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사람들이 쓰는 수량은 처방가능함 문제없음(아주아주 드물게 일반수량보다 많이 쓰는 경우라고 해도 그건 병원에서 다 처리될거임..병원 기록 있으니까)
<일반약>프렌즈 아이드롭, 리포직, 눈앤 같은건 처방 없이 약국에서 바로 사는 약임 해당사항 없음 <처방약>무방부제 일회용 히알루론산 말고 통으로 된 히알루론산도 있음(소량 방부라 보통 웬만해서 별 상관x) 그거 처방도 문제없음
1. 수급자들 약국에서 돈주고 인공눈물 사기 싫으니까 병원에서 몇통 공짜처방 받고는 필요없으니까 잘 안씀(안과 말고도 처방 가능해서 고혈압약같은거 타러 갔다가 괜히 하나 더 받아오는 그런거) 유통기한 지나서 버리러 옴 2. 수급자가 왕창 처방받아서 주변에 돈 받고 팔아서 창조경제 3. 수급자가 병원에서 처방받아와서는 약국에서 이거 안가져갈테니 이거 값으로 다른 생필품이나 약 달라고 함(창조경제오짐) 4. 한사람이 처방 받아서 주변에 뿌려서 같이 씀 5. 히알루론산이라고 처방받아서 얼굴에 바름
이게 뭔 건보료 낭비, 자원 낭비야..
그리고 여담이지만 요새 뭔 pdrn인공눈물 유행하는데 리쥬란 대신에 얼굴에 바르겠다고 찾더라고...그냥 자기 피부에 맞는 수분크림 자주 바르세요..
건보료 남용 생각보다 많아서.. 치매 예방한다고 치매 없는데 건보료로 뇌영양제 처방받던것도 이제 뇌경색 뇌졸중 치매 이런 관련 코드 없으면 처방안됨. 그냥 돈 주고 뇌영양제 사먹으먼 되는건데 돈아까우니까 건보처방받아서 싼 가격에 영양제 사먹던거 막힌거임.. 평소 그냥 영양제 사먹고 필요하면 처방받는 사람들은 별 상관 없는거.
윤썩ㅗㅗ민영화ㅗㅗ랑은 별개로 건보료랑 수가 관련해서 어느 정도 제재는 필요하다고 생각함 필수 의약품들 자꾸 품절나는 것도 재료를 해외에서 수급해오는데 우리나라에서 재료 가격 후려쳐서 우리나라에 공급못하겠다-생산중지 혹은 제약회사에서 ㅇㅇ약값이 너무 싸다 우리 이거 못만들겠다 이득없다 약값 올려달라 하면서 일시생산중지 이런 경우가 많음
안그래도 안연고 다 떨어졌는데 이번주에 꼭 가야겠네..
아니 시발롬아
눈아파서 죽겟는데 인공눈물은 오남용 불가능이냐고 개빡치네ㅠ
하 시발
이거 쇼닥터들이 인공눈물 피부에 바르면 좋다고 해서 난리난건가.
시발새끼들
아나 안그래도 안구건조라 눈뻑뻑하고 두통까지오는데 ㅅㅂ 개짜증나네진짜
ㅅㅂ 장난하냐?????
아 쟁이러가야겠네 개빡쳐
아니 인공눈물을 도대체 어떻게 오남용하는데요..
이시발새끼 진짜
아이드롭 이런 것도?!.....
프렌즈아이드롭 그런건 그냥 약국에서 살 수 있는 인공눈물
아니히발 뭐하세요?????
시바 건조한데 어떡하라고요..
오늘 3나통 사왔다내요 에효효효
지랄 연병을하네
하........
진짜 개소리 하지마
안된다고...ㅡㅡ
인공눈물을 오남용을 왜하냐고.. 건조해서 넣는데 ㅠㅠ
인공눈물 오남용이 ㅅㅂ..ㅠ 뭐 얼마나 오남용햇는데
죽어시발 하어카지
헐
약국에서 그냥 사는 인공눈물도 급여가 되는거야? 저건 의사처방 이야기지?
하루 6관이면 한 달 180관 총 3통까지 ㄱㅊ은거지?
눈이 너무 건조해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응 상관없어! 일회용도 눈앤 이런거는 처방없이 살 수 있고
말그대로 처방받고 남용하는 경우 아니면 상관 없나봐. 나도 라식하고 안구건조증 증상 있어서 찾아봤는데 걱정 안해도 될 것 같어
개인적으로 처방없이 몇통씩 사가던 사람 변화x
처방전으로 타가던 사람 갯수제한 o ( 1일 기준 6관(6개) 사용으로 제한한다는 것) 이게 남용사례가 많았다고 함. (원래 3통인데 의사 재량으로 그 이상도 가능했었나봄) 연어해보면 관련직종 여시들 덧글있어
우리집도 눈물 쓰는사람 많아서 한번에 존나많이타와서 쓰긴했는데…
지랄마
별 걱정 안해도 될듯... 웬만해서는 보험적용되고 남용하는 사람들 때문에 수량제한만 하는 거 같은데
@0618 그치...ㅠㅋㅋㅋ 보통 사람들 안구건조 증상으로 처방받는 건 무리없는데..
