飛火時調文學會 | | | |
동인시단 | | | | |
현대시조 1988년 여름호 | | | |
| | | | | |
〈飛火〉는 서라벌을 휘감고 굽이치는 형산강 중류, 노계 박인로의 가사 독락당의 |
산실이기도 한 안강의 옛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며, 이 서라벌과 끈끈한 인연을 가진 |
사람들로 이루어진 시조 모임이다. | | |
1979년 6월 조주환(曺柱煥)을 창립 회장으로 하고, 회원 16명이 민족문학에 뜻을 두고 |
시조 인구의 저변확대와 작품의 질적 향상을 목표로 닻을 올려, 80년 5월 동인지 |
《飛火 시ㆍ시조》를 창간했으며 현재 8집을 준비하고 있다. |
85년 10월까지 조주환이 회장을 맡아 이끌면서 여러 가지 어려움 속에서 |
《비화》 5집까지 출간했으며, 현재는 이봉학(李奉學)님이 회장을 맡고 있고, |
86년 10월부터 박경용(朴敬用)과 조주환을 고문으로 추대하고, 회원 17명이 무엇보다 |
끈끈한 인연으로 한 덩어리가 되어 있으며, 회원의 분포는 영남 일원이나 |
호남의 김진혁(金珍赫)까지 그 폭이 넓혀져 《비화》는 명칭처럼 시조의 불길이 |
확산되어 가고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뉴욕(New york)의 하루 | | |
이봉학 | | | | | |
| | | | | |
설레는 가슴자락 | | | | |
서성(瑞星) 쓰고 날아왔다. | | | |
애운히 푸는 타래 | | | | |
오히려 밤은 짧고 | | | |
生死건 모진 세월이사 | | | |
노을 속에 타고 있다. | | | |
| | | | | |
고요 속 동은 튼가 | | | |
서성이는 이슬 뜨락 | | | |
깃을 터는 나무들도 | | | |
하늘 보고 숨 고른다. | | | |
오늘도 새벽길 열고 | | | |
핸들 잡는 은혜여 ! | | | |
| | | | | |
기울인 햇살 너머 | | | | |
이달도 저물었다. | | | | |
이내로 씼은 꽃뜨락에 | | | |
향수를 다둑인가 | | | | |
진종일 빈 뜨락 돌아 | | | |
번쩍이는 고국산천. | | | |
| | | | | |
겨운 삶 접어 두고 | | | |
돌아온 그들 맞다. | | | | |
땀내도 양념인양 | | | | |
둘러 앉는 늦은 식탁 | | | |
쌓이는 잇달은 노고 | | | |
드리우는 기도여 ! | | | | |
| | | | | |
| | | | | |
이봉학 | | | | | |
1921년 경북 울진 출생 | | | |
대구사범 심상과 졸업 | | | |
사범전문학교과정 수료 | | | |
한국시조시인협회 회원 | | | |
한국자유시인협회 회원 | | | |
한국현대시인협회 회원 | | | |
비화시조문학회 회장 | | | |
| | | | | |
| | | | | |
| | | | | |
안개 | | | | | |
김진혁 | | | | | |
| | | | | |
우리는 깊은 안개 속 | | | |
어디쯤에 있는가 | | | | |
| | | | | |
相念은 소나타 音階 깊은 곳으로 철저히 빨려 들어 | |
가 뿌연 안개 속 끄트머리쯤에 닿아 재그럽고, 갈 길 | |
잃은 憤怒의 時節은 虛像으로 나앉아 깊은 설움으로 | |
피어 오르네. 간혹 우리네 여린 목숨은 山寺 깊은 숲 | |
속 오솔길에 내리는 한방울 새벽이슬로 딍구는데 다시 |
또 믿기지 않는 季節을 불러 내 곁에 세워 놓고 죄없는 |
영혼 육신을 落葉이듯 떨구리니, 마침내 하늘은 永遠 |
한 治癒의 죽음만이 조용히 誘惑하고 있네. | |
| | | | | |
안개는 | | | | |
걷히지 않고 | | | | |
뒤틀린 해가 진다. | | | | |
| | | | | |
| | | | | |
金珍赫 | | | | | |
1947년 광주 출생 | | | | |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졸업 | | | |
1984년 〈시조문학〉 천료로 | | | |
문단에 등단 | | | | |
비화시조문학회 회원 | | | |
| | | | | |
| | | | | |
| | | | | |
新行日記 | | | | |
김명주 | | | | |
| | | | | |
청태(靑笞)익은 개울 넘어 | | | |
어머니 계신 골을 | | | |
외씨버선 곱게 신고 | | | |
한 하늘을 따라 날던 | | | |
