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어종 ●표준명 : 노래미 ●학명 : Hexagrammos agrammus ●日名 : 구지메(クジメ) ●특징 : 복부 색깔이 회색인 쥐노래미에 비해 노래미는 적갈색 또는 황갈색. 꼬리지느러미 윤곽이 거의 직선인 쥐노래미에 비해 노래미는 약간 둥근편이다.
●표준명 : 게르치 ●학명 : Scombrops boops ●日名 : 무스(ムシ) ●특징 : 농어목 게르치과 게르치 속에 속하는 게르치는 심해어로서 쥐노래미와는 전혀 별개의 어종인데도 불구하고 부산을 비롯한 남해안 일부 지역에선 노래미와 구분하여 쥐노래미를 게르치라 부르는데, 이는 대단히 잘못된 이름이다.
‘꿩 대신 닭’이라 했던가. 연안에서의 물고기 자원량이 점차 감소됨에 따라 최근 서해안의 우럭(조피볼락) 배낚시에는 주인공 우럭보다 쥐노래미가 더 많이 잡히고 있다. 초창기에 많은 자원량을 자랑하던 조피볼락이 점차 줄어들자 잡어로 취급하던 쥐노래미에 대한 인기도가 높아지면서 자주 인용되는 말이다. 굳이 쥐노래미만을 노리고 출조하는 이는 아직 없겠으나, 먹성이 좋고 입질이 화끈하면서도 덩치가 큰 놈은 50cm 전후까지나 되어 손님고기 치고는 매력을 지닌 종이라 하겠다.
물고기들은 자기가 살고 있는 주위 환경에 따라 체색을 달리하는데, 뻘바닥이 많은 서해안에서 주로 사는 민어류 ·조피볼락(우럭)·가숭어 등은 원색을 많이 띤 남해안의 돔·놀래기·볼락류에 비해서 회색과 황갈색을 많이 띠고 있다. 그런 면에서는 회색이 짙은 쥐노래미가 모랫바닥이 대부분인 동해안에서부터 남해안과 서해안 전 연안에 고루 분포하고 있는 점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이름 쥐노래미는 그 체색이 서식 장소나 개체에 따라 차이가 많지만, 일단 복부가 회색(쥐색)을 띠고 있어 황갈색과 적갈색을 띠고 있는 노래미와 구별되기 때문에 그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생각된다. 지방에 따라서 노래미·게르치(부산), 돌삼치(강릉)로 불리우는 쥐노래미는 예부터 노래미와의 정확한 구분이 어려웠던 것 같다. 즉 「자산어보(玆山魚譜)」에는 노래미(耳魚)와 쥐노래미(鼠魚, 走老南魚)가 구별되어 기재되어 있으나 크기나 체색의 설명으로 보아 현재의 표준명과는 반대인 것 같다. 즉 ‘노래미’는 크기가 두세 자 정도에 빛깔이 황색 또는 황회색이고, ‘쥐노래미’는 붉은 색과 검은 색을 띠고 비린내가 많이 나 맛이 없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실제 표준명이 ‘노래미’인 종은 적갈색을 많이 띠며 대개 그 크기가 30cm보다 작고, 길이가 두세 자까지 자라는 종은 ‘쥐노래미’이기 때문이다.
이같은 쥐노래미의 학명은 Hexagrammos otakii인데 Hexagrammos는 그리스어로 hexa(6개)와 gramma(측선, 側線)의 합성어로서 6개의 측선을 가졌다는 뜻이다.(그러나 실제는 5개의 측선을 가지고 있으며, 복부측선의 나누어진 가지선까지 합치면 6개이다.) 이러한 뜻의 이름을 그대로 일반명으로 사용하고 있는 나라는 중국으로 ‘六線魚’(육선어)라고 부르고 있다. 영명은 kelp란 해조류가 많은 곳에 산다 하여 'kelpfish'또는 어릴적 푸른색을 띤다 하여 'greenling'이라고도 불리운다. 일명은 ‘아이나메’(アイナメ)인데, 이 이름은 쥐노래미가 은어와 같이 자신의 세력권(텃세)을 가지고 있다 하여 아유나미(鮎?, あいなめ, 아이나메)에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다. 또 맛이 있다 하여 鮎魚女 또는 愛魚女로 쓰이기도 한다. 우리의 「자산어보」에서는 노래미, 쥐노래미를 맛이 없는 고기로 기록하고 있는 데 비해 일본에서는 예부터 맛이 있다 하여 사랑스런 이름을 붙여 놓았다는 것은 식성이 차이라고 할까, 어획량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해야 할까.
