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강 이미지의 유형과 실제 >
/김영천(시인)
영미의 1910년대 이미지즘 운동이후 이미지스트 시인들은 사물을 사물스러움 그대로 제시하고자 했으며, 전 시대 관념의 시에 감각이 마비되었던 독자들은 이미지즘 시를 환영했다고 합니다. 관념의 횡포를 증오하는 새로운 독자들의 환영을 받으면서 현대시에서는 시의 회화성이 지배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
쉽게 말해서 독자들이 철학적, 종교적,관념적인 시보다는 그림을 보듯 마음 속에 떠오르는 가시적인 시를 좋아하게 되었다는 것이지요.
시를 이루고 있는 세 요소를 볼까요?
첫째는 시에는 어떤 의미가 있어야 하겠지요.
둘째는 어제 배운 음악적 요소입니다.
셋째가 오늘 배울 회화적 요소인데요.
이 회화적 요소가 이미지 즉 심상입니다.
이 심상은 말 그대로 마음에 떠오르는 그림일 터이니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시는 이미지다" 라고 하거나 또는 "이미지는 시의 생명이며 극치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아주 중요한 위치에 있는 것은 확실합니다. 실제로 여러분이 시 창작하는데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조금 더 세분하여 공부해보겠습니다.
1)이미지란 무엇인가
시에서 이미지는 마음 속에 언어로 그린 그림입니다. 조금전에도 말씀드렸지만 이는 의미, 운율과 더불어 시를 구성하는 원리로서 추상적인 관념을 구체적으로 감각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입니다.
다시 말해서 이미지는 어떤 대상을 우리들의 정신이나 마음속에서 감각적으로 재생시키는 언어라고 할 수 있겠지요. 그러니까 우리가 보거나, 듣거나, 만지거나, 느끼거나 육체적으로 감각할 수 있는 모든 것이 마음 속에서 다시 그림으로 떠오르는 것이 모두 이미지가 될 수 있습니다.
아브람스는 이미지를 세 가지의 일반적 의미로 분류했습니다.
첫째) 넓은 의미의 이미지로 한 편의 시나 문학작품 속에서언급된 감각. 지각의 모든 대상과 특질을 가리키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예문으로 박이도님의 <돌쇠네 마을>을 한 번 읽어볼까요?
돌쇠네 마을은 과부네 마을
밤마다 등잔불에
너울대는 남정네들이
온 마을을 돌아다닌다.
웃음도 한숨도 아닌
휘청거림이
검은 그림자로 번져난다.
칼바람이 불어와도
헛간의 황소가 암내를 내도
돌쇠네 마을은
숨은 한숨이 번져난다.
전쟁놀이에 죽은 아비가
돌쇠 고추만한
등잔불에 와
못다한 사연을 불태운다.
돌쇠네 마을은
마른 쇠똥이 널려 있고
어둠 속에 내리는
소리 없이 내리는 눈발 속에
과부가 나들이 간다.
먼데 개 짖는 이웃에
숨죽여 숨죽여
고무신 자국 남기며
나들이 간다
몰래 애기 낳으러
성황당 고개를 넘어간다.
위 시에서는 지각적 감각적 언어들이 이미지화하여 있는 것이 많이 있습니다.
1.2연의 예를 보면, 밤, 등잔불, 남정네들, 돌쇠, 과부,마을, 그림자, 칼바람, 황소 들이 지각적 감각적 대상이되겠으며 이것들을 구체화시키는 특질들로는 너울대는,돌아다닌다, 검은, 휘청거림, 번져난다, 불어와도, 암내를 내도, 등이 있습니다.
둘째)이 보다 좁은 의미로서 이미지는 시각적 대상과 장면의 요소만을 가리키는 것이 있습니다.
예문으로 이시영님의 <1995년 9월, 석양> 을 읽겠습니다.
관악산 머리 위로 불쑥,
새 한 마리가 넘어오고 있었다
아니다 관악산 머리 위로 불쑥,
보잉 707 한 대가 넘어오고 있었다
아니다 관악산 머리 위로 천천히
새 한 마리가 날고 있었다
아니다 관악산 머리 위로 천천히
보잉 707 한 대가 선회하고 있었다
서쪽 하늘은 온통 금빛 잠자리 나래들로 분주하다
이 시는 시각적 대상과 장면으로써 이미지를 이루고 있습니다. 루이스는 이런 시각성, 회화성을 가리켜 "언어의 그림'이라고 말 할 정도로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셋째) 이미지는 비유적 언어, 특히 은유와 직유의보조관념을 가리킵니다. 비유는 나중에 따로 공부하는 아주 중요한 개념입니다. 혹자들은 시는 메타포다 할정도로 중요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유강희님의 <노인>을 읽겠습니다.
