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vpb192kh.tistory.com/
https://www.fmkorea.com/8142884525
<고구려>
3세기 고구려 건축물
연단 안료+쌍영총+천왕지신총 포작을 적용한 고구려 누각
5세기 중반 무렵의 용강대총 & 덕화리 고분 단청을 참조한 전각
5세기 수산리고분 단청 재현/복원한 고구려 건축물
7세기 고구려 강서중묘, 강서대묘, 진파리 4호분 단청을 그대로 적용한 고구려 건축물
안학궁이 427년 장수왕의 안학궁이 맞다는 전제로, 5세기 건축양식을 적용하여 추정 재현한 안학궁 정전
<백제>
와기단을 적용한 백제 맞배지붕 건축물
퇴색된 목재 색상의 꺾음지붕 백제 건축물
<통일신라>
<고려>
만월대 정전
12세기 봉정사 극락전 출토 고려시대 단청
12세기 봉정사 극락전 출토 고려시대 단청
12세기 금단청(오채편장형 단청)
송나라 설명에 따르면 1등급 오채편장형 단청은 금분칠(황칠)을 했다고 하며 조선초 자료로 증명됨
들기름을 칠하지 않은 고려시대 상록하단형 단청
12세기 고려시대 상록하단 단청 (연옥장 계열 단청)
12세기 고려단청 - 풀과 꽃이 난무하는 붉고 푸른 금벽단청
원간섭기 고려 단청 - 일반인은 알아보기 힘든 기하학 무늬가 강세인 청아한 단청으로 변화
출처 - https://vpb192kh.tistory.com/
본 그래픽 구현하신 분이 백제 문화단지는 조선시대 건축양식인 살색벽과 상록하단이 아닌 일본 건축양식과 같은 흰벽, 주칠(붉은칠)로 복원했어야 한다고 글을 남겼는데 저도 그렇게 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마찬가지로 복원된 신라시대 월정교 역시 백제 문화단지보다는 낫습니다만 뭔가 아쉬움이 남습니다.
분명 잘 알지도 못하면서 왜색이라느니, 여기가 일본이라느니 하면서 발끈할 사람들 있을텐데 애초에 고대 일본 건축양식은 한반도, 특히 백제에서 전해진 것이니 왜색이 아닌 원래 우리 조상들의 건축기법이라 할 수 있겠죠.
많은 예산이 투입되고 한 번 지으면 철거하고 다시 짓기 매우 힘든 건축물 특성상 조선시대 상록하단 단청, 살색벽, 기와를 적용해 졸속으로 짓는 건 안하느니만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추후 백제의 미륵사, 신라의 황룡사, 통일 후 고려의 만월대를 복원할 경우 당시 시대에 맞게 완벽하게 고증할 순 없어도 최대한 고증에 가깝게 복원할 수 있도록 긴밀한 연구 및 일본 사학계, 전통 건축 전문가들과 협력할 필요성이 있다고 봅니다.
첫댓글 그래픽이라 색이 더 쨍한가? 와 화려하고 멋지다 고구려는 색 별로 안쓸줄 알았는데 화려해서 놀람 고려 기와색 대박이다
오
와멋있다!!!
백제가 단아하면서 화려한 느낌이다 ㅋㅋ
와 이거 하나 만드는데 정성이 미쳤는데...ㅇ 이걸 어떻게 이렇게...
개멋지잔아 (ฅ’ω’ฅ)💖
색감 정말 저런 색이었을까??
개화려해 블랙기둥바닥도 개멋잇가,,, 갠적으로 백제조와
옥색기와 뭐야 도자기인가? 하늘이랑 어우러지면 쩔듯
실물로 보고싶다
ㅇㅇ 이거 국립중앙박물관 가면 실제로 볼 수 있어
고구려 보다가 백제 보니까 엄청 화려하네 글구 확실히 고려때가 조선이랑 쫌 비슷하구나 ㅋㅋㅋㅋ 까만 기와
그 시대에서 어떻게 저렇게 지었을까 진짜 멋지다
진짜멋있다
진짜 실제로ㅠ보고싶다
멋있고 대단하다
우와ㅠㅠ 지금도 저루면 좋겠다
너무예쁘당
생각보다 색이 엄청 환하다
너무 멋져!!
어우 똑똑이 문화재청에서 데려가라구
저 빨간색 흰색 초록색조합 넘 예뻐...
고려 너무 멋있다
오 저때 2층 이상이 많네?!! 근데 왜 조선시대때 건물은 전부 1층일까...??
알고있기론 조선땐 난방문화나 검소 중시하는 유교사상때문인걸로 아는데 자세하게 왜그런지는 몰겠네
@지기지기자 오! 일리있다 유교영향이 있겠네 진짜!! 알려준거 키워드로 더 찾아볼게~~ 고마워🥰👍🏻
개화려하다ㅠ 진짜 눈으로 보고싶어..
모르는 사람들이 보면 왜색 짙다고 함..ㅜㅜ 아니 우리가 걔네한테 건축양식 알려준거라고요ㅠ
비교적 조선에 가려져서 그렇지 삼국이랑 고려 문화도 개이쁜디 각광 받앗으면 좋겠음
와 백제 진짜 예쁘네
개쩔고 멋있어
와 일본은 그냥 백제 모방이잖아 여태 발전업ㄱ이 똑같이 지어왔네
일본놈들 우리거 다 베꼈구만..... 이 생각만 든다
고려 옥색 기와 너무 예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