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출가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여러가지유익정보 스크랩 전통문양이나 민화에 숨겨진 의미들
빈목탁소리(출가인연지기) 추천 0 조회 204 09.08.25 12:42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전통문양에 스며 있는 상징

 

 

 

 

이름

상징의미

목단

꽃 중의 왕으로 불리워지고, 부귀를 뜻한다.

패랭이 꽃

석죽(石竹) 이라고도 부른다, 돌을 뜻하는 石(석)은 장수를 뜻하고, 대나무를 뜻하는 竹(죽)은 소리를 빌려 축하한다는 뜻의 祝(축)을 나타내므로 '장수하심을 축하한다'는 뜻이 된다.

연꽃

'불교에서는 청정함의 상징이나 극락세계를 이 꽃에 비유하고, 민간에서는 여성의 옷에 연꽃무늬를 새겨넣어 자손을 많이 낳기를 기원하였다. 또한, 연꽃이 시들면 씨앗이 영그는데, 이를 연과(蓮果) 라 부르고, 이 소리를 빌려 連果(연과)하라는 뜻으로 쓴다

매화

매화는 4군자(四君子)의 하나이다. 이른 봄에 눈속에서 꽃을 피우는데, 여기에서 이른봄 즉, 春先(춘선)의 뜻으로 쓰이거나 梅(매)자에서 소리를 취하여 眉壽(미수)의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난초

난초는 4군자(四君子)의 하나이다. 한난(寒蘭), 석곡(石斛), 풍란(風蘭)등으로 구분되는데, 그 향기가 그윽하고 맑아서 맑은 향기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하고, 난초는 란손(蘭蓀)이라고 하는데, 蓀(향물이름 손)에서 소리를 빌려 孫(손)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국화

국화는 4군자(四君子)의 하나이다. 그 향기가 그윽하여, 술잔 위에 꽃잎을 띄워서 향기를 즐기기도 한다. 도연명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 비유되여 은일(隱逸) 즉, 숨어서 유유자적하거나 장수(長壽)의 뜻을 나타낸다.

맨드라미

꽃의 모양이 수탉의 볏과 비슷하여 계관화(鷄冠花)라고 쓴다. 즉, 닭이 관을 쓴 꽃이다는 뜻이 된다. 여기에서 벼슬하다는 뜻

여뀌

여뀌는 한해살이 풀인데, 따뜻한 곳에서는 여러해살이 풀이된다. 蓼(여뀌 료)로 쓰는데, 여기에서 소리를 빌려서 了(마치다 료)의 뜻으로 쓴다. 즉, '학업을 마치다'는 뜻을 나타낸다.

열매

석류

석류는 그 열매에 씨앗에 많다는데서 "아이를 많이 낳다"는 뜻으로 다자(多子)를 나타낸다.

포도

포도는 그 열매가 많이 무리지어 달린 모양에서 아이를 많이 낳다는 뜻의 다자를 나타낸다.

박이 주렁주렁 열린 모양에서 다자(多子)의 뜻을 나타내고, 그 덩굴째 그리게 되면 만대(蔓帶)즉, 만대(萬代)의 뜻을 나타낸다.

대추.밤

대추는 棗(조)자에서 소리를 취하여 早(조)의 뜻을 나타내고, 밤은 栗(률)자에서 소리를 취하여 立(립)의 뜻을 나타낸다. 즉, 早立子(조립자)라는 뜻으로 '아이를 일찍 낳다'는 뜻이다.

복숭아

천도(天桃), 벽도(碧桃), 선도(仙桃)라하여, 젊음, 청춘을 상징한다. 복숭아를 여러개 그리면 다수도(多壽圖)가 되고 복숭아를 내미는 그림은 供壽圖(공수도)가 된다.

 

 

이름

상징의미

동물

닭은 대게, 수탉을 그리는데, 닭의 벼슬 모양이 관을 쓴 것 같다 하여, 冠鷄(관계), 이름을 빛내다는데서, 公鷄(공계)등으로 부른다. 즉, 이름을 날리다는 뜻의 功名(공명)을 나타낸다.

메추리

대게 암컷메추리를 그린다. (세가락메추라기 암(鵪))으로 쓰는데, 여기에서 소리를 빌려서 安(편안하다 안) 즉, '편안하다'는 뜻을 나타낸다.