●특징 쥐노래미의 가장 큰 특징은 옆줄(側線)이 5줄이란 점이다. 일반 어류의 옆줄(Lateral line)은 피부 감각기관중의 하나인데, 그물 모양의 독특한 측선을 가진 그물베도라치나 옆줄을 가지지 않는 정어리도 있으나 대부분의 어류는 1개의 옆줄을 가진다. 또 같은 쥐노래미속에 속하는 무리 중에서 임연수어와 쥐노래미의 옆줄 수는 5개인데 비하여 노래미는 1개의 옆줄을 가지고 있어 뚜렷한 분류 형질이 되기도 한다. 더불어 쥐노래미는 눈 위쪽에 조그만 피질돌기를 가지고 있다. 이 피질돌기는 물속에서 쥐노래미나 노래미가 바위 위에 앉아 있을 때에는 마치 소리를 듣기 위해 귀를 세우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단순한 돌기에 지나지 않는다(어류의 귀는 사람과 달리 中耳, 外耳가 없이 內耳로만 이루어져 밖에서 볼 수가 없다). 쥐노래미는 바닥 생활을 주로 하며 대부분의 시간을 배를 바닥에 대고 지내므로 부레가 없다. 이것은 초기의 플랑크톤 생활기에는 가지고 있던 부레가 저서생활로 변환함에 따라 퇴화, 소실되는 종으로 넙치와 가자미류가 있다. 따라서 쥐노래미는 몇 번의 지느러미와 꼬리 운동으로 이동하여, 그 움직임을 멈추면 바로 바닥에 가라 앉는다.
●분포·분류 쥐노래미는 노래미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한다. 북해도 이남의 일본 전 연안, 황해와 발해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주 분포역은 연안의 돌밭과 해초밭·사니질 바닥에 돌이 섞여 깔린 곳이며, 행동은 그다지 활발하지도 않고 먼 거리를 회유하지도 않는다. 대부분 연안에 살고 있으나 대형급은 수심 70m 깊이까지 살고 있다. 이같은 쥐노래미는 횟대목(目), 쥐노래미과(科), 쥐노래미속(屬)에 속하며 노래미(H. agrammus)도 같은 속에 속한다. 또 동해안에 많이 나는 임연수어(pleurogrammus azonus, 임연수어속)는 쥐노래미과에 속하는 근연종이다.
쥐노래미의 알은 둥글고 침성 점착란으로 덩어리를 이루며, 알 지름은 1.8~2.2mm, 색은 담황갈색·담황자색 등 다양하며, 알 속에는 많은 기름방울(油球)을 가진다. 산란한 알은 덩어리가 되어 해조류(모자반·도박 등)의 줄기 및 뿌리 부근이나 바닥 암초의 굴곡진 부분에 부착한다. 알과 알은 강한 점착성을 가지고 있으나 덩어리가 되어도 알과 알 사이에는 공간이 있어 발생이 계속되는 동안에도 물이 잘 통한다.
수정란은 수온 15.5℃에서 12일째 배체에 눈이 생기며, 23일부터 부화한다. 부화까지의 소요시간은 수온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데 9℃에서 40~45일, 13℃에서 30~35일, 15℃에서 25~30일, 17.5~20.2℃에서 20일 전후가 된다. 20℃이상으로 올라가면 정상적인 발생이 어렵다. 갓 부화된 쥐노래미 새끼는 길이가 6.6~8.4mm 범위이며, 약 1.3mm 길이의 난황을 갖고 있고 가느다란 꼬리를 좌우로 흔들며 수면 가까이에서 무리지어 헤엄쳐 다닌다. 이 때 입은 열려 있으며 머리 윗부분에 황색소가 있고, 그 위에 큰 별 모양의 흑색소포가 수십개 발달한다. 또 몸통과 꼬리의 등쪽 가장자리를 따라 흑색소포가 발달하고 소화관 등쪽과 복부에 흑색소포가 많으나, 전체적으로는 푸른 빛이 강하다. 부화 후 5~6일이 지나면 약 9mm로 자라며 이 때부터 작은 플랑크톤을 잡아먹기 시작한다. 13~14mm로 자라면 각 지느러미 줄기가 발달하며 체고(體高)가 높아지기 시작하고 체측에 흑색소포가 잘 발달한다.
