶)
⊙ 용(用) : 쓸 용 | 통 모습
⊙ 어(語) : 말씀 어 | 말씀 언(言) + [나 오(吾)→어]
● 풀이 : 공식적(公)으로 사용하는(用) 언어(語)
■ 설명 : 공용어는 한 나라 안에서 공식적(公式的)으로 쓰는 언어(言語)나, 국제회의나 국제기구에서 공식적으로 쓰는 언어를 말합니다.
■■ 녹색혁명(綠色革命) ■■
⊙ 녹,록(綠) : 푸를 록 | 실 사(糸) + [깍을 록(彔)]
⊙ 색(色) : 빛 색 |
⊙ 혁(革) : 가죽 혁 |
⊙ 명(命) : 목숨/명령할 명 | 입 구(口) + 하여금 령(令)
● 풀이 : 녹색(綠色) 농산물의 혁명(革命)
■ 설명 : 녹색혁명(綠色革命)은, 개발도상국의 식량 증대를 위한 모든 개혁을 이르는 말입니다.
■■ 종교분쟁(宗敎紛爭) ■■
⊙ 종(宗) : 마루 종 | 집 면(宀) + 보일 시(示)
⊙ 교(敎) : 가르칠 교 | 칠 복(攵) + 점괘 효(爻) + 아들 자(子)
⊙ 분(紛) : 어지러울 분 | 실 사(糸) + [나눌 분(分)]
⊙ 쟁(爭) : 다툴 쟁 | 손톱 조(爪) + 고슴도치머리 계(彐) + 갈고리 궐(亅)
● 풀이 : 종교(宗敎)로 인해 어지럽게(紛) 다툼(爭)
■ 설명 : 다른 종교를 믿는 사람들이 서로 싸우는 것을 종교 분쟁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종교 분쟁은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데, 가장 종교 분쟁이 많은 곳은 서남아시아(중동 지역)입니다. 서남아시아는 유태교, 유태교에서 탄생한 그리스도교, 다시 그리스도교에서 탄생한 이슬람교 등이 섞여져 있는데, 이 세 개의 종교가 모두 유일신 사상(唯一神思想: 세상에는 오직 자신들이 믿는 신 하나밖에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를 인정하지 않는데다가, 영토 분쟁까지 겹쳐서 지구상에서 가장 혼란한 곳입니다.
▣ 석유 자원이 풍부한 서남 아시아와 북부 아프리카
■■ 삼각주(三角洲) ■■
⊙ 삼(三) : 석 삼 | 셋을 나타내는 기호
⊙ 각(角) : 뿔 각 | 짐승 뿔 모습
⊙ 주(洲) : 물가 주 | 물 수(氵) + [고을 주(州)]
● 풀이 : 삼각(三角)형 섬(洲)
■ 설명 : 강과 바다가 만나면 흐르는 속도가 느려지고 퇴적물이 쌓이게 됩니다. 쌓인 퇴적물이 삼각형 모양의 섬을 이루게 되는데, 이런 섬을 삼각주(三角洲)라고 합니다.
섬 주(洲)자는 물 수(氵)자와 고을 주(州)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원래 고을 주(州)자는 강((川)이 흘러가는 사이에 있는 섬(川자 사이의 점)을 형상화한 것인데, 농사를 짓는 중국의 마을들은 대부분 양자강이나 황하강 위에 있는 삼각주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주(州)자는 지역이나 마을, 나아가 행정 단위가 되게 되었습니다. 항주(杭州), 소주(蘇州), 광주(廣州 ), 귀주(貴州) 등 중국 도시이름에 주(州)가 많이 들어가는 이유가 이런데 있습니다.
섬을 의미하던 주(州)자가 고을이란 의미로 사용되자, 본래의 뜻을 분명히 하기위해 물 수(氵)자가 붙어 섬 주(洲)자가 되었습니다.
▶ 원호상(圓弧狀) 삼각주 : 원의 호 모양의 삼각주, 나일강
▶ 조족상(鳥足狀) 삼각주 : 새의 발 모양의 삼각주, 미시시피강
▶ 첨각상(尖角狀) 삼각주 : 뾰쪽한 뿔 모양의 삼각주, 이탈리아 티베르강의
▶ 만입상(灣入狀) 삼각주 : 만(灣)에 들어간 삼각주, 우리나라 낙동강
■■ 분지(盆地) ■■
⊙ 분(盆) : 동이 분 | 그릇 명(皿) + [나눌 분(分)]
⊙ 지(地) : 땅 지 | 흙 토(土) + [어조사 야(也)→지]
● 풀이 : 화분(盆)처럼 (속이 파여져) 생긴 땅(地)
■ 설명 : 분지(盆地)는 주위가 산으로 줄러싸여, 흡사 화분(花盆)처럼 중앙이 오목하게 생긴 지형(地形)입니다.
■■ 평원(平原) ■■
⊙ 평(平) : 평평할 평 | 어7/진5II급 干 5획 |
⊙ 원(原) : 언덕/근원/벌판 원 | 어5/진5급 厂 10획 | 기슭 엄(厂) + 샘 천(泉)
● 풀이 : 평평한(平) 벌판(原)
■ 설명 : 평원은 평평한 들판이나 벌판을 이르는 말입니다.
■■ 일교차(日較差) ■■
⊙ 일(日) : 날 일 | 해 모습
⊙ 교(較) : 견줄 교 | 수레 거(車) + [사귈 교(交)]
⊙ 차(差) : 어긋날 차 |
● 풀이 : 하루(日) 동안의 비교한(較) 차이(差)
■ 설명 : 일교차는 기온, 습도, 기압 따위가 하루 동안에 변화하는 차이입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연교차(年較差)
■■ 발상지(發祥地) ■■
⊙ 발(發) : 필 발 | [걸을/등질 발(癶)] + 칠 수(殳) + 활 궁(弓)
⊙ 상(祥) : 상서로울 상 | 보일 시(示) + [양 양(羊)→상]
⊙ 지(地) : 땅 지 | 흙 토(土) + [어조사 야(也)→지]
● 풀이 : 상서로운(祥) 것이 발생(發)하는 땅(地)
■ 설명 : 발상지는 역사적으로 큰 가치가 있는 어떤 일이나 사물이 처음 나타난 곳입니다. 고대 4대 문명의 발상지, 불교의 발상지, 르네상스의 발상지, 스키의 발상지 등이 그런 예입니다.
■■ 문화권(文化圈) ■■
⊙ 문(文) : 글월 문 | 가슴에 문신 새긴 사람 모습
⊙ 화(化) : 될 화 | 사람 인(亻) + 비수 비(匕)
⊙ 권(圈) : 둘레 권 | 둘러싸일 위(囗) + [책 권(卷)]
● 풀이 : 동일 문화(文化) 권역(圈)
■ 설명 : 문화권(文化圈)은, 공통된 특징을 보이는 문화가 있는 지리적 권역(圈域)입니다. 예를 들어 동양을 유교문화권이라고하고, 서양을 기독교문화권이라고 부릅니다.
■■ 대상(隊商) ■■
⊙ 대(隊) : 무리 대 | 언덕 부(阜/阝) + [다할 수(?)]
⊙ 상(商) : 장사 상 |
● 풀이 : 무리(隊)를 지어 다니는 장사(商)
■
■■ 유목(遊牧) ■■
⊙ 유(遊) : 놀/떠돌 유 | 갈 착(辶) + [깃발 유(斿)]
⊙ 목(牧) : 칠/기를 목 | 소 우(牛) + [칠 복(攵)→목]
● 풀이 : 가축을 돌아다니면서(遊) 기름(牧)
■ 설명 : 유랑자(流浪者). 유랑인(流浪人), 유람(流覽) 등에 쓰이는 유(遊)자는 떠돌아다니거나 떠돌아 다니면서 논다는 의미입니다.
유목(遊牧)은 물과 풀밭을 찾아 떠돌아 다니면서 가축을 기른는 것입니다.
▶ 유목민(遊牧民) : 유목을 하는 사람
☞ 관련되는 단어 : 이목(移牧),방목(放牧)
■■ 관개농업(灌漑農業) ■■
⊙ 관(灌) : 물댈 관 | 물 수(氵) + [황새 관(雚)]
⊙ 개(漑) : 물댈 개 | 물 수(氵) + [이미 기(旣)→개]
⊙ 농(農) : 농사 농 | 별 진(辰) + 굽을 곡(曲)
⊙ 업(業) : 일 업 | 나무 목(木) + 플 무성할 착(丵)
● 풀이 : 물을 대어(灌漑) 짓는 농업(農業)
■ 설명 : 관개농업은 저수지나 강, 지하수 등의 물을 수로(水路)를 통해 공급하여 농사를 짓는 것을 일컫습니다. 옛날에는 하늘에서 오는 비나 강에서 자연적으로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농사를 짓는 반면, 관계농업은 인공적으로 물을 흘러 보내 농사를 짓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관개수로(灌漑水路)
■■ 유전(油田) ■■
⊙ 유(油) : 기름 유 | 물 수(氵) + [말미암을 유(由)]
⊙ 전(田) : 밭 전 | 밭 모습
● 풀이 : 기름(油)이 있는 밭(田)
■ 설명 : 석유가 나는 곳응 유전(油田)이라고 합니다. 석탄이 나는 곳은 탄전(炭田), 소금이 나는 곳은 염전(鹽田)입니다.
☞ 관련되는 단어 : 탄전(炭田),염전(鹽田)
■■ 자원민족주의(資源民族主義) ■■
⊙ 자(資) : 재물 자 | 조개 패(貝) + [버금 차(次)→자]
⊙ 원(源) : 근원 원 | 물 수(氵) + [언덕/근원 원(原)]
⊙ 민(民) : 백성 민 | 침에 찔린 눈 모습
⊙ 족(族) : 겨레 족 | 깃발 언(언) + 화살 시(矢)
⊙ 주(主) : 주인 주 | 등잔 모습
⊙ 의(義) : 옳을 의 | 양 양(羊) + 나 아(我)
● 풀이 : 자원(資源)의 민족주의(民族主義)
■ 설명 : 자원민족주의는 천연자원은 이를 산출하는 국가의 것이라고 인식하려는 주의로,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의 개발도상국이 자기 나라에서 산출되는 자원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고, 그 지배권을 확대하려는 태도를 이릅니다.
☞ 관련되는 단어 : 민족주의(民族主義)
■■ 석유수출국기구(石油輸出國機構) ■■
⊙ 석(石) : 돌 석 | 언덕에서 떨어진 돌 모습
⊙ 유(油) : 기름 유 | 물 수(氵) + [말미암을 유(由)]
⊙ 수(輸) : 보낼 수 | 수레 거(車) + [성 유(兪)→수]
⊙ 출(出) : 날 출 | 입 벌릴 감(凵) + 그칠 지(止)
⊙ 국(國) : 나라 국 | 둘러싸일 위(囗) + 혹 혹(或)
⊙ 기(機) : 베틀 기 | 나무 목(木) + [몇/기미 기(幾)]
⊙ 구(構) : 얽을 구 | 나무 목(木) + [쌓을 구(冓)]
● 풀이 : 석유(石油)를 수출(輸出)하는 국가(國)들이 모이는 기구(機構)
■ 설명 : 석유수출국기구는 석유를 수출하는 국가들이 모여서 만든 국제 기구입니다.
1950~1960년 대 중동 및 아프리카에서 대유전이 발견되어 원유의 공급과잉사태가 일어나 석유값이 떨어지자, 산유국들이 이 기구를 결성하고 가격을 올렸습니다. 석유가격 상승에 성공한 후부터는 석유가격의 계속적인 상승을 위해 생산량을 조절하는 기구로 변질되었습니다.
석유수출국기구는 오펙(OPEC, 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이라는 영어 이름으로 더 잘알려져 있습니다.
■■ 중동전쟁(中東戰爭) ■■
⊙ 중(中) : 가운데 중 | 북 모습
⊙ 동(東) : 동녘 동 | 묶어 놓은 자루 모습
⊙ 전(戰) : 싸움 전 | 창 과(戈) + [홑 단(單)→전]
⊙ 쟁(爭) : 다툴 쟁 | 손톱 조(爪) + 고슴도치머리 계(彐) + 갈고리 궐(亅)
● 풀이 : 중동(中東)에서 일어난 전쟁(戰爭)
■ 설명 : 중동전쟁은 1948년의 이스라엘 건국 이후, 중동(中東)에 있는 이스라엘과 주변 아랍 세계 국가 사이에 벌어진 여러 차례의 전쟁을 말합니다.
☞ 참고 : 중동전쟁의 역사적 배경은?
기독교에서는 예수를 신으로 여기지만, 유대교에서는 하느님만 유일한 신이고 예수는 사람일 뿐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기독교를 믿었던 유럽은 중세 시대부터 유대교를 믿는 유태인들을 매우 싫어했습니다. 그래서 유럽에서 수많은 차별과 박해를 받아온 유대인들은 자신들의 조상들이 살았던 팔레스타인 땅으로 돌아가려는 생각(이것을 시오니즘이라고 합니다)을 하게되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15년 10월, 터키의 참전으로 곤경에 빠진 영국은 당시 아랍의 지도자인 후세인에게 게릴라 전문가인 로렌스를 도와 전쟁에 협력하면, 전후 아랍을 독립시켜주겠다고 약속합니다. 이 때 유명해진 인물이, 1962년 영화로도 제작되었던 '아라비안 로렌스'입니다.
하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 영국은, 당시 미국 정계를 장악하고 있는 미국내 유태인들의 도움이 절실하였습니다. 그 결과 영국의 전시 내각은 1916년 10월 유대인이자 유럽최대 금융재벌이던 로스차일드(Rothschild)와 비밀리에 회동해, 유대인들이 전쟁에 도움을 준다면, 전쟁 후 영국의 지배하에 있었던 팔레스타인을 유대인들에게 넘겨줄 것을 약속하는 런던 조약을 체결하기에 이릅니다. 이후 로스차일드와 유대인의 도움으로 미국이 전쟁이 참여하고, 제1차 세계대전은 끝이 납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대인들은 영국과 약속한대로 팔레스타인 땅으로 이주를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팔레스타인 지역을 통치하고 있던 영국은 초기에는 유대인의 이주를 묵인하다가 현지 아랍인들과의 갈등이 점차 커지자, 2차세계대전 직후 영국은 이 문제를 국제연합(UN)에 상정하였습니다.
국제연합은 이를 받아 1947년 팔레스타인지역을 유태인지역과 아랍인지역으로 반씩 나누는 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
그런데, 미국의 주도로 이루어진 이 결의안에 따르면 좋은 지역을 유대인이 차지하게 되어 있어서, 유대인들은 환영했지만, 아랍인들, 특히 그땅에서 살던 팔레스타인인(人)들은 극렬하게 반대하였습니다.
