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미세먼지 국내외 핵심산업 분야별 시장 및 기술개발 전략
주식회사 리서치컴퍼니 (https://researchcompany.co.kr)
2021년 전 세계 기후금융보고서에 의하면 기후금융 투자규모는 지난 10년 동안 증가 2019/2020년에 약 6,320억 달러, 2030년까지 국제적으로 합의된 기후변화 관련 목표를 달성하고 기후변화의 위험한 영향 방지를 위해서는 4.5∼5조 달러, 2050년까지 6조 달러로 예측하였다. 또한 2050년까지 넷제로 달성을 위해서는 모든 공공 및 민간 이해관계자가 투자뿐만 아니라 관행, 사업모델 및 포트폴리오를 지구온난화를 1.5℃로 제한하고 변화하는 기후에 대한 회복탄력성을 높여야 한다고 발표했다.
세계적으로 인구의 절반 이상이 도시에 거주함에 따라 온실가스배출, 폐기물, 에너지 등 환경문제 대부분이 도시에서 발생해 기후변화 억제를 위해 도시가 자체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노력해야 한다. ‘Green Reboot'에 따르면, IFC가 조사한 21개 신흥시장 도시가 회복계획에서 ‘기후적응 스마트'성장을 우선할 경우, 2030년까지 최대 7조 달러 투자기회 및 1억 4,400만 개 신규일자리 창출, 최대 15억 톤의 온실가스 배출 방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2023년 환경부는 주요 정책과제로 녹색산업 수출을 추진하고, 녹색 신산업을 바탕으로 소재·부품·장비 등의 진출분야를 확대 북미와 유럽까지 시장을 개척해 향후 5년간 100조원을 수출 할 계획이다. 정부는 2018년 대비 40% 감축한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무탄소 전원인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균형 있게 고려하고 전기·수소차 등 무공해차 중심 수송체계를 갖춘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세울 계획이다. 정부는 2023년 약 3조원 규모의 녹색채권과 3조5천억 규모의 정책금융 등 7조2천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주요 실행계획으로 인공지능 홍수예보를 전국으로 확대 초미세먼지 30% 감축 계획과, 전기수소차를 2023년 70만대(임기 내 200만대)까지 보급하고 시멘트·화력발전 등 초미세먼지를 많이 배출하는 업종의 배출기준을 강화해 시설 및 설치비용을 지원 할 계획이다.
정부는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2020∼2024)을 수립 대기오염을 유발하는 4대 핵심 배출원에 대한 감축안을 진행 중이며, 3차 대기환경 개선계획(2023∼2032), 제4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계획, 제4차 지하철 공기질 개선대책(2023∼2037)등을 시행 국가 배출량 산정체계를 국민건강중심으로 개선하는 한편 국제공동 대응 및 산업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1장에서는 미세먼지 관련 기술개발 동향 · 전망, 2장에서는 주요국가 별 기후대기 산업동향 및 시장전망, 3장에서는 미세먼지 대응 정책동향과 산업지원전략, 4장에서는 미세먼지 관련 핵심 산업분야별 시장전망과 기술개발전략을 주요 내용으로 기술하였다.
향후 기업, 대학, 민관연구소의 협력을 통해 더 진화한 기술개발과 현장 실증을 거친다면 국내의 미세먼지 배출량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진출을 통해 환경산업의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는데도 큰 사업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당사는 “2023 미세먼지 국 · 내외 핵심 산업 분야별 시장 및 기술개발전략” 보고서를 통하여 미세먼지 분야의 사업자, 마케팅 기획자, 연구개발 종사자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본서를 발간하게 되었다.