성장이 2cm정도 되면 각 지느러미가 완성되어 치어(穉魚)로 전환한다. 쥐노래미의 치어는 겨울철 연안의 표층을 떼지어 헤엄쳐 다니다가 3~4월이 되면 5cm로 전후로 자라며 이 시기부터 청색을 띠고 있던 몸빛이 갈색을 띠기 시작하고 5~7cm가 되는 4,5월에 표층 생활에서 바닥 생활로 전환하게 된다. 따라서 한 여름이 되면 6~8cm크기의 새끼 쥐노래미들이 낚시에 곧잘 낚이는 것이다. 이렇게 표층 생활을 끝내고 바닥으로 내려간 쥐노래미는 그다지 자리를 많이 이동한다든가 회유하지 않고 부근 연안에서 계속 살게 된다. 그러나 이들의 행동 반경은 노래미에 비해서는 조금 더 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장·식성 자연상태에서 태어난 쥐노래미 새끼의 성장은 개체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 겨울철 수면 부근에떠 다니던 1~2cm이 쥐노래미는 4~5개월만에 5cm전후로 성장한 뒤 바닥으로 내려가며, 1년이 지나서 1살이 되면 15cm 전후로 자란다. 2년만에 22cm, 3년만에 25~29cm, 4년만에 30~38cm 정도로 자란다. 따라서 성장이 개체마다 틀리므로 20~급 쥐노래미의 나이는 2~3세로 볼 수 있으며, 25cm이상 30cm급은 3,4세 이상이라 볼 수 있다. 낚시에 잡힌 쥐노래미의 기록은 1981년 전남 완도에서 잡힌 51.5cm(낚시춘추사 집계)이지만 「자산어보」에는 두 세 자까지 성장한다고 기록하고 있는 걸 보면 60cm이상 되는 놈도 충분히 있을 것 같다.
●낚시 우리나라 바다낚시 대상어 중에서 어느 낚시에서나 얼굴을 내미는 팔방미인(?)을 꼽는다면 아마 쥐노래미일 것이다. 생김새가 그다지 귀족적이지 못하여 아직 쥐노래미만을 노리고 낚시를 떠나는 이는 없지만 서해 우럭 배낚시와 남해 볼락·열기 배낚시를 비롯한 갯바위낚시, 동해에서의 방파제 및 백사장 던질낚시에 이르기까지 낚이지 않는 곳이 없다. 그러나 쥐노래미는 노래미와는 달리 40~50cm에 이르는 대형급이 많아 손님고기 중에서는 인기가 높은 편이다.
쥐노래미는 어릴 때에 그다지 바닥이 험하지 않은 곳에서 살다가 나이가 들면 암초가 크고 굴곡이 심한 곳에 많이 서식한다. 그러므로 대형급을 노릴 경우에는 바닥이 험한 곳이 절대 유리하다. 잔 자갈과 암초가 섞인 곳일 경우에는 가능한 한 암초 가까운 곳을 노려야 굵은 놈이 달려 나온다. 미끼는 쥐노래미의 식성이 잡식성이므로 갯지렁이·새우·게·고개 새끼 등 가리지 않아도 된다. 한 포인트에서 때 고기를 만날 수는 없으나, 몇 마리 잡힌 포인트라면 훗날 다시 그 자리를 차지하는 놈을 노릴 수 있으므로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쥐노래미와 노래미는 「자산어보」에서 맛이 없는 고기로 기재되어 있으나 일본에서는 ‘사랑스런 여인(愛な女, 愛魚女)’이란 뜻의 이름으로 표현될 정도로 쥐노래미의 맛(특히 겨울철)을 높이 평가해 오고 있는데, 최근 우리나라에도 낚시 대상어로서 뿐만 아니라 활어 횟집에서도 인기가 상승중에 있다. 쥐노래미 100g의 살에는 단백질이 19.1g, 지방이 3.3g, 수분이 76.2g, 비타민 A가 20IU가 이썽 역시 고단백 건강 식품이라 하겠다. 먹성이 좋은 쥐노래미나 노래미는 한살도 안된 5~10cm 크기가 되면 자기 입보다 큰 낚싯바늘을 물고 늘어지기도 하는데, 이런 때에는 미련없이 살려 보내어 주는 자세를 기르는 것이 좋겠다. 그들은 3년만에 30cm가 넘는 중형급 낚시대상어로 자랄 수 있는 꼬마 쥐노래미이기 때문이다.
낚시 춘추 자료 인용
※ 간혹 인터넷을 검색하다 보면 이 자료에서 노래미와 쥐노래미 설명이 뒤바뀐 사진이 있는데 잘못된 것입니다.
사실 노래미와 쥐노래미는 곁보기엔 매우 흡사하지만 습성과 생태가 살짝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 노래미는 체장이 30cm정도의 비교적 소형 어종이기 때문에 상업적 가치가 큰 편이 아니랍니다.