1948년 이스라엘이 건국되면서 팔레스타인인들은 그 땅에서 쫓겨나면서, 이에 반발한 팔레스타인 및 주변 아랍 6개국 사이에 일어난 전쟁이 제1차 중동전쟁입니다.
이후 이 지역에서 엄청난 석유가 매장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1956년 2차 중동전쟁(수에즈 전쟁)때부터는 미국도 이 전쟁에 관여하게 되면서, 지금은 중동지역과 미국의 전쟁이 되는 양상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중동(中東)
▣ 발전이 기대되는 중남부 아프리카
■■ 적도(赤道) ■■
⊙ 적(赤) : 붉을 적 | 불에 타는 사람 모습
⊙ 도(道) : 길 도 | 갈 착(辶) + 머리 수(首)
● 풀이 : 붉은(赤) 태양이 지나가는 길(道)
■ 설명 : 적도(赤道)는 위도가 0도인 선을 말하며, 춘분과 추분 때 태양이 바로 위를 지나간다고 해서 적도(赤道)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 열대우림(熱帶雨林) ■■
⊙ 열(熱) : 더울 열 | 불 화(灬) + [심을 예(埶)→열]
⊙ 대(帶) : 띠 대 | 수건 건(巾) + 띠의 모습
⊙ 우(雨) : 비 우 | 비 모습
⊙ 림(林) : 수풀 림 | 나무 목(木) + 나무 목(木)
● 풀이 : 열대(熱帶) 지방에서 비(雨)가 많이 와서 만들어진 밀림(林)
■ 설명 : 열대 우림은 일 년 내내 기온이 높고 비가 많은 적도 부근의 열대(熱帶) 지방에서 발달하는 밀림(密林)입니다.
■■ 식민지(植民地) ■■
⊙ 식(植) : 심을 식 | 나무 목(木) + [곧을 직(直)→식]
⊙ 민(民) : 백성 민 | 침에 찔린 눈 모습
⊙ 지(地) : 땅 지 | 흙 토(土) + [어조사 야(也)→지]
● 풀이 : 백성(民)을 심어(植) 놓은 땅(地)
■ 설명 : 원래 식민지는 국민의 일부를 새로운 곳으로 이주하여 건설한 사회를 뜻하였습니다. 그래서 백성을 새로운 땅에 심어둔다는 의미로 식민지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는 외국에 지배되어 외국으로부터 착취를 당하는 지역이란 뜻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 유럽의 생활
▣ 일찍 산업화를 이룬 서부 및 북부 유럽
■■ 빙하(氷河) ■■
⊙ 빙(氷) : 얼음 빙 | 물 수(水) + 점 주(丶)
⊙ 하(河) : 물 하 | 물 수(氵) + [옳을 가(可)→하]
● 풀이 : 얼음(氷)의 강물(河)
■ 설명 : 눈으로 다져진 얼음이 높은 산에서 골짜기를 따라 강처럼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입니다. 하루에 몇 mm에서 몇 Cm 정도 천천히 미끄러져 내려옵니다.
이러한 빙하는 바다에 도달하여 물에 떠 다니기도 하다가 배와 부딪혀 사고를 내기도합니다.
■■ 편서풍(偏西風) ■■
⊙ 편(偏) : 치우칠 편 | 사람 인(亻) + [넓적할 편(扁)]
⊙ 서(西) : 서녘 서 | 새집 모습
⊙ 풍(風) : 바람 풍 | 벌레 충(虫) + [무릇 범(凡)→풍]
● 풀이 : 서(西)쪽으로 치우치는(偏) 바람(風)
■ 설명 : 편견(偏見), 편식(偏食), 편파적(偏頗的) 등에 공통으로 나오는 편(偏)자는 한쪽으로 치우치다는 뜻입니다.
편서풍은 서쪽으로 치우치는 바람으로, 서에서 동으로 부는 띠모양의 바람입니다. 저기압, 고기압, 전선 등이 상층의 편서풍에 의해 이동하므로, 일기예보 분석에 중요합니다.
☞ 관련되는 단어 : 무역풍(貿易風)
■■ 침엽수(針葉樹) ■■
⊙ 침(針) : 바늘 침 | 쇠 금(金) + [열 십(十)→침]
⊙ 엽(葉) : 잎 엽 | 풀 초(艹) + [잎 엽(枼)]
⊙ 수(樹) : 나무 수 | 나무 목(木) + [세울 주(尌)→수]
● 풀이 : 바늘(針) 모양의 잎(葉)을 가진 나무(樹)
■ 설명 : 여름은 습도가 높고, 겨울은 습도가 낮아 집에 가습기를 틀어 놓지요. 이와 같이 보통 더운 곳은 습도가 높고, 추운 곳은 습도가 낮습니다.(하지만 중동이나 아프리카의 사막 지역은 예외입니다.)
시베리아와 캐나다와 같은 북쪽의 추운 지방에서는 습도가 낮아 건조해서 식물들이 뿌리를 통해 들어온 물을 증발 시키지 않으려고 넓은 잎 대신 바늘처럼 생긴 잎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바늘처럼 생긴 잎을 침엽수(針葉樹)라고 합니다.
한국에는 소나무, 잣나무, 삼나무 등의 침엽수가 있습니다.
▶ 침엽수림(針葉樹林) : 침엽수로 이루어진 수림
☞ 관련되는 단어 : 활엽수(闊葉樹)
■■ 화훼(花卉) ■■
⊙ 화(花) : 꽃 화 | 풀 초(艹) + [될 화(化)]
⊙ 훼(卉) : 풀 훼 | 풀이 나있는 모습
● 풀이 : 꽃(花)과 풀(卉)
■ 설명 : 화훼(花卉)는 꽃과 풀, 즉 화초(花草)와 같은 말입니다.
■■ 원예농업(園藝農業) ■■
⊙ 원(園) : 동산/뜰 원 | 입 구(口) + [옷/성씨 원(袁)]
⊙ 예(藝) : 재주/심을 예 | 풀 초(艹) + [심을 예(埶)] + 이를 운(云)
⊙ 농(農) : 농사 농 | 별 진(辰) + 굽을 곡(曲)
⊙ 업(業) : 일 업 | 나무 목(木) + 플 무성할 착(丵)
● 풀이 : 뜰(園)에 심는(藝) 농사(農) 일(業)
■ 설명 : 예술(藝術)이나 예체능(藝體能)이란 단어를 아시죠? 두 단어에 공통으로 나오는 재주 예(藝)자는 원래 나무를 심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그래서 원래는 '심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원예(園藝)는 농원(農園)이나 과수원(果樹園)에 채소, 과일, 화초 따위를 심어서 가꾸는 일이나 기술을 뜻합니다.
따라서 원예농업(園藝農業)은 채소, 과일, 화초 따위를 집약적으로 재배하는 농업을 일컫습니다.
■■ 탄전(炭田) ■■
⊙ 탄(炭) : 숯 탄 | 메 산(山) + 재 회(灰)
⊙ 전(田) : 밭 전 | 밭 모습
● 풀이 : 석탄(炭)이 있는 밭(田)
■ 설명 : 석탄이 묻혀 있는 땅을 탄전이라고 합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유전(油田)
■■ 복지국가(福祉國家) ■■
⊙ 복(福) : 복 복 |보일 시(示) + [찰 복(畐)]
⊙ 지(祉) : 복 지 | 보일 시(示) + [그칠 지(止)]
⊙ 국(國) : 나라 국 | 둘러싸일 위(囗) + 혹 혹(或)
⊙ 가(家) : 집 가 | 집 면(宀) + 돼지 시(豕)
● 풀이 : 국민의 복지(福祉)를 목표로 하는 국가(國家)
■ 설명 : 복지(福祉)는 '복된 삶, 행복한 삶'을 뜻하는 말입니다. 복지 국가는 국민들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주는 국가입니다. 예를 들어 복지 국가에서는 병원에 가면 무료로 치료해주고, 늙거나 병이 들어 일을 할 수 없으면 나라에서 돌보아 줍니다.
☞ 참고 : '요람에서 무덤까지'는 이상적인 복지 국가를 의미하는 말로, 1942년 영국에서 만든 사회 보장 제도에서 유래합니다. 요람(搖籃)은 흔들 요(搖)자와 바구니람(籃)자가 합쳐진 말로, 아기를 태우고 흔들어 놀게 하거나 잠재우는 바구니를 뜻합니다. 따라서 '요람에서 무덤까지'는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라는 뜻으로,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국민들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국가에서 도와준다는 뜻입니다.
■■ 지열발전소(地熱發電所) ■■
⊙ 지(地) : 땅 지 | 흙 토(土) + [어조사 야(也)→지]
⊙ 열(熱) : 더울 열 | 불 화(灬) + [심을 예(埶)→열]
⊙ 발(發) : 필 발 | [걸을/등질 발(癶)] + 칠 수(殳) + 활 궁(弓)
⊙ 전(電) : 번개 전 | 비 우(雨) + 납 신(申)
⊙ 소(所) : 바 소 | 도끼 근(斤) + [지게문 호(戶)→소]
● 풀이 : 땅의 열로 전기를 만든 발전소
■ 설명 : 화산대 주변의 땅은 마그마 등으로 뜨거운데, 이러한 열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소를 지열 발전소라고 합니다. 발전소는 이외에도 원자력 발전소, 수력 발전소, 풍력 발전소, 조력 발전소(밀물과 썰물인 조수의 힘을 이용한 발전소), 태양열 발전소 등이 있습니다.
▣ 관광산업이 발달한 남부 유럽
■■ 지중해(地中海) ■■
⊙ 지(地) : 땅 지 | 흙 토(土) + [어조사 야(也)→지]
⊙ 중(中) : 가운데 중 | 북 모습
⊙ 해(海) : 바다 해 | 물 수(氵) + [매양 매(每)→해]
● 풀이 : 땅(地)의 가운데(中) 있는 바다(海)
■ 설명 : 지중해(地中海)는 대륙과 대륙 사이에 낀 바다로, 일반적으로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세 대륙에 둘러싸인 바다를 이릅니다.
■■ 지중해성기후(地中海性氣候) ■■
⊙ 지(地) : 땅 지 | 흙 토(土) + [어조사 야(也)→지]
⊙ 중(中) : 가운데 중 | 북 모습
⊙ 해(海) : 바다 해 | 물 수(氵) + [매양 매(每)→해]
⊙ 성(性) : 성품 성 | 마음 심(忄) + [날 생(生)→성]
⊙ 기(氣) : 기운 기 | 쌀 미(米) + [기운 기(气)]
⊙ 후(候) : 기후 후 | 사람 인(亻) + [제후 후(侯)]
● 풀이 : 지중해(地中海) 지역의 성질(性)을 가진 기후(氣候)
■ 설명 : 지중해성기후는 지중해 지방에 나타나는 온대 기후로, 여름에는 비가 적고 고온건조하며, 겨울에는 비가 많고 온난다습합니다.
이러한 지중해성기후는 지중해 지방 뿐만 아니라 미국 캘리포니아 주, 남아프리카의 남단부, 칠레 중부, 오스트레일리아 남부 등지에서도 나타납니다.
☞ 참고 : 우리는 여름에 비가 많이 온다고 생각하는데, 지중해성 기후는 반대로 여름에는 건조하고, 겨울에 비가 옵니다.
■■ 수목농업(樹木農業) ■■
⊙ 수(樹) : 나무 수 | 나무 목(木) + [세울 주(尌)→수]
⊙ 목(木) : 나무 목 | 나무 모습
⊙ 농(農) : 농사 농 | 별 진(辰) + 굽을/악곡 곡(曲)
⊙ 업(業) : 일 업 | 나무 목(木) + 플 무성할 착(丵)
● 풀이 : 나무(樹木)를 기르는 농업(農業)
■ 설명 : 길가에 서 있는 나무를 가로수(街路樹)라고 하죠? 가로수(街路樹)의 수(樹)자가 나무 수(樹)자입니다.
■■ 방목(放牧) ■■
⊙ 방(放) : 놓을 방 | 칠 복(攵) + [모 방(方)]
⊙ 목(牧) : 칠/기를 목 | 소 우(牛) + [칠 복(攵)→목]
● 풀이 : 가축을 놓아서(放) 기름(牧)
■ 설명 : 가축을 놓아기르는 일을 방목이라고 합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이목(移牧),유목(遊牧)
■■ 이목(移牧) ■■
⊙ 이(移) : 옮길 이 | 벼 화(禾) + 많을 다(多)
⊙ 목(牧) : 칠 목 | 소 우(牛) + [칠 복(攵)→목]
● 풀이 : 가축을 이동하면서(移) 기름(牧)
■ 설명 : 이목(移牧)은, 가축을 여름에는 산에 놓아 기르고, 겨울에는 평지에서 건초로 기르는 방식입니다. 알프스 산지나 지중해 연안에서 볼 수 있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방목(放牧),유목(遊牧)
▣ 민족과 문화가 다양한 동부 유럽과 러시아
■■ 그리스정교(正敎) ■■
⊙ 정(正) : 바를 정 | 그칠 지(止) + 한 일(一)
⊙ 교(敎) : 가르칠 교 | 칠 복(攵) + 점괘 효(爻) + 아들 자(子)
● 풀이 : 그리스(Greece)의 바른(正) 종교(敎)
■ 설명 : 그리스정교(Greece正敎)는, 동로마제국의 국교(國敎)로서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발전한 기독교의 한 교파입니다.
☞ 관련되는 단어 : 동로마제국(東帝國)
■■ 독립국가연합(獨立國家聯合) ■■
⊙ 독(獨) : 홀로 독 | 개 견(犭) + [나라이름 촉(蜀)→독]
⊙ 립(立) : 설 립 | 땅에 서있는 사람 모습
⊙ 국(國) : 나라 국 | 둘러싸일 위(囗) + 혹 혹(或)
⊙ 가(家) : 집 가 | 집 면(宀) + 돼지 시(豕)
⊙ 련(聯) : 잇닿을 련 | 귀 이(耳) + 실 사(絲)
⊙ 합(合) : 합할 합 | 뚜껑 있는 그릇 모습
● 풀이 :
■
■■ 흑해(黑海) ■■
⊙ 흑(黑) : 검을 흑 | 문신 새긴 사람 모습
⊙ 해(海) : 바다 해 | 물 수(氵) + [매양 매(每)→해]
● 풀이 : 검은(黑) 바다(海)
■ 설명 : 흑해(黑海)는 우크라이나와 터키 사이에 있는 바다입니다. 흑해의 북쪽에는 우크라이나 흑토(黑土) 지대가 있습니다. 흑토(黑土) 지대는 아르헨티나 팜파 지역, 미국의 콘벨트(corn belt)와 함께 세계 3대 곡창 지대입니다. 흙 속에 나뭇잎이나 풀잎이 썩어 검은색을 띄고 있어서 흑토라고 불리는데, 이 흑토 지대를 지나는 강은 흑토를 흑해로 운반합니다. 흑해의 바닥에는 이런 흑토가 쌓여 오염이 심해지고 산소가 부족해 황화수소가 많아져 흑색이 되었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황해(黃海),홍해(紅海),흑룡강(黑龍江)
■ 아메리카 및 오세아니아의 생활
▣ 선진 지역 앵글로색슨 아메리카
■■ 미국(美國) ■■
⊙ 미(美) : 아름다울 미 | 양 양(羊) + 큰 대(大)
⊙ 국(國) : 나라 국 | 둘러싸일 위(囗) + 혹 혹(或)
● 풀이 : 아미리가(亞美里加)의 나라(國)
■ 설명 : 중국의 옛 지리에 관한 책인 해국도지(海國圖誌)에 미국을 아미리가(亞美里加), 아묵리가(亞墨利加), 미리가(美理哥), 미리견(美利堅, 彌利堅·, 米利堅)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표기하였는데, 이러한 이름 중에 미(美)자를 따서 미국(美國)이라고 불렀습니다. 일본에서는 '쌀이 많이 나는 나라'라는 뜻으로 '쌀 미(米)'자를 사용하여 미국(米國)이라고 합니다.