[ 도서 목차 ]
Ⅰ. 미세먼지 개요와 기술개발 동향‧전망
1. 미세먼지의 개념과 현상
1-1. 개념과 특징
1) 미세먼지의 정의
2) 미세먼지의 성분
3) 국내·외 미세먼지 환경기준
(1) 국내 미세먼지 환경기준
(2) 주요국가의 미세먼지 환경기준
4) 미세먼지 발생원
(1) 발생원 분류 방법
(2) 미세먼지 2차 생성 과정
5) 미세먼지와 기상과의 관계
(1) 기온역전과 미세먼지
(2) 미세먼지와 가시거리
(3) 미세먼지 계절별 농도
(4) 황사와 미세먼지
6)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
(1)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2) 미세먼지의 건강 위해성
(3) 농작물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4) 산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1-2. 미세먼지 관련 기술개발 동향과 전망
1) 인공강우로 미세먼지저감 기술 실험
(1) 1차 인공강우 실험 개요
(2) 인공강우를 이용한 미세먼지저감 연구 실증실험 1차 결과
(3) 향후 계획
2) PM 미세먼지 자동측정기 국산화
(1) 개요
(2) 미세먼지 측정방법
(3) 현장적용실험(테스트베드) 현황
(4) 국산 측정기 및 외국산 측정기 성능비교
(5) 그린패트롤 측정기술개발사업 개요
3) 무인기 통한 사업장 미세먼지 감시 기술
(1) 개요
(2) 「미세먼지 감시팀」운영 개요
(3) 모니터링 사례
4) 분광학적 측정기법으로 사업장 미세먼지 감시 기술
(1) 개요
(2) 분광학적 측정방법 조사 계획
(3) 분광학적 측정기법 기술개요와 주요 장비
5) 인공지능(AI) 기술로 지하역사 미세먼지 관리
(1) 「강남역사 미세먼지저감 사업」사업 체험 공간
(2) 지하역사 공조시스템 지능화 과제 개요
1-3. 미세먼지 범부처 국가전략프로젝트 연구 성과
1) 개요
2) 추진내용
(1) 세부 추진 내용
3) 미세먼지 범부처 프로젝트 사업 7대 주요 성과
(1) 미세먼지 저감 정책 수립의 과학적 근거가 되는 연구 결과 도출
(2) 미세먼지 예보 역량 향상
(3) 사업장 미세먼지 저감 기술 개발 및 실증
(4) 미세먼지 연구 인프라 확대
(5) 미세먼지의 인체 영향 과학적 규명
(6) 미세먼지 노출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 및 가이드라인 마련
(7) 미세먼지 국민 이해도 제고
4) 정부출연연 주요 연구 추진 내용
(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2) 한국기계연구원
(3) 안정성평가연구소
2. 국내 미세먼지 발생 현황과 전망
2-1. 국내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배출현황(2022년 6월 발표)
1) 종합분석
(1) 대기오염물질별 배출량
(2) 업종별 배출량
(3) 시도별 배출량
(4) 배출량 상위 20개 사업장
(5) 배출량 변동 요인 분석
2) 굴뚝원격감시체계(TMS, Telemonitoring Systems) 개요
(1) 추진배경 및 목적
(2) TMS 구성 체계
(3) 부착대상 및 측정항목
3) 굴뚝자동측정기기 부착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1) 시·도별 오염물질별 배출량
(2) 시·도별 업종별 배출량
4) 과거년도와의 오염물질 배출량 비교
(1) 시·도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18~´21년)
(2) 시․도별 주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18∼´21년)
(3) 업종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17∼´21년)
5) 국내사업장 5년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상위 20곳 현황
3. 미세먼지 관련 주요부처별 정책전망과 주요 시행계획
3-1. 환경부
1) 2023년 환경 정책여건
(1) 안전한 환경은 국민 행복의 필수 요소
(2) 환경이 경제성장의 핵심 가치가 되는 시대
2) 2023년 환경부 핵심 추진과제(총괄)
(1) 미래가치
(2) 경제 활력
(3) 민생, 안전
3) 고농도 미세먼지 총력대응방안
4) 깨끗한 공기와 무공해차 중심의 수송체계 구축
3-2.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환경부 소속)
1) 2023년 미세먼지 업무 추진방향
(1) 국가 배출량 산정체계를 국민건강 중심으로 개선
(2) 다양한 요구에 맞춤형 미세먼지저감 정책 효과 분석
(3)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유관기관 협력 확대
2) 2023년 미세먼지 관련 추진체계 및 목표
3) 미세먼지 세부 업무 추진계획
(1) 국가 배출량 산정체계를 국민건강 중심으로 개선
(2) 다양한 요구에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정책 효과 분석
(3) 대기정보 통합플랫폼 구축 및 대내외 협력 강화
3-3. 행정안전부
1) 2023년 재난 안전예산 협의 안(미세먼지 분야 포함)
2) 재난 안전예산 중점투자방향
3) 4대 투자목표
3-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 미세먼지 R&D 추진 전략(2020∼2024) 주요내용
(1) 원인규명 기초연구 강화
(2) 관리기반(측정, 예보, 배출량) 고도화