대부분 횟집으로 출하하는 쥐노래미는 그런면에서 봤을때 성장도 비교적 빠른편이고
자연상태에선 체장이 60cm 이상 자라는 대형종이기 때문에 양식으로 선호받습니다.
대게 횟집에서 볼 수 있는 사이즈인 30cm 전후가 되면 출하가 되며, 실제로 맛으로 따져봐도 일반 노래미에 비해 쥐노래미가
좀더 찰지고 담백한 맛을 낸다고 합니다.
2. 노래미와 쥐노래미
일반 노래미는 직접 낚시를 하지 않는한 맛보기 힘든(?)어종임엔 분명한데요
낚시꾼들에겐 흔하디 흔한 생선이 바로 노래미와 쥐노래미입니다.
이 둘을 구별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사진에서 보는건 노래미(위)와 쥐노래미(아래)입니다.
저는 바다낚시를 취미로 하기 때문에 위의 두 어종은 흔하게 잡는 편입니다 ^^;
몸의 색채로 구별하는 방법도 있지만 서식 환경에 따라 다양한 색의 노래미가 나오므로 이것으로 구별하긴 힘듭니다.
그보다는 꼬리 지느러미로 판별이 가능한데, 일반 노래미는 꼬리 지느러미 끝 부분이 둥글게 지는 특징이 있고
쥐노래미는 일직선이거나 가운데가 살짝 들어가는 형태를 띕니다.
이것은 일반 노래미인데 잡힌 곳의 서식 환경이 석축으로 된 곳이라 돌 색을 많이 띕니다.
일반 노래미는 쥐노래미에 비해 체고가 높은 편입니다.
그러니까 아가미 주변의 몸통이 볼록한 편이고 꼬리쪽으로 날씬해지는 특징이 있지만
쥐노래미는 몸통의 고저차가 적은 편입니다.
이따금 이렇게 붉은색을 띈 노래미가 나오는데요. 충청지방에선 황놀래미라 부르기도 하지만 이것도 일반 노래미 입니다.
이렇듯 노래미는 서식환경에 따라 색채가 확연히 틀리기 때문에 구별을 하실땐 체고와 꼬리 지느러미로 판별을 하시구요
대게 횟집 수족관에서 본 쥐노래미는 알록달록한 구름무늬를 가지고 있지만 이것이 자연상태에서 성어가 되면
점차 무늬가 사라지면서 몸색깔도 검게 변하기 시작합니다.
대형 쥐노래미는 체장 65cm까지 자란다고 나와있습니다.
3. 노래미 낚시
바다낚시에 갓 입문한 초보낚시꾼이 가장 먼저 하는게 바로 원투(원거리투척)낚시인데
여기서 주로 사용하는 국민(?)미끼가 바로 겟지렁이 입니다.
이것을 낚시점에서 파는 원투채비(무게가 나가는 봉돌하나에 바늘이 3개 달린 묶음추)를 낚시줄에 매달고
바늘마다 이 겟지렁이를 꿰서 멀리 던져놓고 기다리는 방법입니다.
멀리 던져놓고 줄이 좀 팽팽해질때까지 감아준 후 이렇게 기다리면 됩니다.
입질은 초릿대(낚시대의 맨 끝에 있는 가장 얇은대)의 흔들림을 보고 챔질을 하는 식인데요
이렇게 해서 가장 많이 잡는 어종이 바로 노래미와 쥐노래미 입니다.
종종 광어나 우럭이 잡혀서 낚시의 즐거움은 더 해지겠죠 ^^
이미 낚시를 하시는 분들은 다들 아는 내용이니 자세한 낚시방법은 패스하구요.
수도권에서 비교적 가까운 곳에 노래미 포인트가 많은데
이중에서도 가장 추천할만한 곳은 15번 포인트(마도 겟바위) 입니다.
그 담에는 16, 17, 3번 정도인데 이곳은 초보분들(특히 여성분과 아이들)이 하기엔 안전하면서 가족낚시를 즐기기 가장
적합한 포인트랍니다.
하지만 낚시를 좀 하신 분들이라면 15번 포인트를 추천하는데
바로 이곳이 나옵니다.
마도 방파제 주차장에서 약 100m 전에 산으로 올라가는 길이 나 있는데 여기를 따라 내려가면 겟바위가 나오는데
왼쪽 겟바위 지형으로 (조금 험난하지만 성인 남자들은 다 갈 수 있습니다.) 약 10분간 이동하면 낚시하기 좋은 지형이 나옵니다.