☞ 참고 : 외국의 나라 이름을 한자로 표현하면, 프랑스는 불란서(佛蘭西), 도이칠란트는 독일(獨逸), 이탈리아는 이태리(伊太利), 인디아는 인도(印度), 러시아를 아라사(俄羅斯)라고 합니다. 또 잉글랜드(England)를 영길리(英吉利)이라고 하는데, 줄여서 영국(英國)이라고 합니다.
■■ 농목업(農牧業) ■■
⊙ 농(農) : 농사 농 | 별 진(辰) + 굽을 곡(曲)
⊙ 목(牧) : 칠/기를 목 | 소 우(牛) + [칠 복(攵)→목]
⊙ 업(業) : 일 업 | 나무 목(木) + 플 무성할 착(丵)
● 풀이 : 농업(農)과 목축(牧)업(業)
■ 설명 : 목장(牧場)이나 목축(牧畜), 목동(牧童)에 들어가는 목(牧)자는 소 우(牛)자와 칠 복(攵)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즉 소를 회초리로 때려서 기른다는 의미로 만들어진 글자입니다.
농목업을 농업(農業)과 목축업(牧畜業)을 함께 이르는 말입니다.
■■ 첨단산업(尖端産業) ■■
⊙ 첨(尖) : 뾰족할 첨 | 어3/진2급 大 6획 | 큰 대(大) + 작을 소(小)
⊙ 단(端) : 끝/바를 단 | 어4II/진4급 立 14획 | 설 립(立) + [시초 단(耑)]
⊙ 산(産) : 낳을 산 | 어5/진4II급 生 11획 | 날 생(生) + [선비 언(彦)→산]
⊙ 업(業) : 일 업 | 어6/진5급 木 13획 | 나무 목(木) + 플 무성할 착(丵)
● 풀이 : 첨단(尖端)에 있는 산업(産業)
■ 설명 : 첨(尖)자를 자세히 살펴보면, 글자 위에는 작을 소(小), 아래에는 큰 대(大)자가 있습니다. 즉 위가 뾰족하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입니다. 끝 단(端)자와 합쳐진 첨단(尖端)은 뾰족한 끝이라는 의미로, '학문이나 유행 따위의 맨 앞장'이란 뜻입니다.
첨단산업(尖端産業)은 항공기, 우주 개발, 전자, 원자력, 컴퓨터 따위 첨단적 기술을 필요한 산업을 말합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첨단정보산업(尖端情報産業)
▣ 자원이 풍부한 라틴아메리카
■■ 중남미(中南美) ■■
⊙ 중(中) : 가운데 중 | 북 모습
⊙ 남(南) : 남녘 남 | 악기 모습
⊙ 미(美) : 아름다울 미 | 양 양(羊) + 큰 대(大)
● 풀이 : 아메리카주(美)의 중부(中)와 남부(南)
■ 설명 : 아메리카(America)주를 한자로 미주(美洲)라고 합니다. 미국(美國)이 아메리카주에 있기 때문에, 미주(美洲)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그래서 북아메리카를 북미(北美), 중앙아메리카를 중미(中美), 남아메리카를 남미(南美)라고 부릅니다.
중남미(中南美)는 중미(中美)와 남미(南美)를 합친 지역을 부르는 말입니다.
☞ 참고 : 중남미를 영어로는 라틴아메리카(Latin America)라고 합니다.
라틴아메리카는 아메리카에서 과거에 라틴 민족(포르투갈,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루마니아 등 지중해 연안의 민족)의 지배를 받았던 지역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중남미 지역이 주로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식민지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생긴 말입니다.
그래서 이 지역에는 유럽의 라틴민족과 중남미 원주민 사이의 혼혈족이 많고, 라틴 민족의 영향으로 대부분 포르투갈어나 스페인어를 사용하며, 카톨릭교를 믿고 있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미국(美國)
■■ 고산지대(高山地帶) ■■
⊙ 고(高) : 높을 고 | 높은 건물 모습
⊙ 산(山) : 메 산 | 산 모습
⊙ 지(地) : 땅 지 | 흙 토(土) + [어조사 야(也)→지]
⊙ 대(帶) : 띠 대 | 수건 건(巾) + 띠의 모습
● 풀이 : 높은(高) 산(山)의 지대(地帶)
☞ 관련되는 단어 : 고산(高山)
■■ 원주민(原住民) ■■
⊙ 원(原) : 언덕/근원 원 | 기슭 엄(厂) + 샘 천(泉)
⊙ 주(住) : 살 주 | 사람 인(亻) + [주인 주(主)]
⊙ 민(民) : 백성 민 | 침에 찔린 눈 모습
● 풀이 : 원래(原) 살던(住) 백성(民)
■ 설명 : 원주민(原住民) 그 지역에 원래부터 살고 있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 이주민(移住民)
■■ 혼혈족(混血族) ■■
⊙ 혼(混) : 섞을 혼 | 물 수(氵) + [맏 곤(昆)→혼]
⊙ 혈(血) : 피 혈 | 그릇 명(皿) + 핏방울(丶)
⊙ 족(族) : 겨레 족 | 깃발 언(언) + 화살 시(矢)
● 풀이 : 피(血)가 섞인(混) 종족(族)
■ 설명 : 아버지나 어미니 중 한사람이 외국인인 아이를 혼혈아(混血兒)라고 합니다. 이때 혼혈(混血)은 '피가 섞인'이란 뜻입니다.
혼혈족(混血族)은 서로 다른 혈통이 섞여서 이루어진 종족이나 민족을 말합니다.
■■ 자급자족(自給自足) ■■
⊙ 자(自) : 스스로 자 | 코 모습
⊙ 급(給) : 줄 급 | 실 사(糸) + [합할 합(合)→급]
⊙ 자(自) : 스스로 자 | 코 모습
⊙ 족(足) : 발 족 | 다리와 발 모습
● 풀이 : 스스로(自) 공급(給)하여 스스로(自) 충족함(足)
■ 설명 : 자급자족은 필요한 물자를 스스로 만들여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 발전 가능성이 큰 오세아니아와 극 지방
■■ 유배지(流配地) ■■
⊙ 류(流) : 흐를/귀양보낼 류 | 물 수(氵) + [흐를 류(류)]
⊙ 배(配) : 짝/귀양보낼 배 | 닭 유(酉) + [몸 기(己)→배]
⊙ 지(地) : 땅 지 | 흙 토(土) + [어조사 야(也)→지]
● 풀이 : 귀양(流配)보낸 곳(地)
■ 설명 : 유배지(流配地)는 귀양을 보낸 곳으로, 귀양지라고도 합니다. 유배지는 보통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산간벽지나 섬 지역이 됩니다.
☞ 참고 : 삼수갑산(三水甲山)을 아시나요?
삼수는 함경남도 북서쪽에 있는 고장이고, 갑산은 함경남도 북동쪽에 있는 고장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춥고 험한 산골이라 조선 시대에 가장 유명한 유배지(流配地)의 하나였습니다.
우리나라 속담에 "삼수갑산을 가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매우 어려운 지경에 이른다는 뜻입니다.
■■ 찬정(鑽井) ■■
⊙ 찬(鑽) : 뚫을/끌 찬 | 쇠 금(金) + [도울 찬(贊)]
⊙ 정(井) : 우물 정 | 우물 모습
● 풀이 : 우물(井)을 뚫음(鑽)
■ 설명 : 찬정(鑽井)은 원래, '우물을 판다'는 뜻이지만, 지리에서 물이 통하지 않는 지층 사이에 있는 지하수가 지층의 압력에 의하여 지표 상으로 솟아 나오는 우물을 말하기도 합니다.
■■ 양모(羊毛) ■■
⊙ 양(羊) : 양 양 | 양 머리 모습
⊙ 모(毛) : 털 모 | 털 모습
● 풀이 : 양(羊)의 털(毛)
■ 설명 : 양모(羊毛)는 양털을 말하며, 보온성과 흡습성이 강하며, 털실이나 모직물(毛織物)의 원료가 됩니다.
■■ 낙농업(酪農業) ■■
⊙ 낙,락(酪) : 유즙 락 | 어1/진1급 酉 13획 | 닭 유(酉) + [각각 각(各)→락]
⊙ 농(農) : 농사 농 | 어7/진5II급 辰 13획 | 별 진(辰) + 굽을 곡(曲)
⊙ 업(業) : 일 업 | 어6/진5급 木 13획 | 나무 목(木) + 플 무성할 착(丵)
● 풀이 : 유즙(酪)을 만들기 위해 농사(農)를 짓는 일(業)
■ 설명 : 락(酪)자를 보면 유(酉)자가 들어 있는데, 유(酉)자는 원래 술병의 모습으로, 술이나 발효(醱酵)와 관련되는 글자에 모두 들어갑니다. 발효를 해서 술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발효(醱酵)라는 글자에도 모두 유(酉)자가 들어가 있는 것도 그런 이유입니다.
그래서 락(酪)자는 우유를 발효하여 만든 '요구르트'를 의미하는 글자입니다.
낙농업(酪農業)은 젖소나 염소 따위를 기르고 그 젖을 이용하는 산업으로, 젖을 발효(醱酵)시켜 요구르트나 치즈 등을 만드는 일을 포함합니다.
☞ 관련되는 단어 : 발효(醱酵)
■■ 산호(珊瑚) ■■
⊙ 산(珊) : 산호 산 | 구슬 옥(玉/王) + [책 책(冊)→산]
⊙ 호(瑚) : 산호 호 | 구슬 옥(玉/王) + [오랑캐 호(胡)]
● 풀이 : 산호(珊瑚)
■ 설명 : 산호(珊瑚)는, 바다에 사는 동물의 일종으로, 높이 50cm 정도의 나뭇가지 모양의 덩어리를 이루고 삽니다. 죽으면 골격만 남는데, 골격은 바깥쪽은 무르고 속은 단단한 석회질로 되어 있어 속을 가공하여 보석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산(珊)자와 호(瑚)자에 모두 구슬 옥(玉/王)자가 들어 있는 이유가 보석(寶石)으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 참고 : 산호는 칠보(七寶: 7가지 보석) 중 하나입니다.
칠보에는 금, 은, 유리, 파리, 마노, 거거, 산호 등이 있습니다.
■ 인간 사회와 역사
■■ 사료(史料) ■■
⊙ 사(史) : 역사 사 | 붓을 든 손 모습
⊙ 료(料) : 헤아릴 료 | 쌀 미(米) + 말 두(斗)
● 풀이 : 역사(史) 자료(料)
■ 설명 : 사료(史料)는, 역사 연구에 필요한 책이나 문서, 유물. 건축, 조각 등의 자료입니다.
■■ 문화권(文化圈) ■■
⊙ 문(文) : 글월 문 | 가슴에 문신 새긴 사람 모습
⊙ 화(化) : 될 화 | 사람 인(亻) + 비수 비(匕)
⊙ 권(圈) : 둘레 권 | 둘러싸일 위(囗) + [책 권(卷)]
● 풀이 : 동일 문화(文化) 권역(圈)
■ 설명 : 문화권(文化圈)은, 공통된 특징을 보이는 문화가 있는 지리적 권역(圈域)입니다. 예를 들어 동양을 유교문화권이라고하고, 서양을 기독교문화권이라고 부릅니다.
■■ 세계사(世界史) ■■
⊙ 세(世) : 세상 세 | 열 십(十) + 열 십(十) + 열 십(十)
⊙ 계(界) : 지경 계 | 밭 전(田) + [낄 개(介)→계]
⊙ 사(史) : 역사 사 | 붓을 든 손 모습
● 풀이 : 세계(世界)의 역사(史)
■ 설명 : 세계사(世界史)는 세계의 모든 나라의 역사를 말합니다.
■ 인류의 기원과 고대 문명의 형성
■■ 구석기(舊石器) ■■
⊙ 구(舊) : 옛 구 | 부엉이 환(雈) + [절구 구(臼)]
⊙ 석(石) : 돌 석 |
⊙ 기(器) : 그릇/도구 기 | 입 구(口) + 입 구(口) + 입 구(口) + 입 구(口) + 개 견(犬)
● 풀이 : 구식(舊)의, 돌(石)로 만든 도구(器)
■ 설명 : 돌을 깨뜨리거나, 떼 내어 만든 석기(石器: 돌로 만든 도구)를 구석기라고 부르고, 이런 석기를 사용한 시대를 구석기 시대라고 합니다. 구석기를 '뗀석기'라고도 하는데, 돌을 떼 내어 만든 석기라는 뜻입니다.
구석기로는 주먹 도끼(자루가 없이 주먹으로 잡고 사용하는 도끼), 찍개(물건을 찍는데 사용하는 도구), 찌르개, 긁개, 밀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구석기로는 주로 사냥을 하는데 사용되었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신석기(新石器)
■■ 신석기(新石器) ■■
⊙ 신(新) : 새로울 신 | 도끼 근(斤) + 나무 목(木) + [매울 신(辛)]
⊙ 석(石) : 돌 석 | 언덕에서 떨어진 돌 모습
⊙ 기(器) : 그릇/도구 기 | 입 구(口) + 입 구(口) + 입 구(口) + 입 구(口) + 개 견(犬)
● 풀이 : 신식(新)의, 돌(石)로 만든 도구(器)
■ 설명 : 돌을 갈아서 만든 석기(石器: 돌로 만든 도구)를 신석기라고 부르고, 이런 석기를 사용한 시대를 신석기 시대라고 합니다. 신석기를 '간석기'라고도 하는데, 돌을 갈아서 만든 석기라는 뜻입니다.