(3) R&D 성과 분석 및 원천기술 개발
2) 기상예보 위성정보서비스
3) 환경 모니터링
4) 공공분야 위성정보 활용‧위성개발 사업 및 예산 (단위 : 억 원)
3-5. 농림축산식품부
1) 개요
2) 농축산분야 미세먼지 현황
3) 미세먼지 배출원별 상시저감 대책
4) 미세먼지 비상저감 대책
5) 미세먼지 농업인 보호 대책
6) 농축산 미세먼지 저감 R&D 추진 계획
(1) 1단계 R&D 추진계획
(2) 2단계 R&D 추진계획
7) 비상저감 조치 발령 시 이행체계
3-6. 제4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계획
1) 개요
(1) 배경 및 성과
(2) 시행 및 배경
(3) 성과
2) 제4차 계절관리제('22.12월∼'23.3월) 기본체계
(1) 기본체계
(2) 제3차 계절관리제와 비교(주요 변경사항)
3) 세부 이행과제
(1) 선제 조치
(2) 부문별 감축·관리
(3) 국민 건강 보호
(4) 정보 고도화 및 제공 확대
(5) 국제협력 강화
4) 고농도 발생 시 대응 방안
(1) 고농도 발생 시 대응 체계
(2) 고농도 발생 시 비상저감조치
5) 향후계획
3-7. 제4차 지하철 공기질 개선대책(2023∼2037)
1) 추진 배경
2) 지하역사 미세먼지현황
(1) 지하역사
(2) 지하철 객실
3) 3차 대책 추진성과 및 한계
(1) 주요 추진성과
(2) 한계 및 시사점
4) 추진 체계
5) 4차 지하철 공기질 세부 추진과제
(1) 제도 개선
(2) 관리· 운영 고도화
(3) 신기술 도입·개발
Ⅱ. 주요 국가별 기후대기 산업동향 및 시장전망
1. 미국
1-1. 미국 기후대기 산업 현황
1) 미국 대기오염 현황
2) 미국 산업별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1-2. 미국 기후·대기 정책 및 규제 현황
1) 관련 정책
2) 규제정보
1-3. 미국 기후·대기 관련 프로젝트 및 기업정보
1) 주요 프로젝트
2) 미국 대기 관련 주요기업 현황
2. 영국
2-1. 영국 기후대기 산업 현황
1) 영국 대기오염 현황
2) 영국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 현황
2-2. 영국 기후·대기 관련 정책 및 법률
1) 탄소 배출 저감 관련 정책
2) 탄소 배출 관련 법률 및 규정
2-3. 영국 기후·대기 관련 프로젝트 및 기업정보
1) 주요 프로젝트
2) 영국 기후대기 관련 주요기업 현황
3. 중국
3-1. 중국 기후대기 산업 현황
3-2. 중국의 대기오염 관련 정책 및 규제 현황
1) 중국 대기오염 관련 정책
2) 중국 대기오염방지 지방정부 정책동향
3) 중국 지방정부 환경위법행위 관리감독 강화
3-3. 중국 대기오염방지산업 시장전망
1) 시장현황
2) 중국의 대기오염방지산업 시장규모추이 및 전망
3) 주요 대기오염물질 처리산업별 시장동향 및 전망
(1) 탈황·탈질 처리산업 시장
(2) 집진 처리산업 시장
(3) VOCs 처리산업 시장
3-4. 중국 대기오염방지 특허발원 동향
3-5. 중국 지방정부 대기오염방지 정부예산(2021∼2023년)
1) 2022년 중국 31개 지역 1차 대기오염방지 정부예산(예산순위)
2) 2022년 중국 31개 지역 제2차 대기오염방지 정부예산(예산 순위)
3) 2023년 중국 31개 지역 대기오염방지 정부예산(예산 순위)
3-6. 중국 대기 산업 향후전망
4. 프랑스
4-1. 프랑스 기후대기 산업 현황
1) 프랑스 기후대기 현황
2) 프랑스 산업별 오염물질 배출 현황
4-2. 프랑스 기후·대기 정책 및 규제 현황
1) 관련 정책
2) 주요규제
4-3. 프랑스 기후·대기 관련 프로젝트 및 기업정보
1) 주요 프로젝트
2) 프랑스 기후대기 관련 주요기업 현황
Ⅲ. 미세먼지 대응 정책 동향과 산업 지원전략
1. 제3차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2023∼2032)
1-1. 제3차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 개요
1) 계획의 체계
2) 주요 내용
3) 수립 경과
1-2. 제2차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 추진실적
1) 제2차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 주요내용
2) 분야별 주요 대책(6개 분야 30개 대책)
3) 대기질 개선목표 달성 상황
4) 분야별 실적 및 시사점
(1) 제도 기반 마련 주요 성과
(2) 시사점
5) 사업장 대책
(1) 주요 성과
(2) 부진 사항
(3) 시사점
6) 이동오염원 대책
(1) 주요 성과
(2) 부진 사항
(3) 시사점
7) 생활 오염 대책
(1) 주요 성과
(2) 부진 사항
(3) 시사점
8) HAPs 관리
(1) 주요 성과
(2) 부진 사항
(3) 시사점
9) 과학기반 관리
(1) 주요성과
(2) 부진 사항
(3) 시사점
1-3. 대기오염물질 배출현황
1) 대기오염물질 산정 방법 개선에 따른 배출량 추이(2023년)
2) 주요 대기오염물질 재산정 후 배출량 산정 추이(‘16∼‘20년)
(1) (NOx)
(2) (SOx)
(3) (PM2.5)
(4) (VOCs)
(5) (NH3)
3) 대기오염물질별 농도 변화
4)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농도변화
1-4. 대기오염물질 배출전망(2023∼2032)
1) 대기오염물질 배출전망(한국환경연구원 등)
(1) 전망 개요
(2) 전망 결과
2) 대기오염물질별 세부 전망
(1) NOx 총배출량 전망
(2) SOx 총배출량 전망
(3) PM2.5 총배출량 전망
(4) VOCs 총배출량 전망
(5) NH3 총배출량 전망
