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편관月干偏官에 년간정인年干正印이 유력하거나 혹은 년간편관年干偏官에 월간정인月干正印이 유력하면 살인상생殺印相生의 귀명貴命이기 때문에 권세를 장악한다. 이때는 편관偏官이 일간보다 약하면서 명국 내에 인성이 어느 정도 힘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16) 년간편관年干偏官과 월지상관月支傷官의 극설교집剋洩交集을 월간 편인偏印으로 통관해 관찰사觀察使에 올랐다.
丁 甲 壬 庚
卯 辰 午 辰 乾 寅卯空亡
庚己戊丁丙乙甲癸
寅丑子亥戌酉申未
갑목甲木이 오월午月에 나서 시간時干에 정화丁火가 나오니 목화상관격木火傷官格으로 일지 진토辰土와 시지 묘목卯木이 묘진목반국卯辰木半局을 이루지만 월지 오화午火와 년지 진토辰土 사이에 사화巳火을 공협拱夾하니 화토火土가 왕旺한 명조로 수水가 용신用神이 되고 발수원發水源인 금성金星은 희신喜神이 된다.
평생平生 대운이 서지西地에서 북향北向으로 운행運行되니 과거科擧에 연이어 급제及第했고 관찰사觀察使의 지위까지 오른 사람이다.
① 2011년 8월 13일에 초월규칙으로 다시 보니
시지 묘목卯木이 공망으로 격국과 용신에 대해 다르게 판단해야 한다는 생각이고 공망론에 따라 명식을 다시 기재하면 아래와 같다.
丁 甲 壬 庚
辰 午 辰 乾 寅卯空亡
庚己戊丁丙乙甲癸
寅丑子亥戌酉申未
② 일간갑日干甲이 겁재劫財인 묘목卯木이 없고 월간 임수壬水 편인에만 의지하는 신약인데, 경생임庚生壬 임생갑壬生甲의 살인상생殺印相生의 귀기貴氣를 갖추었다.
③ 여기서 한 가지 신중하게 고려해야할 점은 월령 오화午火의 문제로 오화를 둘러싼 양진토兩辰土의 진극오辰剋午와 년월간 경임庚壬으로 오화午火의 의지처가 명국 내에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일간갑日干甲이 정오화丁午火를 생조한다면 월령 오화도 존재할 수 있지만, 자세히 살피면 양진토兩辰土와 경임庚壬에 포위된 오화가 갑목甲木은 정오화를 불생不生하기 때문에 월령 오화가 삼차손상三次損傷과 마찬가지의 상황이라는 판단이다.
④ 따라서 임진진수壬辰辰水와 경진금庚辰金의 세력을 따르는 가종인격[假從印格:假從强格]으로 진축토辰丑土와 경신신유금庚辛申酉金과 임계해자수壬癸亥子水가 용신이 된다.
⑤ 명주의 이력이 평생平生 대운이 서지西地에서 북향北向으로 운행運行되니 과거科擧에 연이어 급제及第했고 관찰사觀察使의 지위에 올랐는데, 갑신운甲申運과 을유운乙酉運과 정해운丁亥運과 무자운戊子運은 신유금申酉金과 해자수亥子水이니 희용신의 경계를 벗어나지 않는다.
⑥ 그러나 중간의 병술운丙戌運은 병임충丙壬沖과 진술충辰戌沖과 오술화반국午戌火半局 혹은 묘술합화卯戌合火가 성립될 것인데, 이 부분에 대한 명확한 판단을 하기에는 명리책의 고전에 나오는 옛적의 인물이라 정확하게 설명하기는 어렵다.
⑦ 필자가 짧은 지식으로 판단해 보면 육합六合이나 삼합三合은 반합半合이나 육충六沖보다 먼저 발생하기 때문에 묘술합卯戌合이 발생한다는 판단이다.
⑧ 따라서 병임충丙壬沖으로 종격의 근간根幹을 흔들면서 묘술합卯戌合이 발생하니 기존의 용신과는 다른 화기火氣가 명국 내에서 살아나 흉운凶運이었지만 종격이 파격되는 파격운破格運인 아니었던 것이다.
⑨ 그래서 뒤이은 해자운亥子運까지 관찰사 벼슬을 지낸 것이라고 판단한다.
혹은 월간편관月干偏官에 양인편관동주羊刃偏官同柱하면 친모친모와 인연이 없는 암시인데, 월간月干에 합국合局을 이루면 이런 경우를 벗어난다.
이 경우는 병일간丙日干 임오월壬午月과 정일간丁日干 계미월癸未月과 임일간壬日干 무자월戊子月과 계일간癸日干 기축월己丑月의 경우를 말하고 나머지는 어떠한 경우도 성립되지 않는다.
따라서 을년乙年이나 경년庚年이어야 위의 경우에 적확한 상황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이고 아래의 8가지 명식命式의 구성 외外에는 없다.
◎丙壬乙 ◎丙壬庚
◎◎午◎ ◎◎午◎
◎丁癸乙 ◎丁癸庚
◎◎未◎ ◎◎未◎
◎壬戊乙 ◎壬戊庚
◎◎子◎ ◎◎子◎
◎癸己乙 ◎癸己庚
◎◎丑◎ ◎◎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