신석기로는 돌괭이(땅을 파거나 흙을 고르는 데 쓰는 농기구), 돌보습(밭을 가는 쟁기의 날), 돌낫, 갈돌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신석기로는 주로 농사를 짓는데 사용하였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구석기(舊石器)
■■ 관개농업(灌漑農業) ■■
⊙ 관(灌) : 물댈 관 | 물 수(氵) + [황새 관(雚)]
⊙ 개(漑) : 물댈 개 | 물 수(氵) + [이미 기(旣)→개]
⊙ 농(農) : 농사 농 | 별 진(辰) + 굽을 곡(曲)
⊙ 업(業) : 일 업 | 나무 목(木) + 플 무성할 착(丵)
● 풀이 : 물을 대어(灌漑) 짓는 농업(農業)
■ 설명 : 관개농업은 저수지나 강, 지하수 등의 물을 수로(水路)를 통해 공급하여 농사를 짓는 것을 일컫습니다. 옛날에는 하늘에서 오는 비나 강에서 자연적으로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농사를 짓는 반면, 관계농업은 인공적으로 물을 흘러 보내 농사를 짓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관개수로(灌漑水路)
▣ 중국 고대 문명
■■ 갑골문자(甲骨文字) ■■
⊙ 갑(甲) : 갑옷 갑 | 갑옷 모습
⊙ 골(骨) : 뼈 골 | 고기 육(肉/月) + 살을 바를 과(冎)
⊙ 문(文) : 글월 문 | 가슴에 문신 새긴 사람 모습
⊙ 자(字) : 글자 자 | 집 면(宀) + [아들 자(子)]
● 풀이 : 갑옷(甲)을 만드는 거북의 배 껍질과 소 뼈(骨)에 새겨진 문자(文字)
■ 설명 : 옛 중국 사람들은 사람이 죽더라도 영혼은 살아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왕들은 전쟁을 하면 이길 수 있는지, 사냥은 어디로 가야하는지, 집을 지어도 좋은지, 날씨가 좋을지, 농사가 잘 될지 등이 궁금하면, 조상의 영혼에게 물어보는 점을 쳤습니다. 점을 치는 방법은 거북의 배껍질이나 소뼈등에 불에 달군 쇠막대기를 찔러 거북 뼈가 갈라지는 모양을 보고 좋은지 나쁜지를 판단했습니다. 그리고 점을 치고 나면 반드시 점친 결과를 거북의 배껍질이나 소뼈에 적어 두었습니다.
이와 같이 거북의 배 껍질과 소 뼈에 새겨진 한자를 갑골문자(甲骨文字)라고 부릅니다. 갑옷 갑(甲)자는 원래 거북의 배 껍질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나중에 거북의 배 껍질이 단단해서 옛 중국 사람들이 갑옷을 만들어 입었기 때문에 갑옷 갑(甲)자가 되었습니다.
■■ 표의문자(表意文字) ■■
⊙ 표(表) : 겉 표 | 옷 의(衣) + 털 모(毛)
⊙ 의(意) : 뜻 의 | 마음 심(心) + [소리 음(音)→의]
⊙ 문(文) : 글월 문 | 가슴에 문신 새긴 사람 모습
⊙ 자(字) : 글자 자 | 집 면(宀) + [아들 자(子)]
● 풀이 : 뜻(意)를 표현하는(表) 문자(文字)
■ 설명 : 표의문자(表意文字)는 소리와 상관없이 뜻을 나타내는 문자입니다. 한자가 대표적인 표의문자입니다.
☞ 참고 : 고대 이집트 문자는 기본적으로 표의문자이나, 소리를 나타내는 표음문자로도 사용되었습니다. 표음문자로 사용할 때에는 글자 둘레에 타원을 그려 표시했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표음문자(表音文字)
■■ 봉건제(封建制) ■■
⊙ 봉(封) : 봉할 봉 | 어3II/진2급 寸 9획 | 마디 촌(寸) + 홀 규(圭)
⊙ 건(建) : 세울 건 | 어5/진4급 廴 9획 | 길게 걸을 인(廴) + 붓 율(聿)
⊙ 제(制) : 마를 제 | 어4II/진3급 刂 8획 | 칼 도(刂) + 소 우(牛) + 수건 건(巾)
● 풀이 : 지역의 왕으로 봉하고(封) 나라를 세우게(建) 해주는 제도(制度)
■ 설명 : 봉건제는 원래 중국의 군현제에 대응하는 용어로 만들어졌으나, 중세 유럽의 제도인 '봉토(feud)를 주는 제도'라는 뜻의 feudalism을 번역하면서 봉건제라는 말을 사용하였습니다.
(1) 중국의 봉건제
옛 중국에서 천자가 여러 제후에게 토지를 나누어 주어 왕으로 봉하여, 제후가 각자의 영유 지역에 대하여 전권(全權)을 가지고 다스리는 국가 조직입니다.
중국 주나라가 은나라를 물리치고,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제후로 봉한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제후는 왕실을 종가(宗家)로 받들며 전쟁이 있으면 군사를 보내고, 공물을 보내며, 국가의 큰 공사가 있으면 부역을 부담하였습니다.
하지만 제후들의 세력이 커짐에 따라 왕실을 넘보며, 제후들 간에 싸움이 끊이질 않았습니다. 중국의 춘추 전국 시대가 바로 이러한 시기입니다.
(2) 중세 유럽의 봉건제
중세 유럽에서, 영주가 신하들에게 봉토를 주고, 그 대신에 전쟁시 병역의 의무를 부과하는 주종 관계를 기본으로 한 통치 제도입니다. 왕, 귀족, 가신, 교회 따위의 영주와 그 지배하에 있는 농노가 그 기본 계급이었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군현제(郡縣制)
■■ 제후(諸侯) ■■
⊙ 제(諸) : 모든 제 | 말씀 언(言) + [사람 자(者)→제]
⊙ 후(侯) : 제후 후 | 사람 인(亻) + 화살 시(矢) + 과녁
● 풀이 : 모든(諸) 제후(侯)
■ 설명 : 후(侯)자는 사람 인(亻)자에 과녁의 모습과 화살 시(矢)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즉 활을 과녁에 잘 명중 시키는 사람이 제후(諸侯)라는 의미입니다. 무인(武人) 사회였던 고대 중국에서는 활을 쏘는 실력으로 지위를 정했습니다.
옛 중국 봉건 시대에서는 나라에 공을 세우는 사람들에게 영토를 나누어주고 다스리게 하였습니다. 제후(諸侯)는 이와 같이 일정한 영토를 가지고 그 영내의 백성을 지배하는 권력을 가지던 사람입니다.
서양의 봉건 영주(領主)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영주(領主)
■■ 다신교(多神敎) ■■
⊙ 다(多) : 많을 다 | 저녁 석(夕) + 저녁 석(夕)
⊙ 신(神) : 귀신 신 | 보일 시(示) + [납 신(申)]
⊙ 교(敎) : 가르칠 교 | 칠 복(攵) + 점괘 효(爻) + 아들 자(子)
● 풀이 : 많은(多) 신(神)들을 믿는 종교(敎)
■ 설명 : 다신교(多神敎)는, 많은 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믿는 종교입니다. 원시 종교의 대부분이 이에 속합니다,
반면, 기독교처럼 하나의 신을 민든 종교를 일신교(一神敎)라 합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일신교(一神敎)
▣ 오리엔트 고대 문명
■■ 점토판(粘土板) ■■
⊙ 점(粘) : 끈끈할 점 | 쌀 미(米) + [점칠 점(占)]
⊙ 토(土) : 흙 토 | 흙덩어리 모습
⊙ 판(板) : 널빤지 판 | 나무 목(木) + [돌이킬 반(反)→판]
● 풀이 : 끈적끈적한(粘) 흙(土)으로 만든 판(板)
■ 설명 : 쌀로 밥을 지으면 끈적끈적하고 다른 물건에 잘 붙습니다. 이와 같이 끈적끈적하여 다른 물건에 잘 달라 붙는 송질을 점성(粘性)이라고 합니다. 점(粘)자에 쌀 미(米)자가 들어 있는 이유를 알겠지요.
점성(粘性)이 있는 흙, 즉 진흙으로 만든 납작한 판(板)을 점토판이라고 합니다. 옛날에는 이런 점토판을 말려 글을 새겼습니니다.
■■ 함무라비법전(法典) ■■
⊙ 법(法) : 법 법 | 물 수(氵) + [갈 거(去)→법]
⊙ 전(典) : 법 전 | 책 책(冊) + 손 맞잡을 공(廾)
● 풀이 : 함무라비왕이 만든 법전(法典)
■ 설명 : 함무라비법전은, 기원전 1750년 무렵에 바빌로니아의 함무라비(Hammurabi) 왕이 제정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성문법입니다. 282조의 법조문이 약 2.25미터의 원주형 현무암에 설형 문자로 새겨져 있습니다.
☞ 참고 : 함무라비 법전에서 가장 유명한 문장은 "눈에는 눈, 이에는 이"입니다. 남에게 해를 끼치면 똑같은 처벌을 받는다는 내용으로, 이후에 만들어진 구약성경에도 나옵니다.
■■ 육십진법(六十進法) ■■
⊙ 륙(六) : 여섯 륙 | 집 모습
⊙ 십(十) : 열 십 | 열을 나타내는 기호
⊙ 진(進) : 나아갈 진 | 갈 착(辶) + 새 추(隹)
⊙ 법(法) : 법 법 | 물 수(氵) + [갈 거(去)→법]
● 풀이 : 60(六十)개가 될 때마다 한자리 나아가는(進) 방법(法)
■ 설명 : 시계에서 60초가 지나면 1분이 되고, 60분이 지나면 1시간이 되는데, 이와같이 60을 한 단위로 묶어서 위의 자리로 올려 가는 방법을 육십진법(六十進法)이라고 합니다.
기원전 2000년 경에 수메르에서 쓰였으며, 이후 바빌로니아 문명으로 전파되었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십진법(十進法)
■■ 토목(土木) ■■
⊙ 토(土) : 흙 토 | 흙덩어리 모습
⊙ 목(木) : 나무 목 | 나무 모습
● 풀이 : 흙(土)과 나무(木)로 하는 공사
■ 설명 : 강의 둑을 쌓고, 항구를 만들고, 길을 닦고, 굴을 파고, 철도를 놓는 일 따위의 공사를 토목공사라고 합니다. 지금은 대부분 콘크리트와 철근을 사용하여 이런 공사를 하지만, 예전에는 흙(土)과 나무(木)로 이런 공사를 했기 때문에 토목(土木)이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 사자(死者)의 서(書) ■■
⊙ 사(死) : 죽을 사 | 부셔진 뼈 알(歹) + 비수 비(匕)
⊙ 자(者) : 사람 자 |
⊙ 서(書) : 글 서 | 붓 율(聿) + 벼루
● 풀이 : 죽은(死) 사람(者)을 위한 글(書)
■ 설명 : '사자의 서'는 고대 이집트에서, 죽은 사람들을 미라(mirra)로 만들어 묻을 때 함께 묻었던 문서(文書)입니다. 지상에 남은 미라의 온전한 보존과 심판을 받으러 사후 세계로 가는 영혼을 위한 주술 등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특히 죽은 사람의 영혼이 만나게 될 신들을 달래고, 영혼이 바른 길로 갈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을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 로제타석(石) ■■
⊙ 석(石) : 돌 석 |
● 풀이 : 로제타에서 발견한 돌(石)
■ 설명 : 로제타석(Rosetta Stone)은, 1799년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때, 알렉산드리아시(市) 동쪽에 있는 로제타 마을에서 진지(陣地) 구축 중 발굴한 비석조각(120cm X 75cm X 28cm)입니다.
이 비석에는 이집트 상형문자와 함께 똑같은 내용으로 그리스 문자가 적혀 있어서, 이집트 상형문자 해독에 결정적인 단서를 주었습니다.
☞ 참고 : 로제타석이 대영박물관(大英博物館)에 있다고요?
로제타석은 프랑스가 발견하였지만, 1801년 나폴레옹의 군대가 알렉산드리아에서 패배하자 그들이 발견한 많은 이집트 유물과 함께 영국군에게 몰수당하여, 현재는 런던의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 태양력(太陽曆) ■■
⊙ 태(太) : 클 태 | 큰 대(大) + 점 주(丶)
⊙ 양(陽) : 볕 양 | 언덕 부(阜/阝) + [빛날 양(昜)]
⊙ 력(曆) : 책력 력 | 날 일(日) + [厤]
● 풀이 : 태양(太陽)을 기준으로 하는 달력(曆)
■ 설명 : 태양력은 지구가 태양의 둘레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을 1년으로 정한 역법입니다.
1년을 365일, 4년마다 윤년을 두어 366일로 하고, 100년마다 윤년을 1회 줄여 400년에 윤년을 97회로 정하였습니다.
■■ 표음문자(表音文字) ■■
⊙ 표(表) : 겉 표 | 옷 의(衣) + 털 모(毛)
⊙ 음(音) : 소리 음 | 입과 피리 모습
⊙ 문(文) : 글월 문 | 가슴에 문신 새긴 사람 모습
⊙ 자(字) : 글자 자 | 집 면(宀) + [아들 자(子)]
● 풀이 : 소리(音)를 표현하는(表) 문자(文字)
■ 설명 : 표음문자는 말소리를 표현하는 문자입니다. 한글이나 영어가 표음문자입니다.
☞ 관련되는 단어 : 표의문자(表意文字)
■■ 유일신(唯一神) ■■
⊙ 유(唯) : 오직 유 | 입 구(口) + [새 추(隹)→유]
⊙ 일(一) : 한 일 | 하나를 나타내는 기호
⊙ 신(神) : 귀신 신 | 보일 시(示) + [납 신(申)]
● 풀이 : 오직(唯) 하나(一) 뿐인 신(神)
■ 설명 : 유일신(唯一神)은 오직 하나 밖에 없는 신(神)을 말합니다. 그리이스 로마 신화에 보면 많은 신이 나오는 반면, 이슬람교에서는 신이 오직 알라신만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와 같은 오직 하나 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신을 유일신이라고 합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일신교(一神敎)
▣ 중국 춘추 전국 시대
■■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
⊙ 춘(春) : 봄 춘 | 날 일(日) + 풀 초(艹) + [진칠 둔(屯)→춘]
⊙ 추(秋) : 가을 추 | 벼 화(禾) + 불 화(火)
⊙ 전(戰) : 싸움 전 | 창 과(戈) + [홑 단(單)→전]
⊙ 국(國) : 나라 국 | 둘러싸일 위(囗) + 혹 혹(或)
⊙ 시(時) : 때 시 | 날 일(日) + [모실 시(寺)]
⊙ 대(代) : 대신할 대 | 사람 인(亻) + 주살 익(弋)
● 풀이 : 춘추(春秋)와 전국(戰國) 시대(時代)
■ 설명 : 춘추전국시대는 중국의 춘추 시대와 그 다음의 전국 시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로 중국 역사상 가장 혼란하였던 시기입니다.