3)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발생 전망
4) 기후변화 영향 전망 ('22.5월, 기상청)
5) 대기오염물질의 건강 위해성 분석 ('22.3월, 질병관리청)
1-5. 대기오염물질 감축목표 및 추진전략
1) 제3차 종합계획 추진방향
2) 추진방향
3) 추진전략
4) 분야별 단계별 대책
5) 핵심전략 중점 추진과제
(1) 국민건강 중심의 관리체계 구축
(2) 사업장 배출관리 고도화
(3) 이동오염원 배출 저감 가속화
(4) 생활 주변 배출원의 효과적 관리 및 저감 지원
(5) 과학적 역량 강화 및 실효적 국제협력
1-6. 이행 관리·평가 방안
1) 연도별 실적 관리
2) 중간평가
3) 최종평가
4) 제3차 종합계획 성과지표
5) 제3차 종합계획 분야별 투자 전망
6) '27년 전국 연평균 PM2.5 농도 13㎍/㎥ 달성 로드맵
2. 기후변화 대응과 온실가스 감축관련 정책동향과 지원전략
2-1.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21∼2025)
1) 개요와 배경
(1) 개요
(2) 추진경위
2)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평가
(1) 주요성과
(2) 한계
3) 기후변화 현황 및 여건
(1) 기후변화 현황 및 전망
(2) 이상기후 피해
4) 국가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5)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기본방향 및 비전체계도
(1) 기본방향
(2) 비전체계도
6) 세부추진과제
(1) 기후리스크 적응력 제고
(2) 감시·예측 및 평가 강화
(3) 적응 주류화 실현
7) 중점 추진분야 : 8대 분야 국민체감형 대표과제
(1) 미래 강우 위험을 고려한 홍수 대응
(2) 물 복지 실현을 위한 선제적 가뭄 대응
(3) 이상고온에 따른 생물대발생 대응력 제고
(4) 산사태, 산불 등 산림재해 대응 강화
(5) 기후위험으로부터 식량안보 확보
(6) 감염병, 극한기상으로부터 국민건강 보호
(7) 건강·경제·작업 등 기후변화 취약계층 중점 보호
(8) 국민과 함께하는 적응대책
8) 주요지표 및 추진체계
(1) 주요지표(주요지표 : 총 36개, 정책 지표 20개)
(2) 국민체감 지표(16개)
(3) 추진체계
9) 3차 대책 기후리스크(6대 부문 84개 리스크)
(1) 물관리(10개)
(2) 생태계(18개)
(3) 국토연안(14개)
(4) 농수산(17개)
(5) 건강(13개)
(6) 산업, 에너지(12개)
2-2.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국가전략
1) 개요
(1) 추진경과
(2) 주요국 기후변화 대응 동향
2)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전략
(1)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전략 추진과제
(2) 중장기 감축목표
(3) 추진전략 체계도
(4) 재정투자 계획 및 경제적 기대효과
3) 부문별 중장기 감축 대책
(1) 전환 부문 (‘18년) 269.6 → ('30년) 145.9백만 톤 (△45.9%)
(2) 산업 부문 (‘18년) 260.5 → ('30년) 230.7백만 톤 (△11.4%)
(3) 건물 부문 (‘18년) 52.1 → ('30년) 35.0백만 톤 (△32.8%)
(4) 수송 부문 (‘18년) 98.1 → ('30년) 61.0백만 톤 (△37.8%)
(5) 농축수산 부문 (‘18년) 24.7 → ('30년) 18.0백만 톤 (△27.1%)
(6) 폐기물 부문 (‘18년) 17.1 → ('30년) 9.1백만 톤 (△46.8%)
(7) 수소 부문 (‘18년) (-) → ('30년) 8.4백만 톤 배출
(8) 흡수원 부문 ('30년) -26.7백만 톤 흡수
(9) CCUS 부문 ('30년) -11.2백만 톤 흡수·처리
(10) 국제감축 부문 ('30년) -37.5백만 톤 감축
4) 이행기반 강화대책
(1) 기후변화 적응대책
(2) 환경과 공존하는 녹색산업 성장
(3) 정의로운 전환
(4) 지역 주도의 탄소중립·녹색성장 확산
(5) 탄소중립·녹색성장 인력양성 및 인식제고
(6) 탄소중립·녹색성장 분야 국제협력
(7) 이행 및 환류체계 운영
2-3. 시장을 활용한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1) 배출권 거래제
(1) 실효성 있는 감축기반 구축
(2) 온실가스 배출기업의 책임 강화
(3) 온실가스 감축투자 촉진
(4) 배출권거래 유동성 제고
(5) 배출량 검·인증 체계 개선
(6) 외부사업의 합리성 제고
2) 목표관리제
2-4.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제3차 계획기간 : 2021∼2025년)
1) 개요
2) 할당계획안 주요 내용
(1) 할당 대상 부문 및 업종
(2) 제3차 계획기간 배출권 총수량 및 배출허용총량
(3) 배출권 예비분
(4) 업체별 배출권의 할당
Ⅳ. 미세먼지 관련 핵심 산업별 기술 및 시장전망
1. 기후분석 서비스 프랫폼
1-1. 기후분석 서비스 프랫폼의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2) 필요성
1-2. 기후 분석 서비스 프랫폼의 범위 및 분류
1) 범위
2) 용도별 분류
(1) 서비스에 따른 분류
(2) 기상기술 분류
1-3. 기후 분석 서비스 프랫폼 관련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1) COVID-19가 기상산업의 영향
(2) 인공지능은 기상기후분석 서비스의 새로운 기회
