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옥계봉의 들국화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숲에서 살자 스크랩 전통 가옥의 특색
구절초 추천 0 조회 64 10.09.11 12:06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가옥

 

  ※가옥 → 인간 거주의 최소 단위 → 자연환경, 역사, 생활 풍습, 전통 등의 문화적 속성을 반영

 

1)가옥의 재료 →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

   ※전통적인 가옥 재료 → 나무, 흙, 돌, 볏짚 등 (______에 대한 대비가 많다.)

 ①산간지대 : 목조가옥 (통나무 집 → 귀틀집, 투방집 등) ← 통나무, 너와를 이용 : 개마고원

 ②평야지대 : 흙벽돌집, 초가집(나무, 흙, 볏짚을 이용)

 ③제주도 : 돌담집(돌, 흙, 새)

  

 ※지붕의 재료 → 지역적 특색을 가장 잘 반영함.

     ·벼농사 지대 → 볏짚의 초가 지붕

     ·산림지대 → 너와집(개마고원, 태백산지, 울릉도)

     ·낙동강하류 → 갈대 지붕

     ·제주도 → 새(억새풀)

     ·충북 북동부, 관서지방 → 돌기와(점판암)

▶너와

나무 판자를 기와 크기로 절단하여 지붕을 덮는다.

 ④최근의 가옥 재료 : 보편화(시멘트, 벽돌)

   ※가옥의 위치 → 음료수, 연료를 얻기 쉬운 곳

     가옥의 방향 → 채광, 통풍 고려 (남향, 남동향)

 

2)가옥의 구조 → 기후 특성을 반영함★★★★★

   ①겨울이 길고 한랭한 지역 : 폐쇄적 가옥 구조

                                겹집, 두꺼운 벽, 작은 창문, 낮은 천정 등

   ②여름이 길고 무더운 지역 : 개방적 가옥 구조 → 통풍에 유리

                                홑집, 넓은 대청과 마루, 넓은 창문 등

   ③강풍 지역 : 그물지붕(제주도)

   ④다설 지역 : 급경사의 지붕, 우데기, 튼튼한 기둥 등

   ⑤홍수 위험 지역 : 터돋움 집, 피수대, 높은 축대 설치 등

▶우데기

눈이 많은 울릉도에서 북서풍과 함께 몰아치는 눈이 집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처마 밑에 빙둘러친 방설벽으로 수숫대, 새, 싸리 등을 엮어서 만든다. 눈이 와도 집안에서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식량, 땔감 등을 저장하는 생활 공간으로 이용된다.

  우리 나라의 가옥은 내부 구조에 따라 겹집과 홑집으로 나된다. 겹집은 대들보 아래 방을 두줄로 배치한 유형으로 관북 지방, 태백 산지, 소백 산지의 양 사면 등 주로 산간 지역에 분포하며 제주도, 변산 반도에도 약간 나타난다. 홑집은 대들보 아래 방이 한 줄로 배치된 가옥을 말하며, 주로 서부 와 남부 지방에 분포한다. 겹집은 추운 지방, 홑집은 더운 지방에 주로 분포한다.

3)우리 나라 전통 가옥 구조 → 기후적 특성을 반영함

  가옥의 지역적 특색 : 구분 기준 : 서민층 가옥의 몸채 평면 구조

 

평면형태

분포

특징

관북형

ㄱ·田

관북지방

강원북부지방

폐쇄성이 강하다(긴 겨울 적응)

겹집, 정주간이 있다.

관서형

ㅡ·ㄱ

멸악산맥 이북 관서지방

대청이 없고, 부엌과 방사이에 문이 있으며, 부엌에 이어 방이 연속됨

중부형

ㄱ·ㄷ

멸악산맥 이남~차령산맥이북

관서형과 남부형의 점이적 성격

기본구조∼안방, 대청, 건넌방

남부형

ㅡ·二

영호남 지방,

강릉이남의 영동지방

개방성이 강하다.(여름 더위 적응)

대청과 마루, 툇마루가 넓다.

제주형

 ㅡ

제주도

부엌과 방이 분리, 고팡이 있다.

울릉도형

 

울릉도

_____에 대한 대비

  기후와 전통 가옥 → 기후적 특성이 반영됨

Q1▶관서형과 중부형의 차이를 말해 봅시다.

관서형은 _____이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으나, 중부형은 _____이 끝으로 빠지고, _____이나 ____이 가운데 위치한다.