그날은 | | | | |
새벽빛조차 | | | | |
지천으로 서러웠다. | | | |
시린 영혼 같다던 | | | |
등진 유년 보기겨워 | | | |
다가선 중천의 마당에 | | | |
발내딛기 힘겹지만 | | | |
추스려 | | | | |
영육의 노래 | | | | |
곱게 한번 불러보자. | | | |
| | | | | |
| | | | | |
김명주 | | | | | |
1961년 경북 영일 출생 | | | |
포항여자고등학교 졸업 | | | |
현 포항시 용흥2동사무소 근무 | | |
비화시조문학회 회원 | | | |
| | | | | |
| | | | | |
| | | | | |
사랑앓이 | | | | |
ㅡ신(神) | | | | |
김제흥 | | | | | |
| | | | | |
한 사흘 앓고나면 | | | | |
신(神)으로 오던 그대 | | | |
| | | | | |
강물도 달리뵈는 | | | | |
슬픔의 언저리로 ㆍㆍㆍㆍㆍㆍ | | |
| | | | | |
계절은 | | | | | |
어느 길목쯤 | | | | |
그대 모습 내릴까. | | | | |
| | | | | |
| | | | | |
김제흥 | | | | | |
1960년 경북 봉화 출생 | | | |
영주공업고등학교 졸업 | | | |
동부산업㈜ 포항공장 근무 | | | |
비화시조문학회 회원 | | | |
| | | | | |
| | | | | |
| | | | | |
兄山江 | | | | |
배종교 | | | | | |
| | | | | |
갈꽃이 목을 뽑아 | | | |
서걱이던 허허 벌판 | | | |
| | | | | |
공단 굴뚝들이 | | | | |
흰 연기로 꽃피우고 | | | |
| | | | | |
강물은 가슴을 펴며 | | | |
동해로 와 드푸르다. | | | |
| | | | | |
| | | | | |
젊은, 이 땅의 꽃이 | | | |
외마디 목숨을 떨군 | | | |
| | | | | |
그 유월 상흔(傷痕)들은 | | | |
전설처럼 묻어두고 | | | |
| | | | | |
서라벌 천년을 휘감아 | | | |
되굽이쳐 흐른다. | | | | |
| | | | | |
| | | | | |
멍든 역사를 쓸며 | | | |
빈 벌판을 적시고 온 | | | |
| | | | | |
흡사 내 겨레같은 | | | |
저 강물이 끝간 하구 | | | |
| | | | | |
반만 년 어둠을 태우며 | | | |
영일만이 홰를 친다. | | | |
| | | | | |
| | | | | |
배종교 | | | | |
경남 김해 출생 | | | | |
현 포항 포철공업고등학교 근무 | | |
비화시조문학회 회원 | | | |
시조 문학 초회천(87년) | | | |
| | | | | |
| | | | | |
| | | | | |
서라벌 20 | | | | |
ㅡ용담정 | | | | |
서석찬 | | | | |
| | | | | |
구미산 기슭 한켠 말발굽 찍힌 바위 | | |
골 골 골 가슴 열어 | | | |
발길을 동여매고 | | | | |
산 산 산 | | | | |
허리춤 모아 | | | | |
天道의 길 치닫는다. | | | |
| | | | | |
돌바람 이는 겨울 | | | |
고이는 형산강에 | | | | |
옷고름을 여미며 | | | | |
動學으로 흐른 地氣 | | | |
파랑새 | | | | |
다시 우는 날 | | | | |
깨어 남아 들꽃이리. | | | |
| | | | | |
*용담정 : 경북 월성군 현곡면에 소재하는 유적지로 천도교의 뿌리인 |
| 최제우 선생이 학문을 닦던 곳이다. | |
| | | | | |
| | | | | |
서석찬 | | | | | |
1959년 경북 월성 출생 | | | |
경주실업전문대학 행정과 졸업 | | |
한국방송통신대학 행정학과 졸업 | | |
86년 《시조문학》 봄호 초회천 | | |
87년 《시조문학》 겨울호 2회천 | | |
88년 《시조문학》 봄호 천료 등단 | | |
비화시조문학회 회원 | | | |
현 만도기계 경주공장 근무 | | | |
| | | | | |
| | | | | |
| | | | | |
목련 | | | | | |
서숙희 | | | | | |
| | | | | |
어느 해 이른 봄날 | | | |
꿈결처럼 떠나버린 | | | |
| | | | | |
소복의 먼 기억이 | | | | |
담너머로 어른대는 날 | | | |
| | | | | |