춘추 시대는 중국 주나라가 동쪽으로 도읍을 옮긴 BC 770년부터 BC 403년까지 약 360년간으로, 수많은 제후들이 서로 싸우던 시대로, 공자가 쓴 역사책인 춘추(春秋)에서 이 시대의 일을 서술한 데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전국 시대는 BC 403년부터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BC 221년까지 약 200년간으로, 전쟁이 끊일질 않았던 시대로, 제자백가와 함께 학문의 중흥기를 이루었고, 한나라 유향이 쓴 역사책인 전국책(戰國策)에서 이 시대의 일을 서술한 데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춘추오패(春秋五覇),전국칠웅(戰國七雄)
■■ 제자백가(諸子百家) ■■
⊙ 제(諸) : 모든 제 | 말씀 언(言) + [사람 자(者)→제]
⊙ 자(子) : 아들/선생 자 | 아기 모습
⊙ 백(百) : 일백 백 | 한 일(一) + [흰 백(白)]
⊙ 가(家) : 집/학자/학파 가 | 집 면(宀) + 돼지 시(豕)
● 풀이 : 제자(諸子)와 백가(百家)
■ 설명 : 제자(諸子)란 말은 '모든 선생'이란 뜻이고, 백가(百家)란 '백개의 집', 즉 '수많은 학파'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제자백가는 중국 춘추전국시대(BC 8세기∼BC 3세기)에 활약한 학자와 학파를 이르는 말입니다. 크게 나누면 독자적인 사상을 만든 9개 학파에 잡가(雜家)가 추가되어 10개 학파가 있습니다.
▶ 유가(儒家) : 공자. 맹자, 순자
▶ 도가(道家) : 노자, 장자
▶ 음양가(陰陽家) : 추연, 추석
▶ 법가(法家) : 한비자
▶ 병가(兵家) : 손자, 오자
▶ 명가(名家: 論理學派) : 공손률, 혜시
▶ 묵가(墨家) : 묵자
▶ 종횡가(縱橫家: 外交術派) : 소진, 장의
▶ 농가(農家) : 허행
▶ 잡가(雜家) : 다른 학파의 학설을 모두 합쳐서 사상을 만듬
☞ 관련되는 단어 : 백가쟁명(百家爭鳴)
■■ 춘추오패(春秋五覇) ■■
⊙ 춘(春) : 봄 춘 | 날 일(日) + 풀 초(艹) + [진칠 둔(屯)→춘]
⊙ 추(秋) : 가을 추 | 벼 화(禾) + 불 화(火)
⊙ 오(五) : 다섯 오 | 다섯을 나타내는 기호
⊙ 패(覇) : 으뜸 패 | 비 우(雨) + [으뜸 패(?)]
● 풀이 : 춘추(春秋) 시대의 다섯(五) 패자(覇)
■ 설명 : 패자(霸者)는 왕로부터 일정한 지역을 다스릴 권한을 부여받은 제후를 이르는 말입니다. 싸움이나 경기에 진 패자(敗者)와는 한자가 다릅니다.
중국 춘추시대에는 수많은 패자들이 있었는데, 춘추오패는 이중 가장 유명한 5명의 패자(覇者)를 일컫는 말로, ① 제(齊)나라의 환공(桓公), ② 진(晉)나라의 문공(文公), ③ 초(楚)나라의 장왕(莊王), ④ 오(吳)나라의 합려(闔閭), ⑤ 월(越)나라의 구천(勾踐)을 가리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춘추(春秋),전국칠웅(戰國七雄)
■■ 전국칠웅(戰國七雄) ■■
⊙ 전(戰) : 싸움 전 | 창 과(戈) + [홑 단(單)→전]
⊙ 국(國) : 나라 국 | 둘러싸일 위(囗) + 혹 혹(或)
⊙ 칠(七) : 일곱 칠 | 일곱을 나타내는 기호
⊙ 웅(雄) : 수컷 웅 | 새 추(隹) + [팔꿈치 굉(厷)→웅]
● 풀이 : 전국(戰國) 시대의 일곱(七) 영웅(雄)
■ 설명 : 전국칠웅(戰國七雄)은 중국 전국시대에 중국의 패권을 놓고 다퉜던 7개 강국을 일컫는 말로, ① 진(秦), ② 초(楚), ③ 연(燕), ④ 제(齊), ⑤ 조(趙), ⑥ 한(漢), ⑦ 위(魏)나라를 이릅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춘추오패(春秋五覇)
▣ 중국 진나라
■■ 군현제(郡縣制) ■■
⊙ 군(郡) : 고을 군 | 고을 읍(邑/阝) + [임금 군(君)]
⊙ 현(縣) : 고을 현 | 県 + 한 일(一) + 실 사(糸)
⊙ 제(制) : 마를 제 | 칼 도(刂) + 소 우(牛) + 수건 건(巾)
● 풀이 : 군(郡)과 현(縣)을 두어 다스리는 제도(制)
■ 설명 : 전국을 군(郡)으로 가르고 이를 다시 현(縣)으로 갈라, 중앙 정부에서 지방관을 보내어 직접 다스리던 제도를 군현제라고 합니다.
진(秦)나라의 시황제는 중국 역사상 가장 혼란하였던 춘추 전국 시대의 종지부를 찍은 왕입니다. 얼마나 전쟁을 많이 하였으면 전국 시대(戰國時代: 나라들이 전쟁을 하는 시대)라는 이름이 붙었겠습니까? 진시황제는 이러한 혼란을 없애, 백성을 편안히 살게 하기 위해 나라를 통일하였고, 지방 분권(地方分權: 지방으로 권력을 나누어줌)적인 봉건제 하에서는 계속해서 전쟁이 일어날 수 밖에 없다고 판단하여 중앙 집권(中央集權: 증앙에 권력이 모임)적인 군현제를 실시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 시대에 들여와 실시하였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봉건제(封建制)
■■ 시황제(始皇帝) ■■
⊙ 시(始) : 처음 시 | 여자 녀(女) + [나 이(台)→시]
⊙ 황(皇) : 임금 황 | 흰 백(白) + [임금 왕(王)→황]
⊙ 제(帝) : 임금 제 |
● 풀이 : 중국의 처음(始) 황제(皇帝)
■ 설명 : 어떤 일을 처음으로 하는 것을 시작(始作)이라고 합니다. 이때 시(始)자느 '처음'이란 뜻으로, 인간은 처음 여자로부터 태어난다고 해서 여자 녀(女)자가 붙었습니다.
시황제는 중국 진나라를 건국한 황제(BC259~BC210년)입니다.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자신이 중국 최초의 황제라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이름을 붙였습니다.
▶ 진시황제(秦始皇帝) : 진(秦)나라의 시황제라는 뜻으로, 시황제(始皇帝)와 같은 말입니다.
■■ 흉노(匈奴) ■■
⊙ 흉(匈) : 오랑캐 흉 | 쌀 포(勹) + [흉할 흉(凶)]
⊙ 노(奴) : 종 노 | 여자 녀(女) + 또 우(又)
● 풀이 : 오랑캐(匈) 노예(奴)
■ 설명 : BC 3세기 말부터 AD 1세기 말까지 몽골고원과 만리장성 지대를 중심으로 활약한 유목기마민족(遊牧騎馬民族)입니다.
BC 3세기 말에, 묵돌 선우(冒頓單于)가 모든 부족을 통일하여 북아시아 최초의 유목 국가를 건설하고,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나, 한나라의 잦은 침공으로 쇠약해져, AD 1세기경 남북으로 분열되었습니다.
☞ 참고 : 훈족과 흉노족의 차이는?
훈족(Hun族)은 중앙아시아의 스텝지대(地帶)에 거주하였던 투르크계(系)의 유목기마민족입니다. 훈족은 흉노족보다 조금 서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한나라에 쫓겨 서쪽으로 간 흉노의 일부가 곧 훈족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많습니다.
4세기에는 유럽으로 이동하여, 오늘날의 헝가리 지역을 지배하였습니다. 헝가리(Hungary)의 영어 이름을 자세히 보면 '훈(Hun)'이라는 말이 들어 있는데, 훈족(Hun族)이 세운 나라라는 뜻입니다.
■■ 만리장성(萬里長城) ■■
⊙ 만(萬) : 일만 만 | 전갈 모습
⊙ 리(里) : 마을 리 | 땅위의 밭 모습
⊙ 장(長) : 긴 장 | 머리 긴 노인 모습
⊙ 성(城) : 재/성 성 | 흙 토(土) + [이룰 성(成)]
● 풀이 : 만리(萬里)나 되는 긴(長) 성(城)
■ 설명 : 만리장성은 중국에서 북쪽 오랑캐를 막기 위해 옛 중국에서 세운 성입니다.
십리가 4 Km이기 때문에, 만리는 4000 Km입니다만, 실제 길이는 약 5000Km정도로 추정됩니다. 또 만리장성이 중국 진나라의 진시황제의 명령으로 만들어졌다고 하나, 실제로는 춘추전국시대에 여러 나라가 만들어 놓은 것을, 진시황제가 천하를 통일하자 더 늘려서 지었을 뿐입니다. 이후에도 만리장성은 계속 만들어져 1500년대의 명나라 때까지 이어져 왔습니다.
☞ 참고 : 중국 사람들은 만리장성을 줄여서 장성(長城)이라고 주로 부릅니다.
▣ 중국 한나라
■■ 호족(豪族) ■■
⊙ 호(豪) : 호걸/뛰어날 호 | 돼지 시(豕) + [높을 고(高)→호]
⊙ 족(族) : 겨레/친족 족 | 깃발 언(언) + 화살 시(矢)
● 풀이 : 뛰어난(豪) 친족(族)
■ 설명 : 호족(豪族)은 지방에서 재산이나 세력이 많은 사람을 일컫는 말입니다.
중앙집권적인 국가에서는 중앙에서 파견된 지방관이 중앙의 명령을 받아 지방을 관리하고 운영하였으나, 지방관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곳에서는 호족이 그 지방을 다스리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세력이 큰 호족은 중앙의 왕권을 위협하기도 하였습니다.
한국에서는 통일신라 후기와 후삼국 시대에 호족 세력이 곳곳에 대두하여 정부 권력을 크게 잠식하였고, 고려 초기에는 이러한 호족들이 왕권을 위협하자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을 실시하였습니다.
☞ 참고 : 고려를 세운 왕건은 부인이 29명이나 되었답니다. 지방의 호족들과 잘 지내기 위해 호족들의 딸들과 결혼하다보니 이렇게 많은 부인이 있게 되어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 군국제(郡國制) ■■
⊙ 군(郡) : 고을 군 | 고을 읍(邑/阝) + [임금 군(君)]
⊙ 국(國) : 나라 국 | 둘러싸일 위(囗) + 혹 혹(或)
⊙ 제(制) : 마를 제 | 칼 도(刂) + 소 우(牛) + 수건 건(巾)
● 풀이 : 군현(郡)과 나라(國)로 나누어 다스리는 제도(制)
■ 설명 : 군국제는 중국 전한(前漢)시대 초기의 지방 행정제도 제도입니다.
BC 202년 한나라의 고조(高祖) 유방은 항우를 물리치는 데 공을 세운 공신 7명을 왕으로 봉하고, 봉건제에서처럼 이들에게 나라를 나누어 주고 다스리게 하였습니다. 또, 나머지 지역에서는 진(秦)의 군현제처럼 지방을 군과 현으로 나누어 중앙에서 파견한 관리가 다스렸습니다.
이와 같이 군현제와 봉건제를 병용한 제도를 군국제(郡國制)라고 합니다.
☞ 관련되는 단어 : 군현제(郡縣制),봉건제(封建制)
■■ 전매제(專賣制) ■■
⊙ 전(專) : 오로지 전 | 실패를 든 손 모습
⊙ 매(賣) : 팔 매 | 선비 사(士) + [살 매(買)→독,매]
⊙ 제(制) : 마를 제 | 칼 도(刂) + 소 우(牛) + 수건 건(巾)
● 풀이 : 오로지(專) 혼자 독점하여 판매(賣)하는 제도(制)
■ 설명 : 전매제(專賣制)는 어떤 물건을 독점하여 파는 제도(制度)입니다.
▶ 전매청(專賣廳) : 예전에 재무부에 속하여 담배, 인삼 등의 전매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던 기관으로, 1987년에 폐지하였습니다. 한국 전매 공사로 재발족하였다가, 1988년에 한국 담배 인삼 공사로 명칭을 바꾸었습니다.
■■ 제지술(製紙術) ■■
⊙ 제(製) : 지을/만들 제 | 옷 의(衣) + [마를 제(制)]
⊙ 지(紙) : 종이 지 | 실 사(糸) + [성씨 씨(氏)→지]
⊙ 술(術) : 재주 술 | 다닐 행(行) + [차조/삽주 출(朮)→술]
● 풀이 : 종이(紙)를 만드는(製) 기술(術)
■ 설명 : 제지술은 종이를 만드는 기술입니다. 105년 중국 후한의 채륜이 종이를 만드는 방법을 발명하였습니다.
▣ 중국 위,진,남북조 시대
■■ 5호16국(五胡十六國) ■■
⊙ 오(五) : 다섯 오 | 다섯을 나타내는 기호
⊙ 호(胡) : 오랑캐 호 | 고기 육(肉/月) + [예 고(古)→호]
⊙ 십(十) : 열 십 | 열을 나타내는 기호
⊙ 륙(六) : 여섯 륙 | 집 모습
⊙ 국(國) : 나라 국 | 둘러싸일 위(囗) + 혹 혹(或)
● 풀이 : 다섯(五) 오랑캐(胡)와 열여섯(十六) 나라(國)
■ 설명 : 오랑캐 호(胡)자에서 오랑캐는 야만인을 뜻하는 말로, 중국에서는 변두리 지역에 사는 민족들을 오랑캐라고 부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만주 지방에 사는 중국인들을 오랑캐라고 불렀습니다. 그래서 만주에서 들어온 빵을 호빵이라 하고, 만주에서 들어온 박을 호박, 중국에서 들어온 떡을 호떡, 만주에서 들어온 콩을 호두(胡豆)라고 부릅니다. 호(胡)자 외에도 당나라 당(唐)자가 들어가면, 중국에서 온 것이라는 뜻입니다. 당근(唐根). 당면(唐麵). 당나귀 등이 그런 예입니다.
