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海印의 뜨락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영어불서읽기 스크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8년(2014년) 6월 19일 후기/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 (7)
호암산 추천 0 조회 33 15.05.10 06:03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8년(2014년) 6월 19일 후기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 (7)

 

서울경기강원지역방 2955번 글 http://cafe.daum.net/altlovebuddha/PEK/2955

의 후속타입니다.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6월 19일 후기.hwp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를 일곱 번째로 읽었습니다. 오늘 불서읽기에는 반야화 법우, 루카 법우, 효주 법우, 줄리아 법우, 환희장엄 법우, 저 관문 이렇게 6명이 참석했습니다.

오늘도 지난번에 모였던 장소 ‘Cafe 57th’에서 모임을 가졌습니다. 이곳은 지하철 3호선 안국역 1번 출구에서 나와 80 미터 가량 직진하신 후 풍문여고를 오른 쪽에 끼고 돌아서 약 60 미터 가면 보이는 곳입니다. 모이는 때는 매주 목요일 오후 7시입니다.

 

오늘은 우리의 교재 <The Dalai Lama and Howard C. Cutler, The Art of Happiness> Part II Human Warmth and Compassion: Chapter 5 A New Model for Intimacy 의 앞부분을 읽었습니다. 관문이 가지고 있는 책으로 65페이지 처음부터 75페이지 4째 줄까지입니다.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를 읽는 동안의 후기는 영어와 저희가 시도해 본 번역을 올리겠습니다. 번역본으로 <달라이 라마 & 하워드 커틀러/류시화 옮김,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김영사> 를 가끔씩 참고하겠습니다.

 

Part II Human Warmth and Compassion

제2부 인간적인 따스함과 자비

 

CHAPTER 5 A New Model for Intimacy

제5장 가까워지기 위한 새로운 모델

 

Loneliness and Connection

외로움과 유대감

 

I entered the sitting room of the Dalai Lama’s hotel suite, and he motioned for me to sit down. As tea was poured, he slipped off a pair of butterscotch-colored Rockports and settled comfortably into an oversized chair.

내가 존자님이 머물고 있는 호텔 방의 거실로 들어가자, 존자님이 나에게 앉으라고 손짓을 했다. 차를 따르는 동안 존자님은 황갈색 신발을 벗고 커다란 의자에 편히 몸을 기댔다.

 

“So?” he asked in a casual tone but with an inflection that said he was ready for anything. He smiled, but remained silent. Waiting.

“자, 시작할까요?” 편안한 어조로, 하지만 무엇이든지 말할 준비가 되어 있는 듯한 자신에 찬 목소리로 존자님은 말했다. 그리고 나서 존자님은 미소를 지은 채 잠시 침묵을 지켰다. 그냥 기다리고 있을 뿐이었다.

 

Moments before, while sitting in the hotel lobby waiting for our session to begin, I had absently picked up a copy of a local alternative newspaper that had been turned to the “Personals” section. I had briefly scanned the densely packed ads, page after page of people searching, desperately hoping to connect with another human being. Still thinking about those ads as I sat down to begin my meeting with the Dalai Lama, I suddenly decided to set aside my list of prepared questions, and asked, “Do you ever get lonely?”

조금 전에, 나는 대화를 시작할 시간을 기다리며 호텔 로비에 앉아 있었다. 그러다가 무심코 “교제란”이 펼쳐져 있는 한 지방 대체 신문을 집어 들었다. 나는 지면을 빽빽이 채우고 있는 광고를 훑어보았는데, 여러 페이지에 걸쳐 짝을 찾는 광고가 실려 있었다. 사람들은 다른 인간과 연결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었다. 존자님과의 대화를 시작하기 위해 자리에 앉으면서도 여전히 그 광고들이 내 머리를 떠나지 않았다. 그래서 나는 갑자기 준비된 질문을 제쳐놓고 이렇게 물었다. “존자님도 외로움을 느낄 때가 있습니까?”

