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의 시간단위
일다경 = 15분
따뜻한 차를 한잔 마시는 정도의 시간이라는 뜻으로 15분이라고도 하지만 매우 짧은 시간이라고도 표현됨
일각 = 15분
한시간의 4분의 1로 15분을 나타냄
한식경 = 30분
밥을 한끼 먹는 시간이라는 뜻으로 30분
한시진 = 2시간
지금와서는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누지만 옛날에는 하루를 12시간으로 나눔 (이는 12지신에 유래)
반나절 = 3시간
말그대로 한나절의 반 (밑참고)
한나절 = 6시간
한나절이라고 하면 보통 하루를 거의 보낸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지만 정확한 시간으로는 낮 12시중에 반으로 6시간
12시진 = 24시간 나타내는 방법
자시(子時) - 삼경을 말하는 시각이다.
밤 11시부터 다음날 새벽 1시 까지.
( 23:00 ~ 01:00 )
축시(丑時) - 사경이라고도 한다.
새벽 1시부터 3시 까지.
( 01:00 ~ 03:00 )
인시(寅時) - 오경이라고도 한다.
새벽 3시부터 5시 까지.
( 03:00 ~ 05:00 )
묘시(卯時) - 오전 5시부터 7시 까지.
( 05:00 ~ 07:00 )
진시(辰時) - 오전 7시부터 9시 까지.
( 07:00 ~ 09:00 )
사시(巳時) - 오전 9시부터 11시 까지.
( 09:00 ~ 11:00 )
오시(午時) -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 까지.
( 11:00 ~ 13:00 )
정오(正午)를 12시라고 함은 오시의 중간이기 때문이다.
( 12:00 )
미시(未時) - 오후 1시부터 3시 까지.
( 13:00 ~ 15:00 )
신시(申時) - 오후 3시부터 5시 까지.
( 15:00 ~ 17:00 )
유시(酉時) - 오후 5시부터 7시 까지.
( 17:00 ~ 19:00 )
술시(戌時) - 초경이라고도 한다.
밤 7시부터 9시 까지.
( 19:00 ~ 21:00 )
해시(亥時) - 이경이라고도 한다.
밤 9시부터 11시 까지.
( 21:00 ~ 23:00 )
무협의 길이단위
치 = 촌
1치 = 약 3cm
자 = 척
자(척) = 손을 폈을때 엄지손가락 끝에서 가운데손가락 끝까지 길이
척은 처음에는 18cm 였으나 한나라 때 23cm 당나라때 24cm
또 고려때와 조선초기는 32cm였으나 일제강점기때 계량되어 30cm로 되었다.
자 = 30cm
척 = 30cm
보
보통 장년 남자의 한번의 발걸음
1보 = 6척
1보 = 1.82m
장
성년남자의 키를 1장으로 보았다. 사람의 키만한 길이를 '한길'이라고 하는것도 거기서 유래
1장 = 10척
1장 = 3.03m (성년남자의 키가 3m인거냐!!!!!!!) <- 무시
길
원래 사람의 키를 기준으로 한것인대 차차 길게잡아 8척 또는 10척을 한길이라고 하게됨
길 = 3m
리
마을마을의 사이에서 유래된것으로 1리는 0.4km
p.s 심심해서 적어보는 엄마찾아 삼만리
1리 = 0.4km
30,000리 = 0.4 x 30000 = 12000km!
결론 : 님하짱임
슈퍼 올트라 스팩터클 엘레강스 하이퍼 마라톤을 하신 우리 주인공님 ㅡㅡ
무협의 내공단위
1성
무협게임같은걸 보면 1성이 최하래밸으로 표시되는대... (래밸1로 표현됨)
1성이 보통인처럼 내력이 없는 사람은 아니다.
1성을 얻기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무협소설에서는 이렇게 현실적으로 표현을 하면 재미가 없기때문에 작가에 따라 이런 내공 성취도를 더 빠르게 조정하는 경우가있다.
5성이되면 고수라고 할수있으며
8성이 되면 절정고수가 된다.
이렇게 10성이 되면
1갑자라는 표현이 나오게된다.
1갑자 = 10성
1갑자는 60년이라는 뜻으로
60년동안 수련을한 내공이라는 뜻이된다.
하지만 반드시 사람의 나이가 60이되야 1갑자가 되는것이 아니라 그만큼 많은 수련을통해 많은 내력을 가지게 되었다는 단위다.
1갑자정도가 되면 절대고수라고 할수있다.
그리고 여타 게임애서 나오는것처럼
1갑자 2갑자 3갑자 이렇게 표현이된다.
( 소설에서는 '1갑자 5성'이런식으로 표현되지 않음... )
첫댓글 이건 정말 좋은 정보네요. 잘 외우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아, 한시진이 1시간이 아니었군요... 2시간이었다니..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