5호16국(五胡十六國)은 304년에서 439년 북위(北魏)의 통일까지 중국에서 흥망한 5호(胡)와 한인(漢人)이 세운 열여섯(十六) 나라(國)를 일컫습니다. 5호(胡)는 다음과 같습니다.
▶ 흉노(匈奴) : 중국 북쪽 몽골 고원에서 활약하던 기마 민족.
▶ 갈(羯) : 흉노의 한 갈래.
▶ 선비(鮮卑) : 중국 북쪽 몽골 족과 퉁구스 족의 피가 섞인 유목 민족.
▶ 저(氐) : 중국 서쪽의 티베트계.
▶ 강(羌) : 중국 북서부의 티베트계 유목민.
☞ 관련되는 단어 : 위진남북조시대(魏晉南北朝時代)
■■ 청담사상(淸談思想) ■■
⊙ 청(淸) : 맑을 청 | 물 수(氵) + [푸를 청(靑)]
⊙ 담(談) : 말씀 담 | 말씀 언(言) + [불꽃 염(炎)]
⊙ 사(思) : 생각 사 | 마음 심(心) + 밭 전(田)
⊙ 상(想) : 생각 상 | 마음 심(心) + [서로 상(相)]
● 풀이 : 맑은(淸) 말(談)을 하는 사상(思想)
■ 설명 : 청담(淸談)이란 '세속을 벗어난 맑고 고상한 이야기'란 뜻입니다. 즉 돈이나 출세와 같은 세속적인 이야기가 아닌 자연이나 예술에 대한 이야기를 말합니다.
청담사상은 세속에서 도피하여 자연에서 은거하는 사상입니다. 노자와 장자의 영향을 받아서 위진남북조 시대에 유행하였는데, 그 이유는 위진남북조시대가 중국 역사상 유례 없는 혼란의 시기이어서 현실을 도피하려는 경향때문에 생겨 났습니다.
■■ 노장사상(老莊思想) ■■
⊙ 노,로(老) : 늙을 로 | 머리 긴 노인 모습
⊙ 장(莊) : 장엄할 장 | 풀 초(艹) + [씩씩할 장(壯)]
⊙ 사(思) : 생각 사 | 마음 심(心) + 밭 전(田)
⊙ 상(想) : 생각 상 | 마음 심(心) + [서로 상(相)]
● 풀이 : 노자(老)와 장자(莊)의 사상(思想)
■ 설명 : 노장사상은, 노자(老子: 약 BC580~BC480)와 장자(莊子: 약 BC370~BC280)의 사상으로, 무위자연(無爲自然)이 중심을 이룹니다. 중국의 도가사상(道家思想)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 참고 : 도가사상(道家思想)의 도(道)란 무슨 뜻인가요?
도(道)자는 원래 길과 사람의 머리와 발자국으로 이루어진 글자로, 길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하지만 위의 단어에서 나오는 도(道)란 사람이 가는 길이 아니라, 우주 만물이 가는 길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아침이 오면 해가 뜨고, 저녁에는 해가 지고, 달이 차면 기울고, 봄이 오면 여름이 오고, 꽃이 피면 지는 것과 같이 우주 만물이 어떤 길을 따라 간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오늘날에는 이러한 것이 모두 과학적인 원리로 설명이 되지만, 과학이 발전하지 않았던 옛 중국에서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어떤 길, 즉 이치가 숨어 있다고 생각을 한 것입니다. 이러한 우주의 이치를 도(道)라고 불렀고, 이러한 이치를 알려고 노력하는 것을 '도(道)를 닦는다'고 하며, 이런 이치를 알게 되면 '도(道)를 깨우쳤다'고 하며, 이치를 알게 된 사람을 '도사(道士)'라고 합니다.
또 우리가 베루누이 정리라는 과학적 원리를 이용하면 비행기를 만들어 하늘로 날아다닐 수 있듯이, 우주의 이치를 알게되면, 이러한 이치를 이용하는 기술, 즉 구름을 타고 하늘을 날아다니는 등의 기술을 도술(道術)이라고 합니다.
☞ 관련되는 단어 : 무위자연(無爲自然)
■■ 도교(道敎) ■■
⊙ 도(道) : 길 도 | 어7/진5II급 辶 13획 | 갈 착(辶) + 머리 수(首)
⊙ 교(敎) : 가르칠 교 | 어8/진5II급 攵 11획 | 칠 복(攵) + 점괘 효(爻) + 아들 자(子)
● 풀이 : 우주 만물이 가는 길(道)를 가르치는 종교(敎)
■ 설명 : 도교(道敎)는 중국의 황제(黃帝)와 노자(老子)를 신으로 믿는 종교의 하나로, 노장사상(老莊思想),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 신선사상(神仙思想)을 바탕으로 불로장생을 추구하였는데, 후한 말기 때 장도릉(張道陵)에 의해 그 종교적인 틀이 갖추어져 중국을 비롯한 동양의 민간 풍속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참고 : '천도교(天道敎)'. '도사(道士)', '도(道)를 닦는다', '도(道)를 깨우쳤다' , '도술(道術)' 등의 도(道)란 무었인가요?
도(道)자는 원래 길과 사람의 머리와 발자국으로 이루어진 글자로, 길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하지만 위의 단어에서 나오는 도(道)란 사람이 가는 길이 아니라, 우주 만물이 가는 길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아침이 오면 해가 뜨고, 저녁에는 해가 지고, 달이 차면 기울고, 봄이 오면 여름이 오고, 꽃이 피면 지는 것과 같이 우주 만물이 어떤 길을 따라 간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오늘날에는 이러한 것이 모두 과학적인 원리로 설명이 되지만, 과학이 발전하지 않았던 옛 중국에서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어떤 길, 즉 이치가 숨어 있다고 생각을 한 것입니다. 이러한 우주의 이치를 도(道)라고 불렀고, 이러한 이치를 알려고 노력하는 것을 '도(道)를 닦는다'고 하며, 이런 이치를 알게 되면 '도(道)를 깨우쳤다'고 하며, 이치를 알게 된 사람을 '도사(道士)'라고 합니다.
또 우리가 베루누이 정리라는 과학적 원리를 이용하면 비행기를 만들어 하늘로 날아다닐 수 있듯이, 우주의 이치를 알게되면, 이러한 이치를 이용하는 기술, 즉 구름을 타고 하늘을 날아다니는 등의 기술을 도술(道術)이라고 합니다.
■■ 죽림칠현(竹林七賢) ■■
⊙ 죽(竹) : 대 죽 | 대나무 모습
⊙ 림(林) : 수풀 림 | 나무 목(木) + 나무 목(木)
⊙ 칠(七) : 일곱 칠 | 일곱을 나타내는 기호
⊙ 현(賢) : 어질 현 | 조개 패(貝) + [굳을 간(臤)→현]
● 풀이 : 대나무(竹) 숲(林)에서 사는 7(七)명 현인(賢)
■ 설명 : 죽림칠현(竹林七賢)은, 중국 진(晉)나라 초기에 죽림에 모여 노자와 장자의 무위사상(無爲思想)을 숭상하며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로 ① 산도(山濤), ② 왕융(王戎), ③ 유영(劉伶), ④ 완적(阮籍), ⑤ 완함(阮咸), ⑥ 혜강(嵆康), ⑦ 향수(向秀) 등 입니다.
☞ 관련되는 단어 : 무위사상(無爲思想)
▣ 중국 수,당 시대
■■ 절도사(節度使) ■■
⊙ 절(節) : 마디 절 | 대 죽(竹) + [곧 즉(卽)→절]
⊙ 도(度) : 법도 도 | 또 우(又) + [여러 서(庶)→도,탁]
⊙ 사(使) : 하여금/사신 사 | 사람 인(亻) + 아전 리(吏)
● 풀이 : 절도(節度)가 있는 사신(使)
■ 설명 : 절도사(節度使)는 원래, 변방 민족의 침입을 막고 지방의 치안을 위해 국경 지대에 둔 군대의 사령관입니다. 절도(節度)는 중국의 병법(兵法)에 나오는 말로, 일이나 행동 등을 똑똑 끊어 맺는 마디를 의미하며, 군이 가져야할 덕목으로 꼽았습니다. 절도사는 이러한 절도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중국에서는 이러한 절도사들이 힘이 세어져 중앙의 왕권을 넘보기도 하자, 송나라 때에는 절도사을 폐지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고려 시대에는 지방 장관을 이르는 말이고, 조선 시대에는 병마 절도사와 수군 절도사를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 관련되는 단어 :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 조용조법(租庸調法) ■■
⊙ 조(租) : 조세 조 | 어3II/진3급 禾 10획 | 벼 화(禾) + [도마 조(且)]
⊙ 용(庸) : 떳떳할/고용할 용 | 어3/진2급 广 11획 | 집 엄(广) + 붓 율(肀) + [쓸 용(用)]
⊙ 조(調) : 고를/징발할 조 | 어5/진4II급 言 15획 | 말씀 언(言) + [두루 주(周)→조]
⊙ 법(法) : 법 법 | 어5/진4II급 氵 8획 | 물 수(氵) + [갈 거(去)→법]
● 풀이 : 조(租)와 용(庸)과 조(調)를 국가에 내는 법(法)
■ 설명 : 조용조법(租庸調法)은 수(隋)나라와 당나라의 조세법입니다.
조(租)는 1가구가 1년에 일정량의 쌀(禾)을 납부하는 조세(租稅: 세금)입니다.
용(庸)은 국가가 남자 어른 1명이 1년에 일정한 날 수 동안 고용(雇庸)하여 쓰는 것입니다.
조(調)는 1가구가 1년에 그 지역의 특산물을 일정한 양만큼 징발하는 공물(貢物)입니다.
조용조법을 실시하면서 세금의 양이 일정하게 정해짐으로 인해 농민들의 생활이 이전에 비해 상당히 안정되었습니다. 조용조 제도는, 밭(田) 균등하게 나누어 주는 균전제(均田制)와 같이 실시되었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균전제(均田制)
■■ 균전제(均田制) ■■
⊙ 균(均) : 고를 균 | 흙 토(土) + [적을/두루 균(勻)]
⊙ 전(田) : 밭 전 | 밭 모습
⊙ 제(制) : 마를 제 | 칼 도(刂) + 소 우(牛) + 수건 건(巾)
● 풀이 : 밭(田)을 균등(均)하게 나주어 주는 제도(制)
■ 설명 : 중국 수나라와 당나라 때에 시행한 토지 분배 및 조세 징수 제도로, 토지를 국민에게 공평히 분배하고, 그 토지를 지급받은 국민에게 병역을 부과하였습니다.
이전까지는 지방의 호족들의 대토지를 소유하여 많은 농민들은 소작농으로 전락하였기 때문에, 세금이 줄어들고 중앙의 재정이 가난해졌으며, 군사력이 약해졌습니다. 그래서 중앙의 재정을 부유하게 할 목적으로 가구 단위로 토지를 균등하게 재분배하였는데, 이것을 균전제(均田制)라고 합니다. 이러한 균전제로 농민들은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게 하였고, 국가는 재정을 확보할 수 있고 군사를 키울 수 있었습니다.
균전제 하에서는 2가지 종류의 밭이 있는데, 구분전(口分田)과 영업전(永業田)이 그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말기의 실학자인 유형원이 자신이 쓴 반계수록(磻溪隨錄)에서 토지를 국유화한 뒤, 농민에게 토지를 균등하게 나누어 주자는 균전제를 주장하였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구분전(口分田),영업전(永業田),반계수록(磻溪隨錄)
■■ 부병제(府兵制) ■■
⊙ 부(府) : 관청/마을 부 | 어4II/진3급 广 8획 | 집 엄(广) + [부칠 부(付)]
⊙ 병(兵) : 병사 병 | 어5/진4II급 八 7획 | 도끼 근(斤) + 손 맞잡을 공(廾)
⊙ 제(制) : 마를 제 | 어4II/진3급 刂 8획 | 칼 도(刂) + 소 우(牛) + 수건 건(巾)
● 풀이 : 마을(府)의 병사(兵) 제도(制)
■ 설명 : 부병제(府兵制)는 중국의 수당 및 고려 말에서 조선 전기에 실시되었던 병농일치(兵農一致)의 군사 제도입니다.
균전(均田)을 준 장정(壯丁: 21~59세의 남자)을 농한기에 훈련을 시킨 후, 3명 중 1명을 3년씩 돌아가며 징집하여 근무하게 한 제도로, 근무 중에는 조세를 면제하여 주었습니다. 또 이러한 사람을 '마을의 병사'라는 의미로 부병(府兵)이라고 불렀습니다.
☞ 참고 : 동양의 병농일치와 서양의 병농분리
서양(유럽)에서는 예로부터 농민들은 농사를 짓고, 지배 계층(왕족, 귀족, 병사)들을 농민들을 보호하거나 전쟁을 치렀습니다. 이런 전통으로 영국 황실의 황태자들은 1970년대 아르헨티나와 전쟁이나 1990년대 걸프 전쟁 때에 직접 전쟁에 참가하였습니다.
동양(중국, 한국 등)은 피지배 계층들인 농민이 농사도 짓고, 전쟁이 나면 병사가 되어 전쟁을 치렀습니다. 즉 동양에서는 병농일치인 반면, 서양에서는 병농분리가 이루어졌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균전제(均田制)
■■ 비전(飛錢) ■■
⊙ 비(飛) : 날 비 | 새 모습
⊙ 전(錢) : 돈 전 | 쇠 금(金) + [도적 전(戔)]
● 풀이 : 날아다닐(飛) 정도로 가벼운 돈(錢)
■ 설명 : 비전(飛錢)은 중국 당나라 때에, 상인들 사이에 쓰던 어음의 일종으로 송나라 때까지 사용하였습니다. 종이로 만들어 날아다닐 정도로 가벼운 돈이란 의미로 비전(飛錢)이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송나라의 교자(交子)나 회자(會子) 등의 지폐는 이러한 어음에서 발달한 것입니다.
☞ 관련되는 단어 : 교자(交子),회자(會子)
■■ 시박사(市舶司) ■■
⊙ 시(市) : 저자 시 | 깃발 모습
⊙ 박(舶) : 큰배 박 | 배 주(舟) + [흰 백(白)→박]
⊙ 사(司) : 맡을/관아 사 | 입과 숟가락 모습
● 풀이 : 해상 시장(市)의 선박(舶) 관리를 맡은 관아(司)
■ 설명 : 중국에서 해상무역과 출입하는 선박의 관리를 담당한 관청입니다. 당나라 때부터 있었으며, 청(淸)나라 때 해관(海關)이 설치되면서 폐지되었습니다.