 

“No,” he said simply. I was unprepared for this response. I assumed that his response would be along the lines of, “Of course . . . every once in a while everyone feels some loneliness . . .” Then I was planning on asking him how he deals with loneliness. I never expected to confront anyone who never felt lonely.

“없습니다,” 존자님은 간단히 대답했다. 내가 미처 예상하지 못한 대답이었다. 나는 그가 이런 식으로 대답하리라고 생각했다. “물론. . . 나도 외로울 때가 있습니다. 모든 인간은 이따금 외로움을 느끼지요. . .” 그러면 나는 어떻게 외로움에 대처하느냐고 물어볼 작정이었다. 외로움을 전혀 느끼지 않는 사람과 만난다는 건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다.

 

“No?” I asked again, incredulous.

“No.”

“What do you attribute that to?”

“외로운 적이 없다구요?” 도저히 믿기지 않는다는 듯 내가 다시 물었다.

“없습니다.”

“어떻게 전혀 외롭지 않을 수가 있죠?”

 

He thought for a moment. “I think one factor is that I look at any human being from a more positive angle; I try to look for their positive aspects. This attitude immediately creates a feeling of affinity, a kind of connectedness.

존자님은 잠시 동안 생각에 잠겼다. “한 가지 요인은 나는 어떤 사람이라도 좀 더 긍정적인 각도에서 본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나는 그들의 긍정적인 면을 찾으려고 애씁니다. 이런 태도가 즉시 친밀감, 일종의 유대감을 일으킵니다.

 

“And it may partly be because on my part there is less apprehension, less fear, that if I act in a certain way, maybe the person will lose respect or think that I am strange. So because that kind of fear and apprehension is normally absent, there is a kind of openness. I think it’s the main factor.”

“또 부분적으로는 내 쪽에서 내가 어떤 식으로 행동하면, 아마도 상대가 존경심을 잃는다든가 내가 이상한 사람이라고 생각할 것이라는 우려와 두려움이 적기 때문인지도 모릅니다. 그러한 두려움과 우려가 보통은 없기 때문에, 일종의 열린 마음이 있습니다. 내 생각으로는 그것이 주된 요소인 것 같군요.”

 

Struggling to comprehend the scope and difficulty of adopting such an attitude, I asked, “But how would you suggest that a person achieve the ability to feel that comfortable with people, not have that fear or apprehension of being disliked or judged by other people? Are there specific methods that an average person could use to develop this attitude?”

이런 태도를 취하기가 얼마나 범위가 넓고 어려운지를 이해하려고 기를 쓰며, 나는 물었다. “그러나 존자님은 다른 사람들이 싫어하거나 판단하는 것에 대해 두려워하거나 걱정하지 않고, 사람들과 편안하게 느끼는 능력을 얻기 위해 어떤 제안을 하시겠습니까? 보통의 사람이 이런 태도를 개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라도 있나요?”

 

“My basic belief is that you first need to realize the usefulness of compassion,” he said with a tone of conviction. “That’s the key factor. once you accept the fact that compassion is not something childish or sentimental, once you realize that compassion is something really worthwhile, realize its deeper value, then you immediately develop an attraction towards it, a willingness to cultivate it.

“나의 기본적인 신념은 당신이 먼저 자비의 유용함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입니다,”라고 존자님은 확신에 찬 목소리로 말했다. “그것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단 자비가 유치하거나 감상적(感傷的)인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받아들이면, 자비가 진정으로 가치가 있는 것을 깨달으면, 자비의 좀 더 깊은 가치를 깨달으면, 즉시 자비를 향한 매력을 일으키게 되고, 자비를 배양하려는 의지를 기르게 됩니다.

 

“And once you encourage the thought of compassion in your mind, once that thought becomes active, then your attitude towards others changes automatically. If you approach others with the thought of compassion, that will automatically reduce fear and allow an openness with other people. It creates a positive, friendly atmosphere.