(3) IoT는 기상기후서비스를 한 단계 도약시키는 중
(4) 제3차 기상산업진흥 기본계획
2) 시장 분석
(1) 세계 날씨예보 서비스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2) 국내 기상산업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1-4. 기후 분석 서비스 프랫폼 관련 산업 기술개발동향
1) 기술경쟁력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 · 외 기업의 기후분석 서비스 프랫폼 기술개발동향
(1) 해외기업 기술개발동향
(2) 국내기업 기술개발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1-5. 기후 분석 서비스 프랫폼 특허 동향
1) 특허 증가율
2) 특허점유율
1-6. 기후분석 서비스플랫폼 전략제품 기술전략
1) 기후분석 서비스플랫폼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2) 기후분석 서비스플랫폼 핵심기술 리스트
3) 기후분석 서비스플랫폼 기술개발 목표
2. 이상기후 대응 도시안전 시스템
2-1. 이상기후 대응 도시안전 시스템의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2) 필요성
2-2. 이상기후 대응 도시안전 시스템의 범위 및 분류
1) 이상기후 대응 도시안전 시스템의 범위
2) 이상기후 대응 도시안전 시스템의 용도별분류
2-3. 이상기후 대응 도시안전 시스템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1) 기후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시 역할 강조
(2) 전 세계 평균 보다 빠른 한국의 기후 변화
(3) 국내 주요 이상기후 위험 분석
(4) 폭염 대응 시스템 구축
(5) 폭설 · 한파 대응 시스템 구축
(6) 정책적 지원 강화
2) 시장 분석
(1) 세계 기상예보서비스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2) 국내 기상산업 시장규모추이 및 전망
2-4. 이상기후 대응 도시안전 시스템 산업 기술개발동향
1) 기술개발 이슈
(1) 도심 폭염 감지 대응 시스템
(2) 폭염완화 소재 개발
(3) 풍수해 대응 시스템
(4) 도심 폭설 대응 시스템
2) 국내 · 외 기업의 이상기후 도시안전시스템 기술개발동향
(1) 해외기업 기술개발동향
(2) 국내기업 기술개발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2-5. 이상기후 대응 도시안전 시스템의 특허 동향
1) 특허 증가율
2) 특허 점유율
2-6. 이상기후 대응 도시안전 시스템 전략제품 기술전략
1) 이상기후 대응 도시안전 시스템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2) 이상기후 대응 도시안전 시스템 핵심기술 리스트
3) 이상기후 대응 도시안전 시스템 기술개발 목표
3. 스마트 미세먼지 관리 및 저감 시스템
3-1. 스마트 미세먼지 관리 및 저감 시스템의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2) 필요성
3-2. 스마트 미세먼지 관리 및 저감 시스템 분야 범위 및 분류
1) 범위
2) 용도별 분류
3) 기술별 분류
3-3. 스마트 미세먼지 관리 및 저감 시스템 분야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분석
(1) 미세먼지로 인한 산업 분야 변화
(2) 미세먼지 트렌드 변화
(3) 산업 부분 규제 확대
(4) 글로벌 업체에 주도되는 시장
(5) 국내외 미세먼지 정책 지원 강화
2) 시장 분석
(1) 세계 대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2) 국내 대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3-4. 스마트 미세먼지 관리 및 저감 시스템 분야 관련 기술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1) 인공지능 기반의 미세먼지 측정 장치
(2) 실시간 모니터링 진단 기술
(3) ICT 기반의 미세먼지저감 기술
2) 국내 · 외 기업의 미세먼지관리저감 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2) 국내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3-5. 스마트 미세먼지 관리 및 저감 시스템 특허 동향
1) 특허 증가율
2) 특허 점유율
3-6. 스마트 미세먼지 관리 및 저감 시스템 전략제품 기술전략
1) 스마트 미세먼지 관리 및 저감 시스템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2) 스마트 미세먼지 관리 및 저감 시스템 분야 핵심기술 리스트
3) 스마트 미세먼지 관리 및 저감 시스템 분야 기술개발 목표
4. 실내 공기 스마트정화 시스템
4-1. 실내 공기 스마트정화 시스템의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2) 필요성
4-2. 실내 공기 스미트정화 시스템 범위 및 분류
1) 범위
2) 용도별 분류
(1) 공기청정필터 기술
(2) 공기정화 솔루션
4-3. 실내 공기 스마트정화 시스템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분석
(1) 성능향상과 다단필터 탑재를 통하여 시장규모를 키우고 있음.