■■ 당삼채(唐三彩) ■■
⊙ 당(唐) : 당나라 당 | 집 엄(广) + 붓 율(肀) + 입 구(口)
⊙ 삼(三) : 석 삼 | 셋
⊙ 채(彩) : 채색/무늬 채 | 터럭 삼(彡) + [캘 채(采)]
● 풀이 : 당(唐)나라에서 만든 세(三)가지 색채(彩)의 도자기
■ 설명 : 당삼채는 당나라 전기(7세기 말∼8세기 초)에 만들어진 백색 바탕에 녹색, 갈색, 남색 등의 3가지 색채(色彩)의 유약(釉藥: 광택을 내게하는 약)으로 여러 무늬를 넣은 도자기입니다.
▣ 일본
■■ 야마토정권(大和政權) ■■
⊙ 대(大) : 큰 대 | 큰 사람 모습
⊙ 화(和) : 화목할 화 | 벼 화(禾) + 입 구(口)
⊙ 정(政) : 정사 정 | 칠 복(攵) + [바를 정(正)]
⊙ 권(權) : 권세 권 | 나무 목(木) + [황새 관(雚)→권]
● 풀이 : 야마토(大和)에 있었던 정권(政權)
■ 설명 : 야마토(大和)는 일본 혼슈(本州) 가나가와현(神奈川縣)에 있는 도시입니다.
야마토정권(大和政權)은, 야마토(大和) 지역을 중심으로 3세기 말부터 7세기 중엽까지 일본 영토의 대부분을 지배한 일본 최초의 통일정권입니다.
4세기 말에 백제에서 한자(漢字)와 유교가 전래되고, 6세기 중엽에는 불교가 전래되면서 일본 불교의 황금기를 이룩하였습니다.
■■ 다이카개신(大化改新) ■■
⊙ 대(大) : 큰 대 | 큰 사람 모습
⊙ 화(化) : 될 화 | 사람 인(亻) + 비수 비(匕)
⊙ 개(改) : 고칠 개 | 칠 복(攵) + [몸 기(己)→개]
⊙ 신(新) : 새로울 신 | 도끼 근(斤) + 나무 목(木) + [매울 신(辛)]
● 풀이 : 다이카(大化)년에 새로(新) 고침(改)
■ 설명 : 다이카개신(大化改新)은, 646년 일본의 혁신파가 벌인 대규모 정치 개혁입니다. 기존의 정권을 무너뜨리고 새로운 정권이 들어서면서, 연호(年號)를 다이카(大化: 큰 변화)로 정하고, 도읍을 나니와(難波: 지금의 오사카)로 옮기며, 토지를 국유화하고, 당의 율령제도를 도입하였으며, 천황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적 정치기구를 구축하여, 고대 국가의 기초를 이루었습니다.
■■ 일본(日本) ■■
⊙ 일(日) : 날/해 일 | 해 모습
⊙ 본(本) : 근본 본 | 나무 목(木) + 한 일(一)
● 풀이 : 해(日)가 뜨는 근원(本)
■ 설명 : 일본(日本)의 '일(日)'은 '해'를 뜻합니다. '본(本)'은 '근원'이라는 뜻이므로 일본을 풀이하면 '해가 뜨는 곳'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일본 국기를 보면 흰 바탕에 붉은 원이 하나 있는데 이것은 '해'를 상징합니다.
일본이란 나라 이름은 663년 일본의 천지왕(天智王)이 만들었다고 합니다. 일설에는 이 천지왕이 백제나 고구려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우리나라 사람의 후손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보면 일본이 동쪽에 있으니까 해가 뜨는 곳이지만, 일본에 있는 사람은 일본에서 해가 뜬다고 생각하지 않겠지요?
■■ 헤이안시대(平安時代) ■■
⊙ 평(平) : 평평할 평 | 좌우 대칭인 저울 모습
⊙ 안(安) : 편안할 안 | 집 면(宀) + 여자 녀(女)
⊙ 시(時) : 때 시 | 날 일(日) + [모실 시(寺)]
⊙ 대(代) : 대신할 대 | 사람 인(亻) + 주살 익(弋)
● 풀이 : 헤이안쿄(平安)에 도읍을 정한 시대(時代)
■ 설명 : 헤이안쿄(平安京)은 '평안(平安)한 서울(京)'이란 뜻으로, 지금의 쿄토(京都)이며, 794년부터 1868년까지 일본의 수도였습니다.
헤이안시대(平安時代)는 794년 간무왕(桓武王)이 헤이안쿄로 천도한 때부터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가마쿠라 막부(幕府)를 개설한 1185년까지 약 400년간의 일본 정권입니다.
☞ 관련되는 단어 : 막부(幕府)
■■ 호류사(法隆寺) ■■
⊙ 법(法) : 법 법 | 물 수(氵) + [갈 거(去)→법]
⊙ 륭(隆) : 높을 륭 | 언덕 부(阜/阝) + 강 + 날 생(生)
⊙ 사(寺) : 절 사 | 마디 촌(寸) + 흙 토(土)
● 풀이 : 불교의 법(法)이 융성(隆)한 절(寺)
■ 설명 : 호류사는 일본 나라(奈良)에 있는 절로, 607년에 창건된 목조 건축물이며, 고구려의 중 담징이 그린 벽화가 있습니다.
▣ 중국 송나라
■■ 문치주의(文治主義) ■■
⊙ 문(文) : 글월 문 | 가슴에 문신 새긴 사람 모습
⊙ 치(治) : 다스릴 치 | 물 수(氵) + [기쁠 이(台)→치]
⊙ 주(主) : 주인 주 | 등잔 모습
⊙ 의(義) : 옳을 의 | 양 양(羊) + 나 아(我)
● 풀이 : (무인이 아니라) 문인(文)들이 다스리는(治) 주의(主義)
■ 설명 : 문치주의(文治主義)는, 무력을 배경으로 하는 정치와는 달리, 학문과 법령에 따라 정치를 하는 주의(主義)입니다. 문치주의는, 중국의 한나라 때 유교를 국교로 삼으면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 사대부(士大夫) ■■
⊙ 사(士) : 선비 사 | 도끼 모습
⊙ 대(大) : 큰 대 | 큰 사람 모습
⊙ 부(夫) : 남편/사내 부 | 큰 대(大) + 한 일(一)
● 풀이 : 선비(士)와 대부(大夫)
■ 설명 : 사대부(士大夫)는 고대 중국의 벼슬인 사(士)와 대부(大夫)를 합쳐 만든 단어로, 벼슬이나 문벌이 높은 집안의 사람이란 의미가 되었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공경대부(公卿大夫)
■■ 동업조합(同業組合) ■■
⊙ 동(同) : 같을 동 | 뚜껑이 있는 큰 솥 모습
⊙ 업(業) : 일 업 | 나무 목(木) + 플 무성할 착(丵)
⊙ 조(組) : 짤 조 | 실 사(糸) + [도마 조(且)]
⊙ 합(合) : 합할 합 | 뚜껑 있는 그릇 모습
● 풀이 : 같은(同) 업종(業)의 조합(組合).
■ 설명 : 동업조합(同業組合)은, 같은 종류의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공동의 이익을 늘릴 목적으로 조직한 조합으로, 근대에는 협동조합으로 바뀌었습니다.
■■ 성리학(性理學) ■■
⊙ 성(性) : 성품 성 | 마음 심(忄) + [날 생(生)→성]
⊙ 리(理) : 다스릴 리 | 구슬 옥(玉/王) + [마을 리(里)]
⊙ 학(學) : 배울 학 | 아들 자(子) + 절구 구(臼) + 점괘 효(爻) + 덮을 멱(冖)
● 풀이 : 우주 만물의 성질(性)과 이치(理)를 연구하는 학문(學)
■ 설명 : 성리학은 중국의 송(宋) 나라와 명(明)나라 때 학자들에 의하여 성립된 유학의 한 파이자 학설입니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말기에 들어와 조선의 통치 이념이 되었고, 율곡 이이와 퇴계 이황에 이르러 조선 성리학으로 체계화되었습니다.
내용은 크게 나누어 태극설(太極說), 이기설(理氣說), 심성론(心性論), 성경론(誠敬論)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 참고 : 여름이 되면 덥고, 겨울이 되면 추워집니다. 물이 얼면 얼음이 되고, 뜨거우면 증발합니다.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릅니다. - 옛 사람들은 이런 성질(性質)이나 이치(理致)를 나름대로 규명하려고 많은 노력을 했습니다. 학자들이 모여 연구도 하고 토론도 하였습니다. 그래서 나름대로 결론을 만들어 내었습니다. 예를 들어 양의 기운이 많아지면 더운 여름이 되고, 음의 기운이 많이 모이면 추운 겨울이 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리고 세상은 모두 양의 기운과 음의 기운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과학이 발전되면서, 모든 것이 과학적인 현상으로 규명되었습니다. 여름이나 겨울이 오는 이유는 지구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또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는 이유는 중력때문이라는 것을 이제는 초등학생이면 알 수 있습니다만, 중력이라는 과학적 사실을 몰랐던 옛 사람들은 우주에는 어떤 이치가 있다고 생각을 하였습니다.
따라서 성리학은 과학적 실험이나 사실에 입각하지 않고, 상상이나 토론만으로 만물의 성질과 우주의 이치를 규명한 것입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과학적이고 현실적인 실학(實學)이 탄생되게 됩니다.
☞ 참고 : 성리학은 '성'자는 '송'자와 비슷하지요? 따라서 성리학은 '송'나라 때 만든 학문이라고 암기하세요.
☞ 관련되는 단어 : 이기론(理氣論),실학(實學)
■■ 나침반(羅針盤) ■■
⊙ 나,라(羅) : 벌릴 라 | 그물 망(网/罒) + 벼리/오직 유(維)
⊙ 침(針) : 바늘 침 | 쇠 금(金) + [열 십(十)→침]
⊙ 반(盤) : 소반/쟁반 반 | 그릇 명(皿) + [일반 반(般)]
● 풀이 : 침(針)을 벌려(羅) 놓은 쟁반(盤)
■ 설명 : 나침반은 침(針)으로 방위를 알 수 있도록 만든 기구입니다.
나침반은 중국에서 먼저 만들었습니다. 그 당시 중국에서는 자석인 침(針)이 항상 남북을 가리키는 것을 이용하여 가벼운 갈대나 나무 등에 붙여서 쟁반(錚盤)에 담긴 물에 띄워 방향을 아는 데 사용하였습니다. 그래서 이름도 바늘을 벌려 놓은 쟁반이란 뜻의 나침반이라고 이름을 지었습니다.
▣ 중국 원나라 - 일본
■■ 동방견문록(東方見聞錄) ■■
⊙ 동(東) : 동녘 동 | 묶어 놓은 자루 모습
⊙ 방(方) : 모 방 | 쟁기 모습
⊙ 견(見) : 볼 견 | 눈 목(目) + 어진사람 인(儿)
⊙ 문(聞) : 들을 문 | 귀 이(耳) + [문 문(門)]
⊙ 록(錄) : 기록할 록 | 쇠 금(金) + [깍을 록(彔)]
● 풀이 : 동(東)쪽 지방(方)을 여행하면서 보고(見) 들은(聞) 것을 기록(錄)한 책
■ 설명 : 이탈리아의 마르코 폴로가 1271년부터 1295년까지 동방을 여행한 체험담을 기록한 여행기입니다.
마르코 폴로는 1275년에 이탈리아를 출발하여 내륙으로 중앙아시아와 중국(원나라)을 여행하였고, 돌아 오는 길은 배를 타고 동남아, 인도, 페르시아 등을 여행을 하면서, 1295년 이탈리아로 돌아왔습니다. 중국에서는 얼마동안 벼슬까지 하였습니다. 책의 내용은 자신 돌아본 지역의 정치, 사회, 풍습, 인종 등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 있습니다. 특히 몽고군의 편성, 전투 방법, 통신 등을 소개하여 원나라가 어떻게 세계를 지배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자세히 소개되어 있습니다.
☞ 참고 : 동방견문록(東方見聞錄)은 원나라 때 만들어진 것임을 암기해야 합니다. 서양 사람인 마르코 폴로가 아시아의 수 많은 지역을 여행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아시아 대륙 전체를 징기스칸의 후예인 원나라 쿠빌라이(세조)가 통치하였기 때문에 여러 나라를 통과하지 않아도 되었고, 또한 마르코 폴로가 쿠빌라이의 신임을 얻었기 때문에 가능하였습니다.
■■ 역참제(驛站制) ■■
⊙ 역(驛) : 역마 역 | 말 마(馬) + [엿볼/죄인 잡을 역(睪)]
⊙ 참(站) : 역 마을 참 | 설 립(立) + 점칠 점(占)
⊙ 제(制) : 마를 제 | 칼 도(刂) + 소 우(牛) + 수건 건(巾)
● 풀이 : 역(驛)이 있는 역마을(站)을 두는 제도(制)
■ 설명 : 역참은 역이 있는 마을로, 말을 기르며, 잠을 잘 수 있는 여관도 있으며, 역리들은 나라에서 주는 밭을 경작하면 살았습니다. 이러한 역참제도는 중국 춘추전국시대부터 있었으며, 우리나라는 삼국시대에 들어 왔습니다.
☞ 참고 : 역사상 역참이 가장 잘 발달된 나라가 징기스칸이 지배한 몽고제국(나중에 원나라가 됨)입니다.
역참을 출발한 말이 다음 역참에 도달하면 릴레이 경주를 하듯이 문서를 건네받고 다음 역참까지 전력으로 질주하였습니다.
13세기 동방견문록(東方見聞錄)을 지은 마르코폴로는 이러한 역참을 따라 원나라를 둘러보고 " 열흘 정도의 거리로부터 칸(몽고제국의 왕)이 급보를 받는 데는 하루 밖에 걸리지 않았다"고 이야기했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역전제(驛傳制),동방견문록(東方見聞錄)
■■ 색목인(色目人) ■■
⊙ 색(色) : 빛 색 | 두사람 모습
⊙ 목(目) : 눈 목 | 눈 모습
⊙ 인(人) : 사람 인 | 사람 모습
● 풀이 : 눈(目)동자에 색(色)이 있는 사람(人)
■ 설명 : 색목인(色目人)은 중국 원나라 때에, 유럽이나 서아시아, 중부 아시아 등지에서 온 외국인을 통틀어 이르던 말입니다. 외국인들의 눈동자 색이 동양인과 다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압니다.
☞ 참고 : 색목인(色目人)과 비슷한 말로 '푸른 눈'이란 뜻을 가진 벽안(碧眼)도 있습니다. 벽안은 눈동자가 푸른 서양 사람을 가르키는 말입니다.
■■ 막부(幕府) ■■
⊙ 막(幕) : 장막 막 | 수건 건(巾) + [없을 막(莫)]
⊙ 부(府) : 관청 부 | 집 엄(广) + [부칠 부(付)]
● 풀이 : 천막(幕) 정부(府)
■ 설명 : 막부(幕府)는 중국에서 전쟁 중에 있는 장군이 머물던 천막이나 막사를 가르키는 말이었습니다. 즉 전쟁 중에 이동하면서 수시로 천막을 쳐서 진영이 둘러싼 것을 부(府)라고 하였기 때문에 이 명칭이 붙었습니다.
