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옥신의 의미와 효능
1-1 의미: 옥신(Auxins)은 여러 종류의 식물 호르몬 중 최초로 알려진 것입니다. 그래서, 옥신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 줄로 압니다. 왜냐하면, 'aux'의 의미는 '도와 주는 자'이기 때문입니다. 즉, 식물에도 호르몬이 있음을 발견하게 된 순간 이것의 이름을 짓는 데 있어 식물의 성장을 도와주는 특별한 물질임을 강조하기 위해 '도움'의 의미를 갖는 'Aux'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합니다. 참고로, Aux는 각종 전자제품들과 음향기기에서도 볼수 있는데 다른 기기와 연결을 도와주는 장치를 뜻합니다.
1-2 효능: 주로 식물의 어린 조직에서 활발하게 합성되며, 측아(側芽=곁눈)의 성장을 억제하면서 정아(頂芽=으뜸 눈)의 성장을 촉진함과 동시에 뿌리로 운반되어 측근(側根=곁뿌리)의 성장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소나무 삽목에 있어 주목할 부분은 옥신이 줄기에서 부정근(不定根)의 발생을 유도한다는 점입니다.
"수목을 무성생식의 일종인 줄기삽목으로 번식하고자 할 때 옥신을 이용하는 것은 이러한 원리에 입각한 것이며, 합성 옥신인 NAA나 IBA를 주로 사용한다." 1)
다음으로, 고농도의 옥신은 오히려 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기에 일부 합성 옥신들은 제초제로 이용됩니다
2. 옥신의 종류 및 조제법
여러가지 옥신 중 대표적인 세가지 형태를 살펴보겠습니다. IAA와 IBA는 천연 합성된 옥신 호르몬이며, NAA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옥신이므로 호르몬이라 부르지 않고, 식물 생장 조절제라고 부릅니다.
2-1 IAA

IAA는 '인돌 아세트산 또는 인돌 초산: Indole Acetic Acid'의 약자입니다. Acid는 '산 또는 산성'을, Acetic은 '신 또는 신맛'을 뜻합니다. 하여, 'acetic acid'를 우리말로 옮겨 보면, '초산' 또는 '아세트산'이 되며 식초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입니다. 그럼, IAA나 IBA에 공통으로 사용된 '인돌: Indole'은 무슨 뜻일까요?
그 첫번째 의미는 '무통증'입니다. 'dole'은 '통증'을 뜻하며, 앞에 in이 붙어서 반대말이 됩니다. 식초의 신맛은 그 농도가 진할 때 고통스럽지만, 아마도 그러한 통증을 수반하지 않는 기분 좋은 초산 또는 아세트산이기에 '인돌: indole'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합니다. 두 번째 의미로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은 옥신의 체내 이동 속도가 느리기에-"옥신의 운반은 대단히 느리게 진행되어 1시간에 약 1cm 가량 움직인다." 2), '게으르다'는 의미로 인돌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합니다.
요즘엔 IBA를 주로 사용하지만, 옥신 호르몬의 기본적인 구조와 기능을 살펴보는 데 의미가 있기에 언급해보았습니다.
2-2 IBA

IBA는 'Indole Butyric Acid'의 약자로서, '인돌 낙산'으로 불립니다. 참고로, butyric의 의미는 버터(butter)에서 생성된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버터의 원료인 우유의 의미를 살려 낙산(酪酸)이라고 합니다.
IBA는 수용성(水鎔性: 물에 녹는 성질)이 아니기에 활용을 위해 용매(녹이는 물질)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용매로 KOH와 1N-NaOH 그리고 에탄올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IBA는 에탄올에서 잘 녹지 않으며 나트륨(Na)은 식물에 이롭지 않기에 KOH의 사용을 권장합니다.
KOH의 사용량은 IBA의 용해가 주목적이기에 IBA가 녹을 수 있을 정도의 극소량을 사용하게 됩니다. IBA와 KOH는 화공약품 판매 싸이트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IBA는 25g 기준 약 30,000원 정도입니다. (1g=1,000mg. 따라서, IBA 5g/증류수 1L= 5,000 ppm이 됩니다. 단, 용매제인 KOH의 양은 무시한 값입니다.)
2-3 NAA

NAA는 'a-Naphthalene Acetic Acid'의 약자로서 '나프탈렌 초산 또는 나프탈렌 아세트산'으로 불립니다. 화학적으로 합성된 옥신 호르몬입니다. 제조시 C12H10O2를 사용하며 용해(=KOH를 용매로 사용) 및 희석과정은 IBA와 동일합니다.
발근 촉진제로 흔히 사용하는 동부한농 제품인 '루톤'의 경우가 NAA와 흡사하지만, 실제로 일본 원산인 루톤에 NAA가 몇% 함유되어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루톤 사용시 적정 희석량은 200ppm~1,000ppm입니다.)
참고로, 여러 대학의 임상실험 결과 NAA보다 IBA의 효과가 더 좋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습니다. NAA와 IBA를 혼용하는 사례도 있는 줄로 압니다.
1), 2) 및 화학식 자료의 출처는 [이경준, 수목생리학, 서울대학교 출판부]입니다.
다음 주제는 옥신과 상호작용하는 호르몬인 싸이토키닌(BA, 키네틴)이며, KOH 사용과 NAA에 대하여 도움 말씀 주신 미목사랑님께 감드립니다.
첫댓글 IBA 제조시 NaOH보다 KOH를 권장하는 이유 및 NAA 제조법 관련 내용을 보완하였으며, NAA와 관련하여 마약을 언급한 부분이 사회적인 통념상 적절치 않아 해당 부분을 삭제하였습니다.
이게 시중에 약제처럼 포장이 되어 판매되는게있는가요...예를들어 루톤같은 상품명이 붙어져서요...^^
전에는 있었지만, 지금은 없는 줄로 압니다. 있더라도 IBA나 NAA의 순수농도는 20%에 불과하기 때문에 완제품은 실질적으로 고가에 해당 할 줄로 압니다. 그렇지 않아도, 방죽골님의 말씀 전해 듣고 난 후 회원님들의 편의를 고려하여 조제를 해서 나눔하고자 할 계획을 세우고 있답니다.
아~그렇군요...공동구매가 무척 기다려지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