(2) 스마트홈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공기청정솔루션
(3) 환기시스템에 필터를 장착한 형태인 청정 환기시스템
(4)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는 방식 연구
(5) 모니터링 기술에 대한 수요 증가
(6) 정책적 지원요구
2) 시장 분석
(1) 세계 실내 공기 스마트정화 시스템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2) 국내 실내 공기 스마트정화 시스템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4-4. 실내 공기 스마트정화 시스템 분야 관련 기술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1) 공기질 센서의 감지범위 확대, 정확도 및 모니터링 기술 고도화
(2) 에너지 손실 방지하는 방식이 연구진행
(3) 고성능과 고에너지효율성, 재생성을 갖춘 필터 연구.
(4) 고성능과 고에너지효율성, 재생성을 갖춘 필터 연구
2) 국내 · 외 기업의 실내 공기 스마트정화 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2) 국내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4-5. 실내 공기 스마트정화 시스템 특허 동향
1) 특허 동향 분석
(1) 특허 증가율
(2) 특허 점유율
4-6. 실내 공기 스마트정화 시스템 전략제품 기술전략
1) 실내 공기 스마트정화 시스템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2) 실내 공기 스마트정화 시스템 분야 핵심기술 리스트
3) 실내 공기 스마트정화 시스템 분야 기술개발 목표
5.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5-1.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2) 필요성
5-2.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범위 및 분류
1) 범위
2) 용도별 분류
5-3.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산업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1) 국외 화학물질 규제 동향 및 쟁점 사항
(2) 국내외 화학물질 규제 관련 산업영향
(3) 유기화학 가스센서의 응용 분야
2) 시장 분석
(1) 세계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2) 국내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5-4.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분야 관련 기술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1) 수질환경
(2) 대기환경
2) 국내 · 외 기업의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2) 국내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5-5.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특허 동향
1) 특허 동향 분석
(1) 특허 증가율
(2) 특허 점유율
5-6.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전략제품 기술전략
1)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2)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핵심기술 리스트
3)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개발 목표
6. 오염물질 배출 저감장치
6-1. 오염물질 배출 저감장치의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2) 필요성
6-2. 오염물질 배출 저감장치의 범위 및 분류
1) 범위
2) 용도별 분류
6-3. 오염물질 배출 저감장치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1)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등 규제 개정 및 강화
(2) GHG(Greenhouse Gas Protocol)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배출 규제 강화
(3) 수질환경 관련 오염물질 배출 규제 강화
(4) 국내 친환경 선박 운영 및 추진체계 강화
2) 시장 분석
(1) 세계오염물질 배출 저감장치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2) 국내 오염물질 배출 저감장치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6-4. 오염물질 배출 저감장치 관련 기술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1) 선박용 SOx(황산화물) 저감장치
(2) 고효율 동시저감 스크러버 기술
(3) SCR 촉매의 담체 기술
(4) 해외 질소산화물 저감 장치 기술
(5) 국내 질소산화물 저감 장치 기술
(6) 선박 배기가스 저감장치(DPF)개발
(7) 대체연료 도입에 따른 메탄 슬립 저감 기술 개발 필요성 대두
(8) ECA 지정
(9) MGPS(Marine Growth Preventive System) 기술