“그리고 일단 마음속에 자비로운 생각을 불러일으키고, 그 생각이 활성화되면, 타인에 대한 당신의 태도가 자동적으로 변합니다. 자비로운 생각을 가지고 남들에게 다가가면, 자동적으로 두려움이 줄어들고 다른 사람에게 열린 마음으로 대할 수 있게 됩니다. 자비는 긍정적이고, 우호적인 분위기를 만들어내지요.

 

“With that attitude, you can approach a relationship in which you, yourself, initially create the possibility of receiving affection or a positive response from the other person. And with that attitude, even if the other person is unfriendly or doesn’t respond to you in a positive way, then at least you’ve approached the person with a feeling of openness that gives you a certain flexibility and the freedom to change your approach as needed.

“그런 태도를 가지면, 당신 자신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사랑이나 긍정적인 반응을 받을 가능성을 먼저 만드는 관계에 다가갈 수 있습니다. 그런 태도로, 상대방이 불친절하거나 긍정적인 방식으로 반응하지 않더라도, 적어도 당신은 필요한 만큼 당신의 접근 방식을 바꿀 어떤 유연함과 자유를 제공하는 개방적인 느낌을 가지고 그 사람에게 접근한 것입니다.

 

“That kind of openness at least allows the possibility of having a meaningful conversation with them. But without the attitude of compassion, if you are feeling closed, irritated, or indifferent, then you can even be approached by your best friend and you just feel uncomfortable.

“그러한 열린 마음은 최소한 그들과 의미 있는 대화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열어줍니다. 그러나 자비로운 태도가 없이, 폐쇄적이고, 짜증내고, 무관심하다면, 가장 친한 친구가 가까이 오더라도 그저 불편할 뿐입니다.

 

“I think that in many cases people tend to expect the other person to respond to them in a positive way first, rather than taking the initiative themselves to create that possibility. I feel that’s wrong; it leads to problems and can act as a barrier that just serves to promote a feeling of isolation from others. So, if you wish to overcome that feeling of isolation and loneliness, I think that our underlying attitude makes a tremendous difference. And approaching others with the thought of compassion in your mind is the best way to do this.”

“많은 경우에 사람들은 자신이 먼저 그러한 가능성을 만들어내려는 조치를 취하기보다는 상대방이 먼저 자신에게 긍정적으로 반응하기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건 잘못된 것이라는 느낌이 듭니다. 그런 태도는 문제를 낳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고립된 느낌을 조장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장벽 역할만 합니다. 그러니까 그런 고립감과 고독감을 극복하기를 원하면, 우리의 근본적인 태도가 엄청난 차이를 가져온다고 생각합니다. 마음속에 자비로운 생각을 가지고 남들에게 접근하는 것이 고독을 극복하는 최상의 방법입니다.”

My surprise about the Dalai Lama’s claim that he was never lonely was in direct proportion to my belief in the pervasiveness of loneliness in our society. This belief wasn’t born merely from an impressionistic sense of my own loneliness or the thread of loneliness that seemed to run as an underlying theme throughout the fabric of my psychiatric practice. In the past twenty years, psychologists have begun to study loneliness in a scientific manner, conducting a fair number of surveys and studies on the subject.

존자님의 결코 외롭지 않다는 주장에 대한 나의 놀라움은 우리 서양 사회에 고독감이 만연해 있다는 나의 믿음에 정비례하는 것이었다. 이 믿음은 단순히 나 자신의 고독에 대한 인상적인 감각에서 나온 것이 아니다. 또는 내가 정신과의사 업무를 보는 옷감 전체에 바탕에 깔린 주제로서 흐르고 있는 고독의 실오라기와 같은 것이었다. 지난 20년 동안에 심리학자들은 그 주제에 대한 꽤 많은 수의 조사와 연구를 통해, 과학적인 방법으로 고독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One of the most striking findings of these studies is that virtually all people report that they do experience loneliness, either currently or in the past. In one large survey, one-fourth of U.S. adults reported that they had felt extremely lonely at least once within the previous two weeks. Although we often think of chronic loneliness as an affliction particularly widespread among the elderly, isolated in empty apartments or in the back wards of nursing homes, research suggests, that teenagers and young adults are just as likely to report they are lonely as the elderly.

