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재적 관점
작품 자체의 내적 질서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 비평하는 방법이다. 문학작품은 그 자체로 독립적이고 자족적인 존재라는 전제하에 시인(작가), 독자, 현실과의 관계를 일절 배제하고, 작품을 이루고 있는 언어와 그 언어들의 유기적 관계, 작품의 구조 등에 대한 분석에 주력한다. 작품의 내적 의미에 주목하는 방법이다.
외재적 관점
시인(작가), 현실, 독자와의 관련성을 살피며 작품을 감상, 비평하는 방법으로 표현론적 관점, 반영론적 관점, 효용론적 관점으로 나뉜다.
① 표현론적 관점
문학 작품은 작가가 자신의 개인적 체험, 사상, 감정 등을 표현한 것이므로 작가의 의도를 파악해 내는 것이 작품 이해의 관건이라고 보고, 작가의 전기적 사실을 연구하여 이것이 작품에 어떻게 나타나고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살핀다.
② 반영론적 관점
문학 작품은 특정한 삶의 현실을 반영한 것이므로 그 현실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 작품 이해의 지름길이라고 보고, 작품이 창작된 당대의 삶의 현실, 사회적 상황 등을 살핀다.
③ 효용론적 관점
문학 작품을 읽고 그 의미를 획득하고 감동을 받게 되는 주체는 독자라는 사실을 중시하여, 문학 작품이 독자에게 미친 미적 쾌감, 교훈, 감동 등을 살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