※유사어종 ●표준명 : 노래미 ●학명 : Hexagrammos agrammus ●日名 : 구지메(クジメ) ●특징 : 복부 색깔이 회색인 쥐노래미에 비해 노래미는 적갈색 또는 황갈색. 꼬리지느러미 윤곽이 거의 직선인 쥐노래미에 비해 노래미는 약간 둥근편이다.
●표준명 : 게르치 ●학명 : Scombrops boops ●日名 : 무스(ムシ) ●특징 : 농어목 게르치과 게르치 속에 속하는 게르치는 심해어로서 쥐노래미와는 전혀 별개의 어종인데도 불구하고 부산을 비롯한 남해안 일부 지역에선 노래미와 구분하여 쥐노래미를 게르치라 부르는데, 이는 대단히 잘못된 이름이다.
‘꿩 대신 닭’이라 했던가. 연안에서의 물고기 자원량이 점차 감소됨에 따라 최근 서해안의 우럭(조피볼락) 배낚시에는 주인공 우럭보다 쥐노래미가 더 많이 잡히고 있다. 초창기에 많은 자원량을 자랑하던 조피볼락이 점차 줄어들자 잡어로 취급하던 쥐노래미에 대한 인기도가 높아지면서 자주 인용되는 말이다. 굳이 쥐노래미만을 노리고 출조하는 이는 아직 없겠으나, 먹성이 좋고 입질이 화끈하면서도 덩치가 큰 놈은 50cm 전후까지나 되어 손님고기 치고는 매력을 지닌 종이라 하겠다.
물고기들은 자기가 살고 있는 주위 환경에 따라 체색을 달리하는데, 뻘바닥이 많은 서해안에서 주로 사는 민어류 ·조피볼락(우럭)·가숭어 등은 원색을 많이 띤 남해안의 돔·놀래기·볼락류에 비해서 회색과 황갈색을 많이 띠고 있다. 그런 면에서는 회색이 짙은 쥐노래미가 모랫바닥이 대부분인 동해안에서부터 남해안과 서해안 전 연안에 고루 분포하고 있는 점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이름 쥐노래미는 그 체색이 서식 장소나 개체에 따라 차이가 많지만, 일단 복부가 회색(쥐색)을 띠고 있어 황갈색과 적갈색을 띠고 있는 노래미와 구별되기 때문에 그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생각된다. 지방에 따라서 노래미·게르치(부산), 돌삼치(강릉)로 불리우는 쥐노래미는 예부터 노래미와의 정확한 구분이 어려웠던 것 같다. 즉 「자산어보(玆山魚譜)」에는 노래미(耳魚)와 쥐노래미(鼠魚, 走老南魚)가 구별되어 기재되어 있으나 크기나 체색의 설명으로 보아 현재의 표준명과는 반대인 것 같다. 즉 ‘노래미’는 크기가 두세 자 정도에 빛깔이 황색 또는 황회색이고, ‘쥐노래미’는 붉은 색과 검은 색을 띠고 비린내가 많이 나 맛이 없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실제 표준명이 ‘노래미’인 종은 적갈색을 많이 띠며 대개 그 크기가 30cm보다 작고, 길이가 두세 자까지 자라는 종은 ‘쥐노래미’이기 때문이다.
이같은 쥐노래미의 학명은 Hexagrammos otakii인데 Hexagrammos는 그리스어로 hexa(6개)와 gramma(측선, 側線)의 합성어로서 6개의 측선을 가졌다는 뜻이다.(그러나 실제는 5개의 측선을 가지고 있으며, 복부측선의 나누어진 가지선까지 합치면 6개이다.) 이러한 뜻의 이름을 그대로 일반명으로 사용하고 있는 나라는 중국으로 ‘六線魚’(육선어)라고 부르고 있다. 영명은 kelp란 해조류가 많은 곳에 산다 하여 'kelpfish'또는 어릴적 푸른색을 띤다 하여 'greenling'이라고도 불리운다. 일명은 ‘아이나메’(アイナメ)인데, 이 이름은 쥐노래미가 은어와 같이 자신의 세력권(텃세)을 가지고 있다 하여 아유나미(鮎?, あいなめ, 아이나메)에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다. 또 맛이 있다 하여 鮎魚女 또는 愛魚女로 쓰이기도 한다. 우리의 「자산어보」에서는 노래미, 쥐노래미를 맛이 없는 고기로 기록하고 있는 데 비해 일본에서는 예부터 맛이 있다 하여 사랑스런 이름을 붙여 놓았다는 것은 식성이 차이라고 할까, 어획량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해야 할까.