이러한 연구 중에서 가장 놀라운 발견은 거의 모든 사람들이 현재 또는 과거에 정말로 고독했던 경험이 있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한 대규모 조사에서, 미국인 성인 중 4분의 1이 지난 2주간 동안에 적어도 한 번은 심각한 고독감을 느꼈다고 말했다. 우리는 흔히 만성적인 고독감은 홀로 아파트에 살거나 요양원의 저 뒤 병실에 있는 노인들 사이에 특히 흔한 있는 고통이라고 여기지만, 이 연구조사에서는 십대와 젊은 성인들도 노인들과 마찬가지로 고독하다고 말했다고 한다.

 

Because of the widespread occurrence of loneliness, investigators have begun to examine the complex variables that may contribute to loneliness. For instance, they have found that lonely individuals often have problems with self-disclosure, have difficulty communicating with others, are poor listeners, and lack certain social skills such as picking up conversational cues (knowing when to nod, to respond appropriately, or to remain silent). This research suggests that one strategy for overcoming loneliness would be to work on improving these social skills. The Dalai Lama’s strategy, however, seemed to bypass working on social skills or external behaviors, in favor of an approach that cut directly to the heart ? realizing the value of compassion and then cultivating it.

광범위한 고독감의 발생 때문에, 연구자들은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변수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면, 연구자들은 외로움을 느끼는 개인들은 종종 자신을 표현하는 데에 문제가 있고, 남들과 의사소통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고, 남의 말을 잘 듣지 못하며, (언제 고개를 끄덕여야 하는지, 적절하게 대꾸해야 하는지, 혹은 침묵을 지켜야 하는지를 아는) 대화의 신호를 배우는 것과 같은 사교술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연구는 고독감을 극복하는 한 가지 전략은 이러한 사교술을 향상시키려고 노력하는 것이라고 제안하고 있다. 달라이 라마 존자님의 전략은, 그러나, 사교술이나 외부적 행동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은 무시하고, 자비의 가치를 깨닫고 자비심을 기르는, 핵심에 곧바로 파고드는 접근법을 선호하는 듯했다.

 

Despite my initial surprise, as I listened to him speak with such conviction, I came to firmly believe that he was never lonely. And there was evidence to support his claim. Often enough, I had witnessed his first interaction with a stranger, which was invariably positive. It started to become clear that these positive interactions weren’t accidental or simply the result of a naturally friendly personality. I sensed that he had spent a great deal of time thinking about the importance of compassion, carefully cultivating it, and using it to enrich and soften the ground of his everyday experience, making that soil fertile and receptive to positive interactions with others ? a method that can, in fact, be used by anyone who suffers from loneliness.

처음에는 놀랐지만, 존자님이 그렇게 확신을 갖고 말하는 것을 들으면서, 나는 존자님이 결코 외롭지 않다는 사실을 굳게 믿게 되었다. 그리고 존자님의 주장을 뒷받침해 줄 증거도 있었다. 너무도 자주, 나는 존자님이 낯선 사람과 처음 만나 이야기하는 것을 목격했는데, 예외 없이 긍정적이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상호 작용은 우연적이거나 단순히 타고난 다정한 성격의 결과가 아니라는 것이 분명해지기 시작했다. 나는 존자님이 자비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하고, 주의 깊게 자비심을 배양하면서 대단히 많은 시간을 보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존자님은 매일 매일의 경험의 기반을 풍부하고 부드럽게 하는 데 자비심을 사용하면서 그 토양을 기름지게 하고, 남들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게 했다. 사실, 이것은 외로움으로 고통 받는 모든 이들이 누구나가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Dependence on Others versus Self-Reliance