 

Q2▶위 지도를 보고 우리 나라 가옥 구조의 특색을 말해 봅시다.

북으로 갈수록 _____의 중요성이 증가 (          가옥구조)

남으로 갈수록 _____의 중요성이 증가 (          가옥구조)

 

♠ 우리 나라 전통 가옥의 재료와 구조에는 고온 다우한 여름 기후와 한랭 건조한 겨울 기후의 영향이 크게 반영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볏짚을 덮은 지붕과 흙과 짚을 섞어 바른 벽은 방습과 단열 효과가 크기 때문에 습하고 무더운 여름 더위를 막아 주고 겨울의 추위를 견디기에 좋다. 또한 제주도의 전통 가옥에서 지붕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굵은 동아줄로 촘촘히 묶어 놓은 것도 바람이 많은 제주도의 기후 환경에 적응하려는 지혜에서 비롯된 것이다. 우데기는 울릉도 민가의 독특한 설비로서 방설, 방풍, 방우, 차양의 기능을 갖는다. 우데기는 한랭한 북서풍을 막아 주며 여름에는 강한 일사를 차단시켜 줄 뿐만 아니라 바람과 함께 들이치는 비를 막아 준다. 방벽과 우데기 사이의 폭은 1.2∼1.6rn 정도의 공간이 있어 집안을 일주할 수 있고 작업 공간, 생활 필수품의 저장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우리 나라 가옥의 지역 간 평면 구조를 비교해 보면 겨울이 길고 추운 북부 지방은 겹집이 많고 일반적으로 대청 마루가 없다. 반면에 여름이 습하고 무더운 남부 지방은 통풍이 잘 되는 홑집이 많고 대청 마루나 툇마루가 놓여 있다.

1) 너와집 : 통나무를 기와 크기로 잘라서 만든 나무 판자나 두꺼운 나무 껍질로 지붕을 올린 집.

2) 귀틀집 : 통나무를 쌓고 사이에 풀과 진흙을 섞어 넣어 만든 집.

3) 우데기 : 수수대, 새(새) 등을 엮어 만든 것으로 방설, 방풍, 방우, 차양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는 외벽

4)정주간 : 겨울 춥고 긴 관북 지방의 가옥 구조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온돌을 깔며 부엌과 칸막이가 없다.

                현대식 아파트에서 거실과 같은 역할을 한다.

 

▣ 참 고 자 료 ▣

◈ 넓지 않은 나라, 적지 않은 가옥 구조

대청은 우리 나라중부 이남의 집에 발달되어 있으며 바닥 밑이 비어 있는 마루방이다. 앞뒤로 트여있는 이 대청은 한여름 무더울 때 잠자는 공간으로도 이용되는데 나무로 만든 이 구조는 열대 지방에 잘 발달되어 있다. 따뜻한 온돌은 한국인의 질병을 없애 주고 추위를 녹여 주는 보금자리이다. 따라서 한옥이 현대의 서구식 가옥으로 바뀌어도 온돌방은 없어서는 안 되는 생활 공간이다. 다른 난방법은 위가 덥고 아래가 차갑기 때문에 공기가 잘 순환되지 않는다. 이에 비해 온돌은 방바닥이 데워지면 위의 차가운 공기와 섞여 방 전체가 똑같이 따뜻해진다. 온돌은 겨울에 필요한 시설이지만, 여름에 불을 지피지 않으면 냉들이 되어 누워서 더위를 식히는 데 매우 좋다. 한편 제주도의 집은 개방적인 一자형으로, 난방 할 필요가 별로 없다. 방의 일부에만 구들장을 놓고, 그 밖에는 흙바닥에 장판을 깐다. 부여의 아궁이는 안방 쪽을 향하고 있지 않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추운 관북 지방은 가장 폐쇄적인 田자형 겹집이다. 이 관북형 가옥은 방은 방인데 부엌 쪽으로 벽이 없는 정주간이 특징적이다. "연기가 들어와도 좋다. 따뜻하기만 해다오."라는 것이 정주간이 주장하는 바다. 따라서 정주간은 부엌에 붙어 있는 가장 따뜻한 방으로 식당, 거실, 침실 등 다목적으로 쓰이는 공간이다. 부엌은 현관 구실을 겸하고 있으며 사람들은 부엌을 통하여 정주간과 외양간 등을 드나든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