주름의 집이 기우뚱 하수구 위로 기운다.
금방 쓰러져 캄캄한 하수구 맨홀 속으로
빨려들 것처럼 구부린다.
아주 주저 앉는다.
집이, 오랜 세월을 견뎌온 주름의 집이.
그리고는
차창에 스치는 붉은 꽃을 마구 토해낸다.
환한 대낮, 수많은 주름이 집을 의지한 채
길가에 비틀비틀 부지런히 方向을 찾고 있다.
여기에서 우리의 눈길을 끄는 것은 '주름의 집'이라는이미지이지요.
이 이미지는 노인을 '주름의 집'에 비유함으로써 새롭게 우리의 주의를 환기시켜줍니다. 이처럼 비유적 표현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해주긴 하지만 꼭 이러한 비유적 표현이 아니라도 시 작품 전체를 통하여 결코 잊혀지지 않는 멋진 이미지들을 만날 수도 있습니다.
잠시 쉬시면서 바닷 속 구경을 좀 하시고 계속하지요. 시의 이미지를 이제 좀 아시겠습니까? 보다 쉽게 설명해보지요. 독자가 시를 읽으면서 떠오르는 느낌이 바로 그 시의 이미지입니다. 예를 들면 '하늘'에 대한 시에서는 독자는 하늘의 여러가지 모습을 느끼게 되고, '강'이나 '바다'에 대한 시를 읽으면서는 '강'이나 '바다'의 여러 광경을 마음 속에 떠올릴것입니다.따라서 어떤 시를 읽어서 여러가지 그림이 마음 속에 떠오르게 되면 바로 그것이 이미지가 되겠습니다.
다시 말해서 이미지란 마음 속에 그려지는 그림 또는 모습을 뜻하는 것으로 심상(心象, 心像)이라고 표현합니다.오늘은 강의가 좀 길었으므로 좋은 시 몇 편 소개하는 것으로 강의를 마치겠습니다.
강연호님의 <강>
저 강물
내가 반쯤 건넜다고 생각했지요
저 강물
그대도 반쯤 건넜다고 생각했나요
그대가 반 내가 반 건너면
우리 강물 한 가운데서 만나
더 큰 강물되어 흐를 수도 있으련만
돌아보면 저 강물
우리 다만 자리 바꾸었을 뿐
이쪽과 저쪽 엇갈린 채 저 강물
까마득이 손짓할 뿐
...........................................
김은정님의 <폭포>
저 것 좀 봐
사뿐 뛰어내리는 흰 버선발의 햇살
눈 맑게 뜨고
깊숙이 지상 내려다보는 가을 하늘 목덜미
저 것 좀 봐
흐를수록 세상은 목이 마르고
잠시 휘모리로 몸이 패이는 인당수
저기 좀 봐
화사하게 낙화하는 무지개
스란단의 햇살
눈부신 발목을 적시는 가을
.............................................
나희덕님의 <탱자꽃잎보다도 얇은>
나는 어제보다 얇아졌다
바람이 와서 자꾸만 살을 저며 간다
누구를 벨 수도 없는 칼날이
하루하루 자라고 있다
칼날을 베고 잠든던 날
탱자꽃 피어 있던 고향 집이 꿈에 보였다
내가 칼날을 키우는 동안
탱자나무는 가시들을 무성하게 키웠다
그러나 꽃도 함께 피워
탱자나무 울타리 아래가 환했다
꽃들을 지키려고 탱자는 가시를 가졌을까
지킬 것도 없이 얇아져 가는 나는
내 속의 칼날에 마음을 자꾸 베이는데
탱자 꽃잎에도 제 가시에 찔린 흔적이 있다
침을 발라 탱자 가시를 손에도 붙이고
코에도 붙이고 놀던 어린 시절
바람이 와서 탱자 가시를 가져 가고 살을 가져 가고
나는 어제보다 얇아졌다
나는 탱자 꽃잎보다도 얇아졌다
누구를 벨지도 모르는 칼날
이하루하루 자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