남에게 의존할 것인가 자신을 믿을 것인가  

 

“Within all beings there is the seed of perfection. However, compassion is required in order to activate that seed which is inherent in our hearts and minds . . . ” With this, the Dalai Lama introduced the topic of compassion to a hushed assembly. Addressing an audience of fifteen hundred people, counting among them a fair proportion of dedicated students of Buddhism, he then began to discuss the Buddhist doctrine of the Field of Merit.

“모든 존재 안에는 자기완성을 위한 씨앗이 들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마음에 있는 그 씨앗이 싹을 틔우고 자라기 위해서는 자비심이 요구됩니다. . . ” 존자님은 이런 말로써 조용히 귀를 기울이고 있는 청중들에게 자비심이라는 주제를 소개했다. 1,500명의 청중에게 강연을 하면서, 그중에는 독실한 불교 신자도 꽤 많이 있다고 생각해서, 존자님은 ‘공덕의 밭[복전(福田)]’에 대한 불교 교리에 대해 말하기 시작했다.

 

In the Buddhist sense, Merit is described as positive imprints on one’s mind, or “mental continuum,” that occur as a result of positive actions. The Dalai Lama explained that a Field of Merit is a source or foundation from which a person can accumulate Merit. According to Buddhist theory, it is a person’s stores of Merit that determine favorable conditions for one’s future rebirths.

불교적인 의미에서, 공덕은 사람의 마음에 새겨진 긍정적인 흔적, 혹은 긍정적인 행동의 결과로 발생하는 “정신적 연결체”로 설명된다. 존자님은 ‘공덕의 밭’은 사람이 공덕을 쌓을 수 있는 근원이나 토대라고 설명했다. 불교의 이론에 따르면, 사람이 미래에 다시 태어나는 데 유리한 조건을 결정하는 것이 바로 개인이 쌓은 공덕의 창고이다.

 

He explained that Buddhist doctrine specifies two Fields of Merit: the field of the Buddhas and the field of other sentient beings. one method of accumulating Merit involves generating respect, faith, and confidence in the Buddhas, the Enlightened beings. The other method involves practicing actions like kindness, generosity, tolerance, and so on, and conscious restraint from negative actions like killing, stealing, and lying. That second method of acquiring Merit requires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rather than interaction with the Buddhas. on that basis, the Dalai Lama pointed out, other people can be of great help to us in accumulating Merit.

존자님은 불교 교리에서 두 가지 ‘공덕의 밭’을 구분한다고 설명했다. 부처님의 밭과 다른 중생들의 밭이 그것이다. 앞의 공덕을 쌓는 방법은 깨달으신 분, 부처님에 대한 존경심, 믿음, 확신을 일으키는 것이 포함된다. 다른 방법은 친절, 보시, 인욕 등과, 살생, 도둑질, 거짓말과 같은 부정적인 행동을 의식적으로 삼가는 것을 포함한다. 그 두 번째 공덕을 얻는 방법은 부처님과의 상호작용보다는,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이 요구된다. 그것을 토대로, 존자님은 다른 사람들이 우리가 공덕을 쌓는 데 대단히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The Dalai Lama’s description of other people as a Field of Merit had a beautiful, lyrical quality to it that seemed to lend itself to a richness of imagery. His lucid reasoning and the conviction behind his words combined to give special power and impact to his talk that afternoon. As I looked around the room, I could see that many members of the audience were visibly moved.

다른 사람들이 나의 ‘공덕의 밭’이라는 존자님의 설명은 풍부한 상상력을 불러일으키기에 알맞은 아름답고, 서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었다. 존자님의 투명한 추론과 말 속에 담긴 확신이 합해져서 그날 오후의 강연에 특별한 힘과 효과를 불어넣었다. 강연장 안을 둘러보자, 많은 청중들이 눈에 띄도록 감동을 받은 모습이었다.