(10) 선체표면 청소로봇 장비
(11) 니체에어리어 미생물 제거기술
(12) 오폐수처리장치 기술
(13) 형식승인 및 인증체계 대비하기 위한 연구개발 진행
2) 국내 · 외 기업의 오염물질 배출 저감장치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2) 국내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6-5. 오염물질 배출 저감장치 특허 동향
1) 특허 동향 분석
(1) 특허 증가율
(2) 특허 점유율
6-6. 오염물질 배출 저감장치 전략제품 기술전략
1) 오염물질 배출 저감장치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2) 오염물질 배출 저감장치 분야 핵심기술 리스트
3) 오염물질 배출 저감장치 기술개발 목표
7. 온실가스 저감장치
7-1. 온실가스 저감장치의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2) 필요성
7-2. 온실가스 저감장치의 범위 및 분류
1) 범위
2) 기술별 분류
7-3. 온실가스 저감장치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1) 국내·외 온실가스 관리정책 동향
(2)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NDC 목표 설정으로 IGCC 기술 개발중
(3) 국내·외 온실가스 저감장치로 주목받는 CCUS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중
(4) 국가별 CCUS 정부 정책 동향
2) 시장 분석
(1) 세계 온실가스 저감장치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2) 국내 온실가스 저감장치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7-4. 온실가스 저감장치 관련 기술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1) IGCC의 발전
(2) CCUS의 발전
2) 국내 · 외 기업의 온실가스 저감장치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2) 국내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7-5. 온실가스 저감장치 특허 동향
1) 특허 동향 분석
(1) 특허 증가율
(2) 특허 점유율
7-6. 온실가스 저감장치 전략제품 기술전략
1) 온실가스 저감장치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2) 온실가스 저감장치 분야 핵심기술 리스트
3) 온실가스 저감장치 분야 기술개발 목표
8. VOCs 저감장치
8-1. VOCs 저감장치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2) 필요성
8-2. VOCs 저감장치 범위 및 분류
1) 범위
2) 용도별 분류
3) 기타분류 방법
8-3. VOCs 저감장치 시장분석
1) 산업분석
2) 시장분석
(1) 세계 VOCs 회수 및 저감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2) 국내 VOCs 회수 및 저감 시장규모 추이 빛 전망
8-4. VOCs 저감장치 관련 기술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1) 저온 구동 고효율 제올라이트 기반 VOCs 흡착 공정
(2) 마이크로웨이브를 활용한 VOCs 정화 시스템
2) 국내 · 외 기업의 VOCs 저감장치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2) 국내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3) VOCs 저감 장치 공급망 분석
(4)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8-5. VOCs 저감장치 특허동향
1) 특허 동향 분석
(1) 해외출원 동향
(2) 국내출원 동향
8-6. VOCs 저감장치 전략제품 기술전략
1) VOCs 저감장치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2) VOCs 저감장치 분야 핵심기술 리스트
3) VOCs 저감장치 기술이전 정보
(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3) 한국화학연구원
(4)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9. TMS(Tele-monitoring Systems) 부품
9-1. TMS 부품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2) 필요성
(1) TMS 추진 배경
(2) TMS 추진 목적
9-2. TMS 부품의 범위 및 분류
1) 범위
2) 용도별 분류
9-3. TMS 부품 관련 산업 및 시장분석
1) TMS(Tele-monitoring Systems)산업 동향
(1) 굴뚝원격감시체계(TMS) 산업의 파급 효과
(2) 정부의 환경산업정책(대기오염 물질 관리)
2) 시장분석
(1) 세계 TMS부품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9-4. TMS 부품 관련 기술개발 동향
1) 국내 TMS부품 관련 기술개발 이슈
(1) 굴뚝배기가스 측정 시스템
(2) IoT 기반 TMS시스템
(3) 대기 환경오염물질 자동 측정 및 경보 시스템