오리

오리는 鴨(오리 압)으로 쓰는데, 여기에서 甲(갑)을 취하여 '첫째'의 뜻을 나타낸다.

즉, 좋은 성적으로 과거시험에 '장원급제하다'는 뜻이다.

까치

까치는 길조(吉鳥)로 기쁨을 상징하여, 喜(희)의 뜻을 나타낸다.

까치 두 마리를 그리면, 부부가 해로하는 기쁨을 누리다는 뜻

백로

백로는 鷺(백로 로)로 쓰는데, 여기에서 '소리를 취하여 路(길 로)의 뜻으로 쓰인다. 백로 한 마리를 그리면, 일로(一路) 즉,

한 번에 급제하다는 뜻이 된다.

기러기

기러기는 雁(기러기 안)으로 쓰는데, 여기에서 소리를 빌려서 安(편안하다 안)의 뜻으로 쓰여서 "편안함"을 나타내는데, 기러기는 암수의 사이가 좋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부부 해로" 를 나타냄.

참새

참새 雀(작)는 까치鵲(작)와 독음이 같아 기쁨을 나타낸다 .

원앙새

원앙새는 부부 금술이 좋다는 뜻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부부가 금술이 좋으니,貴子(귀자)가 태어난다는 뜻을 나타낸다.

학(鶴)은 십장생(十長生)의 하나로 장수를 의미한다.

오래살다는 뜻으로 千壽圖(천수도)이다.

박쥐

박쥐는 福(복)자와 소리가 같아서 오복(五福)의 뜻을 나타낸다. 오복(五福)은 시대에 따라 약간 다른데 대게, 壽(수), 富(부),

康寧(강녕), 修好德(수호덕), 老終命(노종명)으로 보면 된다.

고양이

고양이는 猫(묘)로 쓰는데, 여기에서 소리를 빌려서 耄(늙은이 모)의 뜻을 나타낸다.즉, 70세 노인을 뜻한다

나비

나비는 蝶(접)으로 쓰는데, 여기에서 소리를 빌려서 (늙은이 질(臷))의 뜻을 나타낸다. 즉, 80세 노인을 뜻한다.

부엉이

부엉이를 猫頭應(묘두응)이라고 하는데, 노인이 70세(고희 古稀) 가 되었음을 축하한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표범

표범은 豹(표)로 쓰는데, 여기에서 소리를 빌려서 報(보)의 뜻을 나타낸다.

흰사슴

흰사슴은 白鹿(백록)으로 쓰는데, 여기에서 百祿(백록;백가지 복록)의 뜻으로 쓰인다.

 

 

 

 

 

이름

상징의미

물고기

게는 蟹(해)로 쓰는데, 등이 단단한 껍질에 쌓여있다.

여기에서 껍질을 뜻하는 甲(갑) 즉, '첫째' 의 뜻으로 쓰인다.

쏘가리

쏘가리는 궐(鱖)로 쓰는데, 여기에서 소리를 빌려서 闕(대궐 궐)을 뜻한다. 즉, 대궐이라는 뜻인데, 쏘가리를 두 마리 그리면 대궐이 두 개이므로 모반이 된다.

금붕어

金魚(금어)→金餘(금여)→金玉滿堂(금옥만당) 즉, 금과 옥이 집안에 가득하다.

나무

대나무

대나무는 사군자(四君子)의 하나로, 곧고 굳은 절개를 상징한다.

竹(죽)으로 쓰는데, 여기에서 소리를 빌려서 祝(축)의 뜻으로 쓰인다. 즉, '축하하다'는 뜻이다.

향나무

향나무는 사철푸른 나무이다. 栢(향나무 백)으로 쓰는 뜻으로 쓰인다. 여기에서 소리를 빌어 百(백)의 숫자를 뜻한다. 百壽(백수) 즉, 장수하다

소나무

소나무는 사철푸른 나무이다. 장수(長壽)를 뜻하는 십장생(十長生)의 하나이다. 松(소나무 송)이라고 쓰는데, 여기에서, 소리를 빌려 頌(칭송하다 송)의 뜻을 나타낸다.