또, 1192년에서 1868년까지 일본에 쇼군(將軍: 장군)들이 다스린 무신 정부도 막부(幕府)라고 합니다. 천황은 상징적인 존재가 되고 쇼군이 실질적인 통치권을 가졌습니다.
무신들이 통치하던 막부는 1868년 메이지유신(明治維新)으로 막을 내리고,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가 시작됩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에도막부(江戶幕府),쇼군(將軍),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
▣ 중국 명나라
■■ 이갑제(里甲制) ■■
⊙ 리(里) : 마을 리 | 땅위의 밭 모습
⊙ 갑(甲) : 갑옷 갑 | 갑옷 모습
⊙ 제(制) : 마를 제 | 칼 도(刂) + 소 우(牛) + 수건 건(巾)
● 풀이 : 이(里)와 갑(甲)으로 구성된 제도(制)
■ 설명 : 이갑제(里甲制)는, 중국 명나라 때 시행한 부역법(賦役法)에 따른 촌락의 자치적 행정 조직으로, 10집을 1갑(甲)이라 하고, 다시 10갑(甲)을 1리(里)로 해서, 이장(里長)이 호적부인 부역황책(賦役黃冊)을 작성하고, 조세 징수, 치안 유지 등을 맡았습니다. 청나라에도 계승되었으나 후에 보갑제(保甲制)로 바뀌었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부역황책(賦役黃冊),보갑제(保甲制),균전균역법(均田均役法)
■■ 조공(朝貢) ■■
⊙ 조(朝) : 아침/임금 뵈올 조 | 밝을 명(明) + [풀 초(艹)→조]
⊙ 공(貢) : 바칠 공 | 조개 패(貝) + [장인 공(工)]
● 풀이 : 임금(朝)을 뵙고 예물을 바침(貢)
■ 설명 : 지배를 당하는 나라가 지배하는 나라에 때를 맞추어 예물을 바치던 일을 조공이라 합니다.
■■ 일조편법(一條鞭法) ■■
⊙ 일(一) : 한 일 | 하나를 나타내는 기호
⊙ 조(條) : 조목/가지 조 | 나무 목(木) + [바 유(攸)→조]
⊙ 편(鞭) : 채찍 편 | 가죽 혁(革) + [편할 편(便)]
⊙ 법(法) : 법 법 | 물 수(氵) + [갈 거(去)→법]
● 풀이 : 한(一)가지 조목(條)으로 통일한 채찍(鞭)같은 세법(法)
■ 설명 : 일조편법(一條鞭法)은 중국 명나라 후기부터 청나라 초기까지 시행된 세법으로, 현물세와 부역 따위의 여러 세금을 하나로 통일하여 은(銀)으로 징수하였습니다. 후에 청나라 때에 들어와 지정은제(地丁銀制)로 발전하였습니다.
원래는 일조편법(一條編法: 한가지 조목으로 엮은 법)이라고 썼으나, 은(銀)의 독점과 고갈로 세금을 내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면서 이 제도가 백성들에게는 채찍과 같다고 해서 채찍 편(鞭)자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지정은제(地丁銀制)
■■ 양명학(陽明學) ■■
⊙ 양(陽) : 볕 양 | 언덕 부(阜/阝) + [빛날 양(昜)]
⊙ 명(明) : 밝을 명 | 날 일(日) + 달 월(月)
⊙ 학(學) : 배울 학 | 아들 자(子) + 절구 구(臼) + 점괘 효(爻) + 덮을 멱(冖)
● 풀이 : 왕양명(王陽明)이 만든 학설(學)
■ 설명 : 중국 명나라 사람인 왕양명(王陽明)이 주창한 새로운 유교 학설(學說)로,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 지식과 행위는 원래 하나이므로, 알고 행하지 아니하면 진짜 아는 것이 아니라는 학설)을 강조하였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
■■ 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 ■■
⊙ 곤(坤) : 땅 곤 | 흙 토(土) + 납 신(申)
⊙ 여(輿) : 수레/땅 여 | 수레 거(車) + [마주들 여(舁)]
⊙ 만(萬) : 일만 만 | 전갈의 모습
⊙ 국(國) : 나라 국 | 둘러싸일 위(囗) + 혹 혹(或)
⊙ 전(全) : 온전할 전 | 거푸집의 모습
⊙ 도(圖) : 그림 도 | 둘러싸일 위(囗) + 마을 비(啚)
● 풀이 : 곤여(坤輿: 지구나 땅) 위의 만(萬)개의 나라(國)를 그림 전체(全) 지도(圖)
■ 설명 : 옛 중국 사람들은 땅을, 만물을 싣고 있는 하나의 큰 수레로 생각하였습니다. 위에 나오는 곤여(坤輿: 땅 수레)나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나 동국여지도(東國輿地圖)의 여지(輿地: 수레 땅)이 그런 예입니다.
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는 1602년에, 선교사로 명나라에 와 있던 이탈리아의 마테오 리치가 제작하여 한문으로 출판한 세계 지도입니다. 조선 선조 36년(1603년)에 우리나라에도 전래되었습니다.
▣ 중국 청나라 - 우리 나라와 일본
■■ 지정은제(地丁銀制) ■■
⊙ 지(地) : 땅 지 | 흙 토(土) + [어조사 야(也)→지]
⊙ 정(丁) : 장정 정 |
⊙ 은(銀) : 은 은 | 쇠 금(金) + [괘이름 간(艮)→은]
⊙ 제(制) : 마를 제 | 칼 도(刂) + 소 우(牛) + 수건 건(巾)
● 풀이 : 땅(地)과 장정(丁)에게 매기는 세금을 은(銀)으로 징수하던 제도(制)
■ 설명 : 지정은제(地丁銀制)는 중국 청나라 때에, 땅에 매긴 토지세(土地稅)와 사람에게 매긴 인정세(人丁稅)를 합쳐서 은(銀)으로 징수하던 징세 제도(制度)입니다. 명나라 때부터 시행하던 일조편법(一條鞭法)이 발전된 형태로, 1810년부터 1870년까지 시행하였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일조편법(一條鞭法),~정(丁)
■■ 고증학(考證學) ■■
⊙ 고(考) : 생각할 고 | 늙을 로(耂) + [교묘할 교(丂)→고]
⊙ 증(證) : 증거 증 | 말씀 언(言) + [오를 등(登)→증]
⊙ 학(學) : 배울 학 | 아들 자(子) + 절구 구(臼) + 점괘 효(爻) + 덮을 멱(冖)
● 풀이 : 증거(證)를 고려(考)하는 학문(學)
■ 설명 : 고증학(考證學)은 고증(考證: 증거를 고려함)에 기초를 둔 학문입니다. 헛된 이론이나 토론에 의하지 않고, 옛 문헌이나 증거 등 사실에 근거를 두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려는 과학적인 학문으로, 중국 명나라 말기에 일어나 청나라 때에 발전하였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실증주의(實證主義)
● ● ● ● ● ● 변발령(辨髮令) : Not Found.
■■ 훈민정음(訓民正音) ■■
⊙ 훈(訓) : 가르칠 훈 | 말씀 언(言) + [내 천(川)→훈]
⊙ 민(民) : 백성 민 | 침에 찔린 눈 모습
⊙ 정(正) : 바를 정 | 그칠 지(止) + 한 일(一)
⊙ 음(音) : 소리 음 | 입과 피리 모습
● 풀이 : 백성(民)에게 가르치는(訓) 바른(正) 소리(音)
■ 설명 : 옛날 서당에서 글을 가르치는 선생님을 훈장(訓長)이라고 합니다. 이때 훈(訓)자는 '가르치다'는 뜻입니다.
훈민정음은 '백성에게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1443년에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글을 말합니다.
☞ 참고 : 훈민정음이란 이름은 언제 한글로 바뀌엇나요?
훈민정움은 1913년 주시경(1876-1914) 선생님이 '하나의 글' '큰 글'이라는 뜻의 '한글'이란 말로 바꾸었습니다.
■■ 실학(實學) ■■
⊙ 실(實) : 열매/실제 실 | 집 면(宀) + 꿸 관(貫)
⊙ 학(學) : 배울 학 | 아들 자(子) + 절구 구(臼) + 점괘 효(爻) + 덮을 멱(冖)
● 풀이 : 백성들의 생활에 실제로(實) 도움을 주는 학문(學)
■ 설명 : 조선후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두 번에 걸친 오랜 전쟁으로 우리나라의 많은 땅이 황폐화되어 못 쓰게 되고 식량 생산이 줄어들어 백성들은 큰 어려움을 겪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당시의 유학자들은 이론과 학설만 중시하면서, 백성들의 어려운 사정을 외면하였습니다. 이러한 때에 백성들이 잘 살 수 있는 나라를 만드는 학문을 연구하자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학문을 실학(實學)이라고 불렀는데, 청나라에서 들어온 고증학과 서양의 과학적 사고 방식을 받아 들여 백성들의 생활에 실제(實際)로 도움을 주는 학문(學問)이란 뜻입니다.
■■ 에도막부(江戶幕府) ■■
⊙ 강(江) : 강 강 | 물 수(氵) + [장인 공(工)→강]
⊙ 호(戶) : 지게문 호 | 한쪽 문 모습
⊙ 막(幕) : 장막 막 | 수건 건(巾) + [없을 막(莫)]
⊙ 부(府) : 관청 부 | 집 엄(广) + [부칠 부(付)]
● 풀이 : (군대가 주둔하는) 에도(江戶)시대의 천막(幕) 정부(府)
■ 설명 : 에도(江戶)는 '강(江)이 바다로 나가는 문(戶)'라는 뜻으로, 도쿄에 옛 이름입니다. 도쿄가 바다로 들어가는 강가에 위치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막부(幕府)는 원래 중국에서 전쟁 중에 있는 장군이 머물던 천막(天幕) 혹은 막사(幕舍)를 가르키는 말이었습니다. 일본에서의 막부는 쇼군(將軍: 장군)이 다스리는 무신 정부를 말합니다.
에도막부(江戶幕府)는, 일본의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가 1603년에 에도(江戶)에 수립한 무신 정부로, 1867까지 15대 265년이나 지속되었습니다. 도쿠가와가 만들었다고, 도쿠가와막부(德川幕府)라고도 합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에도시대(江戶時代),쇼군(將軍)
■■ 통신사(通信使) ■■
⊙ 통(通) : 통할 통 | 갈 착(辶) + [길 용(甬)→통]
⊙ 신(信) : 믿을/정정보 신 | 사람 인(亻) + 말씀 언(言)
⊙ 사(使) : 하여금/사신 사 | 사람 인(亻) + 아전 리(吏)
● 풀이 : 두나라가 서로 정보(信)를 통(通)하기 위해 교류하는 사신(使)
■ 설명 : 통신사는 조선 시대에, 일본으로 보냈던 사신입니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난 후 일본이 전쟁을 일으킨 것을 반성하고 다시 외교를 하자고 간청해 와서, 조선은 정기적으로 일본에 통신사를 보내 학문과 기술, 그리고 문화를 전해 주었습니다. 조선 말기의 고종 13년(1876년)에는 수신사(修信使)로 이름을 고쳤습니다.
▣ 인도와 동남아시아
■■ 소승불교(小乘佛敎) ■■
⊙ 소(小) : 작을 소 | 새싹이나 점 모습
⊙ 승(乘) : 탈 승 | 삐침 별(丿) + 나무 목(木) + 북녘 북(北)
⊙ 불(佛) : 부처 불 | 사람 인(亻) + [아니 불(弗)]
⊙ 교(敎) : 가르칠 교 | 칠 복(攵) + 점괘 효(爻) + 아들 자(子)
● 풀이 : (한 사람들이) 작은(小) 수레를 타는(乘) 불교(佛敎)
■ 설명 : 자동차를 타는 것을 승차(乘車)라고 하지요. 이때 승(乘)자는 '(수레에) 탄다'는 뜻입니다.
소승(小乘)이란 "작은 수레에 탄다"는 의미로, 불교에서 깨달음을 얻으면, 깨달음을 얻은 사람만 작은 수레를 타고 구원을 얻는다는 의미입니다. 깨달음을 얻은 사람이 다른 사람들을 모두 깨우칠 수 있다는 대승에 대비되는 말입니다.
이러한 소승불교(小乘佛敎)는 버어마, 태국, 라오스 등 동남아시아 국가에 전해졌습니다.
☞ 참고 : 한중일 3 나라는 국력이 크기 때문에 큰 대(大)자의 대승불교가 있고, 버어마, 태국, 라오스 등 동남아 국가는 국력이 작기 때문에 작을 소(小)자의 소승불교가 있다고 암기하십시오. 재미있는 사실은 불교를 만든 인도는 불교 대신 힌두교를 믿으며, 불교를 힌두교의 한 종파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 관련되는 단어 : 대승불교(大乘佛敎)
■■ 대승불교(大乘佛敎) ■■
⊙ 대(大) : 큰 대 | 큰 사람 모습
⊙ 승(乘) : 탈 승 | 삐침 별(丿) + 나무 목(木) + 북녘 북(北)
⊙ 불(佛) : 부처 불 | 사람 인(亻) + [아니 불(弗)]
⊙ 교(敎) : 가르칠 교 | 칠 복(攵) + 점괘 효(爻) + 아들 자(子)
● 풀이 : (많은 사람들이) 큰(大) 수레를 타는(乘) 불교(佛敎)
■ 설명 : 탈 승(乘)자는 승차(乘車), 승마(乘馬)에서 보듯이 "탄다"는 의미입니다.
대승(大乘)이란 "큰 수레에 탄다"는 의미로, 불교에서 깨달음을 얻으면, 깨달음을 얻은 사람 뿐만 아니라 다른사람들도 깨우쳐, 많은 사람들이 함께 큰수레를 타고 모두 구원에 도달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대승불교(大乘佛敎)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에 전해졌습니다.
☞ 참고 : 불교에는 신(神)이 있을까요?
원래 불교에서는 신(神)이 없습니다. 하지만 대승불교에서는, 기독교에서 예수를 신으로 숭배하듯이, 부처를 신으로 숭배합니다. 즉 부처를 믿으면 극락에 간다고 합니다. 이렇게 신으로 숭배하는 이유는 일반 사람들에게 불교를 빨리 전파하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개인마다 자신의 깨달음을 중시하는 소승불교는 신(神)이 없습니다. 소승불교에서의 부처는 '깨달음을 얻은 한 사람'일 뿐입니다.
☞ 관련되는 단어 : 소승불교(小乘佛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