 

I, myself, was less enthralled. As a result of our earlier conversations, I was in the rudimentary stages of appreciating the profound importance of compassion, yet I was still heavily influenced by years of rational, scientific conditioning that made me regard any talk of kindness and compassion as being a bit too sentimental for my taste. As he spoke, my mind began to wander. I started furtively looking around the room, searching for famous, interesting, or familiar faces. Having eaten a big meal just before the talk, I started to get sleepy. I drifted in and out.

나 자신은 사실 그렇게 열중하지는 않았다. 강연에 앞서 존자님과 나눈 대화의 결과로서, 나는 자비심의 심오한 중요성에 대해 기본적 단계의 이해는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년간에 걸친 이성적, 과학적인 훈련에 여전히 강하게 영향을 받고 있어서, 친절과 자비에 대한 어떤 이야기도 내 취향으로는 좀 너무 감상적(感傷的)이라고 여기게 만들었다. 존자님이 말을 하고 있는 동안 내 마음은 산만해지기 시작했다. 나는 남몰래 강연장을 둘러보며, 유명하고, 흥미를 끌고, 아는 얼굴이 있는지 찾아보았다. 강연 바로 전에 식사를 잔뜩 했기 때문에 나는 졸기 시작했다. 나는 깨다 졸기를 반복했다.

 

At one point in the talk, my mind tuned in to hear him say, “. . . the other day I spoke about the factors necessary to enjoy a happy and joyful life. Factors such as good health, material goods, friends, and so on. If you closely investigate, you’ll find that all of these depend on other people. To maintain good health, you rely on medicines made by others and health care provided by others. If you examine all of the material facilities that you use for the enjoyment of life, you’ll find that there are hardly any of these material objects that have had no connection with other people. If you think carefully, you’ll see that all of these goods come into being as a result of the efforts of many peopl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Many people are involved in making those things possible. Needless to say, when we’re talking about good friends and companions as being another necessary factor for a happy life, we are talking about interaction with other sentient beings, other human beings.

강연 도중 어느 한 순간, 존자님의 말이 내 마음을 울리며 들려왔다. “며칠 전 나는 행복하고 즐거운 삶을 위해 필요한 요소들에 대해 말한 적이 있습니다. 그것은 건강, 물질, 친구 같은 것들이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이 모든 것들이 다른 사람에게 의존해 있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당신은 다른 사람이 만든 약에 의지하고, 다른 사람이 제공하는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합니다. 삶을 즐기기 위해 당신이 이용하는 모든 편의 시설을 살펴보아도, 이 물건들 중에서 다른 사람과 관련되지 않은 것이 거의 없습니다. 잘 생각해보면, 당신은 그 모든 물건들이 많은 사람들이 직접 간접적으로 노력한 결과로 생겨났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새삼 말할 필요도 없이, 행복한 삶을 위한 또 하나의 필요한 요소가 좋은 친구와 동료를 갖는 것이라고 말할 때, 그것은 다른 생명을 가진 존재, 곧 모든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의미합니다.

 

“So you can see that all of these factors are inextricably linked with other people’s efforts and cooperation. Others are indispensable. So, despite the fact that the process of relating to others might involve hardships, quarrels, and cursing, we have to try to maintain an attitude of friendship and warmth in order to lead a way of life in which there is enough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to enjoy a happy life.”

“그러므로 이 모든 요소들이 다른 사람들의 노력과 협력에 불가결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남들은 없어서는 안 될 존재들입니다. 따라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과정에 온갖 고난, 싸움, 욕지거리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우리는 다정함과 따뜻한 마음을 유지하려고 노력해야만 합니다. 이는 행복한 삶을 즐길 수 있을 만큼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이 있는 생활 방식을 이끌어 가기 위해서입니다.