민화

초충도

화조도가 꽃과 초목, 새를 주요 소재로 한 것에 비해 초충도는 화초에 벌과 나비 같은 곤충을 주로 그린 그림이다

약리도

중국 황하 상류 협곡에 등용(登龍)이라는 폭포가 있었다 이른 봄철에 늙은 잉어들이 용문에 모여들어 폭포를 뛰어오르면 우뢰와 번개가 쳐서 잉어 의 꼬리를 불태워 용이 된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입신출세 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어해도

여러 마리의 물고기들이 자유롭게 헤엄치고 있는 생동감 넘치고 구도에 얽매이지 않은 표현방법으로 화면의 분위기는 유유자적하고 평화스러운 낙원의 세계를 보여준다. 어해도는 풍요,다산,다복을 기원하여 젊은 부부의 방을 치장하는 데 애용되었다.

문자도

유교의 도덕강령으로 선비층의 덕목지침이기도 했던 효(孝), 제(悌), 충(忠), 신(信), 예(禮),의(義),염(廉), 치(恥) 여덟 글자를 회화적으로 표현

'충'자에는 어변성룡을 상징하는 용과 잉어, 그리고 새우와 조개를 그렸다 새우와 조개는 단단한 껍질로 싸여 있어 굳은 지조를 나타낸다.

 

 

이름

상징의미

민화

어변성룡도

잉어가 용으로 변하는것처럼 과거에 급제하여, 입신출세를 기원하는 그림이다

책가도

책꽂이에 책이 꽂혀있고, 어항등이 그려진 그림은 6판서에 이르는 모든 벼슬을 거처서 높은 벼슬에 오르라는 뜻이다. 이때, 어항속의 고기는 쏘가리이다.

화접도

(花蝶圖)

꽃과 나비는 여성을 ,괴석은 남성을 의미하며, 음양의 화합과 조 화를 상징

봉황도

봉황은 오동과 대에 깃들고 군왕을 상징함

십장생도

불로장생하고자 하는 인간의 소망을 그린 그림으로, 일-월-운-수-석-록-구-학-송-불로초등 열가지 장수물처럼 장수, 기원, 사상을 신선사상과 관련하여 표현하였다가 10폭 병풍으로 꾸며 주로 환갑의 장수 축하용 병풍으로 사용하였다

노안도

(蘆雁圖)

기러기와 갈대를 그린 그림을 노안도라고 부르는데, 갈대 노(蘆)와 기러기 안(雁)은 老安과 독음이 같아 "노후의 안락" 이라는 뜻

운룡도

(雲龍圖)

황용을 중심으로 청용, 백용, 적용으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운용도는 옛부터 유능한 인물을 도와 큰일을 해내거나 가뭄이 있을 때 비구름과 함께 그려진 민간신앙의 대상이였다

기린도

(麒麟圖)

기린은 온몸이 오색 영롱한 비늘로 덮혀 있고, 사슴의 몸에 소의 꼬리, 발굽은 말과 같고 머리에는 뿔이 돋아 있는 형상이라 전해집니다. 이마에 돋은 뿔은 살로 이루어져 있어 다른 짐승을 헤치지 않고, 산풀(生草)을 밟지 않는다 해서 인수(仁獸)라고도 했습니다.

사신도

(四神圖)

고대 중국에서 사방을 호위한다고 여겨진 신성한 짐승들. 동서남북의 순서대로, 청룡(용), 백호(호랑이), 주작(봉황), 현무(거북)다. 오행사상을 기초로 신수(神獸)의 몸색깔은 동서남북의 색깔(청ㆍ백ㆍ적ㆍ흑)에 대응된다

화조도

화조도 (花鳥圖)- 많은 종류의 꽃나무와 쌍쌍이 짝지은 새들이 정겹게 묘사되어 화려한 색채를 위주로 부부금슬과 집안의 평화를 염원하며 신방이나 안방을 장식하는데 쓰였다.

작호도

까치는 기쁜 소식을 전해 준다는 길조이며 인간의 길흉화복을 좌우하는 전능의 신으로 여겨지는 서낭신의 사자로서 우리와 아주 친숙한 새이고 호랑이는 서낭신의 신지를 받들어 시행하는 심부름꾼이다 이런 그림은 호랑이에게 서낭신의 신탁을 전하는 모습이다

하화유압도

오리가 새끼를 거느리고 연꽃사이로 유유히 떠다니는 그림으로 아들을 얻고 싶음을 염원하며 가족애를 표현한 그림이다.무더운 여름날 사랑방이나 대청마루를 장식하는 피서용 그림으로 사용되었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