2) 국내 · 외 기업의 TMS부품 관련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2) 국내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3) TMS부품 공급망 분석
(4)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9-5. TMS 부품 특허동향
1) 특허 동향 분석
(1) 해외출원 동향
(2) 국내출원 동향
9-6. TMS 부품 전략제품 기술전략
1) TMS부품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2) TMS 부품 분야 핵심기술 리스트
10. 질소산화물센서
10-1. 질소산화물센서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2) 필요성
10-2. 질소산화물센서 범위 및 분류
1) 범위
2) 용도별 분류
10-3. 질소산화물센서 관련 산업 및 시장분석
1) 질소산화물센서 산업 동향
2) 시장분석
(1) 세계 질소산화물센서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10-4. 질소산화물센서 관련 기술개발 동향
1) 국내 · 외 가스센서 관련 기술개발 이슈
(1) 해외 기술개발 이슈
(2) 국내 기술개발 이슈
2) 국내 · 외 기업의 질소산화물센서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2) 국내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3) 질소산화물센서 공급망 분석
(4)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10-5. 질소산화물센서 특허동향
1) 특허 동향 분석
(1) 해외출원 동향
(2) 국내출원 동향
10-6. 질소산화물센서 전략제품 기술전략
1) 질소산화물센서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2) 질소산화물센서 기술이전 정보
(1) 한국화학연구원
(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3) 질소산화물센서 분야 핵심기술 리스트
11. 유해환경 차단섬유
11-1. 유해환경 차단섬유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2) 필요성
11-2. 유해환경 차단섬유 범위 및 분류
1) 범위
2) 용도별 분류
11-3. 유해인자 차단섬유 산업 및 시장분석
1) 유해인자 차단 섬유 산업 동향
(1) 고성능·고효율 필터 수요 증가
(2) 미세먼지 제거 소재
(3) 코로나-19 패션·의류 영향
(4) 유해인자 차단 주요국가 현황
2) 시장분석
(1) 세계 유해인자 차단섬유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2) 국내 유해인자 차단섬유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11-4. 유해인자 차단섬유 관련 기술개발 동향
1) 국내 · 외 유해인자 차단섬유 기술개발 이슈
(1) 기술 개발 트렌드
2) 국내 · 외 기업의 유해인자 차단섬유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2) 국내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11-5. 유해인자 차단섬유 특허동향
1) 특허 동향 분석
(1) 특허 증가율
(2) 특허 점유율
11-6. 유해인자 차단섬유 전략제품 기술전략
1) 유해인자 차단섬유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2) 유해인자 차단섬유 핵심기술 리스트
3) 유해인자 차단섬유 기술개발 목표
12. 고효율 헤파필터
12-1. 고효율 헤파필터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2) 필요성
12-2. 고효율 헤파필터 범위 및 분류
1) 범위
2) 용도별 분류
(1) 나노섬유 제조 공정 분류
(2) HEPA 필터의 분류
12-3. 고효율 헤파필터 산업 및 시장분석
1) 고효율 헤파필터 산업 동향
(1)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헤파필터 산업의 변화
(2) 에너지 및 발전 부문의 수요 증가로 인한 헤파필터 시장변화
2) 시장 분석
(1) 세계 헤파필터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2) 국내 헤파필터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3) 국내·외 기업의 헤파필터 경쟁현황
12-4. 고효율 헤파필터 관련 기술개발 동향
1) 국내 · 외 고효율 헤파필터 기술개발 이슈
(1) 기술 개발 트렌드
2) 국내 · 외 기업의 헤파필터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2) 국내 주요 기업별 기술개발 동향
(3) 고효율 헤파필터 공급망 분석
(4)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12-5. 고효율 헤파필터 특허동향
1) 특허 동향 분석
(1) 특허 증가율
(2) 주요 출원인 동향
(3) 국가별 특허 점유율 동향
12-6. 고효율 헤파필터 전략제품 기술전략
1) 고효율 헤파필터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2) 고효율 헤파필터 핵심기술 리스트
3) 고효율 헤파필터 기술이전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