●특징 쥐노래미의 가장 큰 특징은 옆줄(側線)이 5줄이란 점이다. 일반 어류의 옆줄(Lateral line)은 피부 감각기관중의 하나인데, 그물 모양의 독특한 측선을 가진 그물베도라치나 옆줄을 가지지 않는 정어리도 있으나 대부분의 어류는 1개의 옆줄을 가진다. 또 같은 쥐노래미속에 속하는 무리 중에서 임연수어와 쥐노래미의 옆줄 수는 5개인데 비하여 노래미는 1개의 옆줄을 가지고 있어 뚜렷한 분류 형질이 되기도 한다. 더불어 쥐노래미는 눈 위쪽에 조그만 피질돌기를 가지고 있다. 이 피질돌기는 물속에서 쥐노래미나 노래미가 바위 위에 앉아 있을 때에는 마치 소리를 듣기 위해 귀를 세우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단순한 돌기에 지나지 않는다(어류의 귀는 사람과 달리 中耳, 外耳가 없이 內耳로만 이루어져 밖에서 볼 수가 없다). 쥐노래미는 바닥 생활을 주로 하며 대부분의 시간을 배를 바닥에 대고 지내므로 부레가 없다. 이것은 초기의 플랑크톤 생활기에는 가지고 있던 부레가 저서생활로 변환함에 따라 퇴화, 소실되는 종으로 넙치와 가자미류가 있다. 따라서 쥐노래미는 몇 번의 지느러미와 꼬리 운동으로 이동하여, 그 움직임을 멈추면 바로 바닥에 가라 앉는다.
●분포·분류 쥐노래미는 노래미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한다. 북해도 이남의 일본 전 연안, 황해와 발해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주 분포역은 연안의 돌밭과 해초밭·사니질 바닥에 돌이 섞여 깔린 곳이며, 행동은 그다지 활발하지도 않고 먼 거리를 회유하지도 않는다. 대부분 연안에 살고 있으나 대형급은 수심 70m 깊이까지 살고 있다. 이같은 쥐노래미는 횟대목(目), 쥐노래미과(科), 쥐노래미속(屬)에 속하며 노래미(H. agrammus)도 같은 속에 속한다. 또 동해안에 많이 나는 임연수어(pleurogrammus azonus, 임연수어속)는 쥐노래미과에 속하는 근연종이다.
쥐노래미의 알은 둥글고 침성 점착란으로 덩어리를 이루며, 알 지름은 1.8~2.2mm, 색은 담황갈색·담황자색 등 다양하며, 알 속에는 많은 기름방울(油球)을 가진다. 산란한 알은 덩어리가 되어 해조류(모자반·도박 등)의 줄기 및 뿌리 부근이나 바닥 암초의 굴곡진 부분에 부착한다. 알과 알은 강한 점착성을 가지고 있으나 덩어리가 되어도 알과 알 사이에는 공간이 있어 발생이 계속되는 동안에도 물이 잘 통한다.
수정란은 수온 15.5℃에서 12일째 배체에 눈이 생기며, 23일부터 부화한다. 부화까지의 소요시간은 수온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데 9℃에서 40~45일, 13℃에서 30~35일, 15℃에서 25~30일, 17.5~20.2℃에서 20일 전후가 된다. 20℃이상으로 올라가면 정상적인 발생이 어렵다. 갓 부화된 쥐노래미 새끼는 길이가 6.6~8.4mm 범위이며, 약 1.3mm 길이의 난황을 갖고 있고 가느다란 꼬리를 좌우로 흔들며 수면 가까이에서 무리지어 헤엄쳐 다닌다. 이 때 입은 열려 있으며 머리 윗부분에 황색소가 있고, 그 위에 큰 별 모양의 흑색소포가 수십개 발달한다. 또 몸통과 꼬리의 등쪽 가장자리를 따라 흑색소포가 발달하고 소화관 등쪽과 복부에 흑색소포가 많으나, 전체적으로는 푸른 빛이 강하다. 부화 후 5~6일이 지나면 약 9mm로 자라며 이 때부터 작은 플랑크톤을 잡아먹기 시작한다. 13~14mm로 자라면 각 지느러미 줄기가 발달하며 체고(體高)가 높아지기 시작하고 체측에 흑색소포가 잘 발달한다.