건보료 줄줄 새는 경우 많아서 어느정도는 제한 둬야함..
+보통 사람들이 쓰는 수량은 처방가능함 문제없음(아주아주 드물게 일반수량보다 많이 쓰는 경우라고 해도 그건 병원에서 다 처리될거임..병원 기록 있으니까)
<일반약>프렌즈 아이드롭, 리포직, 눈앤 같은건 처방 없이 약국에서 바로 사는 약임 해당사항 없음
<처방약>무방부제 일회용 히알루론산 말고 통으로 된 히알루론산도 있음(소량 방부라 보통 웬만해서 별 상관x) 그거 처방도 문제없음
1. 수급자들 약국에서 돈주고 인공눈물 사기 싫으니까 병원에서 몇통 공짜처방 받고는 필요없으니까 잘 안씀(안과 말고도 처방 가능해서 고혈압약같은거 타러 갔다가 괜히 하나 더 받아오는 그런거) 유통기한 지나서 버리러 옴
2. 수급자가 왕창 처방받아서 주변에 돈 받고 팔아서 창조경제
3. 수급자가 병원에서 처방받아와서는 약국에서 이거 안가져갈테니 이거 값으로 다른 생필품이나 약 달라고 함(창조경제오짐)
4. 한사람이 처방 받아서 주변에 뿌려서 같이 씀
5. 히알루론산이라고 처방받아서 얼굴에 바름
이게 뭔 건보료 낭비, 자원 낭비야..
그리고 여담이지만 요새 뭔 pdrn인공눈물 유행하는데 리쥬란 대신에 얼굴에 바르겠다고 찾더라고...그냥 자기 피부에 맞는 수분크림 자주 바르세요..
@Fear is the mind killer 모든 수급자들이 그렇다는 거 아님
수급자 아닌 사람도 오남용 많이들 함(미용이나 주변 나눔 등등)
그리고 눈 건조하면 인공눈물만 넣는 것보다 영양제 먹는 것도 도움 되고..
건보료 남용 생각보다 많아서.. 치매 예방한다고 치매 없는데 건보료로 뇌영양제 처방받던것도 이제 뇌경색 뇌졸중 치매 이런 관련 코드 없으면 처방안됨. 그냥 돈 주고 뇌영양제 사먹으먼 되는건데 돈아까우니까 건보처방받아서 싼 가격에 영양제 사먹던거 막힌거임.. 평소 그냥 영양제 사먹고 필요하면 처방받는 사람들은 별 상관 없는거.
윤썩ㅗㅗ민영화ㅗㅗ랑은 별개로 건보료랑 수가 관련해서 어느 정도 제재는 필요하다고 생각함
필수 의약품들 자꾸 품절나는 것도 재료를 해외에서 수급해오는데 우리나라에서 재료 가격 후려쳐서 우리나라에 공급못하겠다-생산중지
혹은 제약회사에서 ㅇㅇ약값이 너무 싸다 우리 이거 못만들겠다 이득없다 약값 올려달라 하면서 일시생산중지 이런 경우가 많음
그리고 원래 라식같은 수술 후에는 비급여였음 임플란트 하고 나서 먹는 약(항생제 진통제 위장약 콤보) 받는 것도 비급여인것처럼...
라식했어요-응 안돼
라식하고 3-6개월 지난 쌩눈인데 건조해요-ㅇㅋ
렌즈껴서, 렌즈끼면 눈이 건조해요-응 안돼(의사재량일듯? 그냥 건성안으로 처방내줄 것 같긴 함)
눈이 건조해요-ㅇㅋ
눈이 아파요(각막미란이나 뭐..그런 질병. 상해, 사고로 안들어가는 걸로 아는데 틀렸다면 말해줘)-안약, 인공눈물 ㅇㅋ
결막염-안약, 인공눈물 ㅇㅋ
대부분의 환자들이 하루 0.45미리 하루 6관 이내로 씀. 하루6개 30일로 치면 180개. 60개 한통. = 한달에 3통까지 보험가능. 보통 사람은 그거면 충분하니까 더 필요하면 비급여로 니돈 내라
(잘못된 정보 있다면 말해주길 바람....)
(윤썩ㅗㅗ민영화ㅗㅗ)
@Fear is the mind killer 오 정보 고마워 ! 엄마 눈 안좋아서 처방받아 쓰느라 걱정했는데 다행이다
@Fear is the mind killer 아 각막미라ㄴ이면 한번 탈때 세통까지는 되는구나… 대학병원에서 한번 갈때 마니 타오는데 이게 적게ㅜ헤야겟군 ㅠㅠ 고마웡 여히~
@Frens 확실하진 않은데 수술이나 상해로 들어가는게 아니라 질병으로 들어갈거같은디.. 처방에는 문제없지 않을까 싶어.. 다음번에 병원 가면 자세히 한번 물어봐봐..!
지랄마…
캯 눈 뽑아서 내놔!
실비되면상관없는거아닌가..?
안구건조증으로 일년에 두세번정도 안과가서
1번 내원할때마다 2갑정도 처방받아 사용하는데
그건 적용된다는거지ㅠㅠ? 약국에 처방없이 사는 일회용 말고 병원에서 처방받아 좀더 저렴한거 사서 쓰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