 

As he spoke, I felt an instinctive resistance. Although I’ve always valued and enjoyed my friends and family, I’ve considered myself to be an independent person. Self-reliant. Prided myself on this quality in fact. Secretly, I’ve tended to regard overly dependent people with a kind of contempt -- a sign of weakness.

존자님이 말하고 있는 동안, 나는 본능적인 반감이 일어남을 느꼈다. 항상 친구와 가족을 소중히 여기고 즐겁게 지내고 있기는 하지만, 나는 내 자신을 독립적인 사람, 스스로를 믿고 있는 인간이라고 여겨왔다. 실은 이러한 나의 자질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은근히 나는 지나치게 의존적인 사람을 멸시하는 듯이 유약함의 표시라고 여기는 경향이 있었다.

 

Yet that afternoon, as I listened to the Dalai Lama, something happened. As “Our Dependence on Others” was not my favorite topic, my mind started to wander again, and I found myself absently removing a loose thread from my shirt sleeve. Tuning in for a moment, I listened as he mentioned the many people who are involved in making all our material possessions. As he said this, I began to think about how many people were involved in making my shirt.

그러나 그날 오후에, 존자님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동안, 중요한 일이 일어났다. “우리가 남들에게 의존하는 것”은 내가 좋아하는 주제가 아니었기 때문에 내 마음은 다시 산만해지기 시작했다. 그러다 무심코 내 셔츠 소매에서 늘어진 실 한 가닥을 뜯어내고 있는 내 자신을 발견했다. 잠시 귀를 기울여서 존자님이 우리의 모든 물질적 소유물을 만드는 데 연관이 있는 많은 사람들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들었다. 존자님의 그 말을 들으면서, 나는 내 셔츠를 만드는 데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동원되었을까를 생각하기 시작했다.

 

I started by imagining the farmer who grew the cotton. Next, the salesperson who sold the farmer the tractor to plow the field. Then, for that matter, the hundreds or even thousands of people involved in manufacturing that tractor, including the people who mined the ore to make the metal for each part of the tractor. And all the designers of the tractor. Then, of course, the people who processed the cotton, wove the cloth, and the people who cut, dyed, and sewed that cloth. The cargo workers and truck drivers delivering it to the store, and the salesperson who sold the shirt to me.

나는 맨 먼저 목화를 재배한 농부를 떠올렸다. 다음으로, 목화밭을 갈도록 트랙터를 농부에게 판 점원을. 그리고는 그 일을 위해, 그 트랙터를 제조하는 데 연관되어 있는 수 백 혹은 수 천 명의 사람들. 트랙터의 각 부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금속을 만들기 위해 광석을 캐낸 사람들을 포함해서. 모든 트랙터 설계자들. 다음으로 물론 목화를 가공하고, 천을 짜고, 그 천을 자르고 염색하고 바느질한 사람들. 셔츠를 상점으로 운반한 화물 인부들과 트럭 운전기사들. 마지막으로 나에게 셔츠를 판 점원에 이르기까지.

 

It occurred to me that virtually every aspect of my life came about as the result of other’s efforts. My precious self-reliance was a complete illusion, a fantasy. As this realization dawned on me, I was overcome with a profound sense of the interconnectedness and interdependence of all beings. I felt a softening. Something. I don’t know. It made me want to cry.

실제로 내 삶의 모든 영역이 다른 사람들의 노력의 결과로 생겨났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나의 그 잘난 자립적인 존재라는 것은 순전히 환상이었다. 이런 깨달음이 나에게 이르면서 모든 존재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서로 의존하고 있다는 심오한 느낌이 내 가슴 가득히 밀려왔다. 내 마음은 누그러지고 있었다. 대단한 일이었다.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그 느낌은 나를 울고 싶게 만들었다.  

 

 
다음검색
댓글
  • 15.05.10 21:58

    첫댓글 _()()()_

최신목록