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책 좀 했더니 발뒤꿈치 찌릿찌릿 중년 여성에게 많은 '이 질환'
연일 화창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아침저녁으로 걷기운동과 주말에는 등산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
가벼운 신체활동은 건강과 몸의 활기를 북돋아 주는 좋은 방법이다.
한편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는 말이 있듯 무리한 보행이나
운동으로 발에 무리가 생겨 병원을 찾는 이들도 적지 않다.
여러 족부 질환 가운데서 흔하게 발생하는
‘족저근막염’은 중년 이상, 특히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 족저근막염, 11년 새 3배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족저근막염(발바닥근막성 섬유종증) 환자는
2021년 26만5346명으로 2010년(8만9906명)보다 약 3배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가장 많았고, 성별로는 여성(58%)이 남성(42%)보다 많았다.
족저근막은 종골(발뒤꿈치뼈)부터 발바닥 근육을 감싸고
발바닥 아치(arch)를 유지해 주는 단단한 섬유막이다.
주요 기능은 몸을 지탱하고 충격을 완화 시켜준다.
족저근막염은 심한 운동이나 오래 걷기 등으로
족저근막에 무리가 가면서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보통 운동선수들에게서 많이 발병하지만 최근에는
하이힐이나 굽이 낮은 신발, 딱딱한 구두를 자주 신는 일반인에서도 증가하는 추세다.
족저근막염이 나타나면 아침에 일어나 처음 발을 디딜 때 발뒤꿈치 부위에
찢어지는 듯한 통증을 보이지만 점차 걸음을 걷다 보면
통증이 줄어드는 증상이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진단은 초음파 검사로 가능하다.
근막이 파열되면 그 부위가 부어올라 두께가 두꺼워진다.
◇ 족저근막염, 조기 치료 중요 ◇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재활의학과 김민욱 교수는
“족저근막염은 증세가 오래될수록 치료 성공률이 낮아지는 만큼 증상이 의심될 때는
빠른 시일 내에 재활의학과나 정형외과 진료를 받고 조기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족저근막염 초기 단계에는 약물치료와 스트레칭만으로도 호전될 수 있지만,
보통 즉각적인 호전이 아닌 6개월 이상의 보존적인 치료를 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참을성과 꾸준함이 중요하다”고 했다.
족저근막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족저근막에 과도한 긴장을 주지 않아야 한다.
가령 서 있거나 걷는 것을 가능한 줄이는 것이 좋다.
비만이거나 최근 급속한 체중 증가가 있다면 체중을 줄여야 한다.
따뜻한 족욕은 혈액순환을 도와 족저근막염 예방과 통증 완화에 도움을 준다.
치료 시 족저근막과 아킬레스건을 효과적으로 늘려주는 스트레칭을 병행하면 도움이 된다.
부종이 동반된 급성기에는 약물치료인 소염진통제를 사용한다.
이때 증상에 호전이 없다면 통증 부위에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를 할 수 있지만,
이는 족저근막의 파열을 더 악화시키거나 발바닥 뒤꿈치에 충격을 흡수해 주는
지방 패드를 녹이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김민욱 교수는
“구두를 오래 신으면 발뒤축의 바깥쪽이 먼저 닳기 시작하는데,
이렇게 닳은 구두를 오랫동안 신게 되면 발바닥에서
일을 더 많이 하게 되면서 족저근막염이 발생하고 악화할 수 있다”며
“구두 뒤축을 새로 교체해주는 것만으로도 통증을 호전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생활습관 교정이나 주사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는
만성 환자는 체외충격파 치료(ESWT)를 통해 염증조직을 회복시켜 족저근막염을 치료할 수 있다.
체외충격파 치료는 기기에서 발생한 충격파가 세포막에 물리적 변화를 유발,
새로운 혈관을 생성해 석회화를 재흡수시키고 혈액 공급을 증가시켜 손상된 조직의 재생을 촉진한다는 원리다.
이를 통해 염증을 감소시키고 주변 조직과 뼈 회복을 활성화해 통증 감소와 기능 개선을 가져온다.
또 충격파를 염증이 있는 족저근막에 가해 통증을 느끼는
신경세포를 자극, 통증에 대한 신경의 민감도를 떨어뜨리고 통증을 완화한다.
특히 새로운 혈관을 생성시켜 이미 손상된
족저근막의 치료를 도와, 많은 시간이나 수술 없이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김민욱 교수는
“체외충격파는 기존의 물리치료, 약물, 주사 등의 치료로 효과를 보지 못한
족저근막염 외에 근골격계 환자들에게도 추천되는 비수술적이고 안전한 치료방법이다”며
“특히 회전근개 병변, 석회성 건염, 테니스엘보 및 골프엘보,
만성 허리통증, 아킬레스건염, 퇴행성관절염, 연골연화증 등
근골격계 질환이 만성적으로 지속하거나 골절 부위의 불유합,
림프 부종, 뇌졸중 환자의 경직, 욕창이 있는 환자에서도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