성장이 2cm정도 되면 각 지느러미가 완성되어 치어(穉魚)로 전환한다. 쥐노래미의 치어는 겨울철 연안의 표층을 떼지어 헤엄쳐 다니다가 3~4월이 되면 5cm로 전후로 자라며 이 시기부터 청색을 띠고 있던 몸빛이 갈색을 띠기 시작하고 5~7cm가 되는 4,5월에 표층 생활에서 바닥 생활로 전환하게 된다. 따라서 한 여름이 되면 6~8cm크기의 새끼 쥐노래미들이 낚시에 곧잘 낚이는 것이다. 이렇게 표층 생활을 끝내고 바닥으로 내려간 쥐노래미는 그다지 자리를 많이 이동한다든가 회유하지 않고 부근 연안에서 계속 살게 된다. 그러나 이들의 행동 반경은 노래미에 비해서는 조금 더 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장·식성 자연상태에서 태어난 쥐노래미 새끼의 성장은 개체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 겨울철 수면 부근에떠 다니던 1~2cm이 쥐노래미는 4~5개월만에 5cm전후로 성장한 뒤 바닥으로 내려가며, 1년이 지나서 1살이 되면 15cm 전후로 자란다. 2년만에 22cm, 3년만에 25~29cm, 4년만에 30~38cm 정도로 자란다. 따라서 성장이 개체마다 틀리므로 20~급 쥐노래미의 나이는 2~3세로 볼 수 있으며, 25cm이상 30cm급은 3,4세 이상이라 볼 수 있다. 낚시에 잡힌 쥐노래미의 기록은 1981년 전남 완도에서 잡힌 51.5cm(낚시춘추사 집계)이지만 「자산어보」에는 두 세 자까지 성장한다고 기록하고 있는 걸 보면 60cm이상 되는 놈도 충분히 있을 것 같다.
●낚시 우리나라 바다낚시 대상어 중에서 어느 낚시에서나 얼굴을 내미는 팔방미인(?)을 꼽는다면 아마 쥐노래미일 것이다. 생김새가 그다지 귀족적이지 못하여 아직 쥐노래미만을 노리고 낚시를 떠나는 이는 없지만 서해 우럭 배낚시와 남해 볼락·열기 배낚시를 비롯한 갯바위낚시, 동해에서의 방파제 및 백사장 던질낚시에 이르기까지 낚이지 않는 곳이 없다. 그러나 쥐노래미는 노래미와는 달리 40~50cm에 이르는 대형급이 많아 손님고기 중에서는 인기가 높은 편이다.
쥐노래미는 어릴 때에 그다지 바닥이 험하지 않은 곳에서 살다가 나이가 들면 암초가 크고 굴곡이 심한 곳에 많이 서식한다. 그러므로 대형급을 노릴 경우에는 바닥이 험한 곳이 절대 유리하다. 잔 자갈과 암초가 섞인 곳일 경우에는 가능한 한 암초 가까운 곳을 노려야 굵은 놈이 달려 나온다. 미끼는 쥐노래미의 식성이 잡식성이므로 갯지렁이·새우·게·고개 새끼 등 가리지 않아도 된다. 한 포인트에서 때 고기를 만날 수는 없으나, 몇 마리 잡힌 포인트라면 훗날 다시 그 자리를 차지하는 놈을 노릴 수 있으므로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쥐노래미와 노래미는 「자산어보」에서 맛이 없는 고기로 기재되어 있으나 일본에서는 ‘사랑스런 여인(愛な女, 愛魚女)’이란 뜻의 이름으로 표현될 정도로 쥐노래미의 맛(특히 겨울철)을 높이 평가해 오고 있는데, 최근 우리나라에도 낚시 대상어로서 뿐만 아니라 활어 횟집에서도 인기가 상승중에 있다. 쥐노래미 100g의 살에는 단백질이 19.1g, 지방이 3.3g, 수분이 76.2g, 비타민 A가 20IU가 이썽 역시 고단백 건강 식품이라 하겠다. 먹성이 좋은 쥐노래미나 노래미는 한살도 안된 5~10cm 크기가 되면 자기 입보다 큰 낚싯바늘을 물고 늘어지기도 하는데, 이런 때에는 미련없이 살려 보내어 주는 자세를 기르는 것이 좋겠다. 그들은 3년만에 30cm가 넘는 중형급 낚시대상어로 자랄 수 있는 꼬마 쥐노래미이기 때문이다.
낚시 춘추 자료 인용
※ 간혹 인터넷을 검색하다 보면 이 자료에서 노래미와 쥐노래미 설명이 뒤바뀐 사진이 있는데 잘못된 것입니다.
사실 노래미와 쥐노래미는 곁보기엔 매우 흡사하지만 습성과 생태가 살짝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 노래미는 체장이 30cm정도의 비교적 소형 어종이기 때문에 상업적 가치가 큰 편이 아니랍니다.
