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어머니 아래 자란 남매는 매일 연락을 주고 받을만큼 가까웠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오빠의 죽음
공무원 시험 합격 후 찍은 사진은 영정사진이 됐다
대학 졸업후 대기업에 취직해 근무했던 박성훈씨
더 의미있는 일을 하고 싶다며 뒤늦게 찾은 꿈이 공무원이었다.
두차례 도전 끝에 근로감독관으로 임명된 성훈씨
가장 먼저 출근해 사무실을 청소할 만큼 의욕적이었으나
민원인을 상담하는 업무를 맡게 된 후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였다.
민원인에게 실수를 해 힘들다는 오빠에게 동생은 위로의 말을 건넬 수 밖에 없었다.
공무원 임용 9개월 차
어버이날을 앞두고 기차표까지 예매해놨던 성훈씨는 숨진 채 발견되었다.
고인은 해고예고수당 지급과 관련한 민원을 주로 맡아왔었다.
예민한 노사문제를 다루다보니 민원이 많은 직무
당시 관계법이 바뀌면서 평소에 비해 업무량이 3배가량 늘어난 시기였다.
동료들보다 더 많은 업무를 처리해 좋은 평가를 받았던 고인.
한 민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시작됐다.
민원인에게 지침을 잘못 안내했던 것.
업무처리 지침 해석에 착오가 있었다.
고인과 그 상급자가 민원인에게 사과했고, 담당자를 변경조치 했다.
결국 고인은 두 번의 경징계를 받았다.
그러자 민원인은 고인의 상급자와 기관장들까지 검찰에 고발했다.
자신의 실수로 상급자들까지 피해를 입었다며 괴로워했다던 고인.
고발 사실을 통보받고 이틀 뒤
고인은 공직생활 일 년을 채우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민원인과 동료들에게는 죄송하다는 유서를 남겼다.
고인의 사망 이후 상급자들에 대한 고소는 모두 무혐의로 종결됐다.
하지만 고인이 죽은 이후에도 민원은 계속됐다
고인의 죽음은 업무상 스트레스로 인한 순직으로 인정되었다.
수소문 끝에 민원인을 만난 제작진
그는 조사과정에서 불쾌감을 느꼈다고 했다.
고인과의 통화기록을 들려주는 민원인
흰색이 고인, 파란색이 민원인
자신의 민원제기와 고소가 고인의 죽음과 무관하므로 순직을 인정할 수 없다는 민원인
민원인에 의한 고소 고발에 법률지원은 없었다
오롯이 개인이 홀로 대처해야했다.
첫댓글 저런 마인드로 사니까 해고나 당하고 그러는거지. 아 너무 빡치네요.
정확히 공감합니다
저렇게까지 하면 나중에 다 본인에게 돌아올텐데..
우리동네에서 있었던 일이였네요 ㅠㅠ 안타깝네요 정말
안그래도 젊은 공무원들의 퇴사가 급증하고있다는 뉴스를 봤는데
이런 악성민원인으로부터 공무원들 보호가 반드시 생겨야 할것 같습니다
악성 민원인들은 민원을 넣으면 반드시 기계적으로 담당자에게 위계에 의한 모종의 제제가 가해지는 시스템을 오용하는 것에 능란한겁니다. 손하나 까닥하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가할 수 있는 사회적 폭력을 손에 쥐고 있는 것과 같죠. 담당자는 민원이 두렵다고하지만 실제적으로는 무차별적 기계적으로 작용(?)하는 그 제제가 그 대상입니다.
악성 민원인은 비단 관공서만 대상으로 하지 않습니다. 고소고발, 학교 뿐 아니라 별점테러 및 사이버게시판 등 내 대신 손에 피묻힐 수 있는 수단으로 조리돌림만 가능하다면 어디든 활동합니다. 그들에게는 충직한 체스판의 말들이죠.
안타깝네요
와... 마인드 정말...
이스라엘 마인드
너무 화가 난다….
악성민원인에 대한 제재가 필요합니다. 어떤 사람은 수년간 수천번의 악성민원 러쉬로 담당자들이 반년을 못버티고 계속 바뀌던데... 쓰레기같은 민원이더라도 증빙자료 만들어서 소명해야되는게 공무원이라서...
악성 민원 정말 멘탈 터지죠.. ㅎ
살아있는 사탄이네요
고발로 공무원이 징역을 살아도 가벼운 처벌 선에서 끝나니 그런거 괜찮고 순직 인정으로 자신이 살인자되는건 싫고;;;; 아오...
진짜 저런게 악마네요.
제가 유족이면 저따위 말 하는 걸 보는 순간 내 모든 걸 털어넣어서라도 사적제제 할 것 같네요.
222 저도 제인생갈아넣어서 할듯..
다 좋은데 공무원은 자영업자인가요?
왜 기관에서는 가만히 있고(대응을 안하고) 다 개인이 일일히 대응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관리자들 뿐 아니라 대부분 승진에 목숨거니 마이너스 돼는건 절대자기에게 안오게 하다보니저런거 같습니다.
결정적순간에는 밑에 직원들 책임전가
돈을 벌지 않는 집단에선 그냥규정에만 맞고 일만 생기지 않으면 되는거라그르쵸
저런 민원인은 걸르고, 민원 담당자에게 책임 묻지 않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해 보입니다. 사기업은 오히려 직원을 더 보호하는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