잊었던 환생의 길목에 | | | |
안타까운 몸짓이야 | | | |
| | | | | |
| | | | | |
불러도 손짓해도 | | | | |
늘 그만한 세월은 지고 | | | |
| | | | | |
속살 돋는 아픔으로 | | | |
다시 켜든 환한 등불 | | | |
| | | | | |
무심히 흔들리는 꽃그늘에 | | | |
무너지는 사월은. | | | | |
| | | | | |
| | | | | |
서숙희 | | | | | |
1959년 경북 영일 출생 | | | |
포항여자고등학교 졸업 | | | |
포항시청 公友문학회 회원 | | | |
현 포항시 해도2동사무소 근무 | | |
비화시조문학회 회원 | | | |
88년 《시조문학》 봄호 초회천 | | |
| | | | | |
| | | | | |
| | | | | |
겨울잔디 | | | | |
손수성 | | | | |
| | | | | |
하늘빛도 부서져 내려 | | | |
하얗게 언 계절의 끝 | | | |
찌든 피멍 속 | | | | |
앙버틴 푸른 꿈은 | | | |
어깨로 눈을 쳐든다 | | | |
눌린 손을 빼낸다. | | | |
| | | | | |
무릎 꺾인 풀들일랑 | | | |
보듬어 세우면서 | | | | |
별빛을 입에 물고 | | | |
빙벽(氷壁)을 뜯고 있다. | | | |
청자(靑瓷)빛 하늘문(門) 열려 | | |
어둠 속에 목 빼 들고 ㆍㆍㆍㆍㆍㆍ | | |
| | | | | |
은(銀)의 달빛마저 | | | |
울며 떠는 눈더미 속 | | | |
시린 뿌리 그 낱낱 | | | |
밟힌 역사 되새기며 | | | |
등 굽혀 지피는 불길 | | | |
이 동토(凍土)를 뎁히는가. | | | |
| | | | | |
| | | | | |
孫洙星 | | | | |
1952년 경북 풍기 출생 | | | |
경북사대 국어과 졸업 | | | |
87년 《시조문학》 천료로 등단 | | |
경북 포항고등학교 근무 | | | |
비화시조문학회 회원 | | | |
| | | | | |
| | | | | |
| | | | | |
삶ㆍⅠ | | | | |
신용직 | | | | |
| | | | | |
허리 한번 펼날 없이 새벽부터 김을 매도 | |
언제나 허전한 건 아쉬운 광주리일 뿐 | | |
온길도 비어 있지만 | | | |
갈길 또한 비었드라. | | | |
| | | | | |
매정한 바람은 또, 기진 한줌 더 보태고 | | |
더러는 발치에 밀려도 한숨으로 버티면서 | |
오늘도 땀 뻘뻘 흘리며 | | | |
되풀이 김을 매느니. | | | |
| | | | | |
申容直 | | | | |
1937년 경북 청송 출생 | | | |
연세대 국문과 수료 | | | |
동아출판사 편집부 | | | |
초중등교원 25년 | | | | |
《시조문학》 추천으로 등단 | | | |
시집《삶을 기도하며(공저)》 | | | |
《천사의 미소(공저)》 | | | |
《습지의 공간, 한국시인 50인선 사화집》 | |
《시조문학》 천료로 등단 | | | |
비화시조문학회 부회장 | | | |
| | | | | |
| | | | | |
| | | | | |
청자 | | | | | |
이병춘 | | | | |
| | | | | |
노을빛은 종소리에 | | | |
상현달빛 스치면 | | | | |
| | | | | |
이슬맺힌 난초잎에 | | | |
초롱불 묻어내려 | | | | |
| | | | | |
수줍게 옷벗는 여인 | | | |
천년바람 무늬진다. | | | |
| | | | | |
| | | | | |
한음계 또 한음계 | | | |
새벽 뚫고 토라진 넋들 | | | |
| | | | | |
시냇물 흐르듯이 | | | | |
가는 세월 여기있고 | | | |
| | | | | |
이조의 버선을 신고 | | | |
살갗위로 벙그는 미소. | | | |
| | | | | |
| | | | | |
李炳春 | | | | |
1953년 경북 예천 출생 | | | |
《시조문학》 천료로 등단 | | | |
영남시조문학회 회원 | | | |
비화시조문학회 회원 | | | |
대구에서 서점 경영 | | | |
| | | | | |
| | | | | |
| | | | | |
조국의 비원(悲願) | | | |
이영선 | | | | |
| | | | | |
휴전선 앞에서면 | | | | |
배꽃같은 흰 목덜미 | | | |
감회 깊은 저 임진강 | | | |
| | | | | |