대부분 횟집으로 출하하는 쥐노래미는 그런면에서 봤을때 성장도 비교적 빠른편이고
자연상태에선 체장이 60cm 이상 자라는 대형종이기 때문에 양식으로 선호받습니다.
대게 횟집에서 볼 수 있는 사이즈인 30cm 전후가 되면 출하가 되며, 실제로 맛으로 따져봐도 일반 노래미에 비해 쥐노래미가
좀더 찰지고 담백한 맛을 낸다고 합니다.
2. 노래미와 쥐노래미
일반 노래미는 직접 낚시를 하지 않는한 맛보기 힘든(?)어종임엔 분명한데요
낚시꾼들에겐 흔하디 흔한 생선이 바로 노래미와 쥐노래미입니다.
이 둘을 구별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사진에서 보는건 노래미(위)와 쥐노래미(아래)입니다.
저는 바다낚시를 취미로 하기 때문에 위의 두 어종은 흔하게 잡는 편입니다 ^^;
몸의 색채로 구별하는 방법도 있지만 서식 환경에 따라 다양한 색의 노래미가 나오므로 이것으로 구별하긴 힘듭니다.
그보다는 꼬리 지느러미로 판별이 가능한데, 일반 노래미는 꼬리 지느러미 끝 부분이 둥글게 지는 특징이 있고
쥐노래미는 일직선이거나 가운데가 살짝 들어가는 형태를 띕니다.
이것은 일반 노래미인데 잡힌 곳의 서식 환경이 석축으로 된 곳이라 돌 색을 많이 띕니다.
일반 노래미는 쥐노래미에 비해 체고가 높은 편입니다.
그러니까 아가미 주변의 몸통이 볼록한 편이고 꼬리쪽으로 날씬해지는 특징이 있지만
쥐노래미는 몸통의 고저차가 적은 편입니다.
이따금 이렇게 붉은색을 띈 노래미가 나오는데요. 충청지방에선 황놀래미라 부르기도 하지만 이것도 일반 노래미 입니다.
이렇듯 노래미는 서식환경에 따라 색채가 확연히 틀리기 때문에 구별을 하실땐 체고와 꼬리 지느러미로 판별을 하시구요
대게 횟집 수족관에서 본 쥐노래미는 알록달록한 구름무늬를 가지고 있지만 이것이 자연상태에서 성어가 되면
점차 무늬가 사라지면서 몸색깔도 검게 변하기 시작합니다.
대형 쥐노래미는 체장 65cm까지 자란다고 나와있습니다.
3. 노래미 낚시
바다낚시에 갓 입문한 초보낚시꾼이 가장 먼저 하는게 바로 원투(원거리투척)낚시인데
여기서 주로 사용하는 국민(?)미끼가 바로 겟지렁이 입니다.
이것을 낚시점에서 파는 원투채비(무게가 나가는 봉돌하나에 바늘이 3개 달린 묶음추)를 낚시줄에 매달고
바늘마다 이 겟지렁이를 꿰서 멀리 던져놓고 기다리는 방법입니다.
멀리 던져놓고 줄이 좀 팽팽해질때까지 감아준 후 이렇게 기다리면 됩니다.
입질은 초릿대(낚시대의 맨 끝에 있는 가장 얇은대)의 흔들림을 보고 챔질을 하는 식인데요
이렇게 해서 가장 많이 잡는 어종이 바로 노래미와 쥐노래미 입니다.
종종 광어나 우럭이 잡혀서 낚시의 즐거움은 더 해지겠죠 ^^
이미 낚시를 하시는 분들은 다들 아는 내용이니 자세한 낚시방법은 패스하구요.
수도권에서 비교적 가까운 곳에 노래미 포인트가 많은데
이중에서도 가장 추천할만한 곳은 15번 포인트(마도 겟바위) 입니다.
그 담에는 16, 17, 3번 정도인데 이곳은 초보분들(특히 여성분과 아이들)이 하기엔 안전하면서 가족낚시를 즐기기 가장
적합한 포인트랍니다.
하지만 낚시를 좀 하신 분들이라면 15번 포인트를 추천하는데
바로 이곳이 나옵니다.
마도 방파제 주차장에서 약 100m 전에 산으로 올라가는 길이 나 있는데 여기를 따라 내려가면 겟바위가 나오는데
왼쪽 겟바위 지형으로 (조금 험난하지만 성인 남자들은 다 갈 수 있습니다.) 약 10분간 이동하면 낚시하기 좋은 지형이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