통일의 물결 분수처럼 | | | |
단절의 역사를 딛고 | | | |
깃발로 펄럭인다. | | | | |
| | | | | |
| | | | | |
섣불리 치유할 수 없는 | | | |
먼 산령 찢겨진 세월 아, | | | |
조국의 비원(悲願)이여. | | | |
| | | | | |
통일의 눈을 뜨고 | | | |
원점의 역사를 푸는 | | | |
저 하늘을 높이보라. | | | |
| | | | | |
| | | | | |
이영선 | | | | |
1962년 경북 월성 출생 | | | |
88년 《시조문학》 봄호 초회천 | | |
비화ㆍ청파문학회 회원 | | | |
대구지방법원 경주지원 근무 | | |
| | | | | |
| | | | | |
| | | | | |
山寺 | | | | | |
이정출 | | | | |
| | | | | |
바람처럼 흐느끼는 세월은 | | | |
하늘따라 누워 있다. | | | |
| | | | | |
悔恨으로 멍울진 개여울 | | | |
님 기다리는 표주박 하나 | | | |
| | | | | |
얼룩진 번뇌는 심연속에 잠재우고 | | |
한잔의 작설차에 빠져드는 인연줄. | | |
| | | | | |
| | | | | |
이정출 | | | | | |
포항여자고등학교 졸업 | | | |
방송통신대 행정학과 졸업 | | | |
86년 신라문화제 백일장에서 대학 일반부 장원(산문부문) |
비화시조문학회 회원 | | | |
| | | | | |
| | | | | |
| | | | | |
바다 앞에 나와 서면 | | | |
조순호 | | | | |
| | | | | |
구겨진 어젯일을 품에 안아 다독이듯 | | |
. 바다 앞에 나와 서면 어머님이 다시 뵌다. | |
때묻은 목숨의 얼룩도 가뭇없이 삭혀 내고 | |
| | | | | |
모랫벌에 묻어둔 짭짤한 밀어들이 | | |
갈매기 하얀 울음 해조음과 베를 짜면 | |
외줄기 수평선 너머 홀로 서는 그리움. | | |
| | | | | |
푸르른 물기슭을 맨발로 달려 가면 | | |
하늘이 선을 긋고 바닷새가 붙인 곡들 | | |
풋풋이 빛살을 퉁기며 가슴으로 쏠린다. | |
| | | | | |
| | | | | |
조순호 | | | | |
1943년 경북 영천 출생 | | | |
영남대학교 국문학과 졸업 | | | |
비화시조문학회 회원 | | | |
경주여자중학교 근무 | | | |
| | | | | |
| | | | | |
| | | | | |
바다 앞에 나와 서면 | | | |
죽도를 떠나며 | | | | |
| | | | | |
성인봉 산영(山影)을 품어 | | | |
쪽빛 깨쳐 눈 뜬 부리 | | | |
| | | | | |
깃자락 퍼득이면 | | | |
파고들 품녘인데 | | | |
| | | | | |
한치 밖 문창을 나서 | | | |
타향 설움 달래는가. | | | |
| | | | | |
| | | | | |
뱃고동 젖은 물굽 | | | |
속품 여는 저동(紵洞) 포구 | | | |
| | | | | |
글썽이는 눈매 속에 | | | |
다가서는 삼선암(三仙岩)도 | | | |
| | | | | |
묏뿌리 이은 그 내력 | | | |
끊지 못할 연(緣)은 남아. | | | |
| | | | | |
| | | | | |
쓸리고 깎인 세월 | | | |
엉긴 회한 삼백 계단 | | | |
| | | | | |
애모(愛慕)의 깊은 갈증 | | | |
이슬 빚어 목 적시며 | | | |
| | | | | |
패인 등 꺾인 가지에 | | | |
죽순(竹筍) 새로 피우느니. | | | |
| | | | | |
| | | | | |
이 가을 하늬결에 | | | |
억새꽃 타는 향수 | | | |
| | | | | |
한 목숨 돌아뵈는 | | | |
고갯길 아스름히 | | | |
| | | | | |
저 난간(欄干) 등굽은 노송 | | | |
손짓하는 아픔아. | | | |
| | | | | |
*죽도 : 울릉도 부속도서로 저동항에서 3km 떨어져 있고 |
| 빗물을 받아 식수를 하며 살아감. | |
| (민가 세 채가 있슴) | | |
| | | | | |
| | | | | |
황무굉 | | | | |
1943년 경북 울진 출생 | | | |
《시조문학》 천료로 등단 | | | |
비화시조문학회 부회장 | | | |
울진 평해종합고등학교 근무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